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루소의 교육이론

        장성모 한국도덕교육학회 2016 道德敎育硏究 Vol.28 No.1

        Jean-Jaque Rousseau and the meaning of his writing has been the subject of persistent controversy. Rousseau is one of the problematic thinker who has been condemned and praised, studied seriously and dismissed as eccentric, simultaneously, in the history of western intellectual idea. Interpreted as educational literature, Rousseau’s writings are mutually supported toward a fuller understanding of ‘the paradox of education’ by illuminating the different aspects or dimensions of educational practice. Rousseau’s Emile, taken as an educational literature, can be best understood as giving the internal coherence to Rousseau’s political writings and literary works, not by offering the methodical principle or prescription of educational practice, but by abstracting the human condition or human nature within the processes or stages of education, which is hidden behind the ordinary human life. Rousseau is the paradoxical thinker or ‘the tragic hero’ of paradox, par excellence, who shows us the paradox of education which coheres the contradictory concepts un-contradictorily, without which an understanding of the totality of education is impossible. 서구의 지성사에서 루소는 상반된 평가와 논쟁의 대상이 되어 온 사상가 이다. 루소와 그의 저술에 대한 상반된 평가는 한 편으로는 루소를 이해하는 데 장애가 되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루소 사상의 파라독스적 성격을 이해하는 지름길이 된다. 루소의 저술들은 교육의 상이한 측면을 설명하는 교육적 저술이며, 「에밀」의 교육이론 속에서 하나로 연결된다. 루소의 저술들은 인간 본성의 경험적 차원과 이념적 차원을 구분하고, 인간 본성의 이념적 차원을 교육 안에서 확인하고 실현하는 과정을 상상하고 설명한다. 루소는 양립 불가능한 모순을 하나로 연결하는 교육의 파라독스를 대면하도록 안내하는 위대한 비극적 사상가이다.

      • KCI등재

        플라톤과 현대교육: 대화(dialogue)와 대화(conversation)

        장성모 한국도덕교육학회 2015 道德敎育硏究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Plato’s ‘philosophical dialogue’ in view of Oakeshott’s conception of ‘poetic conversation’. In view of Oakeshott’s poetic conversation, Plato’s dialogues is not a means to convey or express his philosophical idea by poetic (dramatic) style, but a new poetry which is superior to the old-fashioned poetry of the age, and genuine philosophy in itself. According to the Oakeshott’s poetic conversation, Plato’s dialogues have imagined the many-sided images of Socrates’ heroic life of philosopher in its various aspect, dramatically. However, Oakeshott criticizes Plato’s philosophy, because of its being liable to loss the poetic voice intimated in his philosophical dialogue and corrupt into practical voice of politics and religion. Plato’s Idea(reality) and theoria is an infinite extention and projection of Oakeshott’s poetic contemplation and delight to the sub speci aeternitatis. In view of education, Plato’s dialogue and Oakeshott’s conversation, which illuminate two different aspects of education respectably, can be harmonized and wholly conversable. Plato’s contemplation of reality, on the one hand, designates the ultimate way or purpose of education, Oakeshott’s poetic contemplation of image, on the other hand, illuminates the educational state of affair and the delightfulness of temporal moment or time of education out of which belief and hope toward the ultimate purpose and reality sprouts and grows. 본 연구는 플라톤 철학에 담겨있는 교육학적 함의를 ‘시적 대화’(conversation)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플라톤이 대화편을 시적으로 저술한 것은 시 또는 문학적 양식을 빌리거나 도구로 삼아 자신의 철학적 아이디어를 표현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그의 대화편은 기존의 시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시를 ‘적극적으로’ 말한 것이며, 그 시는 바로 그가 꿈꾼 철학이다. 오우크쇼트의 시적 대화의 관점에서 보면, 플라톤은 소크라테스가 헌신한 철학자의 영웅적 삶의 다양한 국면을 각각의 대화편을 통하여 상이한 이미지로 그려내었다. 그러나 오우크쇼트는 철학이 자신의 목소리를 잃고 실제적 활동으로서의 정치 또는 종교의 목소리로 변질될 때의 위험을 감지하고 플라톤 철학에 대하여 비판적인 태도를 취한다. 플라톤의 ‘실재’와 ‘테오리아’(theoria)는 오우크쇼트의 시적 관조와 경이의 ‘永遠性의 相下’(sub speci aeternitatis)로의 무한한 ‘확장’(extension)이요, ‘투사’(projection)이다. 플라톤과 오우크쇼트의 관점은 교육의 상이한 측면을 조명하며, 양자는 교육 안에서 ‘대화자적 관계’로 조화를 이룰 수 있다. 플라톤의 실재에 대한 관조는 교육이 지향하는 궁극적 방향을 손가락질한다면, 오우크쇼트의 시적 관조는 그것을 향한 믿음과 소망이 싹트고 살아 숨쉬는 현재로서의 교육사태와 교육이 이루어지는 순간의 경이(驚異)를 조명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마음의 重層構造와 敎育의 宗敎的 意味

        장성모 한국도덕교육학회 2005 道德敎育硏究 Vol.17 No.1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inquire into the religious meaning of education in the light of the two-fold structure of mind. The discussion of the development of mind, in relation to the idea of two-fold structure of mind, helps to reveal the limitation of curriculum theory which is based on the means-ends reasoning. In view of the two-fold structure of mind, the curriculum theory which explains and justifies the subject-matter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means-ends reasoning regards the development of mind as a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empirical mind. The existing discussion of the two-fold structure of mind illuminates the relation between the reality and the principles of educational procedure or dynamic movement of the empirical mind impersonally. As a result, it cannot explain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n which metaphysical mind dynamically transacts with the empirical mind, the existential teacher who 'participates' in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subject matter education which justifies the praxis of education, personally. In view of teacher who 'participates' in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uper layer of two-fold structure which constitutes the metaphysical mind or reality is no longer the logical presupposition or cause inferred from the empirical mind. It functions as a living power which regulates and guides the existential teacher and his subject matter education. In this case, the teacher who 'personally' participates in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witnesses and manifests the dynamical living power of metaphysical mind and reality. Above all, new discussion of the two-fold structure of mind suggests the religious meaning to the education and opens the door to the education to leap toward 'the religion of religion'. 본 연구는 마음의 중층구조의 개념에 비추어 교육의 종교적 의미를 검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마음의 중층구조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 심성함양에 관한 논의는 교육을 수단-목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기존의 교육과정 이론의 한계가 무엇인가를 드러내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한다. 교육을 수단-목적 관점에서 설명하거나 정당화하는 교육과정 이론의 문제점은 마음의 개념을 도외시하거나 마음의 발달을 경험적 마음의 기능적 분화로 설명하는 데에 있다. 마음의 중층구조에 관한 논의는 실재의 형이상학적 지위를 새롭게 부각시켰을 뿐 아니라 실재와 그것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구현되고 있는 마음의 운동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중층구조 이론은 실재로서의 형이상학적 마음을 경험적 마음에서 추론된 ‘논리적 가정’ 또는 ‘논리적 원인’으로 간주함으로써 아래층과 위층의 마음이 역동적으로 교섭하는 교육사태, 그 사태에 ‘참여’하는 당사자적 주체로서의 교사, 그리고 이를 정당화하는 실천적 행위로서의 교과교육의 의미 등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였다.교과교육에 ‘참여’하는 실존적 주체로서의 교사의 입장에서 보면, 중층구조의 위층을 이루는 형이상학적 마음은 논리적으로 추론된 原因이 아니라 교과교육을 이끌고 부추기는 살아있는 힘이다. 교과교육에 헌신하고 있는 교사는 그 힘의 역동성을 증거하고 가시화하는 존재이다. 마음의 중층구조에 관한 논의는 교육에 종교적 의미를 부여할 뿐 아니라 교육이 ‘종교 중의 종교’로 발돋움할 가능성을 열어준다.

      • KCI등재

        「우파니샤드의 지혜」 : 힌두문화와 도덕교육

        장성모 한국도덕교육학회 2010 道德敎育硏究 Vol.21 No.2

        The word 'Upanisads' come from upa, near, ni, under, sad, to seat. It means "sitting near" the teacher to receive instruction. It gradually came to mean what we receive from the teacher, a sort of secret knowledge and doctrine. Upanisads are compilations from different sources recording the secret dialogue of teacher and pupil at the forest of ascetic monk. Unlike Veda and Bhagavadgita which are concerned more with the religious liturgy and practice than with the knowledge and thought, Upanisads express the restlessness and striving of the human mind to grasp the true nature of reality. They attempt to moralize the religion of the Vedas without disturbing its form. The advance of the Upanisads on the Vedas consist in an increased emphasis on a shifting of the centre from the outer to the inner World, a protest against the exteralism of the Vedic practices and an indifferrence to the sacredness of Veda. Amid all the confused ferment of Vedic devotion a certain principle of unity and comprehension was asserting itself. The Upanisads recognise only one spirit-almighty, infinite, external, incomprehensible, self-existent, the creator, preserver, and destroyer of the world. He is light, lord and life of the universe, the sole object of worship and adoration. His name is 'Brahman'. Many half-gods are but the chief manifestions of the highest, the immortal, incorporeal Brahman. The many gods were subordinated to the One, Brahman. Moreover, the inner immortal self and the great cosmic power are one and the same. Brahman is the Atman and the Atman is the Brahman. According to Upanisads, the pursuit of knowledge which is not separated from the religious liturgy and practice, especially the reciprocal relation of teacher and pupil in their pursuit of knowledge, actualizes the idea of life, that is, 'the Oneness of Brahman and Atman''(梵我一如) which Upanisads seek, in temporal sequence. It is the course and context that embodies the meaning of Upanisads. In addition, the 'Caste' system (Varna) is the institutional buttress, not only supporting the spirit of Upanisads but also to estabilish and succeed the idea of 'the unity of Brahman and Atman' as a Brahman's tribal task, incessantly. The Upanisads' idea of "the Oneness of Brahman and Atman" and the Caste system of Hindu lead us to consider the meaning of life and education from the point of view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a ordinarily accepted view. 「우파니샤드」는 “제자가 스승 바로 아래 가까이 앉아서 은밀하게 전수 받는 심오한 지식”을 뜻한다. 「우파니샤드」는 스승과 제자가 수행자의 숲에서 은밀하게 나눈 대화의 내용을 결집한 기록이다. 「우파니샤드」에 이르러, 브라흐만은 과거의 모든 신들을 넘어서는 초월적 실재로 간주되었고, 브라흐만의 운동을 존재의 내면성, 즉 아트만으로 온전히 확립하고 가시화하는 일은 수양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우파니샤드」의하면, 의례와 분리되지 않는 지식의 추구, 특히 스승과 제자의 상호의존적 교섭관계는 「우파니샤드」가 추구하는 생의 이념, 즉 범아일여의 세계로 나아가는 통로인 동시에 그 의미가 온전히 구현되는 사태이다. 힌두교의 사성제도는 브라만 계층으로 하여금 범아일여를 삶의 궁극적 이념으로 확립하고 이어가는 일을 종족적 과업으로 삼도록 하는 제도적 버팀목이다.「우파니샤드」의 범아일여의 이념과 힌두교의 사성제도는 삶과 교육의 의미와 양자 사이의 관계를 통념과는 전혀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도록 안내한다.

      • 설계홍수량 산정에 따른 임계지속시간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장성모,강인주,이은태 한국습지학회 2004 한국습지학회지 Vol.6 No.3

        임계지속시간의 산정은 유효우량 산정과 단위 유량도 및 강우분포를 이용한 유출모형 그리고 도달 시간등을 고려하여 산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기저유출에 대한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SCS 유효우량 선정법과 빈도 분석을 통한 확률강우량과 단위도법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의 수문실무에 있어서 설계홍수량의 산정에 있어서 임계지속시간의 개념이 사용되고 있으나 명확한 기준이 없어 무작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수목적의 설계홍수량 산정에 있어서 여러 가지 수문학적인 인자에 따른 임계지속시간의 변화를 파악하여 적용성을 알아보고 이에 맞는 회귀식을 산출하여 수문인자에 따른 편차를 정량화하여 실무의 수문설계에 적용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유역특성인자와 CN값 산정에는 GIS프로그램인 ArcView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유출계산은 WMS Model에서 제공하는 HEC-1 Module을 이용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또한 확률강우량의 재현기간, 강우의 시간적 분포특성, 유역의 토양 및 토지이용 특성과 도달시간의 변화에 따른 임계지속시간의 변동 추이를 살펴보고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각 인자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형상계수, 유역평균고도, CN값은 첨두 유출량 및 임계지속시간 산정에 있어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역면적, 유역경사, 하천연장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계수의 산정결과 재현기간과 강우분포에 대해서는 첨두 홍수량이, 도달시간과 선행토양함수조건에 대해서는 임계지속시간이 좀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recent, the critical rainfall duration concept is widely used but we do not have understandable criteria yet. However, the critical rainfall duration is usually calculated considering concentration time, runoff model using effective rainfall, and unit hydrograph for the estimation of design flood. This study is to derive the regression equations between the critical rainfall duration and hydrologic components such as the basin area, slope, length, CN, and so on. We use a GIS tool which is called the ArcView for the estimation of hydrologic components and the HEC-1 module which is provided in WMS model is used for the runoff computation. As the results, the basin area, basin slope, and basin length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estimations of peak runoff and critical rainfall duration. We also investigated the sensitivities for the peak runoff and critical duration of rainfall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involved components in the runoff esti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