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濟州島의 海産腹足類의 分類學的 硏究

        崔炳來 群山大學校 1984 論文集 Vol.7 No.-

        The marine Gastropods were collected by the author from eight localities (Che-ju, Seogwipo, Sehwa, U. Island, Songsan, Pyoson, Mosulpo, Hyojae) in Che-ju island during the period from 1982. to 1983. The author prepared a checklist of the marine Gastropods of Che-ju island, based upon the materials which were collected by himself and upon the literature records. The list shows 29 families, 67 species of marine gastropod. Among them 32 species of gastropods are new to fauna of Che-ju island and 14 species are unrecorded species from Korea are as follows: Collisella (Kikukozara) lanfordi, Cellana grata stearnsii, Penepatella stellaeformis, Mesoclanculus ater, Tristichotrochus aculeatus, Galeoastraea (Harisazaga) modesta, Astralium haematragum, Cly peomorus humilis, Capulus dilatatus, Bedevina birileffi, Fusinus sagamiensis, Triplostephanun lima, Depressiscala aurita, Gyroscala (pomiscala) perplexa.

      • The Preliminary report on the seasonal change of anomuran species distribution on the sea shore in sunyu Island.

        崔炳來 군산대학교 1977 群山水産專門大學 硏究報告 Vol.11 No.3

        著者는 仙遊島에서 海岸에 나타나는 집게류의 계절에 따른 分布 변동을 관찰하고저 1977년 10월 1次 조사를 실시하여 14종을 책집하였다. 이중 北方型이 1種, 溫帶型 10種, 南方型 2種 그리고 廣布型이 1種이었다.

      • KCI등재

        남해안 덕동 및 이수도와 자란도 지역의 조간대 및 아조대 저서동물군집 분석

        최병래,박중기,이종락 한국패류학회 1995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11 No.1

        저자들은 1994년 7월부터 1995년 2월까지 남해안 마산만의 덕동 지역과 대주군인 자란도 및 이수도에서 오염원의 영향을 민감하게 받는 종을 선별하기 위하여 조간대 및 아조대의 저서동물 군집을 채집하고 정성,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덕동 지역 군집은 대조군인 자란도나 이수도에 비하여 구성 종 수가 현저히 적었고 다양도지수 및 균등도가 낮았으며 그 다음은 자란도와 이수도순이었다. 우점도는 덕동이 가장 높았고 자란도, 이수도순이었다. 또한 조사지역 내에서 연체류중 패각만 채집된 종수가 덕동에서 19종, 자란도 3종, 이수도 4종으로 중복된 것을 제외하면 총 25종이 되며 이들 또한 오염과 관계 있을 것으로 예견된다.

      • 韓國海産 原始腹足類 (軟體動物門· 腹足綱)의分類學的 硏究 豫報

        崔炳來 群山大學校 1986 論文集 Vol.12 No.-

        The Korean Marine Archeogastropoda consists of 62 species, 10 of which are additioned to the fauna of Korea. The author reconsidered the previous literatures and rewrote the scientific names in correct. The synonyms are reformed and the overlapped scientific names in previous lists are eliminated by author.

      • KCI등재
      • D. melanogaster 集團 제3染色體에 있어서 致死異型 培合體의 發生率

        崔炳來,成耆昌 군산대학교 1976 群山水産專門大學 硏究報告 Vol.10 No.3

        The experiment has been excuted of developmental rate of the lethal heterozygote for third chromosome in order to clarify the essence of the fitness in small population of Korean Drosophila melanogaster. As a result of thls experiment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obtained. 1).Relative rates of developmentare +1/+<+/11 <11/12 in third chromosomes when we make genetic background to be homogeneous. 2).Differance of developmental rates among the genotypes are significant. 3).It is suggested that there may b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e-adult viability and developmental rate in small Korean population of Drosophila melanogaster. 4).It is found that rate of developmen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fitness value in Droasophila melanogaster.

      • KCI등재

        한국 해산 물레고둥상과 , 홍줄고둥상과 및 감생이고둥상과 ( 연체동물문 : 복족강 ) 의 분류

        최병래,제종길,정혜승 한국패류학회 1995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11 No.2

        1963년 5월부터 1993년8월에 걸쳐 한국 해역 99개 지점에서 채집된 물레고둥상과, 홍줄고둥 상과 및 감생이고둥상과의 표본 3713개체를 동정, 정리하고, 문헌들을 검토하여 9과 97종 9아종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채집된57종과 4종에 대하여는 외부 형태의 도판을 작성하였으며, 과거 기재가 없었거나 불충분하였던 물레고둥 상과에 속하는 Zafra mitriformis, Nassarius (Hima) pauperus, Plicifusus plicatus, Phos varicosus, Microfusus acutispirata, Siphonalia modificata, Buccinum opisoplectum, Muccinum polare, Latirulus nagasakiensis, Granulifusus niponicus 및 홍준고둥 상과에 속하는 Lyria(Lyria)acssidula, Olivella(Olivella)ulgurata, Psephaea kaneko를 재기재하였다. 이 중 Z. mitriformis, P. varicosus, G. niponicus는 한국 미기록종이다.

      • KCI등재

        한국 해산 원시복족목(연체동물문.복족강)의 분류 및 분포

        최병래,김훈수 한국동물분류학회 1988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spec2 No.-

        저자들은 1979년 7월부터 1988년 5월까지 전국 해안 60개 지점에서 채집한 해산 원시복족류를 동정 분류하고 과거의 문헌들을 종합정리하여 한국산 원시복족류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지금까지 한국 해산 원시복족류는 52종 8아종이 보고 되었으며 저자들이 한국 미기록 9종을 추가하여 총 4아목, 5상과, 10과, 61종, 8아종이 되었으며 한국미기록 9종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Diodora sieboldii (Reeve), Montfortula pulchra A. Adams, Collisella langfordi Habe, Notoacmea gloriosa Habe, Mesoclanculus ater (Pilsbry), Cantharidus hiraesei (Pilsbry), Cuildfordia triumphans (Philippi), Tristichotrochus aculeatus (Sowerby). Homalopoma sangarense(Schrenck). 저자는 각 종에 대한 Synonym등 학명을 정리하고 종 및 상위 분류군에 대한 검색표를 작성하였으며 미기록종에 대한 기재를 하였다. The present study on the classified and distribution of Korean marine archeogastropods is mainly based on the materials which were collected by the authors from July, 1979 to August, 1988 to 60 localities in the south Korean continental shelf. In addition to the 52 species and 8 subspecies of archeogastropods that have been reported from Korean waters, 9 species are found to be new to the fauna of Korea ; Diodora sieboldii (Reeve), Montfortula pulchra A. Adams, Colisella langfordi Habe, Notoacmea gloriosa Habe, Mesoclanculus ater (Pilsbry) , Cantharidus hirasei (Pilsbry), Guildfordia triumphans (Pilsbry), Tristichotrochus aculeatus (Sowerby), Homalopoma sangarense(Schrenck). The Korean marine archeogatropod fauna comprises 4 suborders, 5 superfamilies 10 families , 61 species and 8 subspecies. The authors listed the scienfic name of the korean archeogastropods in correct and described the unrcorded species from korea with keys to species and families.

      • KCI등재

        울릉도 해산 원시중복족류 (Archeogastropods)의 분류 및 기재

        최병래,윤숙희 한국패류학회 1990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6 No.1

        The present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of the marine archeogastropods based on the materials which were collected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12th to 17th of July in 1989 at nine localities of the Ullung Island. In addition to the 3fimilies and 8 species of the marine archeogastropods that have been reported, 7 familis and 29 species were reported including the 4 families and 21 unrecorede species from the Ullung Island as a result of this study. Among them, 3 species: Tugali decussata A. Adms 1852, Tuistichotuochus kima Shikawa & Habe 1965, Alcyna ocellata A. Adams, 1860 are found to be new to the fauna of Korea.

      • KCI등재

        울릉도 해산 중복족류 (Mesogastropods)의 분류 및 기재

        최병래,윤숙희 한국패류학회 1990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6 No.1

        The present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of the marine mesogastropods based on the materials which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12th to 17th of July in 1989 at nine localities of the Ullug Island. Seven unrecored species in 6 families of mesogastropodes are new to the fauna of Ullung Island. As a result of this study, 7 families and 8 species of marind mesogastuopoes are riported from the Ullung Island. Two species of thim, Costalynia costulata(Dunker, 1860), Barleeia angustata(Pilsbry, 1901), are found to be new to the fauna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