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학 윤리사상의 현대적 변환에 대한 한 구상

        사순(尹絲淳)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8

        오륜으로 대표되는 유학의 윤리가 현대의 생활에 맞지 않아 총체적인 수정을 필요로 하지만, 논자는 그런 부분적 수정보다도 근본적으로 그 오륜을 대체할 이론을 유학에서 새롭게 찾아보고자 한다. 윤리행위를 위한 준비에 해당하는 수양에 있어, 과거 성리학자들이 철저히 행하던 ‘경공부敬工夫’는 본래적 자신을 회복하는 장점을 지녔다. 그렇지만 소통에 의한 타인과의 원활한 유대와 질서 수립이라는 윤리의 목적을 감안하면, 자신에 충실하면서도 타인과의 소통에 적합한 ‘성실한 마음가짐’을 갖는 데에 앞으로는 더 열중해야 할 것이다. 주체적 개인윤리의 문제에서, 공자가 애인愛人이라는 인仁의 본성을 ‘추기급인推己及人’하는 서恕의 방법으로 실현코자 한 사상은 오늘날에도 계승할 만한 윤리행위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다만 그 인의 구현으로서 서에 대해서는 막연한 동정심인 맹자의 ‘측은지심惻隱之心’이기보다는 ‘호의적好意的 배려 配慮’라는 이타利他 지향의 의지(善意志)로 이해하여 실행토록 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하면 호의적 배려로부터 ‘타인의 인격 존중’에 기초한 공경과 겸양의 예禮가 나오고, 그 배려에 대한 부당한 거역과 냉대에서는 ‘수오羞惡’로 인한 행위의 가부 정당성으로서 의義가 또 도출된다는 설명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인을 바탕으로 한 그 개인윤리 덕목들의 새로운 수립이 마침내 과거의 오륜을 대체하고서도 그 주체적 덕성 윤리의 근본 의도를 실현하는 결과에 이른다. 객관적 사회윤리의 문제에서는 먼저 예의 새로운 개정이나 보완이 필요한데, 그 개정과 보완은 시의성과 관습화의 추세 등을 고려해 합리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그 다음, 객관적인 의義의 설정이 문제이다. 그 문제의 접근은 의가 원리화된 ‘의리義理의 용법’에 배어있는 사유의 검토로써 가능하다. 첫째 친근의 정감에 의한 의리의 용법은 의가 엄격히 공정公正한 성격을 띠어야 함을 보여준다. 그 공정성은 천리天理로 나타내는 논리적 타당성과, 실사實事에서 구시求是하는 실증적 엄정성을 지녀야 한다. 둘째, 유학은 위아설爲我說의 이기를 겸애兼愛보다도 더 배척한다. 박시제중과 통하는 ‘공익公益’을 곧 의와 의리로 간주하는 사상이 유학이다. 셋째, 애인으로서의 인의 구현은 본래 덕치 등의 방법으로 세계 인류의 범위로 행해지길(平天下) 목표로 했던 만큼, 그 세계인류 범위로 확대된 ‘박애博愛 정신’의 발휘이다. 박애의 실천이 곧 인을 구현하는 의리이다. 넷째, 박시제중의 공익은 실상 화和의 수단이며, 화는 이런 윤리행위의 종국 목표가 된다. 공익에 의한 공생지향의화는 결국 민주주의 정신과도 통하는 ‘공화共和’가 아닐 수 없다. 이상을 종합하면, 유학에는 근원적으로 공정ㆍ박애ㆍ공익ㆍ공화라는 의, 곧 ‘정의라고 번역될 사유’가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이런 것들을 깨닫는 데서 유학의 윤리사상은 그 현대적 유용성을 확인하게 된다. 이상의 개인윤리와 사회윤리에 대한 새로운 이론은 또한 유학 윤리사상의 신실학新實學으로서 그 현대적 변환에 해당한다는 것이 논자의 판단이다.

      • KCI등재

        性理學과 實學, 그 根本思考의 同異性에 대한 考察

        사순(Youn Sa Soon)(尹絲淳)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3 泰東古典硏究 Vol.19 No.-

        Whether to regard Sung-li-hak (Neo-Confucianism: Learning of Nature and Principle) and Shilhak (Practical Learning) as two phases of a continuous development or disparate philosophies has been an unresolved question since the 1950s until today.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two philosophies may be enabled by a comparison of their basic concepts and premises Such i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and to make the approach clear I take the thoughts of Yi Hwang and Cheong Yak-yong as the representatives of the two philosophies. Considering that Neo-Confucianism is called at times Practical Learning, we need to review the usages of the term Practical Learning which are quite different in the two philosophies. In case of Yi Hwang, the term Practical Learning is oriented toward the practicality centering on morality as opposed to Buddhism which is considered an empty discipline. In comparison, later Practical Learning considers Neo-Confucianism an empty displine, and in doing so it exhibits an even more practical, governance for the people based on law. Therefore, the two philosophies should not be confused on the mere ground of the term Practical Learning. Cheong Yak-yong refutes the basic assumptions and beliefs posited on the ground of the concepts deployed in Yi Hwang s Neo-Confucianism such as Heaven, li, chi, the mind, nature, and emotion. That is, he denies that Heaven is li. that sung(nature) is li, that one li divides into all things, that the mind integrates sung(nature) and jung (emotion), or that sung(nature) rises to become jung(emotion). As the result, in his thoughts appear new views on the universe, the humanity, or morality. This leads us to the conclusion that Practical Learning is an altogether different philosophy from Neo-Confucianism. Living at a time when concrete Neo-Confucianist studies were at their height, Cheong Yak-yong founded his early academic career in the Neo-Confucianist atmosphere, like many other Confucianist scholars of his time. He thus did not simply dismiss major Neo-Confucianist theories, but made frequent references to them. In this sense, some may argue that Cheong Yak-yong s thoughts do not differ very much from Neo-Confucianism. However, we need to remember that the implicit objective of his discourse on Neo-Confucianism was not a further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Rather, his discourse aims at ending once and for all the misunderstandings and disputes about the existing Neo-Confucianist theories. Therefore, his thoughts render materials that help differentiate fundamentally Neo-Confucianism and Practical Learning. What we should not overlook as well are that Confucianism before the rise of Neo-Confucianism, namely, the notions of primitive Confucianism were accepted by both Neo-Confucianists like Yi Hwang and scholars of Practical Learning like Cheong Yak-yong, and that the formation of the school of Practical Learning took place gradually, and not suddenly with Cheong Yak-yong s solitary efforts. These facts allow us to realize that Neo-Confucianism and Practical Learning are distinct on the philosophical level, but not exactly separable from each other. The author s belief is that it is inappropriate to conceptualize the flow of philosophical development in such simplistic terms as continuity or discontinuity, for such an approach is liable to cause misunderstanding. Therefore, the rise of Practical Learning from the soil of Neo-Confucianism may be appropriately understood as a phenomenon of a change in the way of thinking by man as a subject, which took place according to the historic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it was a fresh philosophy (on the universe, the humanity, and morality) arrived at by such scholars as Cheong Yak-yong, based on the concepts and premises that were newly posited from an almost entire revision of the basic notions of Neo-Confucianism, i.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