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책수단별 기업 성과 비교 연구 :R&D 효율성을 중심으로

        윤상필,우청원,고혜수 한국회계정책학회 2021 회계와 정책연구 Vol.26 No.2

        [Purpose] The government supports various policy instruments measures to strengthen and innovate the capabilities of enterprises.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classify R&D policy instruments and analyze the impact of policy instruments on corporate performance. This will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R&D support. [Methodology] For companies that responded to the ‘2018 Korean Innovation Survey: Manufacturing Sector’, groups were classified by R&D policy instruments through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R&D efficiency scores were calculated through three-stage DEA. Finally,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using non-parametric tests. [Findings] Auxiliary support groups and protection support group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R&D efficiency, but for financial support groups, R&D efficiency scores were lower than the two support groups by 1% and 5% significantly. [Policy Implications] This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for classifying policy instruments through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using survey data. In addition, by revealing the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of the enterprise by policy instruments, policy makers were provided with policy implications about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olicy instruments for efficient tax utilization. [연구목적] 기업의 역량 강화 및 혁신을 위해 정부는 다양한 정책수단을 지원한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R&D 지원 정책수단을 실증적으로 분류하고, 정책수단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R&D 지원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연구방법] ‘2018년 힌국기업혁신조사:제조업 부문’ 설문 조사에 응답한 기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해 R&D 지원 정책수단별로 집단을 분류하고, 3단계 DEA를 통해환경요인이 고려된 R&D 효율성 점수를 산출하였다. 순 R&D 효율성 점수와 비모수 검정을활용하여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인분석과 군집분석 결과, 지원수단은 보조지원, 보호지원, 재무적 지원으로 차원이 축소되었다. 비모수 검정 결과, 보조지원, 보호지원, 재무적 지원 집단 순으로 R&D 효율성점수가 높았다. 또한, 보조지원과 보호지원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재무적 지원 집단의 경우 두 지원 집단보다 각각 유의수준 1%, 5% 이내로 낮은 R&D 효율성 점수를 보였다. [정책적 시사점] 본 연구는 설문데이터를 활용하여 요인분석 및 군집분석을 통해 정책수단을분류함으로써 정책수단 분류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책수단별로 기업의 성과 차이를 밝힘으로써 정책 결정자에게 효율적인 조세 활용을 위한 정책수단 설계 및 수행에 대한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 흡연이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에 미치는 영향

        윤상필,이승환,박병문,송경섭,장근,이범석,이환모,문성환 대한척추외과학회 2016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3 No.1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OVFs) in postmenopausal wome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everal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smoking with hip fractures, but few studies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smoking with spine fractures in women thus far.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considered 1255 postmenopausal women aged 50 years and older (enrollment from April 2008 to January 2009) from 62 study sites in a nationwide hospital. The amount of smoking was calculated in pack-years. Further, OVFs were diagnosed using a semi-quantitative metho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OVFs, we used a paired t-test, a χ2-test, and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past history of smoking was 7.2% in the patient group and 4.3% in the control group (p=0.025). The mean pack-years of smoking was 0.34 in the control group and 0.62 in the patient group (p=130). The mean T-score in the lumbar bone mass density (BMD) was –1.64 in the control group and –2.19 in the patient group (p=0.409). Smoking was a risk factor of vertebral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odd’s ratio=1.68, 95% confidence interval=1.020–2.759, p=0.042) irrespective of the lumbar BMD and the medical treatment for osteoporosis and obesity. Conclusions: Smoking is a risk factor for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independently without regard to lumbar BMD. Therefore, cessation of smoking is important for the prevention of OVFs in postmenopausal women.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폐경 후 여성에서 흡연이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과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흡연이 골밀도를 낮추고 골대사에 해로운 작용을 하며 특히 고관절부의 골다공증성 골절의 발생률을 증가시키는 것은 기존의 여러 논문을통하여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여성 환자에서 척추 골절의 발생에 대한 흡연의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거의 없었다. 대상 및 방법: 1255명의 50세 이상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흡연력을 갑년 단위로 조사하였다. 척추 골절의 진단은 흉요추부 측면 방사선 사진에서 반정량적 방법을 이용하여 진단하였다. 대상군을 척추 골절이 한 개 이상 있는 골절군과 척추 골절이 없는 대조군으로 나누어 두 군간의 차이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흡연력의 경우 골절군에서 7.2%였으며, 대조군에서 4.3%로 골절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25). 평균 흡연 갑년수는 골절군에서는0.63갑년, 대조군에서는 0.34갑년이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30). 흡연력은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의 주요한 위험인자로 나타났으며 골다공증 여부, 골다공증 치료 기왕력, 비만의 여부 등을 통제하였을 때, 비흡연자에 비해 척추 골절의 발생을 1.68배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OR 1.68, 95%CI 1.020-2.759, p=0.042). 결론: 흡연력은 폐경 후 여성에서 골밀도와 상관 없이 척추 골절의 유의한 위험 인자로 나타났다. 여성에서 금연이 척추 골절의 예방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황해 대청도 옥죽포의 외해로 노출된 모래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대상분포

        윤상필,홍재상,Yoon, Sang-Pil,Hong, Jae-Sang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2

        Zonation pattern of macro-invertebrate community structure was examined from Okjukpo sandy beach, Taechongdo, Korea. Macrofauna were collected in June 1998 using a can corer from ten stations along one transect. Mean grain size ranged from 1.97 to 2.23${\phi}$ and sediment organic contents ranged from 0.52 to 1.02%. A total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prised 25 species, providing 10,705 individuals and 89.13 g wet weight in biomass. Peracaridean crustaceans such as amphipods and isopods are the most prominant components in this exposed sandy beach. The dominant species were Eohaustorius setulosus (33%), Excirolana chiltoni (26%), Haustorioides koreanus (12%), Platorchestia crassicornis (8%), and Cycladicama cumingii (6%). The zonation patterns by these animals were very similar to those noted by Dahl(1952) and Jo(1990). They are divided into three faunal zones: 1) subterrestrial fringe dominated by a talitrid amphipod Platorchestia crassicornis, 2) midlittoral zone by a cirolanid isopod Excirolana chiltoni, 3) sublittoral fringe by more diverse amphipods communities. 황해 대청도 옥죽포의 모래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대상분포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1998년 6월 24일에 1개의 조사지선을 설정하여 10개의 정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퇴적물의 평균 입도 범위는 1.97${\sim}$2.23${\phi}$였으며, 유기물 함량은 0.52${\sim}$1.02% 사이의 값을 나타내었다. 조사 결과 총 25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으며, 채집된 저서동물의 총 개체수와 생체량은 각각 10,705개체, 89.13 gWWt였다. 본 연구 지역에서 가장 우점한 분류군은 미소갑각류에 속하는 단각류와 등각류였으며, 주요 우점종으로 Eohaustorius setulosus(33%), Excirolana chiltoni(26%), Haustorioides koreanus(12%), Platorchestia crassicornis(8%), Cycladicama cumingii(6%) 등이 출현하였다. 이들 주요 우점종들의 대상분포 양상은 Dahl(1952)과 Jo(1990)의 연구 결과와 매우 유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3층의 대상분포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1) 상부의 Platorchestia crassicornis, (2) 중부의 Excirolana chiltoni, (3) 하부의 haustoriid - dogielinotid - urothoid - oedicerotid로 구성되는 단각류 군집.

      • 정밀 윤곽가공을 위한 적응 교차측 연동제어기

        윤상필,지성철 한국공작기계학회 2000 한국공작기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0 No.-

        In this paper, a new adaptive cross-coupling control (ССС) method with an improved contour error model is proposed to maintain contouring precision in high-speed nonlinear contour machining. The proposed method utilizes variable controller gains based on the instantaneous curvature of a contour and the feedrate command. In addition, a real-time federate adaptation scheme is included in the proposed ССС to regulate cutting force.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ССС for nonlinear contouring motion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ССС improves the contouring accuracy and regulates cutting force more effectively than the existing method.

      • KCI등재

        바지락 치패발생장 조성을 위한 모래살포가 저서동물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태안군 고남면 옷점 갯벌 사례)

        윤상필,송재희,최윤석,박광재,정상옥,한형균 한국패류학회 2014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30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and addition to an intertid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nila clam habitat on benthic community structure. For this, we focused on the spatio-temporal changes in the surface sediment condition and benthic community structure including Manila clam before and after the event. Study site was the lower part of Ojjeom tidal flat in Gonam-myeon, Taean-gun where sand added to on July 2010. We set three stations at each of sand adding area (experimental plot) and non sand-adding area (control plot) and did sampling works ten times from June 2010 to October 2011. Directly after the event, surface sediments changed to very coarse sand, but the state was not maintained over two months because of seasonal sedimentation and finally got back to the original grain sizes in eight months. The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were temporarily reduced right after the event and polychaetes such as Sternaspis scutata, Ampharete arctica were most negatively affected by the event. However, the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quickly recovered from the reduction in four to six weeks owing to the recolonization by the existing species and species in the vicinity of the plot. However, despite the recovery of ecological indies, species composition was continuously changed from one to another, thereby community structure stayed unstable condition, especially in some stations with finer sediment in their original condition. After sand addition, density of Manila clam was prominently increased at only one station with coarser sediment in its original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