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 장단기 통합 태양광 발전량 예측 기법

        윤문섭,임세령,장한승 한국전자통신학회 202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8 No.6

        The global climate crisis and the implementation of low-carbon policies have led to a growing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and a growing number of related industries. Among them, solar power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representative eco-friendly energy that does not deplete and does not emit pollutants or greenhouse gases. As a result, the supplement of solar power facility is increasing all over the world. However, solar power is easily affected by the environment such as geography and weather, so accurate solar power forecast is important for stable opera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However, it is very hard to predict the exact amount of solar power using statistical methods.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rediction methods have focused on only short- or long-term prediction, which causes it to take a long time to obtain various prediction models with different prediction horizons. Therefore, this study utilizes a many-to-many structure of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to integrate short-term and long-term predictions of solar power generation. We compare various RNN-based very short- and long-term prediction methods for solar power in terms of MSE and R2 values.

      • IT 및 BT 분야의 기술수준평가 및 정책적 시사점

        윤문섭,이우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3 연구보고 Vol.- No.-

        서 론 □ 연구의 목적 ○지식집약서비스 공급업체의 혁신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사용자업체가 외부에서 공급한 서비스를 어떻게 사용하여 자신들의 기술혁신을 추구하고 있는가를 규명 ○지식집약서비스 부문과 제조업을 포괄하여 육성하고 기술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시사점의 도출 □ 연구의 내용 ○우리나라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특성과 위치 파악 -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기술혁신 현황을 분석 -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기술혁신의 파급효과 분석 ○지식집약서비스 공급업체의 혁신 특성 및 전략 분석 - 사용자업체의 지식집약서비스 활용 실태 및 기술혁신 특성 분석 □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범위와 분류 ○기술혁신 활동의 분석에서는 서비스산업 전체를 포함하되 10대 지식기반서비스업에 한하여 집중적으로 분석 - ① 컴퓨터서비스, ② 통신서비스, ③ 방송영화서비스, ④ 금융보험서비스, ⑤ 연구개발서비스, ⑥ 사업자문서비스, ⑦ 기술서비스, ⑧ 교육서비스, ⑨ 보건복지서비스, ⑩ 예술서비스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사례분석으로서 정보통신서비스업(컴퓨터서비스, 소프트웨어 등)을 선택하였음 □ 연구방법 ○ 기존 연구의 학습을 통하여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에서 이루어지는 혁신 특성에 대한 이론적 개념 정립 10대 주요 지식집약서비스업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해 지식의 창출, 공유 및 활용 실태 파악제2장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기술혁신 특성 □ 지식집약서비스의 개념 ○지식집약서비스는 서비스를 생산하는 자신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술혁신을 지원하는 용역으로 정의됨 (OECD, 2002) □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특성 ○인터넷 통신을 통해서 서비스 공급자와 수요자를 연결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은 고도의 전문인력을 고용하는 것이 특징임. 이들은 단기간 내에 훈련하기도 힘들고, 기술혁신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공하는데도 어려운 특성을 가짐 ○최근 정부가 공공서비스 제공을 외부로 이관하거나 민영화하는 것이 국제적인 추세 (공공서비스에도 `준시장` 개념 도입) □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혁신 특성 ○지식집약서비스의 혁신은 제조업의 기술혁신과 유사한 특성으로 수렴하는 것도 있지만, 차이가 확대되는 것도 있음 □ 지식집약서비스 혁신시스템 ○지식집약서비스는 산출물의 변형을 유발하는 학습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혁신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 □ 정책시사점 ○제조업 중심의 기술혁신 논의 전개와 정책 추진은 서비스부문을 포함하여 보다 더 폭 넓게 이루어져야 함 ○서비스부문이 총 고용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지식집약서비스부문은 첨단기술과 유사한 파급효과를 유발함 - 이때까지 간과되었던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탐구가 필요함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기술혁신 실태 □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위치 ○우리나라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매출은 2000년에 235조 8,325억 원으로서 서비스산업의 42.1%, 전 산업의 20.9%를 차지 □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무역 ○지식집약서비스 수출: 2000년에 92억 4,200만 달러 ○지식집약서비스 수입은 155억 900만 달러 규모임 ○지식집약서비스만 62억 6,700만 달러의 무역수지 적자가 발생하여 서비스산업 전체 무역수지 적자규모를 초과하였음 □ 정책시사점 ○이 때까지 제조업의 국제경쟁력만 중요하게 생각해 왔으나 이제 다양한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국제경쟁력 강화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함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국제경쟁력은 제조업과 마찬가지로 서비스 생산과정의 혁신, 새로운 서비스 개발, 조직의 혁신 등 기술혁신을 통하여 확보될 수 있음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기술파급효과 □ 선행연구 ○파파콘스탄티노(1996)와 하지코로노글루(1997)의 연구는 투입-산출 행렬과 R&D 자료를 이용하여 OECD 10개국의 체화된 기술확산의 정도를 실증 분석하였음 □ 수요 유발효과 및 공급 견인효과 ○총수요 유발효과는 대체로 제조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서비스업의 경우 일반서비스업이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에 비해 대체로 높음. ○총 공급 견인효과는 지식집약서비스업의 공급견인효과가 광 공업을 제외한 타 산업에 비해 대체로 높게 나타남 □ 부가가치 유발효과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부가가치계수는 타 산업에 비해 월등히 높으나,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을 제외한 모든 부문에서 직·간접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감소하고 있음 □ 고용유발효과 ○직·간접 고용유발효과는 농업과 일반서비스업이 가장 높고 지식집약서비스 부문 중에서는 연구개발서비스, 교육서비스, 방송영화서비스가 일반서비스산업에 비해 높음 □ 산업별 R&D 집약효과 ○R&D 집약도는 지식집약서비스업에 속하는 컴퓨터서비스업과 통신서비스업이 각각 3.3%와 2.9%로 가장 높음 ○제조업은 직접효과에 비해 간접효과가 낮고 서비스업은 이와 상반되는 특징을 보임 □ 산업별 R&D 확산효과 ○간접효과는 광업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제조업, 컴퓨터서비스, 통신서비스, 기술서비스 순으로 나타났음 ○총 확산효과는 광업, 컴퓨터서비스, 통신서비스, 기술서비스 등이 제조업에 비해 높게 나타남 □ 시사점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은 산업간 투입-산출 연계구조에 있어 제조업이나 일반서비스산업에 비해 타 산업의 중간 투입재로서의 중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지식집약서비스 공급업체의 혁신전략 : 정보통신서비스 □ 정보통신서비스 부문의 개황 ○정보통신서비스는 지식집약화의 중추로서 연평균 23.9%성장률을 보이며 인터넷 이용자 수와 함께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 ○정보통신서비스는 통신서비스, 온라인서비스, 시스템통합 컨설팅, 컨텐츠서비스, 네트워크 관리, 기술지원, 정보처리, 소프트웨어로 구분 □ 정보통신 공급업체의 기술혁신 특성 ○연구개발 활동 측면에서 ○기술혁신을 촉발한 아이디어 원천 측면에서 ○기술혁신의 내용 측면에서 □ 신기술 학습 및 상업화 전략 ○신기술 학습은 공동학습의 장(場)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소프트웨어가 암묵지 해석과정의 중심에 놓임으로써 학습에서 허브 역할을 함 ○공공부문과의 지식교류는 매우 미미하며 대부분 민간 전문가 활용이나 타 기업과의 제휴에 중점을 두고 있음 □ 정책 시사점 ○정보통신서비스업은 고용 및 매출 면에서 모두 고성장 산업이나 무역적자 산업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음 ○식집약서비스 부문의 기술혁신 특성은 연구 개발활동이 활발하여 제조업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냄 지식집약서비스 활용을 통한 사용자업체의 기술혁신 □ 사용자업체의 기술혁신 특성 ○대기업과 중소기업 구별 없이 사용자업체들은 모두 활발하게 기술혁신을 추진하고 있음 □ 지식집약서비스 활용 실태 ○사용자업체들은 민간서비스를 공공서비스에 비해 선호하며 또 많이 활용하고 있음 ○지식집약서비스의 활용도가 높은 사용자업체가 더 혁신을 활발하게 수행 □ 지식집약서비스 활용을 통한 혁신전략 ○서비스화는 기계산업의 특성상 전반적으로 미미하며 대기업에서 약간의 진전을 보임 - 제품 납품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주종을 이룸 학습에 필요한 지식정보는 주로 다른 민간기업으로부터 획득함 - 사용자업체는 전략적 제휴를 선호하며 지식집약서비스 활용을 많이 하는 업체가 더욱 그러함 - 조직 내 학습에 있어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차이가 나타남. ○중소기업은 혁신과 관련된 의사결정에서 상향식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나 경영진의 역할은 미약함 - 대기업은 경영진이 주도하는 조직학습을 주로 추진함 - 혁신역량이 높은 대기업의 경우 혁신의 원천으로 연구기관 및 대학을 중소기업보다 높게 평가하였음 ○지식집약서비스를 많이 활용하는 기업이 교육훈련, 기술전략 의 수립 및 적용 등 혁신능력 배양에 적극적임 - 사용자업체의 혁신능력 배양에서는 대기업이 전체적으로 더 활발한 노력을 보이고 있음 ○사용자업체들은 시장과의 연계전략의 일환으로 서비스와 제품을 맞춤형으로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음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에 의한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발전이 긴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함 결론 및 정책 시사점 □ 결론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이나 제조업종이 정보통신기술을 더 많이 채용하는 방향으로 수렴해 가고 있으며, 기술집약도가 증가하고 있음 ○우리나라 기업들이 점차 연구개발 혹은 마케팅, 브랜드 이미지 구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나, 여기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쉽게 자력으로

      • 신기술분야 대형연구개발과제의 사전심의를 위한 타당성 분석방법

        윤문섭,이우형,이종석,장진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3 정책연구 Vol.- No.-

        연구배경 세계 경제는 자본과 노동이 가장 중요한 투입 요소이던 전통산업시대를 지나 기술과 지식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는 지식기반경제로 급속하게 이행하고 있다. 산업의 지식기반화는 정보통신기술(IT), 생명공학기술(BT), 나노기술(NT) 등 신기술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향후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그리고 개인적인 모든 분야에 걸쳐 근본적으로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이에 대응하여 정부는 과학기술기본계획에 따라 향후 5년간(2002~2006) 연구개발투자를 약 35조원 규모로 대폭 확대하고 미래 유망신기술(IT, BT, NT 등 6T)분야에 약 13조원을 집중 투자하여 미래 신산업 창출기반을 마련해 갈 계획이다. 수많은 기술적 가능성과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유망한 신기술을 선택하고, 또 언제 어떠한 방식으로 집중하여야 하는가? 초기에 유망한 신기술을 발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많은 중요한 신기술은 어떤 시점이후에 그 파급효과가 널리 인정되나, 그 이전에는 기술적 가능성조차 파악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신기술의 높은 불확실성은 아무리 뛰어난 분석방법을 이용해도 그 가치를 사전적으로 적절히 예측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따라서 정부는 새로이 부상하는 신기술 개발은 투자규모가 크고 불확실성으로 인한 실패 위험이 크기 때문에 투자의 경제성 및 성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2003년도 부터 총 사업비 100억원 이상의 신규 국가연구개발사업(program)의 경우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사전심의시 연구기획 보고서 첨부를 의무화하고 있고, 2004년부터는 100억원 이상의 대형과제(project)에 대해서도 비용효과에 바탕을 둔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포함한 연구기획보고서 첨부를 의무화하고 있으나 현재 사전심의조정 방법으로는 투자의 경제성을 검토를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연구목적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효율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투자 위험도가 높은 신기술분야의 대형연구개발과제에 대해 사전적으로 기술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할 수 있는 기법과 방법론을 개발하고 이의 적용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유망기술의 개발 전략을 위한 의사결정의 기본 문제로서 어떻게 미래유망기술 대안을 발굴할 것인가? 무엇에 “선택과 집중”을 할 것인가? 어떻게 “선택과 집중”을 할 것인가?를 설정하고 상황변화에 따른 연구개발 대안들과 이들의 전략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분석 기법을 탐색하고 대안으로 KDD(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 실물옵션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 기법을 활용하여 대형연구개발사업에 대해 상황의 변화에 따라, 어떤 투자의사결정은 즉각적으로 내려지고, 어떤 투자의사결정은 철회되거나 연기하기 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사례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신기술 개발에 있어서 정부 역할과 정책 이슈 2.1 신기술 정의 2.2 대형연구개발사업 추진방식 2.3 신기술 개발과 관련된 정책적 이슈 신기술의 경제성 분석 기법 탐색 3.1 신기술의 불확실성 3.2. 신기술 개발의 새로운 접근 방법 가. 신기술 개발 과정 모형 나. 신기술 개발 과정과 불확실성 수준에 따른 대응 전략 결론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의 4가지 단계와 연구개발평가모형의 4가지 과정을 결합하여 하나의 모형을 기반으로 전략의 상황변화에 따라 신기술의 전략적 가치를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기법으로 다음의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불확실성이 높은 초기단계에서는 복잡한 정보의 분석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활동(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 KDD)을 수행하기 위한 기법을 들 수 있다. 둘째, 불확실성이 점차 감소하여 복수의 대안 작성이 가능해 질 때 기법으로 실물옵션을 제시하였다. 특히 지금까지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실물옵션 접근에 대한 지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분석상의 복잡성 때문에 그 풍부한 가능성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KDD(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 실물옵션 접근방법을 대형연구개발사업의 관리를 위한 하나의 사고체계로서 인식하여 이들을 어떻게 평가하고 실행할 것인가 하는 과정으로 개발하였다. 향후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신기술 분야의 대형연구개발과제 타당성 분석에 활용될 수 있도록 언제, 무엇에 대하여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여야 하는가에 관한 지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를 근거로 본 분석기법을 주요 대형연구개발사업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불확실성의 변화에 따라 어떤 투자의사결정은 즉각적으로 내려지고 또 어떤 투자의사결정은 철회되거나 연기하기 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타당성 분석 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나라 연구개발활동의 측정방법 개선 및 국제비교성 제고방안

        윤문섭,장진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7 정책연구 Vol.- No.-

        第1節 昭究의 必要性과 目的우리나라의 OECD 가입시점이 아직 공식적으로 공표되지는 않았지만 금년 중 정식가입이 이루어 질 것으로 전망된다.OECD는 선진경제권을 중심으로 26개의 회원국으로 구성된 경제협력개발기구이다. 주요기능은 세계경제의 주요이슈에 관한 정책 토의를 통해 문제의 본질과 영향을 규명하며, 새로운 국제규범 설정에 논리적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OECD의 논의는 세계경제질서의 변화를 사전적으로 예고하는 중심이 되어 왔으며 새로운 국제규범이 형성되는데 커다란 영향을 끼쳐 왔다. 실제로 ’60년대에는 반덤핑, 비관세장벽 등의 문제를 제기하였고, ’70년대에는 무역, 투자, 금융 등 서비스 자유화를 주창하였으며, ’80년대에는 환경, 경쟁정책 등의 문제제기를 통해 UR의 기반을 제공한 바 있다.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가장 필요한 것은 각 회원국의 현황과 실태에 관한 정보이다. 특히 문제의 실체를 보다 확실히 이해하기 위해 많은 통계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OECD는 회원국 상호간의 정보교환을 회원국이 지켜야 할 매우 중대한 의무로 규정하고 있다.OECD 기본협약 제3조 (a) 항에 의하면 “회원국 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하고 기구의 임무달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을 명문화해 놓고 있다. 우리나라가 OECD에 가입하기 위해 사전에 준비해야 할 이행절차중 통계에 관한 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통계국의 주요업무는 첫째 OECD내외의 전문가에게 필요한 정보를 적기에 공급하고 둘째 EU. UN.IMF 둥 타 국제기구의 통계부서와 협력하여 국제적 통계기준의 제정 및 분류방안을 개발하고 셋째,OECD내 통계활동의 조정메커니즘을 구축하는 일이다.OECD내의 통계관련 협조체제로 통계정책그룹(SPG ; Statistical Policy Group)이 있다. 이 그룹은 통계국장이 의장이 되어 OECD내 통계관련 부서들의 모임을 년 10여차례 주관하며 통계국이 SPG 사무국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SPG는 OECD의 통계관련 기준 설정작업을 추진하고 회원국들간의 통계관련 현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시킴으로써 OECD 내 통계전문가 사이에 하나의 공동체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최근 OECD 에의 회원국 가입신청이 늘어남에 따라 가입 신청국가의 통계현황을 가입 승인전에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강화할 필요를 느끼고 있다.OECD 의 활동이 훌륭한 통계가 없이는 제대로 기능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통계에 관한 회원국의무에 관한 지침이 준비될 것으로 전망된다 ECE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에서 채택한 공식적 통계의 기본원칙이 지침의 기초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우리나라에 제시된 OECD 가입 이행절차에도 우리나라 통계가 OECD에서 이용되는 기준과 부합되는지 점검하고 현재 작성되는 통계자료의 질과 국제비교 가능성을 평가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OECD의 통계활동의 중심은 26 개의 각 분야별 위원회 및 각 위원회에 소속된 전문가그룹이다. 과학기술통계지표활동은 과학기술정책위원회 (CSTP; Committee for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에서 주로 이루어지며, 산업위원회(IC;Industrial Committee) 및 정보·컴퓨터·통신정책위원회 (CICCP; Committee for Infonnati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Policy) 와 폭넓게 협조하고 있다. CSTP 및 IC의 지휘 · 자문에 따라 사무국내에서 과학기술지표개발을 전담하는 실무부서 는 과학기 술산업국(DSTI Directorate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산하에 있는 경제분석·통계과(EAS;Economic Analsis and Statistics Division) 이다. 그리고 각 위원회는 국제비교차원에서 연계를 강화하고 보다 심층적인 논의를 위해 각국의 관련분야 전문가로 구성 된 전문가 그룹(Working Group)를 설치 · 운영하고 있다. CSTP에 설치된 통계지표 전문가그룹은 과학기술지표 전문가그룹(NESTI; the Group of National Experts o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으로서 과학기술통계지표의 개발과 국제기준설정에 있어서 국제적으로 가장 선도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CSTP에 ‘94년 9월 정회원으로 가입하였으며 현재 NESTI의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第2節 主要活動OECD 의 과학기술통계지표에 관한 활동은 국제비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현실적으로 매우 상이한 틀 속에서 관리되고 있는 각국의 과학기술정책과 전략을 보다 합리적으로 분석하고 추진과정을 모니터링하며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국제비교의 방법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기 때문이다. 국제비교는 특히 국가간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제도적 ? 조직적인 요인들을 밝히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도 있기 때문에 OECD의 핵심적인 통계지표개발 활동은 국제비교가능성에 중점이 두어지고 있다. 따라서 OECD가 수행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작업은 제반 과학기술통계지표작성에 필요한 표준적인 지침서를 작성하는 일이다. 그 다음으로는 국별로 작성된 통계지표를 보완 · 정리하여 정기적으로 과학기술지표보고서를 발간할 뿐아니라 이러한 기초통계 및 지표를 바탕으로 각종 정책적 이슈에 대한 분석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새로운 과학기술지표개발을 위한 노력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OECD 는 과학기술통계지표를 l 차 레벨 D.B.와 2차 레벨 D.B. 로 구분하여 수집 · 작성하고 있다. 전자는 산업통계 및 통상적인 과학기술통계 등 기초자료를 대상으로 한 것이며, 후자는 과학-기술-산업 간의 연계를 파악하거나 기술혁신, 경쟁력 및 과학기술성과 등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1 차 자료를 체계화한 것이다.1차 레벨 D.B. 는 분석작업을 위해 곧바로 사용하기에는 자료의 일관성이 부족하며 분류체계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자료의 수집 및 보정작업을 필요로 한다. 특정한 분석목적을 위해서는 2차 레벨 D.B. 를 구축하고 있다.OECD 에 있어서 수행되고 있는 과학기술 및 산업관련 통계의 현재 수집 내용 및 향후 방향을 보면 다음과 같다.l 차 레벨 D.B. 의 대표적인 것은 산엽별로 생산고용, 무역 등의 기초자료를 주 내용으로 하는 산업활동통계로, OECD 의 Annual Review of Industry 라는 분석보고서 작성 에 핵심 적 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산업관련통계에 있어서 기업형태의 구분이 중소기업, 대기업으로 되어 있으나 기술집약도에 따른 새로운 기업구분을 시도하고 있다. 우선적으로 기술변화가 급격한 정보 · 통신산업의 경우에는 곧 이를 감안한 새로운 통계체제로 전환할 예정이다.1차 레벨 D.B. 에 속하는 과학기술통계는 연구추체별로 연구개발투자, 연구개발 인력 및 연구성과 등에 관한 1 차 통계를 수록한 BSTS(Basic Science and Technology Statistics) 이다.BSTS 의 향후 방향은 기업부문의 연구개발활동에 관한 자료 보완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기술무역통계와 산엽별 특허지표를 추가할 계획이다. 아울러 1990년에 중단된 ICC D.B(Informati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D.BJ을 다시 구축하고 있다. 한편 과학기술인력지표에 대해서는 인력의 공급, 활용 및 수요를 포괄하는 full-scale D.B.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연구개발인력의 고용, 해고, 은퇴 등을 포함하여 인종구성, 교육수준, 여성활동정도, 산업 및 기술분야간의 인력이동 등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것이다. 그리고 세계화의 진전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통계로서 해외직접투자, 공동모험투자, 기업 간 전략적 동맹 및 공동연구협정 등에 관한 D.B. 를 구축할 예정이다.기업들의 경쟁력변화 및 경쟁 환경을 분석하기 위해 필요성이 제기되었던 개별 기업별 자료수집계획은 풍부한 분석결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나 회원국 정부가 아닌 민간기엽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난관에 봉착하고 있는 상태이

      • KCI등재

        저탄소강 이상조직에서의 초기조직에 따른 기계적 성질

        윤문섭,권숙인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82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20 No.6

        A study has been made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dual phase steels quenched from the austenite plus ferrite phase region to replace two kinds of initial structures (ferrite-pearlite and martensite) by ferrite-martensite structure. The distinct initial microstructures yielded different morphologies of martensite after annealing though the volume fraction of martensite remained almost the same. The volume fraction of martensite was varied from 15% to 80% by various annealing temperatures. The strength of dual phase steels was dependent on the volume fraction of martensite and independent of the morphology of martensite. However, the ductility of the dual phase steel having finer martensite particles resulted from 100% martensite initial structure was superior to that having coarser martensite particles resulted from ferrite-pearlite initial structure.

      • KCI등재

        한국의 남한강 및 북한강유역의 야생 Vigna 속 유전자원의 유연관계

        윤문섭,백형진,정종욱,마경호,이정란,김행훈,김창영 한국육종학회 2002 한국육종학회지 Vol.34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and collect the wild adzuki bean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and its relative (V. nakashimae) from the basins of Namhan and Bukhan rivers in Korea. Their DNA polymorphism and genetic relationships were measured.

      • 선진국 진입에 따른 제조업 일자리 감소 현상 및 대응방안

        윤문섭,조현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4 STEPI Insight Vol.- No.134

        우리나라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제조업 비중이 점차 증가하여 개도국을 제외하고 세계최고 수준이지만 제조업 고용 및 전 산업에서 차지하는 고용 비중은 지난 10년간 선진국보다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다. 해외 창조산업과는 달리 우리나라 창조경제 산업의 범주는 ICT 융합을 통한 주력 제조산업의 고도화를 강조하고 있으며 서비스업과 제조업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제조업 고용 관점에서 보면 선진국의 경험으로 보아 제조업과 ICT의 단순한 융합은 제조업 생산성 향상과 동시에 고용의 급속한 감소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고, 우리나라 산업구조는 제조업 비중 감소 추세로 접어들 것이며 제조업과 ICT의 단순융합형 기술혁신이 이루어지면 제조업의 경착륙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급격한 제조업 공동화 현상을 완화하거나 새로운 산업(서비스업-제조업 융합)으로 전환하는 등의 제조업 연착륙 대책을 위한 정책적 대응을 다음과 같이 도출해내고 있다. [과제 1] 제조업-서비스업 융합형 기술혁신 창출[과제 2] Upstream과 Downstream 생태계의 동시 육성[과제 3] 첨단제조 기술융합형 인재 육성시스템 구축[과제 4] 부품소재산업의 경쟁력 강화[과제 5] 기술혁신 고용평가제도 도입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