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2000년대의 연구를 중심으로-

        윤경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2

        ■Abstract Tendencies and Tasks of the Researches about Korean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s in 1910s Yoon, Kyung-ro Recently researches on the Korean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s in 1910s have been made prosperously. So we could understand various aspects of them. Activities, leaders, ideologies, polic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m became known to us. Characteristics of researches on the Korean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s in 1910s have been studied during 2000s are as follow. First of all, studies about Chae Eung-eon loyal resistance troops and secret societies as Daehan Gwangbokhoe(大韓光復會), Taeeulgyo(太乙敎), and Chunglimgyo(靑林敎) have been presented. Next, researches about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Christian religion and the Cheondogyo, and them of cultural movements for inspiring national spirit have been carried out. Finally, studies of national movements had been happened in the provinces of Korea have been carried out. In spite of many researches, we have a lot of task. In the future. First, we need to study about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and societies for Korean Liberation. Second, it is necessary for us to study of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 of members of them. Third, we have necessity to study of meaning of educational activities by religion organizations and schools. Fourth, we need to study of the attitudes of Koreans about Korean independence movements. Fifth, it is necessary to study connection between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and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Finally, we need to study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s in 1910s and 3ㆍ1 Movement. ■국문요약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2000년대의 연구를 중심으로-윤경로 이 글은 2000년대에 행해진 1910년대의 국내독립운동에 대한 연구의 성과를 분석하여 정리한 글이다. 이 시기의 연구는 크게 세 가지의 측면에서 두드러진다. 첫째 대한광복회를 비롯한 비밀결사의 조직과 활동에 대한 연구가 눈에 띄게 진척되었다. 둘째 독립운동의 기저로서 교육운동과 천도교를 비롯한 민족종교단체의 역량, 민족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문화적 활동에 대한 천착이 이루어졌고, 독립운동의 배경으로서 일제의 지배이데올로기와 통치정책, 통치제도와 통치기구, 통치사업에 대한 연구에서 상당한 발전이 있었다. 셋째 지방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면서 1910년대 지방의 독립운동에 관한 글이 여러 편 발표되었다. 1910년대 대표적 비밀결사인 대한광복회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의 결과, 대한광복회의 정식 명칭에 대한 재고가 있었고, 대한광복회의 지부의 조직과 활동이 구명되었다. 또, 본부의 박상진과 채기중 뿐만 아니라, 지부의 이관구와 조현균 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아울러 민족종교인 태을교와 청림교의 비밀결사 조직과 군자금 모집 활동이 밝혀졌다. 1910년대 독립운동의 기반, 혹은 민족운동의 역량과 관련된 연구로는 무엇보다도 교육 활동에 대한 연구가 눈에 띈다. 종교단체와 자치단체의 사립학교와 강습소를 통한 교육운동에 대한 글이 다수 발표되었다. 다음으로는 민족의식의 형성과 관련하여, 개조론, 문화사학, 영웅 만들기 등에 대한 글이 새롭게 소개되었다. 독립운동의 원인이 되는 일제의 지배와 관련된 연구로는 일제의 지배이데올로기와 통치정책, 통치제도, 통치기구, 통치사업에 관련된 연구가 있었다. 그리하여 일제가 동화, 군사기지화, 경제예속화의 목표 하에 여러 가지 사업을 전개하였고, 근대화ㆍ문명화를 내세우며 한인들을 예속시키려 하였음이 다시금 강조되었다. 그리고 일본시찰단, 상공회의소, 문화재 조사사업, 태형령 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특히 부산을 비롯한 경상도, 그리고 전라도의 지배와 통치에 관한 글이 다수 발표된 점을 주목할 만하다. 지방의 1910년대 국내독립운동에 대한 연구는 경북에서 특히 활발히 이루어졌다. 김희곤을 비롯한 연구자들은 안동ㆍ영덕 등 경북 출신 인물의 비밀결사활동과 교육운동을 검토하였다. 새로운 방식의 연구로서, 연구독립운동을 전개한 가문이 영향력을 행사하였던 한 마을을 사회경제적으로 조사하여 독립운동 가문의 독립운동과 해외 이주로 인해 마을의 사회계층의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입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1910년대 국내독립운동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첫째, 지방의 독립운동과 그 주도인물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재 시ㆍ군의 독립운동에 관심을 갖는 자치단체는 소수이고, 그 수준도 매우 열악한 상태이다. 따라서 대다수 시ㆍ군의 독립운동에 관한 보다 더 큰 관심과 후원이 요구된다. 둘째, 독립운동단체 구성원들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사상적 기반을 규명하기 위한 입체적 유기적 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즉, 그들이 그 단체에 참여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들의 혈연과 학연, 정치적 경험의 공유 문제, 정치 이념 등을 통합적으로 고찰하고,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요구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05인사건」 피의자의 사건 이후 행적과 활동 : 국외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한 19인을 중심으로

        윤경로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12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42

        본 연구에서는 「105인사건」 관련자 중 중 1913년 3월 경성복심법원(2심)에서 무죄로 풀려난 인물 가운데 국외로 망명한 19인의 事後 행적과 활동을 추적했다. 이들 105인사건에 관련된 인물들은 이후 행적과 활동을 통해 크게 독립운동에 가담한 인물과 친일로 경도되었던 인물로 구분할 수 있다. 출옥할 때 이들의 나이가 20~40대의 젊은 나이였기에 이후 이들의 행적이 매우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상의 사후 추적을 통해 이들의 행적과 활동을 요약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이들이 출옥 후 해외 망명길에 나설 수 있었던 요인의 하나로 경제적 이유를 들 수 있다. 본 사건 피의자 가운데 국내에 남아 훗날 친일로 경도되었던 인물들에 비해 재산 정도가 매우 열악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事後 국외로 나간 19인의 망명지는 크게 3지역으로 구분된다. 국경을 접하고 있던 중국 동북부 안동현 지역으로 망명한 인물들은 대부분 대한청년단연합회와 한족회 활동 그리고 상해 임정 산하의 연통제와 관련된 행적과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간도·노령지역으로 망명한 인물들은 서간도 柳河縣 三源堡와 龍井村 일대의 민족학교에서 교육사업에 종사하는 한편 만주일대 여러 독립군 단체에 가입하여 당시 산재되어 있던 독립단체를 통합하기 위해 결성된 全滿統一議會籌備會 등에 적극 참여하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상해지역으로의 망명자는 대부분 상해 임정에 관계하며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의원에 선임되어 국내와의 연락사무를 맡고 있다. 또한 상해지역 한인거류민단의 실무와 재정지원 활동을 주로 했다. 그러나 1923년 국민대표회의가 창조파와 개조파로 나뉘어 내홍을 겪는 과정에서 일부는 안창호의 흥사단계로 다른 한편은 만주 혹은 미주로 떠났다. 미주로 건너간 인물들은 주로 로스앤젤레스와 샌프란시스코의 한인들로 구성된 대한인국민회를 중심으로 독립군자금 모금운동과 비행사양성소 연습생을 양성하는 일 등에 참여하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이상 19인의 국외활동은 망명지의 상황과 특성에 따라 여러 형태로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나 대체로 안창호의 운동노선을 견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I traced 19 figures’ conduct and activity after the fact, who took refuges abroad among the figures acquitted of the charge at the court of appeal in Kyeongseong (their second trial) regarding the event of 105 people in March, 1913. The figures concerned to the event of 105 people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in large, when they are classified by their conduct and activity after the fact, the group composed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group composed of people who leaned toward a pro-Japanese disposition. As they were released from prison at the young age of 20~40, I could not but be anxious to know their conduct after the fact. I could summarize and arrange data about their conduct and activity after the fact as follows; Firstly, one of the factors that they could exile themselves abroad after their release from prison was economic one. Comparing their financial conditions with those of people who stayed in Korea and leaned toward the pro-Japanese disposition later, their financial conditions were very poor. Secondly, 19 figures defected to 3 places in large. Most figures who defected to the area in Andung-hyeon (安東縣), northeast China, where Korea and China shared a common border, chiefly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of Daehancheongnyeondanyeonhaphoi (the Federation of Korean Young Men’s groups: a body for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anjokhoi (the Korean People’s Association: a body for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Yeontongje (secret regional administrative structures established in Korea and Manchuria by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which operated under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The figures who defected to Gando and the areas which belonged to Russia were engaged in educational work in the schools for Koreans around Samwonpo, Ryooheo-hyeon (柳河縣 三源堡) and Longjincun, and joined various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a preparatory committee for unified parliament in the whole Manchuria formed for unifying the scattered organizations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others. Most fugures who defected to Shanghai were engaged in the work for the Provisional Goverment and elected as members of the Korean Interim National Assembly, and carried out liaison work with Korea. Also they participated in the affairs of the Fed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Shanghai and the activities for financial support. But as the Meeting of National Representatives was divided into the Creation Group and the Reorganization Group, and underwent internal troubles, some of them followed “Young Korean Academy” led by Ahn, Chang-ho, and others left for Manchuria or the United States. The figures who left for the United States participated in the fund raising for the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the activities for training aircraft pilots with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s the central organization, which was chiefly composed of Koreans in Los Angeles and San Francisco. It seems that 19 figures took part in various kinds of independence movement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of exile, however, they adhered to Ahn, Chang-ho’s line for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