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윤건호 CMPMedica Korea 2004 Diabetes Research Digest Vol.1 No.4
생물학의 모든 분야의 시작단계에서 초기의 보고들은 혼란이 되고 충돌이 있기 마련이다. 배아줄기세포와 성체 줄기세포는 베타세포 대체를 위한 유력한 자원(source)이고 나아가 과학적으로 좋은 실험대상이 된다. 여러 연구결과들 간의 차이는 앞으로 계속 조정될 필요가 있다. 줄기세포의 분화경로를 결정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과정이 밝혀질 필요가 있고 이로부터 신뢰할 만한 분화과정에 대한 지침이 확립될 수 있다. 설치류 모형을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는 궁극적으로 큰 동물에 대한 연구 및 유전암호해독을 통한 실험 모형(translational investigation)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윤건호,Elise Hardy,Jenny Han 대한당뇨병학회 2017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41 No.1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and obesity is increasing in Korea. Clinical studies in patients with T2DM have shown that combining the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 exenatide twice daily with basal insulin is an effective glucose-lowering strategy. However, these studies were predominantly conducted in non-Asian populations. Methods We conducted a subgroup analysis of data from a multinational, 30-week, randomized, open-label trial to compare the effects of exenatide twice daily (n=10) or three times daily mealtime insulin lispro (n=13) among Korean patients with T2DM inadequately controlled (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7.0%) on metformin plus optimized insulin glargine. Results Exenatide twice daily and insulin lispro both reduced HbA1c (mean −1.5% and −1.0%, respectively; P<0.01 vs. baseline). Fasting glucose and weight numerically decreased with exenatide twice daily (−0.7 mmol/L and −0.7 kg, respectively) and numerically increased with insulin lispro (0.9 mmol/L and 1.0 kg, respectively). Minor hypoglycemia occurred in four patients receiving exenatide twice daily and three patients receiving insulin lispro. Gastrointestinal adverse events were the most common with exenatide twice daily treatment. Conclusion This analysis found treatment with exenatide twice daily improved glycemic control without weight gain in Korean patients with T2DM unable to achieve glycemic control on metformin plus basal insulin.
윤건호,이훈병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교육논총 Vol.33 No.2
본 연구는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20개 전문대학이고 효율성평가지표는 2012년 공시지표와 대학알리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이 용하였다.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효율성 분석에 있어서 선정된 지표는 투입요소에서는 전 임교수 강의담당비율, 학생1인당 교수비율, 학생1인당 교육비, 학생1인당 장학금, 산출요 소에서는 취업률, 입시 경쟁률이었다. 효율성의 분석은 DEA기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주 요한 결과는 첫째, 본 연구에 사용된 투입요소와 산출요소 모두에서 연구대상 대학 간 차 이가 나타났다. 둘째, CCR모형에 의한 분석에서 9개 대학(45%)이 비효율적으로 나타났고, BCC모형에서는 7개 대학(35%)이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효율과 비효율을 결 정하는 주요한 투입요소는 전임교수 강의담당비율, 학생1인당 교수비율, 학생1인당 장학 금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대학의 학과운영에 있어서 일반적인 생각이나 가정과는 다 른 결과를 보여준다.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효율성을 분석하여 유아교육과 운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인간 발단단계 중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질 높은 유아교사를 양성하 는데 가치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윤건호 한국교육행정학회 2003 敎育行政學硏究 Vol.21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 및 보육교사의 직무관련 6개영역(동료교사, 근무환경, 보수, 직무자체, 행정제도, 원장과의 관제)에 대해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만족정도를 비교 분석한 조사연구이다. 조사대상은 서울과 수도권(경기도)의 유치원·어린이집 교사들이고 측정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의 척도는 만족의 정도를 6단계(6,5,4,3,2,1)로 구분하고 자료의 분석은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량분석(ANOVA)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직무관련영역 전체의 만족 정도가 유아교육(유치원) 교사는 3.42, 유아보육(어린이집) 교사는 3.17을 나타냄으로서 '조금 만족'의 수준을 나타냈다. 직무 관련영역의 각 영역별 만족도는 1.92(유치원교사 : 행정제도 영역)에서 4.77(유치원교사 : 동료교사 영역)의 수준을 나타냈다. 이밖에도 유아교육 및 보육교사의 직무 관련영역에 대한 여러 가지 의미 있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n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who were served in kindergarten and care facility. for attaining the purpose. six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covering the satisfaction level at job relation scope.<br/> In order to se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ver six job areas(companions. working condition. pay. job self, administrative system, relationship with princip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eacher.<br/>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definition of job satisfaction was built. by which this study was unfolded.<br/> The objects in this survey were 435 selected teachers who were serv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facility at Seoul and Kyunggi province. In Seou,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professor and supporters, and in another regions, that was made by suppor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PC program. ANOVA and posttests were carried out.<br/> The brief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satisfaction level at the job relation scop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eachers were as below:<br/> The satisfaction level(3.42 : 3.17)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care teachers investigated at the overall areas of the job relation scope was a little satisfied. Every group's satisfaction level ranged from 2.83 to 4.29. The area they expressed most satisfied was companion area(4.77). which was satisfied. the administrative system appeared to be very dissatisfied(1.92). this level was the least satisfied.
39. GLP 1 : 당뇨병 치료를 위한 Incretin의 발전 evolution of an incretin into a treatment for diabetes
윤건호 CMPMedica Korea 2004 Diabetes Research Digest Vol.1 No.3
임상에 GLP 1을 사용함으로써, 내인성 인슐린분비자극호르몬을 당뇨병 치료에 적용하고자 했던 오랫동안의 연구가 임상에 접목되는 시기에 온 것이다.
12. 췌장발생에 대한 당질코르티코이드의 역할에 대한 분석
윤건호 CMPMedica Korea 2004 Diabetes Research Digest Vol.1 No.4
당질 코르티코이드가 췌장의 베타세포 분화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고 이러한 작용은 호르몬 유전자 발현시기 이전에 일어나고 아마도 내분비와 외분비 세포로의 분화단계 사이에서 균형을 조절하는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