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第三輯 解題 : 惟一齋先生實記, 藥峯先生文集, 龜峯先生?稿, 蕓巖先生?稿, 鶴峰先生文集補遺, 南嶽先生?稿

        안병걸 안동대학교 1992 退溪學 Vol.4 No.1

        『惟一齋先生實記』는 金彦璇의 遺文과 그에 관한 후인들의 기술들을 모은 문집. 유일재는 김언기(1520~1588)의 호이다. 그의 자는 仲瑥, 본관은 光山인데, 安東의 臥龍 佳野洞에서 후진양성과 학구생활로 일생을 지낸 학자이다. 「행장」의 기록에 의하면, 유일재의 선대는 본래 서울에서 벼슬을 하는 가운데, 洪貴達, 金宗直, 南孝溫 등 이름있는 문인들과 교유가 깊은 문한가였다. 그의 가문이 안동에 자리잡은 것은 조부인 潭庵 金用石 때부터이다. 담암은 연산군의 난정을 보고 안동 九潭에 내려와 터를 잡았는데, 후손들에게 벼슬에 나아가지 말 것을 훈계하여 그로부터 자손들이 안동에서 터를 세거하게 되었다고 한다.

      • 白湖 尹鑴의 實踐的 中庸關 (1)

        안병걸 安東大學 1987 安東大學 論文集 Vol.9 No.1

        백호 윤휴(1617~1680)가 살았던 17세기의 조선 사회는 한국유학사에 있어 일대 전환기로 알려져 있다. 1392년에 건국된 조선 왕조의 지도적 이념이었던 성리학은 조금 앞선 16세기에 그 정치한 이론의 꽃을 활짝 피었다. 특히 퇴계 이황(1501~1570)과 율곡 이이(1536~1584)의 철학은 고도의 이론 체계를 수립하여 이후 한국성리학의 특성을 정립하였을 뿐 아니라 양인은 강학에도 힘을 써 근세에 까지 계승된 영남학파와 기호학파의 형성은 이로부터 비롯되었던 것이다. 실로 한국 유학사에서의 양 개 학파의 공로는 지대한 것이었다. 백호가 살았던 때는 바로 이들 학파가 형성된 지1세기가 경과하여 그에 따른 전통이 공고해지기 시작하던 시대였다. 양 학파는 각기 학조의 이론에 근거하여 상대방의 학설을 비판한 것이 두드러진다.

      • 退溪思想體系의 마음공부

        안병걸 안동대학교 1999 退溪學 Vol.10 No.1

        퇴계가 『성학십도』에서 心과 敬을 반복적으로 설명한 이유는 무엇인가? 마음은 그 존재 양상은 물론 내면적 구조도 이중적이라는 것이 (필자가 이해한) 퇴계의 기본 입장이었다. 이같은 마음을 전일케 하는 것이 삶의 숙제이고 공부라는 것은 앞에서 살핀바와 같다. 퇴계가 『심학도』에서 제시한 '알인욕'과 '존천리'는 공부의 방법은 다른 것이지만, 그 결과가 持敬에 이르기는 마찬가지라고 하였다. 마음을 한결같이 하는 것이 바로 지경이다. 경의 실천이란 올바른 마음의 실현이다.

      • 미수 許穆과 嶺南學脈

        안병걸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3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수 許穆이 嶺南學派에서 전수 받은 것이 무엇인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記言』에는 곳곳에 분산하여둔 전기 자료가 많이 보인다. 거기에는 영남 출신 학자들에 대한 기록도 풍부하게 남아 있어 그가 영남의 학자들과 다양한 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앞에 정리한 영남학파 제현들과 관련된 글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南冥 曺植과 그 문인들. 둘째, 退溪 李滉의 문인들. 셋째, 寒岡 鄭逑와 그의 종유 문인들. 첫 번째 부류에 속하는 인물로는 南明 曺植을 위시한 崔永慶, 李濟臣, 趙宗道, 郭再祐, 裵紳 등과 이황의 문하에도 출입한 김우옹, 鄭逑 등이 있다. 또 조식에게 직접 배우지는 않았으나, 河沆과 河受一을 통하여 조식의 학문을 접한 河弘圖에 대한 글이 있다. 그밖에 최영경의 문인인 金昌一을 이 범주에 넣어도 무방할 것이다. 대체로 남명 문인들에 대한 허목의 인식은 자신들의 삶을 바꾸지 않는 탁월하고 높은 기상과 우뚝한 지조에 있었다. 두 번째 부류에 속하는 인물로는 退溪 李滉을 정점으로 하여 柳成龍, 李禎, 趙穆, 趙호익, 南致利, 鄭逑, 김우옹 등의 문인과 이황의 손자 李詠道와 손서 金涌 등의 일가의 인물이 있다. 허목의 퇴계 이황의 문인들에 관한 기록은 조식의 문인들에 비하여 비교적 평이한 편이다. 이황의 제자들은 각기 삶의 모습은 달랐다. 그러나 평생 학문 탐구에 몰두하여 강학을 하고 후생을 길렀으며, 저술을 남기는 등의 학문 탐구와 후진 양성을 통해 그들의 정신을 살려 나갔다. 이러한 이유로 허목은 이황을 대현이라고 존경하였다. 세 번째 부류로는 정구를 중심으로 하여, 張顯光, 鄭蘊, 裵相龍 등이 있다. 정구를 허목이 중시하는 이유는 그를 통하여 영남 유학을 배웠으며, 정구의 문하에서 수많은 문도들이 배출되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청백한 절조와 끝없는 탐구정신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정구는 이황의 정맥을 이어 받아서 더욱 넓고 깊은 학문으로 재생산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鄕風을 진작시켜 일대의 종사가 되었다. 본고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은, 전기 자료는 영남 출신 학자들, 그 중에도 이황과 조식의 영향을 받은 선비와 학자들로 국한을 한 것이다. 그 이유는 허목이 살았던 시대와 역사적 공간을 함께 하기 때문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learning what is handed down to Mi-Su Heo-Mok(미수 許穆) from Young-Nam doctrinal faction(嶺南學派). And we are willing to consider it. In Gi-Eon(記言), it has much material that was distributed everywhere and also has many records of scholars from Young-Nam province. Thus, we can understand that there was many interchange between Mu_Su Heo-Mok(미수 許穆) and scholars of Young-Nam province. Documents that connected with Young-Nam doctrinal faction can classified in three parts. The first is that related to Nam-Myung Jo-Sik(南冥 曺植) and his literary men. The second is that related to literary men of Toe-Gae Lee-Hwang(退溪 李滉). The third is that related to Han-Gang Jeong-Goo(寒岡 鄭逑) and his literary men. The scholars belong to first classification are Choi-Young-Gyung(崔永慶), Lee-Je-Sin(李濟臣), Jo-Jong-Do(趙宗道), Gwak-Jae-Woo(郭再祐), Bae-sin(裵紳) (started with Nam-Myung Jo Sik(南冥 曺植) and Kim-Woo-Ong(김우옹), Jeong-Goo(鄭逑),(student under Lee-Hwang), etc. Also it has materials related to Ha-Heung-Do(河弘圖) who get learning of Jo-Sik(曺植) from Ha-Hang(河沆) and Ha-Soo-Il(河受一). And Kim-Chang-Il(金昌一) who was literary men of Choi-Young-Gyung can also classified into this. Generally, Heo-Mok's recognition to Nam-Myung literary men is superior and high disposition that cannot change there living and high integrity. In second classification, there are literary men contain that You-Seong-Ryong(柳成龍), Lee-Jeong(李禎), Jo-Mok(趙穆), Jo-Ho-Ik(曹好益), Nam-Chi-Li(南致利), Jeong-Goo(鄭逑), Kim-Woo-Ong(김우옹), persons of family that Kim-Tong(金涌), and Lee-Young-Do(李詠道). In comparison to literary men of Jo-Sik, The record of literary men of Lee-Hwang from Heo-Mok(許穆) is relatively simple. Each disciples of Lee-Hwang has different living. But, literary men of Lee-Hwang keep their spirit into their whole life through the activities which giving lectures, bringing up disciples, literary work, etc. From following reasons, Heo-Mok respected Lee-Hwang as the calling him the Dae-Hyun. In third classification, there are literary men that Jang-Hyun-Gwang(張顯光), Jeong-On(鄭蘊), Bae-Sang-Ryong(裵相龍), etc. from Jeong-Goo. The reason that Heo-Mok is taking a series view of Jeong-Goo has two reasons. One is that Heo-Mok studied Young-Nam confucianism from Jeong-Goo and the other is that there was produced a large numbers of disciple. They had integrity and spirit of endless studying. From Lee Hwang's stream of learning, Especially, Jeong-Goo reproduce it more widely and deeply. Thus, He was be the master of the age. The biological materials as studying object from this study are limited to scholars from Young-Nam province and influenced by Lee-Hwang and Jo-Sik among them. The reason is that scholars from Young-Nam province was together with the age of Heo-Mok's living and Historical space.

      • 第五輯 解題 : 忍齋先生文集, 開巖先生文集, 駑渚遺事, 楓庵先生遺稿

        안병걸 안동대학교 1992 退溪學 Vol.4 No.1

        『인재선생문집』은 忍肅 權大器의 世系圖와 저술 문자 및 그에 관한 후인들의 기술을 모은 實紀 형식의 문집이다. 권대기(중종18, 1523~선조20, 1587)의 字는 景受, 本貫은 安東으로, 安東郡 臥龍面 訥谷에서 삼형제중 둘째로 태어나 退溪先生에게 집지했으며 安東郡 西後面 伊溪洞에서 학문수양과 후진양성에 힘쓴 학자이다. 아버지는 贈軍資監正인 燁이요, 어머니는 仁同張氏 將仕郞 良弼의 딸이다. 65세를 향수했다. 그의 둘째아들 宏의 原從功으로 司憲府執義에 추종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