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왕조열전(王朝列傳)」의 文學的 性格과 史的 位相

        손찬식,사진실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80 No.-

        이 논문은 「왕조열전」의 서지사항, 창작연대 및 작자, 창작배경, 작품의 구성 및 구조, 내용적 성격과 표현의 특성, 작품의 문학사적 위상 등을 통해서 그 문학적 성격을 규명하였다. 「왕조열전」은 충남대학교 '경산문고'에 소장된 단권 1책의 국문 필사본으로, 현재까지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희귀본에 속한다. 그런데 初頭部가 落失되어 현재 온전히 남아 있는 부분은 태종대의 末尾부터 숙종대의 말미까지 기록되어 있으며, 그 殘卷의 분량은 95면이다. 이 작품의 필체는 女筆 正字體로, 필사자는 국문 해독과 筆記에 능한 역사적 소양을 갖춘 婦女라고 추정된다. 「왕조열전」은 原典의 원작가가 숙종시대 文士로, 태조대부터 현종대까지의 역대 군왕의 행적을 서술한 것인데, 후에 영조시대 문사가 종전의 원전을 필사하고 덧붙여 자신이 숙종의 행적을 추가로 기술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작품은 숙종대에 단종을 복위시키는 상황 속에서 조선조 역대 군왕의 행적을 미화하고 王統을 선명하게 기술하여 백성을 교화하고 민심을 고양하려는 의도에서 기술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작품은 열전형식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편년체적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또 문체 및 표현적 특성으로는 궁중이나 사대부가의 규방에서 통용되었던 내간 및 수필, 소설 등에서 散見되는 문체와 상통하며 대화체를 활용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극적 긴장감과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이 작품에 형상화된 등장 인물은 유형적인 특성을 보여 준다. 군왕들은 聖王, 賢君, 孝君, 廢主, 그리고 短命했거나 추존된 군왕 등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드러내고 있으며, 妃嬪은 正妃·賢妃·不德·不義로 폐출된 왕비·失德한 희빈 등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 밖에도 다수의 후궁이나 세자빈도 유형화하여 개성적이고 생동감있게 묘사하고 있다. 왕자들의 경우 불우하고 비극적인 삶을 살았던 왕자들을 부각하여 형상화하고 있으며, 또한 臣僚들은 충신과 역신으로 대별하여 그들의 삶을 형상화하였다. 「왕비열전」은 조선조 역대 군왕과 왕비, 臣僚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 史實에 대한 기존의 전통적 인식 및 평가를 계승하는 한편, 이를 창의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사실의 문학적 형상화는 왕실이나 王族·종친들의 역사적 인식을 새롭게 하는데에 기여했을 것임은 물론, 京鄕의 식자층들에게도 군왕에 대한 역사적 인식과 평가의 안목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역할과 기능을 담당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studies the literary characteristic of the Biographies of Dynasty(왕조열전) tracing its bibliography, writing period and author, the writing background,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contents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expression and considering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The Biographies of Dynasty, which is one volume of Korean manuscript housed in 'Gyeongsan library'(경산문고) of Chungnam University, is a rare book which has not been known in the academic circles. But the forepart has been disappeared and there remains only the record from the back end of the king Taejong(태종) to the final part of the king Sukjong(숙종) with 95pages. The handwriting of this literary work is in the square style which seems to be written by a woman, therefore, the person who transcribed the book is thought to be a noble woman with capacity for interpretation along with historical knowledge. It is regarded that its original author belonged to the king Sukjong's period, who described the kings' deeds from king Taejo(태 조) to the king Hyeonjong(현종) and afterward a writer in the king Yongjo(영조) transcribed the previous original book and added the king Sukjong's legacy. It is thought that this book was written, glorifying the kings achievement in Joseon Dynasty(조선조) under the circumstance which was seeking Danjong's(단종) restoration by the king Sukjong to describe the Royal line obviously and enlighten the people and promote public sentiment. It maintains the typical structure of the biographies and features chronological form at the same time. Besides, the writing style and description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letters between women, essays, novels which had been used in women´s quarters of imperial court or gentry society and allows the readers to feel dramatic tension and curiosity through dialogic style. It can be said that the characters are embodied as typical characteristics. The kings are classed as a sage king, a wise king, a king who was a devoted son, a king dethroned, a short lived king, a king restored after his death. Queen consorts and royal concubines are portrayed as a legal consort, a wise consort, a consort dethroned due to immorality, a concubine lost to virtue and so on, including Crown Princesses standardized characteristically. In case of princes, especially the princes who had lived deprived lives stand out and subjects are also appeared comparing a loyal retainer with atreacherous. The Biographies of Dynasty describes a series of history focusing the kings, Queen consorts and royal concubines and subjects and evaluate it from traditional point of view, furthermore, expresses it creatively. It seems that the Biographies of Dynasty, the literary description of the history, contributed to renew the royal family's recognition of history, furthermore, also helped intelligent people inherit and develop historical recognition and estimation about the kings in the Dynas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왕조열전의 문학적 성격과 사적 위치

        손찬식,사진실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80 No.-

        This thesis studies the literary characteristic of the Biographies of Dynasty(왕조열전) tracing its bibliography, writing period and author, the writing background,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contents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expression and considering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The Biographies of Dynasty, which is one volume of Korean manuscript housed in 'Gyeongsan library'(경산문고) of Chungnam University, is a rare book which has not been known in the academic circles. But the forepart has been disappeared and there remains only the record from the back end of the king Taejong(태종) to the final part of the king Sukjong(숙종) with 95pages. The handwriting of this literary work is in the square style which seems to be written by a woman, therefore, the person who transcribed the book is thought to be a noble woman with capacity for interpretation along with historical knowledge. It is regarded that its original author belonged to the king Sukjong's period, who described the kings' deeds from king Taejo(태조) to the king Hyeonjong(현종) and afterward a writer in the king Yongjo(영조) transcribed the previous original book and added the king Sukjong's legacy. It is thought that this book was written, glorifying the kings' achievement in Joseon Dynasty(조선조) under the circumstance which was seeking Danjong's(단종) restoration by the king Sukjong to describe the Royal line obviously and enlighten the people and promote public sentiment. It maintains the typical structure of the biographies and features chronological form at the same time. Besides, the writing style and description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letters between women, essays, novels which had been used in women´s quarters of imperial court or gentry society and allows the readers to feel dramatic tension and curiosity through dialogic style. It can be said that the characters are embodied as typical characteristics. The kings are classed as a sage king, a wise king, a king who was a devoted son, a king dethroned, a short lived king, a king restored after his death. Queen consorts and royal concubines are portrayed as a legal consort, a wise consort, a consort dethroned due to immorality, a concubine lost to virtue and so on, including Crown Princesses standardized characteristically. In case of princes, especially the princes who had lived deprived lives stand out and subjects are also appeared comparing a loyal retainer with a treacherous. The Biographies of Dynasty describes a series of history focusing the kings, Queen consorts and royal concubines and subjects and evaluate it from traditional point of view, furthermore, expresses it creatively. It seems that the Biographies of Dynasty, the literary description of the history, contributed to renew the royal family's recognition of history, furthermore, also helped intelligent people inherit and develop historical recognition and estimation about the kings in the Dynasty. 이 논문은 「왕조열전」의 서지사항, 창작연대 및 작자, 창작배경, 작품의 구성 및 구조, 내용적 성격과 표현의 특성, 작품의 문학사적 위상 등을 통해서 그 문학적 성격을 규명하였다. 「왕조열전」은 충남대학교 ‘경산문고’에 소장된 단권 1책의 국문 필사본으로, 현재까지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희귀본에 속한다. 그런데 初頭部가 落失되어 현재 온전히 남아 있는 부분은 태종대의 末尾부터 숙종대의 말미까지 기록되어 있으며, 그 殘卷의 분량은 95면이다. 이 작품의 필체는 女筆 正字體로, 필사자는 국문 해독과 筆記에 능한 역사적 소양을 갖춘 婦女라고 추정된다. 「왕조열전」은 原典의 원작가가 숙종시대 文士로, 태조대부터 현종대까지의 역대 군왕의 행적을 서술한 것인데, 후에 영조시대 문사가 종전의 원전을 필사하고 덧붙여 자신이 숙종의 행적을 추가로 기술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작품은 숙종대에 단종을 복위시키는 상황 속에서 조선조 역대 군왕의 행적을 미화하고 王統을 선명하게 기술하여 백성을 교화하고 민심을 고양하려는 의도에서 기술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작품은 열전형식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편년체적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또 문체 및 표현적 특성으로는 궁중이나 사대부가의 규방에서 통용되었던 내간 및 수필, 소설 등에서 散見되는 문체와 상통하며 대화체를 활용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극적 긴장감과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이 작품에 형상화된 등장 인물은 유형적인 특성을 보여 준다. 군왕들은 聖王, 賢君, 孝君, 廢主, 그리고 短命했거나 추존된 군왕 등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드러내고 있으며, 妃嬪은 正妃•賢妃•不德·不義로 폐출된 왕비•失德한 희빈 등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 밖에도 다수의 후궁이나 세자빈도 유형화하여 개성적이고 생동감있게 묘사하고 있다. 왕자들의 경우 불우하고 비극적인 삶을 살았던 왕자들을 부각하여 형상화하고 있으며, 또한 臣僚들은 충신과 역신으로 대별하여 그들의 삶을 형상화하였다. 「왕비열전」은 조선조 역대 군왕과 왕비, 臣僚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 史實에 대한 기존의 전통적 인식 및 평가를 계승하는 한편, 이를 창의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사실의 문학적 형상화는 왕실이나 王族•종친들의 역사적 인식을 새롭게 하는데에 기여했을 것임은 물론, 京鄕의 식자층들에게도 군왕에 대한 역사적 인식과 평가의 안목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역할과 기능을 담당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韓國漢文學에 表象된 田橫과 嗚呼島

        손찬식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57 No.4

        This paper is a study on acceptance of Jeonheong(전횡) and his subordinates’ suicide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onggamjeolyo』(통감절요)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popularization of Jeonhoeng’s story but the role of 『Sagi』(사기) 「Jeondamyeoljeon(전담열전)」 as a original text in literary shaping was important. Ohodo was originally called Jeonheongdo(전횡도) and ‘Banyangsan’(반양산) was used as a alias with the name of Ohodo in late Goryo-Dynasty early Choseon-Dynasty, and it continued until the late Choseon-Dynasty. The name of Ohodo reflects the meaning of mourning for his 500 subordinates’ death in this island. Therefore, both the name Ohodo and Jeonheongdo were also used. The location of Ohodo has been variously described in ancient map and literatures and there had been various interests and discussions about the location to late Choseon-Dynasty(the king Gojong period). Among them, the argument that it is an island on front sea of Hongju, Chungcheongdo forms a mainstream. Most poets and writers praised Jeonhoeng for his ‘loyalty’, ‘lofty virtues’, ‘righteous’and so on, therefore they called his suicide a righteous death and said that he was a just patriot because he killed himself because of the shame of the fall of his country. On the other hand, the other literary men argued that his suicide is not a righteous death and the time was also wrong insisting that he had to kill himself honorably before going to Ohido or as soon as the country was destroyed. in addition, they also said that it was right for him to die honorably in a battle with Han Dynasty. Most poets and writers considered that 500 subordinates’ suicide following their leader’s death was righteous death and their attitude came from ‘vigor’, ‘sincerity’; a sincere heart’. So their death was righteous and sacrifice themselves to preserve their integrity. While, the other literary men insisted these 500 subordinates’ suicide was unjustifiable and they had misled the monarch to kill himself after Jae Dynasty collapsed. Therefore, they said that they are not high-principled, righteous men, only the name was obtained in the posterity. In conclusion, they said that they are merely a group of unsubstantial merchants or filchers who had advantageous talents and less-than-learned lessons. 이 논문은 전횡과 그의 빈객의 자결에 대한 한국 한문학 수용에 관한 연구이다. 전횡 고사의 대중적 보급에는 『통감절요』가 상당한 영향을 끼쳤지만, 그 문학적 형상화는 『사기』「전담열전」이 그 원전 텍스트로써 역할이 컸다. 오호도는 전횡도라 불리우다가 여말선초에 ‘오호도’라는 명칭과 함께 오호도의 이칭으로 ‘반양산’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조선후기까지 이어져 왔다. 이와 함께 조선조에는 오호도와 전횡도라는 명칭이 아울러 사용되었다. 오호도의 위치는 고지도 및 여러 문헌에 다양하게 표기되어 조선조 말 고종때까지 다양한 관심과 논의가 있어 왔는데, 그 중에서도 충청도 홍주목에 속해 있는 어느 섬이라는 논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대부분의 시인묵객들은 전횡을 ‘고절’, ‘충의’, ‘강개’, ‘의사’, ‘의기’, ‘의열’, ‘절의’ 등으로 칭양하고 있으며 그가 자결할 수밖에 없었던 심리적 정황을 수치 때문으로, 그렇기에 그의 자결은 ‘의사’라고 하였다. 반면에 또 다른 문인들은 전횡의 자결은 의사라 할 수 없고 자결 시기 또한 잘못되었다고 한다. 전횡은 오호도에 들어가기 전에 자결하거나 제나라가 망했을 때 자결했어야 한다고 했다. 그렇지 않으면 한나라와 전투를 하다가 대의에 죽는 것이 옳았다고 했다. 또 대부분의 시인묵객들은 전횡을 따라 자결한 오백 빈객은 ‘의사’이며 그들의 마음은 ‘의기’, ‘지절’, ‘일편단심’이라하였다. 그렇기에 그들의 죽음은 의사이며 살신성인이라 하였다. 반면에 일부 문인들은 이들의 자결은 살신성인이 아니며 제나라가 망하고 전횡이 자결한 것은 오백 빈객이 그 군주를 잘못 인도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따라서 그들은 義士로서의 실상은 없고 의사라는 명칭만 후세에 얻은 것이라 하였다. 그렇기에 그들은 쓸 만한 재주와 취할 만한 실상이 없는 장사꾼이나 좀도둑 무리에 불과하다고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