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전반 成祐曾과 淸 문사들의 교유 양상과 의미

        손혜리(Son Hye ri) 한국고전연구학회 2016 한국고전연구 Vol.0 No.34

        본고는 成祐曾(1783~1864)이 1818년 무인연행 시 淸의 문사들과 교유한 양상과 의미에 대해서 논의한 글이다. 그는 청의 문사들과 주고받은 시와 편지를 󰡔茗山集󰡕에 수록하였는데, 이는 1818년에 있었던 3차례의 연행 중 유일하게 전하는 기록으로 자료적 가치가 크다. 성우증의 연행 기록은 무인연행의 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817년에서 1821년까지 비교적 간극이 길었던 연행록 연구의 공백을 메울 수 있다. 성우증은 연행을 통해 청 문사들과의 학문적 교유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실제 이를 성취하였다. 그가 교유한 청의 문사들은 陶澍와 陳用光을 중심으로 翰林院에 재직하며 혈연과 관직을 통해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들과 창수한 시는 대부분 상대방의 인품과 詩才를 칭찬한 뒤 이별의 아쉬움과 그리움의 정서를 표출하였다. 그렇다고 해서 의례적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서로에 대한 진정성이 오롯이 표출되어 우정이 빛을 발한 경우가 더 많다. 성우증에게 있어 이들과의 교유는 神交이자 得意處라 하기에 충분하다. This paper studies aspect and meanings of companionship between Sŏng, U-chŭng and scholars in Qing dynasty during diplomatic mission in the year of Muin(1818). He made an exchange with scholars in Qing dynasty about poems and letters, and included them in Myŏngsanjip. It is a valuable material which is the only record of diplomatic mission in the year of Muin. It is a very important document that verifies aspect of diplomatic mission in the year of Muin and fills a gap in Yŏnhaengnok studies from 1817 to 1821. Sŏng, U-chŭng thinks companionship is the most important thing during diplomatic mission. He met Do Ju(陶澍) and Jin, Yong-gwang(陳用光) who were well-known in Qing dynasty, and they built human networks. They exchanged poems which were related to compliments of personality and poetic talent, and expressed wishfulness and longing for saying goodbye. They are not always ceremonial, they are much more sincere and truthful. So, it is enough to say that their companionship is tŭkŭich'ŏ(得意處) and sinkyo(神交).

      • KCI등재후보

        硏經齋 成海應의 敍事漢詩에 대하여 - 형상화 특징과 주제의식을 중심으로

        孫惠莉(Son Hye-li) 대동한문학회 2006 大東漢文學 Vol.24 No.-

          본고는 조선후기 정조·순조 연간에 활동한 학자이자 문인인 硏經齋 成海應(1760~1839)의 서사한시 중 작품성이 뛰어난「田不關行」과「有客行」, 그리고「義僕行」을 중심으로, 그 형상화 양상과 주제의식을 논의하였다. 이 작품들은 ‘서사한시’임을 염두에 두더라도 ‘서사의 객관적 진술’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성해응의 산문문학에서도 확인된 중요한 형상화의 특징이다. 성해응은 그의 산문문학, 특히 뛰어난 문학성을 지닌 방대한 분량의 傳과 記事, 人物誌 등을 통해, 서사에 많은 관심과 특장을 지녔음을 보여주었다. 전과 기사, 인물지는 모두 사실에 의거하여 직서적으로 서술하는 장르인 만큼, 據事直筆의 기록의식은 성해응의 중요한 글쓰기 태도인 셈이다. 그런데 이러한 특징이 그의 서사한시에도 오롯이 투영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작업은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서사의 객관적 진술’은, 그의 산문문학뿐만 아니라 시문학까지도 아울러 통섭하는 형상화의 중요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성해응은 사회적으로 소외된 계층에 남다른 관심과 애정을 지닌 바, 이러한 의식의 연장선에서 봉건적 신분질서 아래 고통받는 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자신이 직접 耳聞目睹한 민의 실상을 서사한 시 속에 응축시켰다. 특히 기녀제도와 연좌제의 폐지 등을 주장한 것은 애민의식에 바탕한 현실주의적 작가의식을 지녔다고 고평할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how Yeonkyungjae Sung, Hae-eung(1760~1839) shaped the phases and subjects of the Chinese epic poem. The noticeable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are the objective statement and presentation of secondary figures in his Chinese epic poem. Sung, Hae-eung"s interest in the epic poem can be found in his enormous quantity of books, articles and written records on certain persons. As biograpies, articles and written records on certain persons are described objectively based on the facts, his approach to record the facts in his works is one of the essential features of his writing methods. Furthermore, it is an important fact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also reflected on his Chinese epic poem. From his Chinese epic poem, we find that the objective statement is an important method of shaping his prose and poetry.<BR>  Furthermore, since Sung, Hae-eung had peculiar interest and affection in socially neglected class, he advocated abolishing the guilt-by-association system and Gisaeng system, an official system of hiring dancing girls for government officials at the time. He wanted to speak for the people who suffered under the feudal social order system. It was his intention to solve people"s agony in reality. Thus, he is judged as a realistic writer who cared for the ordinary peopl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황윤석의 <이재만록> 연구 : 서얼 차별에 대한 기록을 중심으로

        손혜리(Son, Hye-ri)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8 No.-

        본고는 18세기 호남 지식인인 頤齋 黃胤錫(1729~1791)의 <漫錄>에 표출된 서얼 차별에 대한 인식과 의미에 대해 논한 글이다. 황윤석은 평생동안 방대한 분량의 일기인 『頤齋亂藁』를 저술하였다. 훗날 이재난고 는 재편집되어 『頤齋亂藁』와 『頤齋亂藁』로 간행된다. <만록>은 이재속고 에 수록되어 있는데, 손 가는 대로 기록한 것이라는 의미와는 달리 단순한 기록에 그치지 않는다. 황윤석의 박학 고증적인 학문 성향이 여실히 드러나면서, 정치와 시국에 대한 견해로부터 사회 현상 및 역사에 대한 관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의식을 담고 있다. 특히 서얼의 연원에서 시작하여 금고와 허통에 관한 시대별 전개 양상 및 적서 차별의 원인 등에 관한 의견을 두루 피력하였다. 이러한 기록은 단일항목으로는 가장 많은 비중을 할애하여 비상한 관심을 표출한 반면 그 현실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데는 소극적이다. 서얼만큼 호남 차별에 대한 항목이 많은데, 호남 차별의 실상을 서술하면서 억울함과 울분을 토로하긴 하되, 이 또한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방책 대신 군주나 위정자의 ‘立賢無方’을 촉구한다. 황윤석은 십여 년간 관직 생활을 하면서 지역 차별을 몸소 체험하였지만 호남의 한미한 가문 출신인 그로서는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기가 쉽지 않다. 대신 그는 국가를 위해 뛰어난 인재를 등용하라고 외친다. 신분적 한계와 지역적 연고에 얽매이지 않고 역량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발신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거듭 외칠 뿐이다. 이러한 연유로 황윤석은 서얼 차별에 대해 누구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기록으로 남겼으니, 이 문제는 호남지식인인 그의 정체성과 긴밀하게 연동되기 때문이다. This paper discusses on recognition and meanings of discrimination toward seo-eol depicted in Manrok of Late Choson Honam scholar Ijae Hwang Yoon-seok(1729~1791). Hwang wrote diary since 10 until 3 days before he passed away, which is Ijaenango. Later his descendant rearranged it and published Ijaeyugo and Ijaesokgo. Manrok is included in Ijaesokgo, and it is not just a record though its name means ‘written as hand moves’. It is filled with Hwang’s erudite and testifying attitude of study, and contains various subject matter from his opinion on political situations to perspective on social phenomenon or history. Especially he had large interest on seo-eol, as he wrote from origin of seo-eol, difference of formal-house and private-house, periodic development of seo-eol imprisonment and liberation, with reason and aspect of discrimination between legit and side bloodline. However his reaction was quite defensive toward searching realistic countermeasure as he concluded that circumstances made it inevitable. This can be understood by relating it with his character, for Honam region faced discrimination too. He wrote about reality of Honam discrimination and depressive sentiment caused by this as much as about seo-eol. However he also does not seek for realistic or active plan but urge for monarch or policemakers to ‘appoint wise without unfairness’. Hwang Yoon-seok is from Honam’s humble household, and in his 10-year experience of officer in Hanyang he faced discriminations so it would be hard for him to express active countermeasure. He however cries for fair and vast opportunity of appointments which will allow talented scholars to work for country, without any restriction caused by social hierachy or regional background. For this reason Hwang Yoon-seok left records of discrimination toward seo-eol and imprisonment of them, as he had abnormal interest on this problem which is strongly correlated with his identity.

      • KCI등재

        菱洋 朴宗善의 검서관 시절 교유와 작시 활동

        손혜리(Hye-ri Son) 대동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4 No.-

        본고는 菱洋 朴宗善(1759~1819)의 검서관 시절 교유 및 교유 인물과의 수창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박종선은 정조와 순조 대 두 차례 검서관을 역임하면서 함께 근무한 초대 사검서관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 검서관으로 복직한 순조 6년(1806)에 이미 세상을 떠난 이덕무와 박제가, 서이수를 회고하여 <三哀詩>를 지었다. 그의 시에는 대체로 주석이 많이 달려 있는데, <삼애시>는 거의 매구마다 자세한 주석이 부기되어 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 <直中雜詠>에는 순조 대 검서관으로 함께 근무한 박종산, 이욱수, 이광규, 김사현, 유본예 등에 대한 귀중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박종선이 검서관 시절에 교유한 인물을 대상으로 박학에 근거한 정보의 시학을 여실히 구현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박종선의 시적 역량뿐만 아니라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활약한 검서관에 관한 새롭고 유용한 정보를 대거 간취한 만큼 한 시인에 대한 작가론과 더불어 조선 후기 서얼 문학 연구에도 일정한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social relationship of Neungyang(菱洋) Park Jongseon(朴宗善, 1759~1819) and poems written for relation, when he was geomseogwan(檢書官) in Kyujanggak(奎章閣). Park served as geomseogwan twice, under Jeongjo(正祖) and Soonjo(純祖), and greatly influenced by the first four geomseogwans. Thus in 1806(Soonjo 6), he wrote ‘Samae-si(三哀詩)’ for previous geomseogwan Lee Dukmoo(李德懋), Park Jega(朴齊家), and Seo Isoo(徐理修) who passed away. In most of his poems he put annotations, and in ‘Samae-si’ Park put annotation to almost every line, which helps his intention delivered correctly. Also in ‘Jicjoong-japyong(直中雜詠)’ he left valuable information about Soonjo- era geomseogwans such as Park Jongsan(朴宗山), Lee Uksoo(李旭秀), Lee Gwangkyoo(李光葵), Kim Sahyon(金思玄), Yoo Bonye(柳本藝). Through this research it is clear that Park Jongseon embodied poetics based on erudite studies shared with relationship during his service as geomseogwan. Also from this article Park’s poetic ability is affirmed and useful information about geomseogwans of late 18th century to early 19th century is attained, which would guide following researches on poet Park Jongseon or Late Choson Seo-ul Literature.

      • KCI등재

        특집 명(明),청(淸) 문학에 대한 조선후기 문인들의 인식 : 조선 후기 문인들의 고염무(顧炎武)에 대한 인식과 수용 -연경재(硏經齋) 성해응(成海應)을 중심으로-

        손혜리 ( Hye Ri So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73 No.-

        본고는 엄정한 고증을 통하여 학술적 관심사를 연구하는 고증적 학문이 조선 후기에 유행했던 만큼, 淸朝고증학의 개황이자 중심인물로 평가되는 顧炎武(1613~1682)를 주목하고, 조선 후기 문인들의 고염무에 대한 인식과 수용 양상을 논의하였다. 고염무는 명말청초를 살다간 문인이자 학자로서 명이 망한 후 抗淸 투쟁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였으나, 실패한 뒤로는 전국을 유랑하며 청조의 부름을 거절한 절의의표상이다. 그는 고통의 시간동안 『日知錄』을 비롯한 다양한 작품을 남겼는데, 방대한 전거의 인용과 치밀한 고증을 활용한 학문방법을 구사하여 청대 고증학의 개황으로 일컬어졌다. 고염무는 明道와 救世에 바탕을 둔 經世致用의 學에 목표를 두었으며, 그의 고증학은 과학적이고 객관적이며 치밀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 결과 고염무의 학문과 저술은 청대의 학문방향에 큰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문인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조선 후기 문인들은 고염무의 명나라에 대한 견결한 절의와 박학고증적 학문태도 및 경세적 태도를 높이 평가하고 적극 수용하였다. 고염무의 학문 성향과 연구방법이 가장 잘 드러나는 인물 중의 한 사람이 바로 硏經齋 成海應(1760~1839)이다. 그는 博文約禮의 학문성향을 지녔으며 문헌고증을 통한 실증적 학문방법을 구현하였고, 박학고증을 통한 經世學으로의 추동을 지향하였다. 이는 고염무의 학문 성향 및 연구 방법과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이를 통해, 성해응 학문에 있어 고염무 수용의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여 조선 후기 학술계와 고염무 그리고 고증학에 대한 전면적인 연구를 수행하는데 하나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paid attention to Gu Yanwu(顧炎武) who is considered as the founder and central figure of Qing(淸)`s bibliographical study and discussed on the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him by the scholars of the late Joseon. Gu Yanwu had lived the late Ming(明) and early Qing period. After Ming fell, he joined aggressively in anti-Qing struggle but failed. This intellectual adhered to old Ming firmly refusing to answer the call of Qing Dynasty, just wandering around the country. He had written various books including 『Ri·zhi·lu(日知錄)』 during the years of hardship. In those books, he cited enormous old references and used historical researches as study method. It made him being called as the founder of Qing`s bibliographical study. The aim of his study was ``administrating the world and pursuing practicalness`(namely, to seek after truth and rescue the people). His bibliographical study has been considered to be scientific, subjective, strict and elaborate. Therefore, his study and books had influenced not only on the direction of Qing`s studies but greatly on the scholars of the late Joseon. The scholars of the late Joseon admired Gu`s stern fidelity to old Ming and accepted widely his encyclopedic bibliographical attitude of study and administrative tendency. Yeon·gyeong·jae(硏經齋) Seong Hae-eung(成海應) is one of scholars who took the academic inclination and research method of Gu deeply in their study. Seong pursued erudition and returning-to-proprieties(禮) in his study, tried to realize practical study through bibliographical research in methodology and wished to drive the practical administrative study by means of encyclopedic bibliographical research. Seong`s attitude are same on the whole with Gu`s. From such similarity, this article tried to find the detailed aspects of acceptanc of Gu in the study of Seong. The findings might be of some help for the overall researches on the academic society, Gu Yanwu and bibliographical study in late Joseon.

      • KCI등재

        성해응(成海應)의 송서(送序)를 통해 본 경세의식

        손혜리 ( Son Hye-ri ) 한국실학학회 2018 한국실학연구 Vol.0 No.36

        본고는 硏經齋成海應(1760∼1839)이 저술한 22편의 送序를 대상으로 전체작품의 개요를 파악한 뒤 내용을 분석하고 의미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송서란 길 떠나는 이를 전송하며 위로와 격려를 해주는 글이다. 성해응의 송서 작품을 주목하는 이유는 조선 후기 사상 가장 많은 편수의 송서를 저술하였거니와 여기에는 사명을 받고 연행을 가거나 지방관으로 부임하는 이를 전송하는, 즉 공적인 영역의 송서가 14편이나 실려 있기 때문이다. 성해응은 송서를 써 준 대상과 世交가 있는데다 관직에서 물러난 뒤 저술에 치력할 때 지은 작품이 대부분이다. 학문이 노성한 상태에서 본인의 의식이 잘 집적되어 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성해응은 청도군수로 부임하는 金箕書에게 改量의 중요성과 민생의 안정을 강조하였으며, 연행하는 조카 成佑曾과 趙萬永에게는 중국에 변고가 있을 경우 조선이 영향을 받아 위험해질 것을 경계하고 覘國을 통해 대비할 것을 당부하였다. 그 연장선에서 이천과 춘천 등 한때 고대 국가의 수도였던 동국의 경계에 대해 남다른 관심과 식견을 지니기도 하였다. 아울러 그의 송서 작품에는 조선후기 사회의 근간을 뒤흔든 체제 모순에 대한 비판이 지속적이면서도 강도 높게 제기되어 있다. 특히 서북지역뿐만 아니라 삼남의 지방관으로 부임하는 이에게 탐관오리와 간악한 吏胥, 倖民등으로 이루어진 구조적 병폐를 지적하고 올바른 인재를 등용할 것을 거듭 강조하였다. 송서에 표출된 성해응의 이러한 의식은 실학적 사고에 바탕을 둔 경세의식의 소산이라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content and deduce meaning with twenty-two songso(送序farewell document) which was written by Yon'gyongjae(硏經齋) Song Haeung(成海應, 1760∼1839). Songso is document that farewells and encourages departees. In this paper, the main reason I have noticed is that Song Haeung wrote songso in the majority, and fourteen songso are about the public realm. Furthermore, most of the works are related to a traditional friendship between families. He wrote them after resigning from office, so it is expressed in his awareness on the condition of ripeness level of study. Song Haeu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mprovement(改量) and stabilization of public welfare to Kim Kiso(金箕書) who left for Cheongdo governor. And he made a request for spying for China(called 覘國) to Song Uchung(成佑曾) and Cho Manyong(趙萬永) who visited China as public duty. In this regard, he showed a special interest in frontier awareness of ancient countries’s capital such as Icheon and Chuncheon. In addition, songso contains criticism of contradiction in system significantly. Especially he pointed out to local government of northwestern province and the three southern provinces official structural problems, and attached importance to appoint competent people. Song Haeung’s consciousness that is expressed in his songso is based on thought of Silhak(實學), and can assess a result of economic consciou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