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에 대한 FDI의 산업 내와 산업간 기술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맹경뢰 ( Qing Lei Meng ),최백렬 ( Baekr Yul Choi ) 한국국제통상학회 2012 국제통상연구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있는 FDI의 산업 내와 산업간 기술파급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동태적 패널분석방법을 통해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중국 내 기술파급효과에 대해 실증분석을 행하고자 한다. 중국 내 FDI의 산업 내와 산업간 기술파급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노동과 자본의 투입이 중국국내 공업의 부가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중국경제의 성장은 아직 요소투입형 성장단계에 처해 있으며 중국 공업 부가가치의 증가는 노동과 자본의 투입에 아직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둘째, 중국 전체 산업의 경우 각 산업의 산업 집중도 는 비 국유기업의 기술파급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에 국유기업의 기술파급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노동집약형 산업의 경우 산업 집 중도는 국내기업의 기술파급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기술 집약형 산업의 경우 각 산업의 산업 집 중도는 국내기업의 기술파급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셋째,외국인직접투자의 산업 내 기술파급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를 보면,전체산업 의 경우 외국인직접투자의 산업 내 기술파급효과는 비 국유기업, 국유기업과 국내기업의 노동생산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넷째,외국인직접투자의 전방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를 보면,전체 산업의 경우 외국인직접투자의 전방효과는 중국 비 국유기업과 국내기업의 노동생산성을 감소 시킬 수 있는 반면 국유기업의 노동생산성은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Intra-industry and inter-industry technology spillovers Effect of FDI, a growth engine of China`s economic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implement empirical analysis to the technology spillover effec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within China. To do this, the static and dynamic panel method are used. The results about industrial technology spillover effects of FDI within China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crease in labor and capital input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value-added of China`s manufacturing industries. It implies that labor and capital inputs are still important factors for the growth of the value-added since China`s economic growth is in an input driven development stage. Second, the ratio of industrial concentration across regions has a positive impact on technology spillover to private firms while it has a negative impact to non private firms. It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technology spillover to technology intensive industries but not for labor intensive industries. Third, the result about the intra-industry technology spillover effects of FDI suggests that in every region, intra-industry technology spilloverhas a positive impact on the labor productivity of private firms. Fourth, the result of the forward linkage effect of FDI suggests that it decreases the labor productivity of private firms while it increases the labor productivity of non private firms. Furthermore, it does not matter where the FDI comes from. On the other hand, it does not affect the labor productivity of private and non private firms in the case of technology intensive industry coming from other countries.

      • KCI등재

        외국인직접투자의 중국 지역별 고용효과에 관한 연구

        최백렬,孟慶雷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1 국제경영리뷰 Vol.15 No.4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이 현지국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 중에서 고용효과가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나라들이 자국의 고용확대를 위해 외국인직접투자 유치에 경쟁하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직접투자가 현지국에서 창출해 내는 고용효과는 복합적이다. 즉, 외국인직접투자에 의해 직․간접적인 고용창출효과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현지국의 해당 산업뿐만 아니라 대체관계에 있는 산업에서 고용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동시에 가져온다. 특히 개도국에서는 노동집약적 생산방식을 택하고 있는 현지기업이 기술집약적 생산방식을 택하고 있는 외국계 기업과 경쟁에서 불리하게 되어 시장에서 퇴출된다면 고용감소 효과가 예상보다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2-2008년 기간 동안 외국인직접투자가 중국의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WTO가입을 기준으로 전후기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전기에는 외국인직접투자가 중국의 고용창출에 크게 기여하였지만 후기에는 그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지역별 구분에 의한 분석결과 동부지역에서는 외국인직접투자에 의해 고용감소효과가 나타나고 중부지역은 고용창출효과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employment by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to the country can be a complex one. The FDI may bring increase of employment directly or indirectly, but it also may bring decrease of employment in the industry or substitute industry of the concerned country. Especially in the developing countries, if the local companies with labor intensive production system became less competitive to the foreign companies with technology intensive production system and were forced to get out of the market, the decrease of employment shall be much bigger than expected. Many countries usually regard the increase of employment of importance among FDI's effects to their economy. But even though China achieved a high growth of economy through attraction of FDI by adopting reform and market opening policy, they couldn't achieve the increase of employment close to that of economy. This study analyzed empirically the effects of FDI to China's employment during the year 1992~2008. When we analyzed the results by the period of before or after China's WTO joining, the FDI contributed much to the creation of China's employment in the former period, but the effects in the latter period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gional analysis, we can see a decrease of employment by FDI in the Eastern region but an increase in the central region.

      • 중국의 대 ASEAN 투자 입지결정에 관한 연구

        최백렬(Baek-Ryu Choil),孟慶雷(Qing-Lei Meng)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10 아태경상저널 Vol.2 No.2

        중국은 개혁개방 이래 30년 동안 고도의 경제성장을 달성한 이후 중국기업들은 국내에서 어느 정도 경쟁력을 확보한 중국기업들은 "쩌우추취(走出去)“를 통해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의 자원과 시장을 활용하기 위한 해외직접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해외직접투자는 지역적으로 아시아에 집중되고 있다. ASEAN 각국에 대한 중국기업의 투자 입지결정 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결과 시장규모변수 중 1인당 GDP변수와 인구 수 변수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중국기업의 대 ASEAN 지역에 대한 투자는 현지국의 1인당 소득규모가 크고 또한 인구수가 많은 나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환율변수와 인플레에 대한 분석에서는 가설과 같이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시기구분에 의한 분석결과 동아시아 외환위기 전에는 무역보완관계에 의해 투자가 영향을 받았지만 외환위기 이후에는 무역관계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장규모 변수 중 외환위기 전에는 인구 수 변수와 정의 상관관계나 나타나고 있지만 외환위기 이후에는 1인당 GDP변수와 인구 수 변수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역사기 길지 않고 또한 투자의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점과 투자입지의 결정에 관한 연구에서 주로 언급되는 전통적 변수인 정책적 변수, 사회하부구조 변수, 문화적 변수등의 자료가 입수 불가능하여 고려하지 못한 점이 연구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China's recent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has been concentrated on Asian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hina's FDI locational determinants to ASEAN countrie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GDP per capita and the number of population measuring market size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China's FDI. This implies that China's FDI headed for countries which had higher per capita income and more population. In addition, foreign exchange variables and inflation show negative correlations as we expected. The analysis result by periods suggests that before the East Asia financial crisis, the investment is affected by complementary relations of the trade, while it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the financial crisis. It also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opulation before the financial crisis, while it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both of GDP per capita and the number of population after the financial crisis. Traditional variables such as policy, social infrastructure and culture considered in related studies on locational determinants of the investment have not been investigated since there is no available data. The facts that the history of China's foreign direct investment is not long enough and the investment lacks its consistency require more various statistical tests.

      • KCI등재

        중국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의 기술파급 효과 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최백렬 ( Baek Yul Choi ),맹경뢰 ( Qing Lei Meng ),유찬확 ( Zuan Kuo Liu ) 한국국제통상학회 2011 국제통상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중국 국내기업과 외국인투자기업이 상호작용하는 패널 연립방 정식을 이용한 2SLS 시스템 분석방법을 통해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중국내 기술 파급효과에 대해 실증분석을 행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경쟁관계에 의한 기술파급효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외국인투자기업과 국내기업과의 경쟁이 심할수록 기술파급효과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본집약도의 경우에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중국 국내기업의 자본집약도가 높을수록 노동생산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인적자본 규모에 따른 기술파급효과는 예상과 달리 부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중국의 고급 기술 인력이 그들이 속한 기업의 성취도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넷째, 기업규모변수는 예상한 바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내고 있어 기업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기술습득능력이 개선되어 국내기업의 노동생산성도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기술격차의 경우 예상 부호와 같이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외국인투자기업과 중국 국내기업의 기술격차가 큰 경우 기술파급효과는 낮음을 알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외국기업의 국내시장 개입정도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외국인투자기업이 중국내 시장에서의 비중이 높을수록 중국내 기술파급효과는 더 높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mplemented the empirical analysis on technology spillover effec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within China through 2SLS system method. It uses panel simultaneous equations with interacting domestic firms of China and foreign firms.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mpetition and technology spillover effec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It implies that the more competition between China`s firms and foreign firm is, the more significant technology spillover effect has. Second, capital intensity and technology spillover effec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It means that as firms increase their capital intensity, labor productivity increases as well. Third, the size of human capital and technology spillover effect has an unexpected negative relationship. The reason seems that high skilled labors of China do not contribute to their firms` achievement. Fourth, the size of firms shows an expected positive sign. It suggests that the improved ability of technique acquirement by expanding the size of firms causes to increase their labor productivity. Fifth, technology gap and its spillover effect has an expected positive relationship. In other word, technology spillover effect is low when there exists large technology gap betwe en foreign and domestic firms of China. Finally, the higher domestic market share of foreign firms and technology spillover effec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It implies that as foreign firms have the higher market share in China, technology spillover effect has the stronger imp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