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0년대 여성소설 비평의 신성화와 세속화 연구 —배수아와 정이현을 중심으로

        강지희 대중서사학회 2018 대중서사연구 Vol.24 No.2

        본고는 한국문학사의 장 안에서 ‘여성문학’이라는 말이 사라지기 시작했던 2000년대의 여성소설 비평들을 재고하고자 쓰여졌다. 2000년대 소설의 특징을 규정하고 새로움을 찾는 모색이 활발하게 벌어졌던 것은 2005년경부터였다. 이때의 소설비평들은 1990년대와의 변별점을 위해 현실과 내면으로부터 벗어나고 있음을 강조했고, 200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타자성과 윤리라는 키워드와 접속하기 시작한다. 이 담론 속에서 좋은 여성성은 윤리성과 등치되며, 사실상 차이로서의 여성의 자리를 지우고 있었다. 당대 최신 여성주의 담론과 소설비평이 만나면서 어떻게 여성문학의 자리가 소거되는가를 보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2000년대 중후반에 출간된 배수아의 <에세이스트 책상>과 정이현의 첫 번째 소설집 <낭만적 사랑과 사회>와 장편 <달콤한 나의 도시>를 둘러싼 비평들을 메타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두 작가의 비평들을 표본으로 삼은 이유는 여성 소설들 안에서도 배수아와 정이현에 대한 비평들이 가장 상이한 독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배수아에 대한 비평들은 주인공이 맺은 과거의 동성애적 관계에 대해 예술적이고 정신적인 면면을 강조하며, 성적 차이를 소거한 채 ‘보편적’ 지점에 대해 말한다. 반대로 정이현에 대한 비평들에서는 주인공이 자본주의 속에서 순응과 저항 사이에서 여성적인 ‘특수한’ 전략을 수행하고 있음이 강조된다. 그러나 언뜻 신성화와 세속화로 나뉜 것처럼 보이는 두 작가와 관련된 담론들을 분석해보면, 공통적으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해체적 전략을 전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배수아와 정이현을 둘러싼 2000년대적 비평들은 이전보다 더 세련되고 정교하게 타자성이 생산되는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방식이 어떻게 ‘다름’과 ‘같음’의 원리를 변증법적 계기 속에서 통합시키는지 보여준다. 배수아의 동성애적 관계는 그 ‘다름’이 신성화되며 모든 사회적 규범과 관계를 삭제해버린 순수성과 절대성을 획득하며, 정이현의 소비주체의 ‘다름’은 세속화되며 사회적 규범에 더없이 잘 길들여진 여성적 주체를 탄생시킨다. 이는 결국 여성들이 가진 현실적 욕망의 실존을 가리는 것처럼 보인다. 2000년대 여성소설 비평의 수행방식과 그 한계를 살피는 이 연구는 2010년대 후반에 접어들어 사회에서 페미니즘 물결이 몰아치며, 다시 어떻게 여성소설을 비평해 나갈 것인가라는 문제에 대한 하나의 작은 참조점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부모화 경험이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매개변인으로

        강지희,최명선 한국인간발달학회 2009 人間發達硏究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부모화 경험이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매개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중학교 2학년~고등학교 3학년 학생 총 50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부모화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FRS-A를 사용하였고, 우울척도(CDI), 불안 척도, 내현적자기애 척도(CNS)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백분율, Cronbach α 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화 경험 중 불공평이 내현적 자기애 성향 중 과민취약성, 소심/자신감 부족, 목표불안정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화 경험 중 불공평이 높을수록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화 경험과 내현적 자기애성향은 우울의 자기비하, 무력감, 대인장애, 우울정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부모화 경험 중 불공평과 우울에 부분 매개하였다. 특히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과민취약성, 목표불안정, 소심/자신감부족, 착취/자기중심성에 의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화 경험 중 정서적 부모화는 내현적 자기애성향의 하위변인인 소심/자신감부족이 불안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就學前兒童의 營養改善을 爲한 鐵分添加 給食效果에 對한 硏究

        姜智熙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1984 고려대 의대 잡지 Vol.21 No.1

        As an attempt to examine the nutritional effect of iron supplementation of Korean rural pre-school children, anthropometry, clinical examination, and hematological parameters (Hb, Ht, and serum albumin) are measured. Six kinds of diet supplemented with 0, 2.5, 5.0, 7.5, 10.0 and 20.0㎎ Fe(as ferrous sulfate were used for 10weeks. Subjects were 348 pre-school children aged from 1 to 5 years old living in An-gam-myon and Bong-dang-myon, Hwa-seung-goon, Kyong-gi-go, and the supplementary diet was a product of the model Nutritional Enterprise Factory in Wuen-sueng-goon, Gangwon-do.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Physical development of subject children were within normal range during the feeding trial period of 9 weeks. 2. From the results of clinical examination, no children showed nutritional deficiency signs. 3. iron free supplementary diet group(control group) among other subject children also showed some improvement of hemoglobin level and frequency of anemia. 4. The amount of iron fortified as supplemental diet was effective on 5.0~7.5㎎ Fe per child per day, no further effect was observed by adding of more iron. 5. The values of hematocrit and serum albumin also improved by providing the supplementary diet.

      • KCI등재

        현행 중등학교 한문교과서의 포은(圃隱) 시 수록 현황에 대한 분석과 제언(提言)

        강지희 포은학회 2022 포은학연구 Vol.30 No.-

        Poeun(Jeong Mong-ju) is not only a model of loyalty and Confucian scholar but also famous for a great poet. So his poems have been collect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Chinese classic textbooks for a long time. Now, Poeun’s poem is not collected in the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 textbooks, but collected in six kinds of the high schools Chinese classic textbooks. These six textbooks only mention his poem Spring. I guess there are three reasons why editors of Chinese classic textbooks specially prefer Spring among a lot of his poems. First, it has a form of a quatrain with five characters to a line, so it is so easy for beginners to learn. Furthermore it is the only quatrain with five characters to a line among his poems. Second, Spring is famous for its good details and excellent expression. Third, Spring has been the most selected as a masterpiece which described a spring day or spring rain very well until now. So many editors followed in predecessor’s footsteps and would not try to discover a new piece any more. In addition to Spring, there are many masterpieces written by Poeun. We should try to discover excellent poems in The Collected Works of Poeun and mention them in Chinese classic textbooks. Spring is written in Dongmoonseon, entitled “The Charms of spring”. They are same piece but have different titles. The last phrase is also different. One is “多少草芽生”; the other is “草芽多少生”. When writing the title of poem, editors of textbooks must choose more appropriate thing between the two pieces prudently. I think it is better to choose the title of Spring written in The Collected Works of Poeun. Each textbook shows two ways in teaching and learning. One is the way which a teacher offers a summary of the poem in the beginning and give further explanation in the last. The other is the way which a teacher gives the point of appreciation of the poem and then puts a question to a student. I suppose, a teacher should explain artistic quality of Korean poems in Chinese successfully by mixing these two ways. In the future, when editors make Chinese classic textbooks and mention Poeun’s poetry, they might as well collect more various poems and provide knowledge and information more accurately. 현행 중등학교 한문교과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따르고 있다.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는 고려 말기의 충신‧유학자로서 이름을 남겼을 뿐 아니라 문학 방면에서도 상당히 높은 위상을 차지하고 있기에, 일찍부터 그의 한시가 교과서에 수록되었다. 현재 포은의 작품은 중학교 교과서에는 실려 있지 않고 고등학교 교과서 6종에만 수록되어 있는데, 수록된 작품은 오직 <춘(春)> 한 작품뿐이다. 다종의 교과서들이 260여수의 포은 시 가운데 오직 <춘>만을 선택하여 수록한 이유는 세 가지 정도로 짐작된다. 첫째, 시의 형식이 오언절구로 초학자가 학습하기에 유리한 점이 있고, 시선집에 수록된 포은의 시 가운데 유일한 오언절구이기 때문이다. 둘째, <춘>이 내용‧표현상의 측면에서 뛰어난 점이 있기 때문이다. 셋째, 역대 교과서에서 봄비와 봄날을 노래한 시로 이 시가 가장 많이 채택되었고, 그런 전례를 그대로 답습하며 더 이상 새로운 작품을 발굴하지 못한 데에도 그 원인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 시 한 편만으로 포은의 다양한 시세계, 시인으로서의 뛰어난 면모를 보여주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므로 더 다양한 작품을 여러 교과서에 수록하는 시도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아울러 <춘>의 출전과 시제((詩題)‧결구(結句)의 형태 및 해석에 있어 정확성을 기해야 한다. 현행 교과서에서는 포은의 시가 <춘>과 <춘흥(春興)> 두 가지 제목으로 소개되어 있다. 포은집 을 출전으로 적시해 놓은 곳에서는 <춘>으로, 동문선 을 출전으로 적시해 놓은 곳에서는 <춘흥>으로 기재해 놓은 것이다. 가능하면 제목과 출전을 한문교과서에 수록할 때 하나로 통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자의 원 문집을 출전으로 삼는 것이 좋을 듯하다. 전구(轉句)의 “남계창(南溪漲)”의 해석에 있어서도 교과서들 간에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남쪽 시냇물 불어나리니” 정도의 해석이 타당해 보인다. “다소춘아생(多少草芽生)”의 해석은 “풀싹은 얼마나 돋아났을까?”라고 해석하는 것이 봄날 움트는 생명에 대한 시인의 기대감을 더욱 또렷하게 드러내줄 수 있을 듯하다. 교수‧학습 방법의 구현 양상에서는 각 교과서들이 두 가지 양태를 보였다. 하나는 포은 시에 대한 개괄적 설명을 하고, 다음으로 본문의 이해를 심화할 수 있는 깊이 있는 설명을 덧붙이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감상의 포인트를 제공하면서도 학습하는 주체가 스스로 생각하고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질문을 던지는 방식이다. 두 가지 방식의 우열을 말하기는 어렵다. 다만 양쪽의 방식을 적절히 혼용하여 한시가 지닌 형식미‧상징미‧함축미 등의 예술적 특성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전달하는가의 성패는 전적으로 교수자의 역량에 의해 좌우될 것이다. 향후 중등학교 교과서 개편 시에는 10종 이상의 교과서에서 포은의 작품을 수록할 때 다양성과 정확성을 기해야 할 것이다. 수록작품이 꼭 <춘>에만 국한될 필요는 없을 듯하고, 그 범위를 절구에만 한정할 것이 아니라 율시까지 확장하여 포은의 시재(詩才)를 깊이 있게 접하도록 하는 것이 더 유익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시 한 수를 소개하더라도 정밀한 고증과 분석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에게 정확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