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Kierkegaard 가명 저작의 방편성

        태동(嚴泰動) 한국교육학회 1998 敎育學硏究 Vol.36 No.4

        Kierkegaard의 교육방법인 간접전달은 가명의 저작술을 사용한다. 가명의 저작술이란 자신의 실존은 숨겨 두고, 독자들이 거쳐야 되는 실존들, 저자의 입장에서 보면, 이미 극복된 과 거의 실존들을 담은 저작을 발표하되, 이에 가명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때 가명 저작에 담긴 실존들 사이에, 그리고 그 실존들과 저지의 실존 사이에는 불일치와 모순이 존재한다. 가명 저작들에 담긴 실존들은 저지인 Kierkegaard의 실존에 비추어 보면, 거짓에 해당한다. 그러나 Kierkegaard는 자신의 저작이 전달하는 내용들 사이에 모순이 존재하도록 꾸밈으로써 독자들이 주체적으로 이를 해소하여 새로운 실존을 자기의 것으로 받아들이도록 유도한다. 이는 부처가 자신의 깨달음을 직접 주기보다는 중생의 수준에 걸맞는 것을 제시하여 단계적으로 이들을 이끄는 불교 교육방법의 원리인 방평에 상응한다. 방편으로서 Kierkegaard의 가명 저작은 교육본위의 교육과정과 이에 근거한 특이한 교육방법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일이관지의 비밀을 푸는 열쇠 : 공자의 삶과 사상을 하나로 꿰는 교육의 열락

        태동(Taedong, Eom) 한국교육원리학회 2021 교육원리연구 Vol.26 No.2

        ‘공자는 성인(聖人)인가, 집 잃은 개인가?’ 공자가 살던 당시부터 그의 정체를 놓고 상반된 의견이 대립하며 논란을 빚었다. 심지어 제자들도 스승의 진면모를 헤아리지 못하고 엉뚱한 질문을 던지곤 했다. 이런 오해를 불식하려고 공자는 자신의 삶과 사상을 한마디로 요약한 일이관지(一以貫之)라는 말을 남긴다. 그러나 그의 기대와는 달리 일이관지의 일이 충(忠)인지 서(恕)인지를 놓고 후학들의 입장이 다시 갈린다. 이 과정에서 유가는 다양한 학파로 나뉜다. 오늘날에도 여러 분야의 학자들이 일이관지를 다채롭게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공자는 충이나 서는 물론이고 특정한 덕(德)을 거론하며 자신의 정체를 이야기한 적이 없다. 오히려 그런 시도 자체를 삼갔다. 반면 그는 교육의 열락(說樂)을 쫓는 일만큼은 세상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한다. 그러나 손가락(敎育)은 보지 못하고 달(德)만 쳐다보는 외향적인 시선으로 말미암아 사람들은 공자의 그런 외침을 듣지 못한다. 교육학의 어려움이 바로 여기서 생긴다. 이 논문은 논어를 철저하게 교육학의 관점에서 읽는 가운데 일이관지의 일이 충이나 서가 아니라 교육의 열락이라는 점을 밝힌다. 그럼으로써 공자의 삶과 사상을 교육학의 관점에서 새롭게 드러낼 수 있는 길을 연다. To his contemporaries, Confucius was commonly known as wonderful person who learns a lot and memorizes them all. But this reputation unexpectedly produced various misunderstandings from excessive deification to malicious rumors. In order to dissipate misunderstandings about his identity, Confucius said that his way is penetrated by one thread. This remark well known as Iligwanji(一以貫之) has considered to be a necessary key to disclose Confucius’ mysterious life and abstruse thoughts. His disciples and so many scholars have interpreted Confucius’ one thread as Chung(忠) or Seo(恕), and originated various theories about human nature, morality and ideal society. But Confucius has never pretended to be a person who realizes any kind of virtue including Chung and Seo as his own character. He has just professed to be a person who is relentless in pursuing educational flow-experience called Yeol-Rok(說樂). This study is to interpret educational Yeol-Rok as one thread that penetrates Confucius’ whole life and thoughts with constant reference to his own confession about educational life experience expressed in Analects. This unique academic challenge to read Confucius’ Analects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can contribute to not only new understanding of Confucius’ thoughts but also autonomous theorization of education.

      • KCI등재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를 통해 본 현대의 병과 아동 현존재를 위한 교육

        태동 ( Tae Dong Eo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3

        현대는 모든 것을 도구로 사유하는 시대이며, 이로 인하여 인간성의 상실과 자연의 파괴 등 갖가지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의 병을 치유하는 일과 관련하여 하이데거의 사유를 경청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르면, 현대는 존재를 망각하고 존재자만을 주목함으로써 존재자를 인간의 의지와 의욕에 맞게 부품화하고 도구화하는 시대이다. 현대의 병을 치유하려면, 인간 현존재는 세계-내-존재로서 그가 공속하고 있던 존재에 귀 기울이면서 존재를 향해 귀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와 관련하여, 그리고 현대의 병을 치유하는 일과 관련하여 아동의 교육을 새롭게 조망할 수 있다. 아동은 전형적인 인간 현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초등교육은 아동 현존재에게 맞지 않는 객관적이고 표상적인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오히려 존재의 망각을 부채질하여 현대의 병을 악화시키고 있다. 이 글은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에 경청하는 가운데 현재의 아동교육을 반성하고 아동 현존재의 교육이 어떠한 것이어야 하는지를 그려 보이기 위한 것이다. 이는 아동교육론을 새롭게 모색하는 일이자, 동시에 교육이 현대의 병을 치유하는 한 가지 길일 수 있음을 보이는 일이다. The present is suffering from disease. We are experiencing unprecedented dehumanization and natural destruction. According to Heidegger, this disease is the result of western traditional metaphysics. Western traditional metaphysics has misunderstood what it means for something to be, answering this question in terms of beings, rather than asking about Being itself. As the result of this approach, western metaphysics has revealed various beings, including human being, to be only instruments for human intentions and desires. Heidegger claims that human being is Dasein as being-in-the world. Dasein always understands the world(or Being) in the process of using various things as the ready-to-hand. We are usually doing things with a view to achieve something, without theorizing. By using things as the ready-to-hand, we understand world(Being) that gives unique meanings to things. But if we look at or observe things as the present-at-hand to theorize about them, things lose their unique meanings and turn into objects. In this respect, representative knowledge about things as the present-at-hand can be revealed as a deficient or secondary mode comparing to using and understanding things as the ready-to-hand. Children are typical Dasein. They are involved in the world playing and doing something with things as the ready-to-hand. They already understand the unique meaning of things in the world. But we teach them objective and representative knowledge in elementary school. It couldn`t be an education for children as Dasein. Children`s everyday understanding of the world is necessarily essential a part of any kind of scientific or theoretical studies. Education for children can be possible only by studying their average-everyday understanding of the world, as it is expressed in their close relationships to things as the ready-to-hand. This new education for child-Dasein can be a way to cure the disease of the present.

      • KCI등재
      • KCI등재

        "비언어적 체험의 언어적 전달"이라는 역설로서의 교육: 장자와 키에르케고르를 중심으로

        태동 ( Tae Dong Eo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7 초등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는 교육의 장면에서 다루어야 되는 앎이 성격상 비언어적인 체험에 해당함에도 불구하고, 언어를 주된 매체로 활용하는 교육을 통하여 이를 가르치고 배우는 일이 어떻게 가능한가를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이 질문은 외양으로만 보면, 하나의 역설에 해당한다. 그러나 언어의 한계를 누구보다 강력하게 주장한 장자나 키에르케고르의 경우를 보면, 그들은 자신들의 사상을 전달함에 있어 어느 누구도 쉽게 흉내 낼 수 없을 만큼 화려하고 치밀한 언어를 구사하고 있다. 이는 언어를 메타페레인, 또는 메타포적으로 구사하는 경우이다. 더 나아가 그들은 자신들이 의도적으로 꾸며놓은 메타포적 전달의 비밀을 풀기 위하여 상대방이 어떠한 활동을 수행해야 되는지를 처방하고 안내하는 언어(교육어)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비언어적 체험의 언어적 전달``이라는 교육의 역설은 여전히 교육학의 진지한 질문거리이며, 이에 대하여 어떻게 대답하느냐에 따라 교육의 장면에서 앎을 조직하는 방식과 이를 다루는 교육의 방법 등에 있어 커다란 변화가 수반된다. Human knowledge is consisted of two different aspects; explicit dimension and implicit dimension. The former is the knowing to be expressed in language, and the latter is the ineffable knowing not to be depicted in language. Explicit and implicit dimension are different sides of same coin; human knowledge. In this respect, human knowledge is always tacit knowing in its nature. Education can be defined as activities to teach and learn human knowing, and the main medium of education is no other than language. Every teacher and learner always communicate human knowing to each other actively using language. Therefore we can say education might not exist without language. From above discussed, we can infer that people participating in education face a kind of paradox, because they communicate nonlinguistic, tacit knowing each other relying on language. This paradox of education would be permanent question for the scholars. This thesis is to solve this paradox. This thesis tried to take a clue from Chuang Tzu and Kierkegaard. Although these people are famous for asserting the limit of language, they show the possibilities of language as a medium of education. That was the metaphorical use of language. Further more they suggested another possibility of language (can be called educational language) when teachers prescribe how to learn to their learners. If we study further on great thinkers` insights about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of language in the context of education, we could succeed in solving a paradox of education and constructing a new theory of education. This thesis is only one trial to establish the ground of this kind of research.

      • KCI등재

        `연리와 이행”, `공조와 동행”이 빚은 현대미술의 교육적 탄생: 마티스, 피카소, 브라크의 경쟁과 협력

        태동 한국교육원리학회 2012 교육원리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선진과 후진이 같은 길(道)을 교육의 소재로 삼아 함께 걸어가는 ‘사제동행’ 이외에도 하나의 커다란 길을 형성하는 서로 다른 작은 길(이질적 품위 계열)에 속한 경쟁자들 사이의 ‘이행’(離行), 그리고 같은 길을 가는 등등 품위 소유자들 사이의 ‘공조’(共助) 등 다양한 장면에서 교육이 살아 숨 쉬고 있음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마티스와 피카소 사이의 교류를 살펴보면, 이들이 미술계 내의 이질적인 유파에 속해 있기는 하지만, 상구를 통해 상대의 장점을 흡수하여 자기 발전을 도모하면서도(連理), 동상적인 교육의 경우와는 달리, 상대와 자신 사이의 차이를 더욱 심화시켜 이행함으로써 미술계 전체의 발전에 기여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입체주의 탄생시킨 브라크와 피카소의 협력을 분석하면, 그들이 개별적인 주체가 아니라, 양자 가운데 어느 한 사람으로 환원될 수 없는 ‘서로-주체’로 결합하여 독특한 공조상구를 전개하였음이 드러난다. 그 동안 상대적으로 교육학의 주목을 받지 못했던 이러한 교육의 양태들을 드러내어 개념화하고, 이를 통하여 교육본위론을 좀 더 풍요롭게 하려는 것이 이 연구의 의도이고 목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