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연구단지계획과 지역발전전략 : 충남대학교를 중심으로

        오덕성 忠南大學校 地域開發硏究所 1995 地域開發論叢 Vol.7 No.-

        The science park development strategy assumes that a region's long term economic viability will depent on its ability to generate and sustain a concentration of business capable of developing new products based on new technology. For regions faced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older, declining manufacturing industries Science Park have been viewed as a tool for facilitating economic restructuring through the incubation of new technology base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or other regions whose economics have been performing well, investment in the new innovation capacities of new technology in science park may represent a long term insurance policy. From the empirical evidence that is available, three ways in which Science Park can boost local economic development and increase local innovation capacity can be identified: First, Science park can encourage and facilitate the formation and growth of new businesses based upon the research knowledge and expertise available with a university or other center of research. The existence of a Science Park., near a universities encourages researchers to consider the commercial exploitation of their research and offers them an location amenable to this process. Second, science parks can also act as a catalyst for change in a region. They often provide new sources of employment in an area of traditional industries and help to change the image of the area by demonstrating that it can create, attract and support high-tech industry. This effect may extend beyond the science park because of the opportunities created for existing suppliers to become subcontractors to the new companies, thus widening the benefits and introducing these suppliers to new technologies and skills. Third, science park can as a mechanism to upgrade the technological sophistication and added value of existing industry by providing a location where technical support can be given to local firms which manufacture and market products. This study review the development model of science park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CNU) in terms of those three points of view. Particulary the role of CNU science park has been emphasized as one of the strategies of boosting local economic development and increase local innovative capacity from the university.

      • 특집 - 국가 이벤트와 건축 : (엑스포)대전 엑스포 `93 사후의 기능적 전이 ( The Re-Use Plan of Taejon International 1993 Exposition in Terms of I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

        오덕성 대한건축학회 1996 建築 Vol.40 No.9

        엑스포 과학공원은 '국민 과학교육의장'으로서 또한 '21세기 국가 과학기술 발전의 체험장'으로서 분명한 공익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락공간 위주의 국내 타 주제공원과는 기본적인 성격을 달리한다. 그러나 공익적 성격이 강조된다 할지라도 당해 사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공익과 수익이 균형을 갖는 새로운 발전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대전 엑스포 '93의 기본정신을 계승하고, '국민 과학교육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엑스포 과학공원의 설립목적을 재검증하고 국내의 주제공원과 비교하여 차별성을 지닐 수 있는 장기적 발전방향을 모색해 볼 시점에와 있다. 본 원고는 이러한 시점에서 1851년 런던국제 박람회부터 현재까지 엑스포 발전의 흐름을 살펴보고 주요한 박람회장의 사후활용 특성을 고찰한 후 대전 엑스포 '93의 사후활용 계획과 대비시켜 봄으로써 현안문제와 향후발전의 과제를 정리해 보고자한다.

      • 테크노폴리스와 지역혁신연계 전략 : 대덕연구단지/대덕벤처테크노밸리 사례연구 Case of Taedok Science Town and Venture Techno Valley

        오덕성 영남대학교 지역발전연구소 2000 영남지역발전연구 Vol.26 No.-

        테크노폴리스 정책에 있어서 주요 관심사는 1차적으로 테크노폴리스 건설을 통한 지역산업구조 쇄신을 꾀하고 2차적으로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한 산업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룰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대학, 연구기관, 기업, 관련 서비스 분야 등에 걸쳐 전반적인 지역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는가의 여부이다. 80년대부터 90년대 초까지 Manuell Castell을 필두로 하는 일련의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이 분야의 연구들은 대덕연구단지와 쯔쿠바 연구학원도시 등을 구체적인 실례로 제시하면서 연구학원도시 개발모형은 지역산업 발전에 그다지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회의적인 결론을 맺은 바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벤처산업이 사회 전반에 걸쳐 큰 관심의 대상으로 부각되면서 대전지역은 활발한 창업활동의 관점에서 수도권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벤처산업 집적지로 평가되고 있다. 금년 들어서는 대덕연구단지를 기반으로 중부권의 벤처산업벨트가 제안되고 수도권으로부터의 벤처산업 역유출 현상이 발견되면서 학계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1990년대 말부터 대덕연구단지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최근의 연구들은 우리에게 첨단산업 분야의 연구개발 투자가 장기적으로 지역의 산업구조 변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하며 지역혁신에 있어서 그 가시적인 효과를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테크노폴리스가 지역혁신에 미칠 수 있는 효과들에 관한 기존 연구를 종합하여 이론적인 기반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대덕연구단지와 대전지역의 지역혁신에 미친 구체적인 효과를 분석?평가해 보았다. 또한 대덕연구단지, 지역대학, 연구기관, 대전첨단과학산업단지, 엑스포과학공원을 연결시켜 종합적으로 지역혁신을 꾀하기 위한 새로운 개발대안인 ‘대덕벤처테크노밸리’를 소개하고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주요내용으로서는 (1) 대덕연구단지 내 국·공립 및 민간기업 연구기관의 발전동향, (2) 이를 기반으로 하는 창업활동의 동향 분석, (3) 지역거점대학의 지역혁신에 미치는 역할과 벤처산업 지원정책 분석 등이 있다. 이를 종합한 결과, 대전의 적극적인 벤처산업 발전은 대덕연구단지를 바탕으로 대학, 지자체 등 지역개발주체들 사이의 효율적인 협동전략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국전자통신연구소 등 9개 연구기관이 창업활성화의 기폭제가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KAIST, 충남대 등 지역대학은 기존의 산학협동 연구에서 진일보하여 TBI, TIC 등을 적극적으로 건설하고 창업활동을 지원함으로써 대전지역이 벤처산업의 중심지로 발돋움하는 데에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장기적인 발전적략으로서 제시되고 있는 대덕벤처테크노밸리(TVTV)프로젝트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대전지역의 벤처산업발전 기반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제시된 바 있는 종합적인 지역혁신전략이다. 이는 대덕연구단지, 지역대학, 주요 연구기관, 엑스포 과학공원, 대전첨단과학산업단지 등을 연계하여 대전지역의 기술집약형 벤처산업이 창업기에서 성숙기에 이르기까지 지역 내에서 적극적으로 양육을 받으며 성장하고, 최종적으로는 지역 내에 공장을 설립하고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종합적인 지원전략이다. 이와 더불어 벤처 커뮤니티 네트워크라고 불리워지는 지역 내 정보 네트워크 연계전략(NVC)을 수립하여 관련 부분 간에 산·연·학·관 협동체제를 이룰 수 있도록 정보지원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산업발전과 관련 부분의 적극적 협조체계를 구축하였다. 이상과 같은 이원적 연계전략을 통해서 대덕연구단지와 대전지역은 중부권의 기술 혁신 거점과 신산업의 발전기지로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