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알코올 사용 장애의 최신 지견

        남궁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4 신경정신의학 Vol.43 No.6

        Alcohol use disorders and related problems continue to constitute a significant public health problem, leading to many psychi-atiic conditions, physical illnesses, and social problems such as domestic violence and occupational disabilities. Here, we provide an update on alcohol use disorders ; 1) genetic and neurobiological aspect, 2) neuroimaging study findings, 3) treatment of medical complications 4) psychotherapeutic approaches 5) pharmacological treatment and 6) women and offsprings issues of alcohol use disorders.

      • KCI등재

        흡연 및 비흡연 정신분열증 환자간의 인지 기능과 치료 반응의 차이

        남궁기,민성길,이희상,조현상,김세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4

        연구 배경 : 본 연구는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흡연 여부에 따라 정신분열증 환자군의 정신과적 과거력 및 현재 증상, 치료 반응과 인지 기능 등에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연구 방법 : 정신분열증 환자 중 36명의 흡연군과 31명의 비흡연군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현재의 증상을 평가하기 위해서 양성 및 음성 증상 척도(Positive & Negative Syndrome Scale) 및 전반적 기능 평가 척도(Global Assessment Scale)를 상용하였고, 추체외로계 부작용을 추체외로계 부장용 평가척도(Rating Scale for Extrapyramidal Side Effects)로 측정하였다. 흡연군과 비흡연군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비엔나 검사 중 SPM(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Cognitron 및 FFA(Flicker Fusion Analyzer)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 1) 흡연군과 비흡연군에 비해 유병 기간이 유의하게 길었음에도 불구하고, 입원 시의 증상 정도(PANSS 총점)가 유의하게 낮았고, 기능 정도(GAS 점수) 역시 유의하게 높았다. 2) 정신분열증의 치료 반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나이와 유병 기간을 통제한 상태에서 흡연여부에 따른 치료 반응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흡연 여부에 따른 일일 약물 사용량, 추체외로계 부작용 및 증상 호전율(PANSS 호전율)이나 기능 호전율(GAS 호전율)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나이, 유병 기간, 항전신병약물 용량 및 증상의 정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흡연 여부에 따른 인지 기능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흡연 여부에 따른 SPM 값, COG-R 및 FFA 갑의 차이는 없었다. 3) 흡연군 내에서 흡연 정도와 치료 반응 및 인지 검사 점수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나이와 유병 기간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일일 평균 흡연량과 여러 임상 척도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일일 흡연량과 증상 호전율(PANSS 호전율) 이나 기능 호전율(GAG 호전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총 흡연 기간은 치료 반응 및 인지 기능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흡연 정신분열증군은 비흡연 정신분열증군에 비해 입원 시 증상이 경미하고 기능이 좋으며, 흡연 정신분열증군에서는 흡연량이 많을수록 치료 시 증상 및 기능이 호전율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흡연군에서 일일 약물 사용량이 높다거나, 추체외로계 부작용이 덜 나타난다거나 지능 저하가 덜하다는 이전의 연구 결과들은 입증되지 않았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past histories, current symptoms, treatment responses and cognitive and functions between smoking and nonsmoking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67 schizophrenic patients including 36 smokers and 31 non-smokers. They were examined by psychiatric history checklist, Simpson and Angus's rating scale for extrapyramidal side effects, positive & negative syndromes scale(PANSS), global assessment scale(GAS), and Vienna test including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SPM), Cognitron, and Flicker Fusion Analyzer(FFA).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lthough the duration of illness of smokers was longer than that of non-smokers, the smoker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f GAS and significantly lower score of PANSS than non-smokers at admission. 2) With effects of age and duration of illness controlled,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mean dosage of neuroleptics, extrapyramidal side effects, PANSS improvement rate and GAS improvement rate between both groups. 3) With effect of age, duration of illness, and total PANSS score controlled,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score of SPM, cognitron, and FFA. 4) In smokers, the PANSS improvement rate and the GAS improvement rat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an number of daily smoked cigarettes, with effects of age and duration of illness controlled. Conclusions : In schizophrenic patients, smokers had less severe symptoms than non-smokers. In smokers, the PANSS improvement rate and the GAS improvement rat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an number of daily smoked cigarettes. But Smokers were not proven to have received higher dosage of neuroleptics, to have lower extrapyramidal side effects, or to have less severe impairment of cognitive function.

      • KCI등재후보

        알코올 사용 장애의 약물치료

        남궁기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4 신경정신의학 Vol.43 No.6

        Alcoholism,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throughout the world, causes enormous damage to health and quality of life and undermines the well-being of families and society, It is associated with liver disease, cancer, cardiovascular problems, acci-dental deaths, suicides, and homicides. Over the last 20 years, rational drug treatment have arisen from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urobiological substrates of alcohol dependence, including adaptive changes in amino acid neurotransmitter systems, stimulation of dopamine and opioid peptide systems, and, possibly, changes in serotonergic activity. Disulfiram, naltrexone and acamprosate are currently the only treatments approved for the management of alcohol dependence. Data from studies of ondansetron and topiramate in alcohol dependence are somewhat promising, but it appears that these drugs have not yet demonstrated evidence of efficacy in large controlled clinical trials. Trials with SSRIs and some antipsychotics have yielded disappointing results. Because the biological basis of alcohol dependence appears to be multifactorial, the future of management of alcoholism may be combination therapy, using drugs acting on different neuronal pathways, such as acamprosate and naltrexone. Phannacothe-rapy should be used in association with appropriate psychosocial support and specific treatment provided for any underlying psychiatric comorbidities.

      • KCI등재
      • KCI등재

        정상인과 우울증 및 불안증 환자들에서의 월경전기 증후군

        민성길,남궁기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7 신경정신의학 Vol.26 No.4

        The authors studied the premenstrual syndrome by using the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PAF) in 96 college students as a control group, 36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43 patients with anxiety, and estimated the frequencies of 18 subtype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 most frequent premenstrual symptoms were mood and behavior changes, i.e. 'feel jittery or restless' and 'feel anxious', in all groups. 2) In normal subjects, general discomfort syndrome was most frequent. Among the physical discomfort, water retention syndrome and fatigue syndrome were less frequent than other subtype symptoms. 3) In patients with depression, the frequency of hysteroid featur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but the frequency of general discomfort syndrome was significantly lower. 4) In patients with anxiety, the frequency of organic mental featur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but the frequency of general discomfort syndrome was significantly lower, too.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고유동 콘크리트용 분리저감형 유동화제의 개발에 관한 기초적 연구

        남궁기,윤길봉,전충근,손성운,김성수,한천구 대한건축학회 2000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e segregation reducing type superplasticizer far high flowing concrete by applying flowing method. Combination of superplasticizer, viscosity agent and AE agent are made to work out the problems which are segregation of materials and loss of air content. Based on above procedure, optimal mix proportion of each agent is found. According to experimental results, optimal proportion of superplasdcizer, viscosity agent and AE agent show to be 1 : 0.61 : 0.017. When applying the superplasticizer developed in this experiment, target slump and slump flow can be achieved without segregation. And we do not detect loss of strength.

      • KCI등재

        한국어 판 WHO-CIDI(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Alcohol의 개발: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남궁기,유계준,조은영,송선미,이희상,길계선,조현상,우용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6

        CIDI-Alcohol의 한국어 판 개발을 위해 이를 우리말로 번역, 수정하고, 정신병원에 입원한 환자 90명과 일반인 50명에게 시행한 후 임상 진단과 비교하여 일치도를 봄으로써 그 신뢰도 및 타당도를 조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정 사용 각 진단 범주에 대한 한국어 판 CIDI-Alcohol의 일반 면담자간 진단 일치도는 97%∼100%의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2) 임상 진단을 기준으로 한 한국어 판CIDI-Alcohol의 주정 사용 장애의 진단 일치도는 각 진단 범주별로 kappa치가 0.43∼0.55로 기존의 연구에 비해 비교적 낮았다. 3) CIDI-Alcohol의 진단 기준을 변화시켜, 각 진단 범주에 대한 임상 진단과의 일치도를 알아본 결과 ICD-10/harmful use는 진단 기준 항목의 수를 2개 이상으로 하였을 때, DSM-Ⅲ-R/주정 의존은 진단 기준 항목의 수를 4개 이상으로 하였을 때 임상 진단과 가장 일치하였다. 이런 결과는 한국어 판 CIDI-Alcohol의 진단 기준이 대체적으로 민감도는 높으나, 특이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연구자들에 의해 작성된 한국어 판 CIDI-Alcohol는 일반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역학 조사보다는 주정 사용 장애로 이루어진 순수한 실험군의 연구에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he authors translated a CIDI-Alcohol, a highly structured diagnostic interview, into Korean and examin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CIDI-Alcohol.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IDI-Alcohol, the authors calculated the degree of agreement of CIDI-Alcohol diagnoses between the two lay interviewers and sensitivity, specificity, kappa coefficient between clinical and lay CIDI-Alcohol diagno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greement rates of CIDI-Alcohol diagnoses between the two lay interviewers ranged from 97% to 100%. The kappa coefficient for each diagnosis was quite high(0.96-1.0). 2) The kappa value of agreement between clinical and lay CIDI-Alcohol diagnoses ranged from 0.43 to 0.55, which was lower than those of other studies. 3) With canging the diagnostic criteria of CIDI-Alcohol, The highest agreement rate between clinical and CIDI-Alcohol diagnoses was acquired when the authors used two or more diagnostic criteria of ICD-10/harmful use and four or more diagnostic criteria of DSM-Ⅲ-R/ alcohol depen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