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상공인 지원제도가 경영자역량과 재무적성과를 매개로 하여 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

        류창규,박송춘,이상호 한국창업학회 2019 한국창업학회지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mall enterprises sponsorship project supported by Jeonnam area and to find way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small enterprises owners and create jobs. The population was selected for the small enterprises owners who participated in the support project by the Jeonnam Credit Guarantee Foundation. The design of the survey was designed in three steps as population survey, preliminary survey and this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November 1, 2018 and December 15, 2018, for 400 small enterprises owners who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visiting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unding has no direct impact on job creation. However, it appears that funding affects job creation through managerial competence and financial aptitude. Second, educational support has no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job creation. Third, consulting support has a direct impact on job creation. In addition, consulting support indirectly influences job creation through managerial competence and financial aptitude. Fourth, mentoring support has no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job creation. Fifth, managerial capacity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job creation. However, managerial competence indirectly affects job creation via financial aptitude. We present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전남지역에 소재한 소상공인 지원기관에서 지원하고 있는 소상공인 지원제도의 실효성을 검증하여 소상공인의 경쟁력 강화와 고용창출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소상공인 지원제도인 자금, 교육, 컨설팅 그리고 멘토링 지원제도가 경영자역량과 재무적성과를 매개로 하여 고용창출을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전라남도 소재 소상공인 중에서 지원제도를 신청하거나 참여한 업체를 대상으로 모집단을 선정하였고 조사는 모집단 현황조사, 사전조사, 본조사로 3단계로 설계하였다. 방문조사에 참여의사를 표현한 4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자금지원은 고용창출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경영자역량과 재무적성과를 경유하여 고용창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컨설팅지원은 고용창출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영자역량과 재무적성과를 경유하여 고용창출에 간접적인 영향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 멘토링지원은 고용창출에 직접적인 영향과 간접적인 영향이 모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영자역량은 고용창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재무적성과를 경유하여 고용창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 멘토링지원이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은 이유는 표본 추출이나 지원기관의 운영 방법에 기인할 수도 있어 해석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상공인 지원제도가 경영자역량을 향상시키고 재무적성과를 증진시켜 고용을 창출할 수 있도록 각 지원제도들 간 연계를 강화하는 제도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 카드뮴(Cd)처리에 의한 생쥐 십이지장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劉昌奎,崔林淳 연세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87 學術論文集 Vol.18 No.-

        중금속 Cd이 생쥐(ICR계통)의 십이지장 조직에 미치는 형태학적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CdCl_2 형태의 시료를 농도별로 복강 내에 주사한 실험군과 생리적 식염수만을 투여한 대조군을 전자현미경으로 비교 관찰하였다. 그 결과 체중 kg당 1 mg의 CdCl_2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세포질 전체의 전자밀도가 점차적으로 낮아졌으며, 에너지대사에 관여하는 mitochondria cristae부분의 과도한 소실현상이 나타나 공포화되는 경향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CdCl_2 10mg 투여시 나타나는 형태학적 변화는 mitochondria 내부의 구조가 점차 치밀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핵질부에서는 염색질의 분리와 응축현상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Cd는 핵 내의 염색질 분포에 영향을 주며, 세포질 내에서는 에너지대사에 관여하는 mitochondria기능의 저해물질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the ulrastructural changes of the male mouse(ICR strain) Duodenum tissue affected by Cadmium(Cd). Cd, as a form of CdCl_2,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to separat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jected with chased concentration of Cd, while the control group was injected with saline. The resulted changes were as follow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jected with 1 mg/kg CdCl_2, the electrodensity of the cytoplasm as a whole was gradually decreased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itochondria related to energy metabolism was impair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jected with 5 mg/kg CdCl_2, the remarkable changes excess impairment of the mitochondria cristae, leading to vacuolation. While, with 10 mg/kg CdCl_2, the appeared morphological changes were th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itochondria tend gradually to compact. Furthermore, the separation and aggregation of the chromatin was seen in the nucleus. Accordingly, it was thought that the CdCl_2 can affect the distribution of the nuclear chromatin, inhibit the mitochondrial function related to energy metabolism.

      • KCI등재

        조선 太宗代 河崙의 경제정책과 ‘民本’

        류창규 호남사학회 2008 역사학연구 Vol.32 No.-

        Ha-Ryun was a core figure of the political power who planned, enforced the rule organization, military system, diplomacy, and economic policies in Joseon king Taejong’s reign. The direction of the multi policy which he pursued was aimed at making wealthy country and powerful army(富國强兵). Such a policy direction was being in contact with Minbon(民本) ideology. The economic policies which he presented specially considered the life of the people, the stabilization of the people, the economic relief of the people. Ha-Ryun’s economic policies -overland transportation of the taxes, use of Jeohwa(paper money, 楮貨), establishment of Hogeupdunjeon(garrison land cultivated by a farmer, 戶給屯田)- got many criticisms from different bureaucrats. The division of opinion was serious in the peoriod of king Taejong. King Taejong approved the policy which Ha-Ryun planned, but could not execute the policies continuously because of the bureaucrats who opposed with a reason regarding to inconvenience of the people. Ha-Ryun asserted the transportation by the land route was the effective method of reducing the people's life damage. The tax transportation which leaded the land route was accomplished in Geongsang province. Overland transportation of the taxes was insisted in order to protect the people's life and to prevent a exploitation of land possessor. Ha-Ryun asserted to use Jeohwa(楮貨). Through the paper money he expected the security of national economy rights, the richness of the people. He established Hogeupdunjeon(戶給屯田) to reserve food for the army and relieve the people from starvation. The economic policies which Ha-Ryun presented considered seriously the life of the people and economic relief of the people. However it’s ultimate point was to secure national public finance, establish the rich and powerful nation and strengthen a sovereign power. Ha-Ryun thought enriching and strengthening of country led to economic relief and stabilization of the people. Through the change of economic policies he hoped to accomplish strengthening of country and it’s sovereign power, and it was Minbon(民本) ideology. Hegemony of the change was based more on the nation and the king, than the bureaucrats. The economic policies which he presented usually failed. Paradoxically the opposite bureaucrats represented Minbon(民本) ideology while opposing Ha-Ryun's economic policies. 조선 태종대 河崙은 통치기구, 군사, 외교, 경제 등 사회 전반에 두루 걸쳐 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하였던 정권의 핵심 인물이었다. 하륜이 추구한 여러 정책이 지향하는 방향은 王權强化와 富國强兵이라고 압축할 수 있다. 그러한 정책 방향은 조선의 건국 과정에서 중요시되었던 民本 이념과 맞닿아 있었다. 특히 하륜이 제시하였던 경제정책은 백성의 인명을 중시하고, 백성을 부유하게 하고, 백성을 진휼하고자 하는 백성을 위하는 민본을 토대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하륜이 내세웠던 경제정책을 둘러싸고 중앙관료들 사이에 의견 차이가 두드러졌으며, 찬반간에 민심의 향방을 끌어들여 그 실행과 중단을 결정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租稅 운반 방법, 楮貨 사용, 戶給屯田의 설치를 두고 의견 대립이 심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태종이 왕위에 있던 시기 동안 줄곧 논란을 제공하였다. 태종은 하륜이 펴낸 정책에 찬성하는 편이었지만, 백성의 불편과 편리를 내세우는 관료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정책을 실행하지는 못하였다. 대부분의 관료들이 한결같이 백성의 편리함을 내세우고는 있지만, 정책 실행 방법 및 의도한 바에 있어서는 다른 견해를 보였던 것이다. 하륜은 남쪽 지방의 조세를 운반하는데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육로를 통한 운반을 주장하였다. 하륜의 주장으로 경상도의 경우 뱃길이 아닌 육로를 통한 조세 운반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일반백성을 漕運의 폐단과 私田의 확대로 인한 폐단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육로를 통한 조세 운반을 주장하였다. 하륜은 태종이 즉위한 이후 저화 사용을 주장하였다. 저화를 화폐로 사용함으로써 국가에서 화폐 발행에 대한 통제를 할 수 있으며, 국가재정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 하륜의 저화 사용 주장에는 국가의 경제 이권 확보와 백성을 부유하게 한다는 생각이 동시에 담겨져 있었다. 하륜이 설치하고자 한 호급둔전 역시 존폐를 반복하였다. 호급둔전을 통하여 군량미를 확보하고 백성의 구휼을 대비하고자 한 의도 역시 반대에 부딪혀 제대로 시행되지 못했다. 하륜이 제시하였던 경제정책은 백성의 인명을 중시하고 백성을 구휼한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었지만 국가 재정을 확보하여 국가를 부강하게 하고 왕권을 강화하도록 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하륜은 국가가 부강함으로써 백성이 편안할 수 있으며, 백성을 어려운 상황에서 구제할 수 있다고 보았다. 부국강병을 통해 백성을 구제하고 백성을 안정되게 하는 것이 하륜이 생각한 민본이었다. 부국강병과 왕권 강화를 민본과 한 맥락으로 하여 경제정책의 변화를 꾀하였으며, 그를 통하여 국가 재정을 확보하고 일반백성을 안정시키고자 하였던 것이다. 관료층보다는 국가와 국왕을 중심으로 하여 일반백성을 위하는 경제정책 방향을 설정하였던 것이다. 하륜이 제시한 경제정책은 대체로 실패로 돌아갔으며, 역설적으로 보이겠지만 백성을 위한다는 민본을 내세운 점이 반대 명분으로 작용하였다.

      • KCI등재

        丙子胡亂과 湖南義兵

        류창규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1 南道文化硏究 Vol.0 No.21

        After the event-Byeongja-Horan, the king Injo went all the way to Namhan-sanseong(Namhan mountain fortress) and gave message to the troops of Honam, southern region of the Korea. Since then, the Uibyeong(volunteer troops) started the actions, legitimately. It has confirmed that the troop of Honam was almost organized at the time of Byeongja-Horan(the Ching's Invasion in 1636). However, there were numbers of separated troops while it was one big frame that all troops were spread to Yeosan. It was broadly separated into three troops with three leaders, Yi Heung bal, Jo Su seong, and An Bang jun. The troop with leader, YI Heung bal, received order from Jeolla province chief, Yi Si bang, which was unified in the Mouicheong(organization of troop) in Yeosan. Although Uibyeong's leaders of each regions were selected and troops were formed, it was weakly assembled, so the accomplishment was also not great. On the other hand, the troops of Jo Su seong in Hwasoon region was formed with non-political people that resulted a strong union. The troop of An Bang jun centered with the political westerners(Seoin literati) also showed a strong assembly, regionally and scholastically. The troops of both present and past administrators led together as the council's request was less systematic than those troops that were led by particular leaders. When we see the constitution of people involved in these troops, most noblemen were involved with An Bang jun's troop. However, under Jo Su seong's troop, his own family members, servants, and farmers were engaged. The size of the Yi Heung bal's troop that was gathered in Yeosan seemed small, although it actually was not. Honam Uibyeong added with Jo Su seong's and An Bang jun's troops was a very extensive scale. These differences of each constitution of Honam troops brought some limits and troubles to leaders. Furthermore, it is an important fact here that there were many significant people who was also involved with Jeongmyo-Horan. For instance, An Bang jun was participated in the Imjin-Waeran(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Yi-Gwal's rebellion, as a troop member, and later, he, again, involved in the Jeongmyo-Horan as a leader of a troop. In additions, those decedents of people who involved with those incident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such events. Meanwhile, there was a complications over the commandment between Jeolla province chief, Yi Si bang and Somosa(a troop commander) Jeong Hong Myeong, because of the disagreement came from their different opinions. Those who were not administrators of Joseon dynasty had thoughts of respecting the king and the Ming dynasty more importantly, but those who were involved with administration believed more significantly with the future of their political power. Honam Uibyeong asserted the justification from the beginning regardless of political affiliation.

      • KCI등재

        조선 초기 太宗과 河崙의 天譴論을 빙자한 정국 운영 양상

        류창규 호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5 No.-

        태종대 정국 운영의 향방은 왕권의 안정과 강화로 귀결된다고 하겠다. 태종대 정치체제의 개편과 정치세력의 부침에 대한 연구가 그러한 점을 뒷받침한다. 특히 왕권 강화를 위한 여정이 6조의 기능 강화를 비롯한 통치체제의 변화와 공신이나 외척 등 특정 정치세력의 제거로 나타났다고 하겠다. 여기에는태종의 신하 간의 견제와 균형을 통한, 곧 왕권에 위협이 될 만한 세력을 용인하지 않은 정치적 술책이 작용하였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태종의왕위 계승에서 비정통성, 도덕성의 결여가 작용하였다고 한다. 태종대 정국에대한 이러한 일반적인 견해는 큰 틀에서 어긋나지 않지만, 태종의 정국 운영방식과 특정 정치세력 제거 과정의 의미는 다시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태종과 그의 최측근 신하였던 하륜의 정치적 행보를 통해 정국 운영의 양태를 다시 살펴보았다. 특히 재이에 따른 천견론을 내세워 태종이 선위 파동을 일으킬 때나, 천견론에 따른 하륜의 사직 사건이 이어졌을 때정치적 변화가 심하였다. 나아가 태종의 선위 파동과 하륜의 사직은 서로 연관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함으로서 태종의 정국 운영 방향과 하륜의역할을 파악할 수 있었다. 태종 즉위 후 왕위의 정통성과 도덕성 문제로 왕위가 위약할 수밖에 없었다. 제도 개편을 통한 왕권 안정 추구 노력에 하륜이앞장섰다. 이러한 노력에 가장 위협이 될 만한 인물들은 태조를 따르던 이들가운데서도 병권을 장악하고 있던 이들이었다. 태조의 인척이자 좌명공신이었던 이거이가 본보기다. 하륜의 천견론을 빙자한 사직은 바로 이거이의 제거를노린 것이었다. 태종과 하륜의 천견론을 매개로 한 정국 변화 모색의 시작이었다. 하지만, 사사전 혁파나 동북면 양전 등을 둘러싸고 이에 반대하는 이들이 태조를 등에 업고 천견론을 매개로 태종과 하륜에게 압박을 가함으로써 상황은 반전되었다. 태조를 배경으로 하는 친 태조 성향 세력은 태종 왕위의 안정에 걸림돌이었다. 태종 2년, 태조를 등에 업고 일어났던 동북면의 조사위 난을 평정하고 이어서 명 영락제로부터 왕위를 인정받은 이후 태종의 왕위는 안정되었다. 그런데 태종 6년 천견론에 따라 하륜이 사직을 요청하고, 얼마 후 태종이 선위 파동을 일으킨다. 하륜의 사직과 태종의 선위 파동에는 무관 세력들의 불만이작용하였다. 사사전 혁파와 토지 지급에 불만을 품은 무관층이 하륜을 비방하였으며, 태종의 외척이었던 민무구 등이 병권과 관련하여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 태종으로 하여금 천견론을 빌어 선위 파동을 일으키게 하였던 것이다. 이로 인해 결국은 민씨 외척 세력의 제거의 단서가 열리게 되었다. 태종9년, 다시 천견론을 빌어 하륜의 사직과 태종의 선위 파동이 일어난다. 태종의 선위 파동은 외척 민씨 일파와 가까웠으며 태종의 즉위에 공로가 컸던 이무를 겨냥한 것이었다. 이무 역시 오랜 동안 병권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그를따르는 무인 세력이 포진되어 있었다. 민씨 일파를 두둔하였다는 점 등 여러죄목으로 태종이 이무를 죽였지만, 결정적인 요인은 이무를 중심으로 무인 세력이 형성되었다는 점이었을 것이다. 태종은 이무와 친밀한 관계였던 하륜을사직하도록 함으로써 그 사건에 비켜서도록 하였다. 천견론을 매개로 한 태종의 선위 표명과 하륜의 사직은 병권을 장악하고있는 이들 가운데 왕위에 위협이 될 만한 ... Stabilizing and reinforcing king’s power was critical in managing political situations in King Taejong era. Studies of revision of political system and fluctuation of political parties in Taejong era support the aspect. Especially, the process of reinforcing king’s power was a form of changing political system such as fortifying the six department’s(6曹)functions or removing specific political parties such as retainer’s or Min(queen’s family)’s. Taejong’s political strategy of taking advantage of mutual containment and according equilibrium, which is also a zerotolerance policy toward political parties that could be a possible threat to his power seemed to work in the process. And the lack of linear descent of royalty and the lack of morality affected the strategy in the background. The aforementioned perspective regarding to the political situation in Taejong era is general, and reasonable in the large scale. However, it is needed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aejong’s way of managing political situation and removing specific political parties. This paper re-investigates the figure of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through political stance of Taejong and Ha, Ryun(河崙) who was a close retainer of Taejong. Especially, political fluctuation was extreme in Taejong’s trial of abdication and Ha, Ryun’s trial of resignation according to Cheon-gyeon theory when natural disaster occurred. Moreover, both trials seem to be related to each other. By focusing this fact, it is able to understand Taejong’s way of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and Ha,Ryun’s role in it. After Taejong’s enthronement, Weakness of the king’s power was inevitable because of its lack of orthodoxy and morality. Ha,Ryun actively pursued stabilizing king’s regime via revising system. Possible threats especially came from those following King Taejo with military power. I, Geo-i(李居易) who was Taejo’s cousin and Jwamyeong -Gongsin(retainer) is the case. Ha, Ryun’s resignation according to the Cheon-gyeon theory aimed to remove I, Geo-i. It’s was the start of Taejong and Ha, Ryun’s pursuing political system change via Cheon-gyeon theory. However, the phase was upside-down when those opposing the demolition of Sasa-jeon(寺社田) and revision of Dongbukmeon pressed Taejong and Ha, Ryun via Cheon-gyeon theory, backed by Taejo. Pro Taejo party backed by Taejo was obstacle toward stabilization of Taejong’s regime. In the second year of Taejong’s regime, his regime was stabilized after putting down Jo, Sa-eui’s revolution in Dongbukmeon area and getting approval of emperor Yeongrak of Ming dynasty. Suddenly, in the sixth year of Taejong’s regime, Ha, Ryun requested resignation according to the Cheon-gyeon theory and Taejong consequently tried to abdicate his throne. Dissatisfaction of military officers was the background of the request and trial. Taejong tried to abdicate because of the fact that Military officers dissatisfying to the demolition of Sasa-jeon and distribution of land criticized Ha, Ryun and Min, Mu-gu(閔無咎) who was Taejong’s cousin had a discontent regarding to the distribution of military power. Taejong used Cheon-gyeon theory as an excuse. The trial of abdication finally made a way to remove Min’s party. In the ninth year of Taejong’s era, Ha, Ryun’s trial of resignation and Taejong’s trial of abdication via Cheon-gyeon theory recurred. This time Taejong aimed to remove I, Mu(李茂) who was close to Min’s party and took a big role in Taejong’s enthronement. I, Mu had military power under his control for a long time and there was military party following him. Though Taejong removed I, Mu apparently for the reason of taking Min’s side, the main reason of his removal was the fact that I, Mu was the leader of a military party. Taejong accepted Ha, Ryun’s resignation request so as to make Ha, Ryun who was close to I, Mu irrelevant to the I, Mu’s removal. Taejong’s announceme...

      • KCI등재

        高麗末·朝鮮初 在地品官의 유형과 그 지위

        류창규 전남사학회 2001 역사학연구 Vol.17 No.-

        The local gentry had been formed in the late Koryo dynasty, became the local power class in early Choson. They consisted of Yuhangpoomguan(留鄕品官) and Toseongpoomguan(土姓品官). Yuhangpoomguan had a relation with the central offical system, Toseongpoomguan had only the supernumerary posts(散職), in resident in local community. Toseongpoomguan were usually the descendants of the lineage of local functionaries (鄕吏) with gaining dongjeongjik(同正職), geomgoujik(檢校職), cheomseoljik(添設職)-sorts of the supernumerary posts. Not included in central official system, they kept the social status of local gentry. Although in the late Koryo the foundation of Toseongpoomguan made the local power class reorganized, the status of them was unstable. Yuhangpoomguan who had reserved the real posts in past lived in the local community, in relation with the central power, became a new local power class. They established yuhyangso(留鄕所), in their resident, through it wielded considerable influenc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dynasty of Choson, the central government represented a new local control policy, would control and conciliate the local gentry, specially emphasized the control of Toseongpoomguan. The central government through the governor of province(觀察使) controled Yuhangpoomguan, and guaranted the benefit of them in the local society. In conclusion, the rising of the local gentry in the late koryo dynasty was in a relation with the central power, the connection of both influenced the status of the local gentry.

      • KCI등재

        연구논문 : 조선 초기 태종(太宗)과 하륜(河崙)의 천견론(天譴論)을 빙자한 정국 운영 양상

        류창규 ( Chang Gyu Ryu ) 호남사학회(구-전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5 No.-

        태종대 정국 운영의 향방은 왕권의 안정과 강화로 귀결된다고 하겠다. 태종 대 정치체제의 개편과 정치세력의 부침에 대한 연구가 그러한 점을 뒷받침한다. 특히 왕권 강화를 위한 여정이 6조의 기능 강화를 비롯한 통치체제의 변화와 공신이나 외척 등 특정 정치세력의 제거로 나타났다고 하겠다. 여기에는 태종의 신하 간의 견제와 균형을 통한, 곧 왕권에 위협이 될 만한 세력을 용인하지 않은 정치적 술책이 작용하였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태종의 왕위 계승에서 비정통성, 도덕성의 결여가 작용하였다고 한다. 태종대 정국에 대한 이러한 일반적인 견해는 큰 틀에서 어긋나지 않지만, 태종의 정국 운영 방식과 특정 정치세력 제거 과정의 의미는 다시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태종과 그의 최측근 신하였던 하륜의 정치적 행보를 통해 정국 운영의 양태를 다시 살펴보았다. 특히 재이에 따른 천견론을 내세워 태종 이 선위 파동을 일으킬 때나, 천견론에 따른 하륜의 사직 사건이 이어졌을 때 정치적 변화가 심하였다. 나아가 태종의 선위 파동과 하륜의 사직은 서로 연관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함으로서 태종의 정국 운영 방향과 하륜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었다. 태종 즉위 후 왕위의 정통성과 도덕성 문제로 왕위가 위약할 수밖에 없었다. 제도 개편을 통한 왕권 안정 추구 노력에 하륜이 앞장섰다. 이러한 노력에 가장 위협이 될 만한 인물들은 태조를 따르던 이들 가운데서도 병권을 장악하고 있던 이들이었다. 태조의 인척이자 좌명공신이었던 이거이가 본보기다. 하륜의 천견론을 빙자한 사직은 바로 이거이의 제거를 노린 것이었다. 태종과 하륜의 천견론을 매개로 한 정국 변화 모색의 시작이었다. 하지만, 사사전 혁파나 동북면 양전 등을 둘러싸고 이에 반대하는 이들이 태조를 등에 업고 천견론을 매개로 태종과 하륜에게 압박을 가함으로써 상황은 반전되었다. 태조를 배경으로 하는 친 태조 성향 세력은 태종 왕위의 안정에 걸림돌이었다. 태종 2년, 태조를 등에 업고 일어났던 동북면의 조사위 난을 평정하고 이어서 명 영락제로부터 왕위를 인정받은 이후 태종의 왕위는 안정되었다. 그런데 태종 6년 천견론에 따라 하륜이 사직을 요청하고, 얼마 후 태종이 선위 파동을 일으킨다. 하륜의 사직과 태종의 선위 파동에는 무관 세력들의 불만이 작용하였다. 사사전 혁파와 토지 지급에 불만을 품은 무관층이 하륜을 비방하였으며, 태종의 외척이었던 민무구 등이 병권과 관련하여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 태종으로 하여금 천견론을 빌어 선위 파동을 일으키게 하였던 것이다. 이로 인해 결국은 민씨 외척 세력의 제거의 단서가 열리게 되었다. 태종 9년, 다시 천견론을 빌어 하륜의 사직과 태종의 선위 파동이 일어난다. 태종의 선위 파동은 외척 민씨 일파와 가까웠으며 태종의 즉위에 공로가 컸던 이무를 겨냥한 것이었다. 이무 역시 오랜 동안 병권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그를 따르는 무인 세력이 포진되어 있었다. 민씨 일파를 두둔하였다는 점 등 여러 죄목으로 태종이 이무를 죽였지만, 결정적인 요인은 이무를 중심으로 무인 세력이 형성되었다는 점이었을 것이다. 태종은 이무와 친밀한 관계였던 하륜을 사직하도록 함으로써 그 사건에 비켜서도록 하였다. 천견론을 매개로 한 태종의 선위 표명과 하륜의 사직은 병권을 장악하고 있는 이들 가운데 왕위에 위협이 될 만한 세력 제거를 염두에 두고 이루어진 고도의 정략적인 정국 운영 방식이었던 셈이다. 표면적으로는 반왕세력이나 외척세력, 공신세력의 약화·제거와 정치세력 개편으로 보이지만 병권을 사적으로 장악한 세력과 무인을 측근 집단으로 세력화한 인물들에 대한 불식이었던 것이다. 하륜이 일정한 역할을 맡게 된 것은 태종이 가장 신뢰하는 신하였다는 점도 작용하였지만. 하륜이 병권에 가까이 한 적이 없다는 사실이 그것을 가능하게 하였을 것이다. Stabilizing and reinforcing king`s power was critical in managing political situations in King Taejong era. Studies of revision of political system and fluctuation of political parties in Taejong era support the aspect. Especially, the process of reinforcing Icing`s power was a form of changing political system such as fortifying the six department`s(6曹) functions or removing specific political parties such as retainer`s or Min(queen`s family)`s. Taejong`s political strategy of taking advantage of mutual containment and according equilibrium, which is also a zero-tolerance policy toward political parties that could be a possible threat to his power seemed to work in the process. And the lack of linear descent of royalty and the lack of morality affected the strategy in the background. The aforementioned perspective regarding to the political situation in Taejong era is general, and reasonable in the large scale. However, it is needed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aejong`s way of managing political situation and removing specific political parties. This paper re-investigates the figure of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through political stance of Taejong and Ha, Ryun(河崙) who was a close retainer of Taejong. Especially, political fluctuation was extreme in Taejong`s trial of abdication and Ha, Ryun`s trial of resignation according to Cheon-gyeon theory when natural disaster occurred. Moreover, both trials seem to be related to each other. By focusing this fact, it is able to understand Taejong`s way of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and Ha, Ryun`s role in it. After Taejong`s enthronement, Weakness of the king`s power was inevitable because of its lack of orthodoxy and morality. Ha, Ryun actively pursued stabilizing king`s regime via revising system. Possible threats especially came from those following King Taejo with military power. I. Geo-i(李居易) who was Taejo`s cousin and Jwamyeong-Gongsin(retainer) is the case. Ha, Ryun`s resignation according to the Cheon-gyeon theory aimed to remove I, Geo-i. It`s was the start of Taejong and Ha, Ryun`s pursuing political system change via Cheon-gyeon theory. However, the phase was upside-down when those opposing the demolition of Sasa-jeon(寺社田) and revision of Dongbukmeon pressed Taejong and Ha, Ryun via Cheon-gyeon theory, backed by Taejo. Pro Taejo party backed by Taejo was obstacle toward stabilization of Taejong`s regime. In the second year of Taejong`s regime, his regime was stabilized after putting down Jo, Sa-eui`s revolution in Dongbukmeon area and getting approval of emperor Yeongrak of Ming dynasty. Suddenly, in the sixth year of Taejong`s regime, Ha, Ryun requested resignation according to the Cheon-gyeon theory and Taejong consequently tried to abdicate his throne. Dissatisfaction of military officers was the background of the request and trial. Taejong tried to abdicate because of the fact that Military officers dissatisfying to the demolition of Sasa-jeon and distribution of land criticized Ha, Ryun and Min, Mu-gu(閔無咎) who was Taejong`s cousin had a discontent regarding to the distribution of military power. Taejong used Cheon-gyeon theory as an excuse. The trial of abdication finally made a way to remove Min`s party. In the ninth year of Taejong`s era, Ha, Ryun`s trial of resignation and Taejong`s trial of abdication via Cheon-gyeon theory recurred. This time Taejong aimed to remove I, Mu(李茂) who was close to Min`s party and took a big role in Taejong`s enthronement. I, Mu had military power under his control for a long time and there was military party following him. Though Taejong removed I. Mu apparently for the reason of taking Min`s side, the main reason of his removal was the fact that I. Mu was the leader of a military party. Taejong accepted Ha, Ryun`s resignation request so as to make Ha, Ryun who was close to I, Mu irrelevant to the I. Mu`s removal. Taejong`s announcement to abdicate and Ha, Ryun`s resignation via Cheon-gyeon theory were highly political maneuver of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aimed at removing military personnel who was possible threat to the regime. Though the maneuver seemed to be the enfeeblement or removal of anti-king party, Min`s party and retainer`s party and the reformation of political parties, it was indeed the removal of those having military under their control. The reason of Ha, Ryun`s taking active role in the removal was partly because of the fact that Ha, Ryun was confidant of Taejong. And the main reason was that Ha, Ryun didn`t bold military pow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