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교 밖 탈북청소년의 탈북의 의미와 남한사회 삶에 대한 이해 (생애사 연구)

        원미순,유영림,방진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9 No.1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and interpret what defection means to young adults defecting from North Korea, and the lives of young adult defectors in South Korea. To this end, a series of interviews with 10 young adult defectors was analysed in three steps, using Schütze’s biographical narrative method. The findings show that some young adults defected from North Korea to save their North Korean family from the poverty. Others defected from North Korea because of a family decision, seeing their defection as starting a new life. In terms of their lives in South Korea,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felt calm in South Korea because they were safe and secure in a situation from which they no longer needed to escape. At the same time, they felt like strangers because South Korean people treated them as foreigners, and they wished to be full citizens of South Korea rather than having only legal status. For young adult defectors, South Korean society offers competitive and fair rewards for those in employment; they appreciated that their efforts in this society would be recognised and rewarded, but they also experienced the pressure of a situation in which they will have nothing if they do not work. In this context, most of those interviewed expressed a wish to follow their dreams in South Korea. However, some hoped to leave South Korea and to settle in other countries such as China, where they lived before entering South Korea, because they felt discriminated against and were not assured of becoming true citizens of South Korea. Worst of all, a few young adult defectors were depressed about this social discrimination and the pressure on them to be competitive despite their vulnerabilities, including their poor educational background. 본 연구는 학교 밖 탈북청소년들의 탈북의 의미와 남한사회에서의 삶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10명의 학교 밖 탈북청소년들을 심층면접 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의 삶의 전체 맥락에서 심도있게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해 Schütze(1983)의 생애사 이야기식 면접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chütze(1983)의 3단계 생애사 이야기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위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 밖 탈북청소년들에게 탈북의 의미는 가족이었다. 가족을 위해 스스로 탈북을 하거나 가족에 의해 비자발적으로 탈북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가족과 함께 살기위해, 가난으로부터 가족을 구하기 위해 감행한 탈북은 먹고 살 수 있는 남한사회에서의 새로운 삶의 시작을 의미하기도 하였다. 학교 밖 탈북청소년들은 이제 먹고 살 수 있고 안전하다는 생각에 마음이 편안하다고 느끼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단지 북한 출신이라는 이유 때문에 이방인 취급을 당하기도 하였다. 그들은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인정받고 싶어 했고 주인이고 싶어 했지만 정작 남한사회는 학교 밖 탈북청소년들에게 공정하면서도 냉정한 사회였다. 그들에게 남한사회는 노력한 만큼 돈을 벌수 있고, 노력하면 자신들의 꿈을 이룰 수 있는 사회이지만 노력하지 않는다면 아무것도 얻을 수 없는 냉정한 사회이자 돈에 의해 지배되는 사회였다. 노력하여 자신들의 꿈을 이루고자 하는 일부 연구참여자들은 남한사회에서의 밝은 미래를 꿈꾸는 반면 다른 일부의 연구참여자들은 이방인으로서의 삶만 존재하는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느니 차라리 대한민국을 떠나 차별 없이 살 수 있는 제 3국에서 자리를 잡고자 했다. 또 다른 일부 연구참여자들은 사회적 차별 때문에 노력 없이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는 냉정한 사회에 지친 나머지 자신의 삶에 무관심하기도 하였다.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한 바, 비자발적으로 혹은 청소년기에 탈북 해야 했던 청소년들에게 탈북의 의미가 가족인 만큼 탈북가족지원체계를 구성하여 상담지원서비스 등을 제공함으로써 심리적 안정을 도와주고, 학교에서 탈북청소년들의 적성과 관심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이탈 없이 마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탈북청소년 교육전담지원체계 구축 방안 등을 제언 하였다.

      • KCI등재

        여대생의 평화의식 및 평화교육 필요성에 관한 연구

        원미순 한국거버넌스학회 2013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0 No.2

        The practice of peace education is required as alternatives to establish the culture of peace in the age that anti-peace phenomenon, such as the threats of war and terror, the heightening of tension within Korean peninsula, deepening of violence and conflicts of the society, have intensified. Particularly, it is considered significant for women who are the most vulnerable to the violent and anti-peace conditions to empower their capacity of peace to be a leader of peace realization through enhancing their peace consciousness and exhibiting maternal instinct abilities of peace-loving and the women’s inherent sense. Thereb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necessity of peace consciousness and peace education of college women students and produced the preliminary data for developing the peace education for women students by exploring the relevant elements. To do so, 1,000 students of first grade to fourth from S Women University in Seoul were surveyed. Seventy eight percent of the respondents reported no experience of peace education, and most of the peace education which the respondents received was workshops and special lectures. The rate of the respondents who received peace education as a regular course was low. The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conceiving peace as the concept in the “individual and microscopic perspective” was high while the perception of “proactive peace concept” was low.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element threatening peace directly relevant to an individual was high but that of the macroscopic perception was low. However, it was proven that the grade, major and peace threats, in the order named, were the influencing variabl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riables relevant to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peace education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plans for peace education for women students. 본 연구는 여대생들의 평화의식과 평화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관련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여대생 대상의 평화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소재 S여자대학교에 재학중인 1~4학년 여학생1,000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 중 78%는 평화교육을 경험해보지 못했으며, 경험자의 대부분은 특강이나 워크숍 형태의 경험을 했고, 정규교과과정으로 수강한 비율은 낮았다. 평화를 ‘개인적이고 미시적인 차원’의 평화개념으로 인식하는 비율이높았으며, ‘적극적인 평화개념’에 대한 인식은 낮은 비율을 보였다. 개인과 직접적 관련이있는 평화위협 요인에 대한 인식 수준은 높았으나 거시적 관점의 평화위협 요인들에대한 인식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평화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있는 변인을 알아본 결과, 학년과 전공, 평화위협 요인에 대한인식수준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근거로 여대생 대상의 평화교육 방안에대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여대생들의 평화역량 강화를 위해서 적극적 평화개념에 대한인식, 세계와 자신의 상호적 관계를 이해하는 거시적 관점의 함양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평화통일에 대한 관심과 실천력을 키워야 한다는 점과 이를 위하여 다양한 교육방법과교육자료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전공연계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의 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원미순,박혜숙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08 학교사회복지 Vol.- No.15

        Korean universities' interest in experiential education and needs to collaborate with industrial organizations has grown recently. Along with this, interest in Service-Learning embedded in course work (Academic Service-Learning) has grown in the university setting because of its potential to enhance students' learning competency and cognitive and motivational aspects. This action research conducted during one social welfare course h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rvice-Learning Experience on the following aspects(dimensions), such as social responsibility, career prepar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rvice learning experience on the above four aspects(social responsibility, preparation for careers,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n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Students' semester-long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Service-Learning activities enhanced their motivation and career preparation. It is conjectured that the introduction of Service-Learning activities during the various courses are beneficial for students' learning. 최근 대학교육에 있어서 경험교육의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산학협력의 필요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학습능력 향상과 인지·정의적 성장의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전공연계 봉사-학습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응용실천학문으로서 현장경험교육의 요소를 중요시하고, 사회적책임감, 자기효능감 등 실천 가치를 강조하는 학문 분야인 사회복지전공 교과목에서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을 진행하고 현장연구(Action Research)를 수행함으로써 봉사-학습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즉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봉사-학습의 효과로 밝혀진 사회적책임감, 학습동기화, 직업준비도, 자기효능감에 있어서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 분석한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봉사-학습 효과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분석하기 위하여 통제집단을 둔 사전-사후검사설계로 분석하였으며, 학습에 대한 동기화와 직업준비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분석결과를 얻었다. 이는 봉사-학습의 교육적 유용성을 보여준 결과라고 할 수 있으며, 봉사-학습 교수법은 향후 다양한 전공과정에서 전공별 특성에 맞게 적용해볼 만한 새로운 교수법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원미순,박혜숙 한국거버넌스학회 2010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7 No.3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nd how adult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volunteering activities affect their citizenship. Administering surveys to adults of 19 years old and over who live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in 2009.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1,093 adults obtained from the survey. Those who had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volunteering activities obt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citizenship scale than the other nonparticipants. Selecting 332 volunte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four categories such as individual, affective, cognitive, and activity dimension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itizenship scale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each multiple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age from individual characteristics, altruism from the affective dimension, knowledge & perceptions of volunteering activities and definition of volunteerism from the cognitive dimens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volunteering experience, management, and placement of personnel from the affective dimension turned out to be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each regression model. In the integrated model, the effect of each variable appeared in the order of definition of volunteerism,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volunteering activities, altruism, placement, and religion. In order to enhance citizenship, education of volunteers, civic education, and management of volunteers in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자원봉사경험유무에 따라 시민의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만약 차이가 있다면 자원봉사관련 변인들이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나이, 성별, 거주지의 인구비율을 고려한 체계적 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1,093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t-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자원봉사경험을 갖고 있는 집단이 자원봉사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시민의식의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한편 자원봉사관련 변인들이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대상자 중 332명(최근 1년 이내 자원봉사참여경험을 갖고 있는 자)을 선별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특성, 정의적특성, 인지적특성, 활동경험특성의 4가지 모형으로 나누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구사회학적특성변인 중에서는 ‘연령’, 정의적특성 중에서는 ‘이타적동기’, 인지적특성 중에서는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인식’과 ‘자원봉사개념에 대한 인식’, 경험적특성 중에서는 ‘참여만족도’, ‘직무관리’, ‘업무배치요인’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모형 분석결과를 유의수준과 효과크기가 큰 순으로 살펴보면 ‘자원봉사개념에 대한 인식’,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인식’, ‘이타적 동기’, ‘기관의 업무배치’, ‘종교유무’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시민의식을 고양하기 위한 자원봉사자 교육 및 시민교육 방안, 기관에서의 자원봉사자 관리 방안 등이 모색되었다.

      • KCI등재

        학교환경이 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고등학생 비교

        원미순 ( Mi Soon Won ),박미현 ( Mi Hyun Park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환경’요인이 중·고등학생의 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8개 중·고등학교의 학생 64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인권감수성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중학생집단과 고등학생집단으로 구분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두 집단 간의 차이검증과 회귀분석을 통하여 인권감수성 및 학교환경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학교환경이 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학교환경이 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 중학생들은 ‘학교전체환경’과 ‘교사환경’의 영향이 컸고, 고등학생들은 ‘학교전체환경’과 ‘학급환경’의 영향이 나타나 중·고교 간에 영향요인이 다른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학교전체환경’은 중학생들의 인권감수성에는 부적(-)영향을 고등학생들의 인권감수성에는 정적(+)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방향성에 있어서도 중·고교 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환경 속의 인간’ 관점에서 인권감수성 연구를 시도함으로써 인권교육에 있어서의 친인권적 환경의 중요성을 제기하였고, 중·고등학생집단을 분리하여 학교급별 영향요인을 구체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친인권적 학교환경 조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test the impacts of the school environment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uman rights sensitivity. For this purpose, 640 students from eight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were surveyed. Due to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the data were analyzed dividing the subjects into two groups, a middle school students’ group and a high school students’ group. Using paired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of student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heir perception of school environment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impacts of the school environment on their human rights sensitivity. The test results of the impacts of the school environment on their human rights sensitivity showed that ‘school climate’ and ‘teacher climate’ had great impacts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school climate’ and ‘classroom climate’ had impacts on the high school students, so it was found that influencing factor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were different betwe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ularly, the current study found that the direction of an influencing factor was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reporting a negative impact of ‘school climate’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a positive impact by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raised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friendly environment in human rights education by attempting a study on human rights sensitivity from the ‘person-in-environment’ perspective and provided foundational knowledge necessary for creating human rights friendly school environment by identifying influencing factors applied to different school levels by separating middle school students’ group and high school students’ group.

      • KCI등재

        바롬인성교육에 나타난 사회혁신가 자질 요소 분석

        원미순(Won, Mi-Soon),김수영(Kim, Sooyoung),윤수진(Yoon, Suji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최근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서 사회혁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사회혁신의 주체로서 대학이 주목받고 있다. 서울여자대학교 바롬인성교육은 개교 이래 60 여 년 간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하는 인재 양성’의 목표를 필수 교육과정으로 구현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바롬인성교육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교육과정에 나타난 사회혁신가 자질 요소를 분석하여 오늘날 대학에서의 사회혁신교육 실천에 주는 함의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바롬인성교육에 대한 대학의 공식출판도서와 연구보고서 등 6권의 문헌을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바롬인성교육은 단계별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사회에 기여하는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철학이 담긴 교육과정과 실천 중심의 사회문제해결 수업을 통해 사회변 화에 실제적으로 기여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질적 분석 방법인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 결과, ‘협력적 자기이해’, ‘협력적 자기관리’, ‘공동체의식’, ‘공감과 의사소통’, ‘종합적 문제해결능력’, ‘시민의식’, ‘리더십’의 총 7개의 사회 혁신가 자질 요소가 도출되어 바롬인성교육 과정에서 사회혁신교육으로서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대학이 사회혁신교육을 수행함에 있어서 단계적이고 장기적인 학생 성장 목표를 가지고 교육을 편성하고, 학교 전체가 사회혁신교육의 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합의와 정서적 지지, 학교 차원에서의 행⋅재정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social innovation serving as a new approach to social problem solving, and universities have gained much attention as social innovation actors. Since its establishment, Seoul Women’s University has been implementing Bahrom Character Education curricula as required courses, with the educational goal of “raising talents contributing to social value re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changes of Bahrom Character Education, to analyze the social innovator attributes from the curricula, and to investigate its implications on the social innovation education practices of today’s universities. To meet this end, the six major publications and research reports on ‘Bahrom Character Education’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findings convinced us that (1) each stage of Bahrom Character Education reflected the needs of the era, (2)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raising talents contributing to society” were embedded in the curricula, and that (3) action-oriented social problem solving courses helped the students to contribute to authentic social changes. Moreover, thematic analysis highlighted seven social innovator attributes: ‘collaborative self-understanding’, ‘collaborative self-management’, ‘sense of community’, ‘empathy and communication’, ‘comprehensive problem solving ability’, ‘citizenship’, and ‘leadership’, all of which shows that the curricula of Bahrom Character Education include key characteristics of social innovation education.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ies should make step-by-step as well as long-term growth goals for social innovation education and that the whole campus should establish social innovation education-friendly environments. However,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ll university members should come to a consensus about the matter, and further provide psycho-soci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t the school level.

      • 고학력 여성유휴인력의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홍순혜,원미순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06 여성연구논총 Vol.21 N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ways to facilitate the participation in voluntary activities among unemployed females with higher educadon. Data consisted of the replies of 155 unemployed females who graduated from 4-year univers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43.4% of the respondents participated in voluntary activities in the past, 21.7% currently participating, and 34.9% with no such experiences. Approximately 70%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voluntary activities and altruistic reasons were most important in their acts. The respondents having religion, belonging to social organizations, believing that personal improvement is related to community development or that helping needy people is community's responsibility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voluntary activities. Many of voluntary activity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ype, length of time and amount of their activities, but responded that the activities were not related to their university major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reasons of non-participation were lack of time and energy due to house-keeping, child-raising, and care-giving and lack of knowledge about the organizations to volunteer for and the ways to participate. Regardless of previous volunteer experiences, about 96% wished to continue the participation in voluntary activities. The ways to facilitate the participation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