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表現論的 接近과 單語形成論

        정한데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There are two ways for word formation study. One is semasiological approach study which is ‘language → concept’ direction, and the other one is onomasiological approach study which is ‘concept → language’ direction. Based on former approach, a number of word formation research have been examined so far, while the latter approach begin in earnest in Korean linguistics recently. In onomasiological approach study, nonce words from data of naming task and word refining are very important sources for research. There are, however, some critical opinions. This paper aims to examine each answer for three questions, and to emphasize the meaning of nonce words study in onomasiological approach. A number of word study had been based on only words of dictionary began to expand research objects to nelogisms. Likewise, nonce words can be major research objects of word formation as well in the future. 정한데로, 2019, 표현론적 접근과 단어형성론, 183 : 117~144 단어에 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진다. 하나는 ‘언어 → 개념’의 ‘해석론적 접근’이고, 다른 하나는 ‘개념 → 언어’의 ‘표현론적 접근’이다. 그간의 많은 연구가 전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면, 최근에는 후자의 관점에서도 단어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표현론적 접근의 단어 연구에서는 명명 과제 또는 말 다듬기 자료를 활용하여 화자의 임시어를 관찰하는데, 일각에서는 이러한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이 확인된다. 이 글은 표현론적 접근의 단어형성론과 관련한 세 가지 물음의 답을 모색하면서, 표현론적 접근의 임시어 연구가 지닌 의의를 강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때 ‘사전등재어’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단어 연구가 ‘신어’로 연구 대상을 확장하였듯이, 앞으로는 ‘임시어’도 단어형성론의 주요 연구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臨時語의 實在性 確立을 위하여

        정한데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1 No.1

        Is it actual words that a word is formed through motivation for representing specific conception? Otherwise, is it actual words that a word is on the institutionalization after formation? This paper argues all words, even nonce words without institutionalization, should be actual words. In order to support this argument, I try to investigate existence of nonce words on new system, a pair of possible words and listed words, not possible words and actual words. In addition, I try to revise Bauer(1983)’s history of a lexeme, ‘nonce formation→institutionalization→lexicalization’. First of all, I divide word formation research and word change research with micro level and macro level criteria. Then I make sure institu- tionalization is applicable to lexicalization as well as nonce formation, that is to say two ways of word research should be done, ‘nonce formation→institutionalization’(word formation research) and ‘lexicalization→insti- tutionalization’(word change research). 특정 개념을 표현하려는 動機에 따라 화자가 순간적으로 만들어낸 단어는 實在語일까? 아니면 그 단어가 발화 공동체 내에서 承認을 얻을 때 비로소 실재성이 획득될까? 이 글은 前者의 입장에서 화자의 言語 能力을 통해 만들어진 단어라면 실재어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可能語-實在語’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정한데로(2011)에서 제안한 ‘可能語-登載語’의 새로운 기준에 依據해 체계 내에서 임시어의 실재성을 捕捉하고자 하였다. 한편, Bauer(1983)의 ‘臨時語 形成 → 公認化 → 語彙化’ 3단계도 새롭게 體系化하였다. 미시적․개인적 차원, 거시적․사회적 차원의 기준을 바탕으로 單語 形成 硏究와 單語 變化 硏究의 두 方向을 구분하고, 공인화가 임시어 형성뿐 아니라 어휘화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기제임을 주장하였다. 즉, ‘임시어 형성 → 공인화’(단어 형성), ‘어휘화 → 공인화’(단어 변화)의 체계로 어휘화의 대상은 물론 임시어 형성의 대상도 실재어로 분류해야 한다.

      • KCI등재

        『장한몽』 한자 병기 어휘와 공인화

        정한데로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아시아문화연구 Vol.45 No.-

        There are some words written with chinese characters in Jang-Han-Mong which is adapted novel by Jung-hwan Jo. This paper aims to observe and describe elaborately how listedness of these words had been changed in dictionaries, 2nd edition(1911) and 3rd edition(1931) of Han-Yeong-Ja-Dyeon by J. S. Gal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se words which are 543 type frequency and 634 token frequency, and is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institutionalizations. We could find some reasons why Jung-hwan Jo wrote these chinese characters in his novels. First of all, he marked chinese characters `because he wanted readers of this book in Korean speech community to understand inexperienced words at that time. Words in the object of this study consist of some neologisms which were made in Korea or imported from Japan, some words which have each homograph, some monosyllable words which are unperceivable, and some Chinese writing composition which is four syllables. 일재 조중환의 번안소설 『쌍옥루』와 『장한몽』은 한자 병기 어휘가 두루 관찰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 가운데 이 글은 『장한몽』 내 한자 병기 어휘를 전수 조사하고 각 유형을 세부적으로 분류한 후 ‘한글(한자)’ 형식으로 병기된 예를 중심으로 유형빈도 및 출현빈도 양상을 정리하였다. 유형빈도 543회․출현빈도 634회의 단어 및 구성이 『장한몽』(1913) 제작 시기 전후로 어떠한 사회적 지위 변화를 겪었는지 게일(J. S. Gale)이 편찬한 『한영뎐』 재판(1911)과 『한영대뎐』 3판(1931)을 활용하여 공인화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장한몽』 내 한자 병기 어휘는 다양한 원인에 근거하여 등장한 것으로 판단된다. 먼저, 다수의 단어가 당시 언중들에게 낯선 개념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사전 등재어일지라도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신어나 그 이전 시기 문헌에서 출현 용례를 쉽게 관찰하기 어려운 단어들도 섞여 있었다. 또한 이른 시기부터 동형이의어가 실재하였던 단어, 1음절 한자어, 4자 구성의 한자나 한문 구성에도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한자를 병기하였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 글은 각 복합 구성의 당시 사회적 지위를 보다 정확하게 관찰하기 위해 이들을 단순 분석하기보다는 복합 구성 및 구성성분의 사전 등재 양상을 별도로 조사하였다. 사전을 활용한 연구라는 점에서 근본적인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동일한 저자(게일)가 증보한 사전에서 관찰되는 표제어 등재 양상 변화를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당시 어휘들의 사회적 지위를 추정한 데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한중 식물명의 단어 형성 - 동일 대상의 개념화를 중심으로 -

        정한데로,련정(连静)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3 언어사실과 관점 Vol.58 No.-

        이 글은 명명구조와 성분의미의 대응 양상을 토대로 한국과 중국 식물명의 일치 유형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동일 식물의 명명 과정에 적용된 양국 언어의 개념화 작용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총 2,631개의 식물명을 대상으로 완전일치, 부분일치, 불일치 유형을 조사한 결과, 완전일치 유형은 전체의 3.19%, 부분일치 유형은 11.97%, 불일치 유형은 약 85%의 분포가 확인된다. 표현론적 표지(Y)와 표현론적 핵(X)으로 구성된 식물명은 Y의 실현 양상이 부분일치 유형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드러난다. 완전일치 및 부분일치 유형의 명명구조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명명구조 개념은 <장소+식물명>이다. 뒤를 이어 <형태특성+식물명>, <감각+식물명>의 명명구조도 다수 확인된다. 식물의 서식 및 발견 장소, 외현적으로 드러난 형태특성, 화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된 감각 개념과 같이 식물의 여러 속성 중 현저한 특징 일부가 식물명 명명 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된다.

      • KCI우수등재

        명명 과제를 활용한 단어 형성의 개념화·언어화 연구 -동일 화자의 반복 조사를 중심으로-

        정한데로 국어학회 2019 국어학 Vol.0 No.90

        단어 형성 연구의 핵심은 ‘화자가 목표한 대상을 어떻게 언어로 표현’했는지 밝히는 데에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화자가 ‘대상을 어떻게 개념화’하였는지, 그리고 ‘개념화한 결과를 다시 어떻게 언어화’하였는지 단계적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민의 답을 찾기 위해서는 화자가 능동적으로 표현해 낸 실재어를 대상으로 직접적인 조사와 분석이 가능하다. 이 글은 개별 화자가 명명 과제(naming task)를 통해 즉각적으로 만들어 낸 임시어를 대상으로 각 단어의 개념화 및 언어화 양상을 탐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특히, 동일 화자가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2회에 걸쳐 만든 임시어의 특징을 살피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방법론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단어형성론적 의의를 논의한다. 우리는 개별 화자로부터 수집한 각 자료가 지닌 언어학적 가치에 주목하며, 방언 및 말뭉치 연구와 마찬가지로 단어형성론에서도 이러한 접근의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남북한 식물명의 단어 형성 -표현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정한데로 국어학회 2024 국어학 Vol.0 No.109

        같은 대상일지라도 서로 다른 화자가 각자의 상황(상이한 공간, 시간, 맥락)에 맞추어 이를 달리 명명하였다면 그 각각의 결과는 오늘날 동의어로 인정된다. 식물명 자료는 하나의 대상이 복수의 이름을 지닌 경우가 빈번하다는 점에서 화자의 명명 과정을 탐구하는 연구자에게 무척 흥미로운 연구 대상이다. 다채로운 이명(synonym)을 대상으로 상호 차이를 비교 분석할 수 있고, 또 특정 지역에 따라 경향성을 띠고 나타나는 이명의 특성을 일반화해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중 이 연구는 남한과 북한에서 각각 정명(표준명, accepted name)으로 채택된 식물명을 중심으로, 표현론적 접근에 기초하여 개념화 및 언어화 단계에서 관찰되는 특성을 조사하고 그 양상을 정리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1,386개의 남북한 자생식물 복합구성 대응 쌍을 놓고, 표현론적 표지(Y)가 역동적으로 실현된 ‘Y 불일치, X 일치’ 유형([A], [a])을 분석하였다. ‘남한:북한’의 Y 개념 대응 쌍 가운데 ‘단일개념:단일개념’이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이며, 특히 <속성> 및 <상황> 개념이 식물명 형성에 활발히 관여한다는 사실을 관찰하였다. ‘단일개념:복합개념’의 높은 비율은 북한이 남한보다 구체화된 개념적 표현으로 표준화된 식물명을 인정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The same object may be named differently by different speakers to suit their circumstances (different spaces, times, contexts), and each result is recognized as a synonym. The plant name is a fascinating study for researchers interested in exploring speakers' naming processes, as a single object often has multiple names.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various synonyms, as well as to generalize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names that tend to occur in certain regions. This study focused on plant names adopted as accepted names in North and South Korea, respectively, and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bserved in the conceptualization and verbalization stages based on an onomasiological approach. I analyzed 1,386 pairs of compositional correspondences of native plants from North and South Korea, and analyzed the 'Y mismatch, X match' type ([A], [a]) in which the onomasiological mark (Y) is dynamically realized. Among the Y correspondence pairs of 'South Korea:North Korea', 'single concept:single concept' has the highest distribution, and I observed that <quality> and <concomitant circumstance> concepts are actively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plant names. The high proportion of 'single concept:complex concept' shows that North Korea has standardized plan names with more specific concepts than South Korea.

      • KCI등재

        어휘 변화의 세 방향 : ‘보- ’를 중심으로

        정한데로 도서출판 박이정 2012 형태론 Vol.14 No.1

        하나의 어휘 항목이 지니는 의미는 실제 언어 사용 현장에서의 다양한 쓰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 이 글의 목적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공시적 변이’와 ‘통시적 변화’의 통일된 시각에서 ‘단일어의 의미확장’, ‘복합어의 어휘화’, ‘통사적 구성의 문법화’를 대상으로 고찰하는 데에 있다. ‘변이’의 측면에서는 화용적 맥락에 따른 이들 대상의 다양한 해석 가능성에, ‘변화’의 측면에서는 ‘의미확장’, ‘어휘화’, ‘문법화’가 보이는 평행한 양상에 초점을 둔다. 무수한 ‘변이’의 가능성 가운데 일부 특정한 대상만이 ‘변화’에 참여한다. 그 과정의 중심에 ‘등재’가 있다. 등재는 고정되어 있지 않은 다양한 맥락의존적 양상 가운데 일부를 골라 기억하는, 일종의 ‘어휘부 내 고정화 과정’이다. 전체 과정은 다음과 같다. 맥락의존적 측면에서 ‘단일어’의 의미비유와 ‘복합어, 통사적 구성’의 형성이 보이는 ‘공시성’에 주목할 수 있다. 또한 위 그림을 통해 ‘어휘화’와 ‘문법화’의 평행한 양상을 포착할 수 있다. The meaning of a lexical item is continuously changed by various usages particular to the situations in which the language is used. Accordingly,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1) the meaning extension of simple words, 2) the lexicalization of complex words, and 3) the grammaticalization of syntactic constructions. It is considered that they have a variety of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in the viewpoint of variations by pragmatic contexts, and have parallel phenomena in the viewpoint of changes such as meaning extension, lexicalization, grammaticalization. The particular lexical items in various possibilities are able to participate in changes and consequently, in the middle of the process a phenomenon called listedness occurs, which is a kind of the fixation in the lexicon allowing the speaker to memorize some parts of a variety of context-dependent state. The process is as follows: On the aspect of context-dependency, it is important issue that the metaphor and metonymy of simple words, the formation of complex words and syntactic constructions have synchronic properties. Besides, we can find the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the lexicalization and the grammaticalization.

      • KCI등재

        플립러닝을 활용한 대학 수업 사례 연구: 한국어학 전공을 중심으로

        정한데로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9 언어와 정보 사회 Vol.37 No.-

        Recently, there are a number of professors who are using flipped learning for their own classes in the university. However, some problems can be found in the process of designing flipped learning. For example, someone will not concentrate on designing work sheets for students in the class but will only make video lectures. This paper aims to review three educational methods for flipped learning in class, and emphasize authentic educational effects of flipped learning. Three kinds of educational methods, Learner Centered Education, Problem Based Learning(PBL), and Blended Learning, are necessary for true flipped learning. And these have some common features: ① learner driven learning, ② collaborative Learning and interaction, ③ confidence between teacher and learner, ④ linking between learning contents and experience.

      • KCI등재

        한국 음식명에 관한 형태론적 고찰

        정한데로,백정옥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2 언어사실과 관점 Vol.55 No.-

        This paper aims to analyz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bserved in Koreanfood names, targeting a total of 1,043 Korean food names. Specifically, the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names were explored by analyzing thecombination of constituents of words, morphological structure, and semanticcomponent arrangement patterns.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In the nameof Korean food, morphological complex words are overwhelmingly high, withcompound words accounting for 92.71% and derivatives accounting for 5.08%. Inmany cases, Korean food types such as rice and soup were located in the headof words, and the composition of verb+affix in which cooking behavior verbs(stew, fry, etc.) participated was also high. Food names consisting of three ormore morphemes showed dynamic aspects in morphological structure. As a resultof investigating the arrangement of semantic components, the Korean food namearranged as 'material + food type'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with 40.84%. We researched the individuality of Korean food names by comparing Chinesefood names in part. .

      • KCI등재

        신어로 바라본 한국의 대중문화 - 1994년, 2004년, 2014년 신어를 중심으로

        정한데로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0 아시아문화연구 Vol.53 No.-

        단어를 만드는 것은 특정 화자 개인이지만, 단어는 언어 공동체 내에 수용(공인화)될 때 비로소 온전한 지위를 유지할 수 있다. 초기 단어 형성 과정도 사회적(언어 외적) 맥락과 동떨어져 있지 않다는 점에서, 단어의 탄생과 확산은 사회‧문화적 요소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신어는 사회 변화와 새로운 문화 현상의 출현을 가시적으로 드러내는 결과물이다. 구성원 다수의 삶 속에서 활발히 생산되고 소비되는 문화 전반을 ‘대중문화’로 이해한다면, 대중문화는 ‘텍스트의 생산, 생산된 텍스트, 텍스트의 수용’이 복합된 결정체이다. 이러한 대중문화의 특성은 신어가 지닌 ‘임시어의 형성, 임시어, 임시어의 공인화’와도 정합적으로 대응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곧 ‘대중문화’와 ‘신어’의 상관성에 집중함으로써 신어를 매개로 각 시대별 대준문화의 제 양상을 정밀하게 관찰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글은 국립국어원에서 발표해 온 1994년, 2004년, 2014년 신어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각 단어가 형성 당시의 사회적 맥락과 어떠한 연결 고리를 지니는지 찾고, 이를 통해 일부 신어로부터 시대별 사회 및 문화 요소를 포착해 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각 시기 신어에서 드러나는 구성적 형식은 물론이고, 몇 가지 주제별(‘의식주’, ‘방송/미디어, 공연/영화/음악’, ‘컴퓨터/통신, 인터넷/휴대폰’, ‘건강/스포츠, 취미/여행, 미용/쇼핑’) 내용에 따른 경향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해당 시기의 기사 자료를 참고하면서 신어 형성 과정에 당시의 어떠한 사회적 사건과 배경이 관여하였는지 기술하였다. 아울러 오늘날까지도 지속적으로 쓰이고 있는 단어와 현재 그 쓰임을 거의 찾기 어려운 단어들도 함께 언급하였다. People can make a new word(nonce word), afterward the word can be accepted by members of own speech community.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s considerably important factor for word formation study because words basically include atmosphere and interest of people at that time. Therefore neologism is visible output of things that show social change and occurrence of new culture. Popular culture consist of three constituents, that is producing of text, produced text, and acceptance of text. Remarkably, these characters are parallel with that of neologisms. Neologisms need three factors, that is nonce formation, nonce word, and institutionalization. It means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ship between popular culture and neologisms. This paper aims to examine social and cultural features from 1990’s to 2010’s by monitoring neologisms of each time. We can find some patterns from both their structural feature and contents classification. In particular we deal with some representative subjects, which is ‘food, clothing, and shelter, which is the necessities of life’, ‘broadcasting/media, concert/film/music’, ‘computer/communication, internet/mobile phone’, ‘health/sports, hobby/travel, beauty/shopping’ in a concrete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