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lass-embedded two-dimensional silicon photonic crystal devices with a broad bandwidth waveguide and a high quality nanocavity

        Jeon, Seung-Woo,Han, Jin-kyu,Song, Bong-Shik,Noda, Susumu The Optical Society 2010 Optics express Vol.18 No.18

        <P>To enhance the mechanical stability of a two-dimensional photonic crystal slab structure and maintain its excellent performance, we designed a glass-embedded silicon photonic crystal device consisting of a broad bandwidth waveguide and a nanocavity with a high quality (Q) factor, and then fabricated the structure using spin-on glass (SOG). Furthermore, we showed tha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OG could be tuned from 1.37 to 1.57 by varying the curing temperature of the SOG. Finally, we demonstrated a glass-embedded heterostructured cavity with an ultrahigh Q factor of 160,000 by adjust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OG.</P>

      • SCOPUSKCI등재

        배양한 사람골격근세포에서 PPARγ에 의한 muscle fatty acid binding protein의 발현조절

        전현정,신원식,김정미,홍혜경,박경수,김성연,이홍규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4

        연구배경:Fatty acid binding protein(FABP)는 세포내로의 지방산 이동에 관여하며 이외에도 세포내 지방산의 계면활성작용 효과 중화 및 세포내 신호전달체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세포내 대사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FABP은 간, 지방조직, 심장 뿐만 아니라 골격근 내에도 전체 단백질의 2%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PPARγ는 지방대사에 관여하는 중요한 전사인자로서 간이나 지방조직의 FABP는 모두 PPARγ에 의해 전사가 조절되며, FABP의 promoter 부위에는 PPRE( PPARγ responsive element)가 있음이 증명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이나 지방조직의 FABP발현조절에 PPARγ가 관여함에 근거하여 근육에서의 FABP의 발현조절에 PPARγ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배양된 사람 골격근세포를 이용하여 mFABP의 발현에 PPARγ가 관여하는 지를 알아보았다. 방법:사람 골격근조직으로부터 골격근아세포를 분리하여 4∼6주간 SkGM으로 배양한 후 4일간 αMEM으로 배양하여 골격근세포로 분화시켰다. 4일간의 분화기간 중 PPARγ ligand인 troglitazone을 주거나 분화기간 중 3일째에 재조합 Ad­ PPARγ1를 형질도입시킨 후 48시간 뒤에 세포를 수거하여 mFABP의 mRNA발현을 측정하였다. 결과:배양된 사람 골격근세포의 mFABP발현은 PPARγ ligand인 troglitazone 자극에 의해 약 4배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재조합 Ad­β­galactosidase를 이입시킨 후에는 mFABP의 발현은 변화가 없었으나 재조합 Ad­ PPARγ1를 이입시킨 경우에는 이입시킨 양에 따라 mFABP의 mRNA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결론:사람 골격근세포에서 MFABP는 PPARγ ligand 및 PPARγ양의 증가에 의해 발현조절됨을 보여주고 있다. Background : Fatty acid binding protein (FABP), putative mammalian fatty acid transporter, plays a role in fatty acid transport, the modulation of cellularsignal transduction pathways and the protection against detergent like effects of fatty acids. FABP found in liver, adipose tissue, heart, skeletal muscle and FABP in skeletal muscle accounts for 2% of total protein mass. FABP expression has shown to be up-regulated by PPARγ in liver and adipocyte. Adipocyte and liver FABP genes have a functional PPRE (PPARγ responsive element) in their promoter region. This evidence led us to investigate for a possible the regulation of m FABP expression by PPARγ in cultured human skeletal muscle cell. Methods : Myoblast were cultured in SkG M for 4weeks and were differentiated into myocyte in αMEM for 4days. The myocytes were treated with PPARγ ligand (troglitazone : 5 ㎍/ mL) or transduction with adenovirus-PPARγ1 (Ad-PPARγ1). m FABP expression was identified by northern blot. Results : m FABP expression was up-regulated by 4.0± 1.2 fold in the PPARγ ligand (p < 0.05). There was increased in m FABP expression with transduction with adenovirus-PPARγ1 while there was no change in m FABP expression which transducted with adenovirus -β-galactosidase. Conclusion : These results demonstrates that m FABP expression is up-regulated by both PPARγ ligand and by PPARγ1 over expression in cultured human skeletal muscle cells (J Kor Diabetes Asso 413~420, 2000).

      •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에서 지형학적 청각 사건 관련 전위의 임상적 의의

        임태식,한상익,전양환,방승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소아정신과 영역에서 가장 흔한 질환인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의 생활학적 표지자로서 지형학적 청각 사건관련전위의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치료 전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 22명과 대조군인 정상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지형학적 청각 사건관련전위 N100과 P300의 잠복기와 전위값을 Global Field Power Measurement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그리고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들을 치료제인 methylphenidate로 8주간 치료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N100과 P300의 잠복기와 전위값을 구한 후, 치료 전 후 그리고 정상대조군 세 군간의 N100과 P300의 잠복기와 전위값을 비교하였다. 결과: N100 잠복기는 치료 전 ADHD군과 정상 대조군, ADHD군 치료 전 후, 치료 후 ADHD군과 정상 대조군 등 세 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료 전 ADHD군의 N100 전위값은 정상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P300 잠복기와 전위값은 공히 치료 전 ADHD군과 정상 대조군. ADHD군 치료 전 후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치료 후 ADHD군과 정상 대조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지형학적 청각 사건 관련 전위의 N100 잠복기은 주의력결핍 과잉운동 장애의 상태 표지자로서 의의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P300 잠복기와 전위값은 상태 표지자일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vailability of topographic auditory event related potential P300 as a biological marker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Methods :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children with ADHD(n=22 ; 16 boys, 6 girls; mean age=89.8±17.1months) and normal controls(n=20 ; 12 boys, 8 girls ; mean age=90.6±16.8months). Topographic auditory event related potential was measured by "oddball paradigm",and the latencies and amplitudes of P300 of both groups were determined by Global Field Power Measurement. After 8 weeks treatment with methylphenidate, P300 of ADHD children were also measured. Results : Both P300 latency and amplitude were not different between ADHD children after treatment and normal controls, bu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DHD children before treatment and normal controls, and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of ADHD children. Conclusion : The results implicate that the latency and amplitude of P300 may be considered as state markers of ADHD.

      • SCISCIESCOPUS

        Simultaneous nutrient removal and lipid production from pretreated piggery wastewater by Chlorella vulgaris YSW-04.

        Ji, Min-Kyu,Kim, Hyun-Chul,Sapireddy, Veer Raghavulu,Yun, Hyun-Shik,Abou-Shanab, Reda A I,Choi, Jaeyoung,Lee, Wontae,Timmes, Thomas C,Inamuddin,Jeon, Byong-Hun Springer International 2013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97 No.6

        <P>The feasibility of using a microalga Chlorella vulgaris YSW-04 was investigated for removal of nutrients from piggery wastewater effluent. The consequent lipid production by the microalga was also identified and quantitatively determined. The wastewater effluent was dilut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20 to 80 % of the original using either synthetic media or distilled water. The dilution effect on both lipid production and nutrient removal was evaluated, and growth rate of C. vulgaris was also monitored. Dilution of the wastewater effluent improved microalgal growth, lipid productivity, and nutrient removal. The growth rate of C. vulgaris was increased with decreased concentration of piggery wastewater in the culture media regardless of the diluent type. Lipid production was relatively higher when using synthetic media than using distilled water for dilution of wastewater.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accumulated in microalgal biomass was dependent upon both dilution ratio and diluent type. The microalga grown on a 20 % concentration of wastewater effluent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was more promising for generating high-efficient biodiesel compared to the other culture conditions. The highest removal of inorganic nutrients was also achieved at the same dilution condition. Our results revealed the optimal pretreatment condition for the biodegradation of piggery wastewater with microalgae for subsequent production of high-efficient biodiesel.</P>

      • KCI등재

        천연광물을 이용한 황철석 표면 코팅을 통한 폐광산 산성배수 저감 기술 개발

        윤현식(Hyun-Shik Yun),지은도(Eun Do Gee),지민규(Min Kyu Ji),이우람(Woo Ram Lee),양중석(Jung-Seok Yang),박영태(Young-Tae Park),권현호(Hyun-ho Kwon),지원현(Won-Hyun Ji),김기준(Kijoon Kim),전병훈(Byong-Hun Jeon),최재영(Jaeyoung Choi)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폐광산의 산성광산배수(Acid Mine Drainage, AMD)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산성광산배수의 주원인인 황철석 표면을 천연광물 및 시멘트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코팅하여 산성광산배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표면 코팅에 필요한 철이온의 생성을 위해 먼저 산화제 H₂O₂, NaClO 를 이용하여 표준황철석, 영동탄광, 신림광산 시료의 표면을 산화시켰다. 그리고 천연광물(인회석(Apatite), 석회석(Limestone), 망간광(Mangnite), 돌로마이트(Dolomite), 벤토나이트(Bentonite), 시멘트(Cement))를 이용하여 발생된 철이온과 천연광물의 이온을 결합시켜 표면 코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시멘트와 시료의 양을 1:1로 이용하고 4일 이상 진행하였을 때 위의 실험조건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황철석의 표면을 코팅하여 SO₄<SUP>2-</SUP>의 발생이 억제되었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urface coating on iron-sulfide mineral for preventing the product acid mine drainage(AMD) was progressed by oxidation process of sulfide minerals abandoned mine Area. Three abandoned mines, Yongdong coal mine, Sil Lim mine, and Il Koang mine were selected as a sulfide mineral resource due to higher contamination rate. Six coating agents, apatite, limestone, mangnite, dolomite, bentonite, and cement were used for preventing the AMD with H₂O₂ and NaClO as a oxidizing agent helping for oxidizing process on sulfide mineral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sulfide mineral surface was coated effectively. Cement has a higher ability of preventing AMD when the ratio of cement to mineralis 1:1 and experimental condition is maintaining 4Days.

      • KCI등재

        Dystrophin Degradation in Skeletal Muscles with Lipid Enrichment in Cattle

        Sung-Hwan Jeon(전성환),Ah-Young Kim(김아영),Eun-Mi Lee(이은미),Eun-Joo Lee(이은주),Il-Hwa Hong(홍일화),Ok-Kyung Hwang(황옥경),Kyu-Shik Jeong(정규식) 한국생명과학회 2016 생명과학회지 Vol.26 No.5

        풀사료를 주식으로 하며 자유롭게 방목되는 호주산 소와 곡물사료를 주식으로 하며 상대적으로 제한된 면적의 축사에서 사육되는 한국산 소의 두 가지 근육에서 디스트로핀 단백질 발현 수준을 비교하였다. 총 244 두의 식용소 도체로부터 양국에서 같은 부위의 골격근 조직을 채취하고 10% 중성 포르말린을 이용해 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방 침착률이 골격근 막 관련 단백질들의 소실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는데, 특히 디스트로핀이 지방이 침착된 골격근에서 가장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동시에 CD36이 지방이 침착된 골격근에서 가장 풍부하게 발현하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렇게 정상 골격근의 구조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세포골격 단백질들의 소실에는 산화적 스트레스에서부터 사료의 종류에 따른 산화 지질 및 운동, 기후, 성장 기간 등의 환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육 조건들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여겨졌다. 디스트로핀은 근형질막 관련 단백질들 중에 근이영양증이나 근육 변성과 관계된 가장 민감한 막 단백질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람의 근이영양증 관련 연구를 비롯해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근육질환의 기전을 찾는 연구에도 중요한 초석이 될 것으로 보이며, 나아가 근이영양증 기전 규명을 위한 기초연구뿐만이 아니라 치료를 위한 실용화 연구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uscular dystrophin levels in freely moving Australian cattle mainly fed grass, freely moving Korean cattle fed mainly a grain diet, and Korean cattle fed a grain diet but housed in a relatively limited space of a cow house. The total skeletal muscle specimens of 244 cattle were collected and immediately fixed in 10% neutral formalin. The same area was biopsied from the cattle in both countries. The findings showed that fatty infiltration is highly correlated with membrane- associated protein degradation in skeletal muscle, and that among several membrane-associated proteins, dystrophin showed the most significant reduction in expression in the cattle with fatty infiltration. Similarly, CD36 was more highly expressed in the cattle with fatty infiltration of skeletal muscle. Various breeding factors, such as oxidative stress; the presence of oxidized lipids in the diet;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exercise, temperature and amount of time spent, may have critical effects on the degradation of normal cytoskeleton proteins, which are required for maintaining normal skeletal muscle architecture. Among the sarcolemma membrane-associated proteins, dystrophin is the most sensitive membrane protein that is involved muscular dystrophy and muscular degeneration. Thus, the present findings may be useful for studies on muscular dystrophy in humans or the pathogenesis of muscular diseases in animal mod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