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수식생이 존재하는 자연하도에서 1차원 수치모형

        송주일,김종우,임창수,윤세의 한국수자원학회 201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4 No.1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방정식에 기초하여 정수 식생이 존재하는 자연하도에 적용 가능한 1차원 수치모형을 제시하였다. 수위계산을 위한 마찰경사는 Darcy-Weisbach의 마찰식에 의해 계산되었다. 각 단면의 전체 Darcy-Weisbach 마찰계수는 하상조도높이, 식생, 식생구역과 비식생구역 사이의 전단저항, 그리고 홍수터와 주수로의 경계면 전단저항을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경계면 마찰계수는 Mertens방법과 Nuding방법에 의해 계산되었다. 제시된 A 1D numerical model for steady flow, based on the energy equation, was developed for natural rivers with emergent vegetations on floodplains and banks. The friction slope was determined by the friction law of Darcy-Weisbach. The composite friction factor

      • KCI등재

        하천구역구분의 기준에 관한 연구

        송주일(Song Ju Il),윤세의(Yoon Sei Eui)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32 No.2B

        현재의 하천구역구분은 평가자의 주관에 의해 경험적으로 보전, 복원 및 친수지구로 구분되고 있다. 보전지구를 구분할 때에는 하천의 자연성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대부분 기술자들의 결과가 일치하지만, 복원지역과 친수구역을 구분할 때에는 도시하천과 전원하천이 혼재하는 경우 그 구분의 기준을 정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구역을 구분하기 위해 우선 보전지구 정비지구로 구분하고 정비지구를 다시 복원지구와 친수지구로 구분하고자 한 기존 연구(송주일과 윤세의, 2008)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기도지역을 중심으로 20개 도시하천의 46개구간, 29개 전원하천의 47개 구간, 19개 산지하천의 48개 구간 등 총 141개 구간에 대하여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천구역구분에서 보전지구 또는 친수지구를 구분하는데 합리적임을 알 수 있었다. 정량화된 기준에 따라 하천을 보전, 복원 및 친수지구로 지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River areas are classified as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recreation zones depending on engineers' opinions from their experiences at present. For conservation zones, almost all engineers have the same opinions because natural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for classific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cide a basis in classifying restoration and recreation zones in mixed areas by urban and reral stream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e an application of a previous study(Song & Yoon, 2008) that suggested two classification techniques to classify conservation or maintenance zones, and reclassify maintenance zones into restoration or recreation zones. The suggested classification techniques of river zones were used to estimate 46 reaches of 20 urban streams, 47 reaches of 29 rural streams, and 48 reaches if 19 mountainous streams to achieve a porpose of this study. The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recreation zones were reasonably divided by results of the suggested techniques. A possibility that quantified criterion could be used to classify river zones was proven in this study.

      • 소하천 시설물의 치수안정성 및 방재성 강화 필요성 연구

        송주일,김정수,윤세의,Song. Ju-Il,Kim. Jung-Soo,Yoon. Sei-Eui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1

        Various characteristics of creek were not considered in designing creek for a long time. As result of that, a lot of reverse functions have been present in creek. In this study, a presentation of creek damage was investigated and differences river form creek design standards were analyzed. The damage of creeks accounts for 37.3 percent of total damage of rivers over the last 6 years. Besides, government should spend more money in restoring creeks. Considering that maintenance rate of domestic creeks is 37 %, counterplan should be prepared to prevent the damage of creeks. There are many kinds of causes in destroyed creek round. Specially, most damage was secondary that was caused by increase of flood elevation according to decrease in conveyance, local scour around structures, and failures because of inappropriate structures such as bridge, culvert, crossbeam, and drop in creek. These destroy types are in bend area. However, current creek design standards do not suggest solutions to prevent damages. Currently, there are no standards for bridge, and appropriate hight and width of culvert. Standards for crossbeam and drop could not reflect characteristics of creek. Therefore, it is need to improve the creek design standards for appropriate design and construction. That could improve flood control and prevention of creeks.

      • KCI등재

        국내 FILL DAM에 대한 BREACH 모형의 적용성 검토

        송주일,원진영,임창수,윤세의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1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wo models such as DAMBRK and BREACH that can calculate the breach outflow depending on time steps affect the simulation result. Furthermore,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a resonable methodology was suggested to build up the emergency action plan (EAP). The DAMBRK and the BREACH models were used to calculate the breach outflow from the Mantaro dam, and the outflow hydrograph estimated by BREACH model was similar to the measured one. Dam crest wide was an important factor for peak flow time. In cases of An-dong dam and upper and lower Mu-ju pumped-storage dam,when the dam crest wide was not considered, the peak flow occurred early, and discharge decreased, so that flooded area decreased. To obtain the breach outflow hydrograph similar to BREACH model simulate, the DAMBRK model could be corrected by adjusting parameters; however, it still includes many uncertainties. Therefore, for fill dam, in order to estimate the hydrograph under the situation of the dam break, the BREACH model is more resonable. Using the hydrograph simulated by BREACH model as input for flood routing could give a higher accuracy than only using DAMBRK model. 본 연구에서는 댐 붕괴 상황 시 시간변화에 따른 유출해석이 가능한 DAMBRK와 BREACH모형의 물리적 해석 방법 차이가 모의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보다 합리적인 비상대처계획 수립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실측된 유출수문곡선이 존재하는 Mantaro댐에 두 모형을 적용하였다. 적용결과 BREACH모형이 실측값과 유사하게 모의를 하였고, 댐 마루폭의 고려여부가 첨두유출발생 시간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안동댐, 무주양수 상·하부댐에 대한 모의 결과에서도 댐 마루폭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첨두유출 발생은 댐 마루폭을 고려하였을때 보다 이른 시간에 발생하였고 첨두유출량은 감소하였으며, 감소된 첨두유출량으로 인해서 홍수범람구역 면적이 작게 산정되었다. DAMBRK모형의 매개변수를 임의로 조정하는 경우 BREACH모형의 모의결과와 유사한 유출수문곡선의 산정이 가능함을확인하였다. 하지만 매개변수를 가정하는 과정에 여전히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fill dam의 경우에는 붕괴유출수문곡선 산정 시 BREACH 모형을 이용하고, 이를 DAMBRK 모형에 적용하여 하도추적을 하는 방법으로 댐 붕괴 모의를 하는것이 보다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하천공간관리를 위한 하천구역 구분 기법 연구

        송주일,윤세의 국토연구원 2008 국토연구 Vol.59 No.-

        A classification technique of river zones was suggested in this paper. River could be divided into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zones(rehabilitation and recreation zones) by using the classification technique. The classification technique was developed from the existing studies and based on ‘the river environment evaluation criteria’. Wildness, water quality, flow, etc. are used as evaluation criterions to decide conservation or improvement of river zones. Improvement zones are divided into rehabilitation and recreation zones by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river. Also, this technique includes a table to check flood risk. 16 river zones of Chungmi, Donghwa and Hwanggu stream were selected and evaluation scores of three kinds of river zones were investigated to check over application. The result of application, a average score of conservation zone(62.8) was higher than the other zones among the average evaluation scores to decide conservation or improvement, and average scores of rehabilitation(54.3) and recreation zones(49.8) were similar. However, the evaluation scores to be classified into rehabilitation(33.1) and recreation zones(50.3) had a big difference. This means that river zones could be classified by evaluation score of this technique along the river.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propose accurate ranges of evaluation score for river zone classification after more investigations of rivers.

      • 폭우발생 빈도 및 특성 분석

        송주일,이병재,이찬희,유재환,심우배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폭우는 갑작스럽게 국지적으로 내리는 엄청난 양의 비로써 특히,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이 내리는 강우를 가리킨다. 기후변화 및 도시화에 따른 이상기상을 고려한 도시 특정지역의 미래 목표연도 확률강우량으로 정의하기도 하지만 기상학적으로 강우량, 강우강도, 지속 시간 등에 따른 명확한 정의는 없다. 최근 강원대학교에서는 방재와 수자원분야 전문가 300명을 대상으로 폭우의 정량적인 정의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있으며, 설문결과 응답자의 약 31 %가 50 mm/hr를 폭우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대학교의 설문조사 결과를 근거로 기상청의 시강우자료와 AWS를 활용하여 폭우 발생 빈도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폭우발생 빈도는 시계열적 추이, 전국 230개 지자체별, 권역별, 내륙․해안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폭우 특성에서는 폭우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시기, 기왕최대강우량(지역별 방재성능목표)의 80 %이상 강우의 발생 빈도 등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자료는 도시의 방재계획 수립 시 배수시스템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강우에 대한 재해저감 도시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지자체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활용성 증대를 위한 개선 방안 연구

        송주일,장초록,장문엽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2

        The “Manual for Actions at Scene” has been continually improved to enhance its usability at accident sites. However, the municipality is still perceived to lack an adequate disaster response guideline because of the large volume and complex structure of the manual. In this study, four improvements are suggested to enhance the manuals' usability. The first is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optim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 Headquarters and the Consolidated Support Headquarters, while considering the necessary cooperative functions for each type of disaster. The second is including response procedures and major measures to facilitate a rapid disaster response. The third is strengthening the linkage of the disaster response action tips and the process and making the contents faithful by departments and disaster response steps. The fourth is a reconstruction of the appendix, while focusing on essential reference materials. After applying these improvement measures to 18 manuals in Buk-gu, Daegu Metropolitan City, the disaster responder using manuals perceived the readability to have become excellent and emergency organizations to have become more efficient. In particular, the staff believed that the disaster response procedures and major measures would enable a certain level of disaster response. Although the amount of manuals has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improvements to the SOP, it is expected that the manuals’ applicability in education and training will also improve.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은 현장에서의 작동성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다. 그러나 여전히 지자체에서는 매뉴얼의 방대한 분량과 복잡한 구조로 인해 재난대응 가이드 기능이 미흡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행동매뉴얼의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고자 활용성 증대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재난유형별로 필요한 협업기능을 고려한 최적의 재난안전대책본부와 통합지원본부의 구성, 두 번째는 신속한 재난대응을 위한 대응절차도 및 주요 조치사항 수록, 세 번째는 기존의 단계별 행동요령을 부서별/단계별로 구분하여 프로세스와의 연계성 강화 및 내실화, 네 번째는 필수 참고자료 위주의 부록 구성이다. 해당 개선방안을 대구광역시 북구 18개 매뉴얼에 적용한 결과 재난유형별 매뉴얼 담당자들은 기존 매뉴얼과 비교하여 가독성이 뛰어나고, 효율적인 비상기구 편제가 마련되었으며, 특히 재난대응 절차도와 주요조치 사항만으로 일정수준의 이상의 재난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행동요령의 내실화로 인해 행동매뉴얼의 분량은 증대되었으나 교육 및 훈련 등에서의 활용성 또한 제고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