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미국의 음악교육 석사학위관련 교과과정 연구

        손유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95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비교·분석하고 미국의 교과과정과 비교해봄으로써 각 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특수한 기능과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교과과정의 개선 및 편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한국의 대학원 체제와 음악교육전공 석사과정이 개설된 교육대학원의 설립배경을 일반대학원과 비교하여 기능상의 차이점과 미국의 음악교육의 발전과정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음악교과과정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음악교육 석사과정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미국의 음악교육 석사과정의 체제와 교과과정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음악교육 석사교과과정의 편성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국의 경우는 US 뉴스 & 월드 리포트지에서 조사한 사범대학원(Graduate School of Education) 순위에 나와 있는 10개의 우수학교들 중 음악교육전공을 설치한 3개(Teachers College in Columbia University, University of Michigan, University of Oregon)의 대학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한국의 교육대학원은 2000년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발표한 10개의 우수교육대학원 중 음악교육전공이 설치된 6개(이화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전북대학교, 우석대학교, 영남대학교, 공주대학교)의 대학과 일반대학원 음악교육이 설치된 2개(서울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의 대학을 중심으로 학위취득 요건과 학사운영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설정교과목은 임의대로 영역별, 학교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 모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과정과 이미 취득한 교사들을 위한 과정이 통합하여 개설됨으로 현직교사들에게 알맞은 교과목이 부족하여 교사재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둘째, 학위취득을 위한 요건이 대학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대학의 기능에 부합하는 기준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의 대학간 과목 수 , 교과교육학· 교과내용학과목의 비율이 학교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 한국의 교육대학원의 설정교과목은 교과내용학 영역에서 가장 많은 과목이 설정되어 있으며 음악교과 교육학 과목이 부족하다. 다섯째, 세계화 시대에 부합하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설정과목이 부족하다. 여섯째, 각 대학별 교과 영역에 대한 필수학점 설정이 필요하다. 일곱째, 교사재교육과 교원양성교육을 담당하는 교육대학원과 연구기능을 가진 일반대학원 모두 국악과목에 대한 설정이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의 음악교육 석사과정이 설치된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은 기능상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의 음악교육의 발전과 음악교육의 전문화를 위해 교원재교육 프로그램, 교원양성 프로그램 그리고 음악교육연구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의 특성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music education curriculum of both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eneral graduate schools within South Korea as well as that of the USA. By close examination of the specific function and educational objective of each institution, this study will ultimately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o improve and reorganize the current music educational curriculum in South Korea. For this study, aim of establishment of education program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eneral graduate school are also analyzed and compared. Furthermore, the functional differences in different institutions in South Korea is compared with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program in the USA.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reorganize the concept of music education curriculum and can eventually lead us to the "right"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USA this study investigates 3 schools (the Teachers College in Columbia University, University of Michigan and University of Oregon) which have music education programs that are ranked amongst the top 10 in the U. S. media.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it is to find a curriculum of the Korean music education by comparing analyses of curriculums in the music education major from 6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Woosuk University, Yeungnam University,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that are ranked in the top 10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year 2000 and 2 general graduate schools(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is paper study concludes as follows; 1. Certificate programs and degree courses for teachers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courses and programs for non-teachers. 2. The criterion for the certification of teachers must be more strictly standardized because currently most korean universities have very different standards. 3. The number of subjects offered, pedagogy of courses and music in each university is unbalanced. 4. There is a shortage of core music pedagogy subjects. 5. In preparation for South Korea as a member of the global community an increased focus on international music subject is necessary. 6. The required credits for the completion of the music major needs to be standardized for all of the university. 7. Korean Universities have a duty to pay homage to traditional korean music, Unfortunately, they are not meeting these duties.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is no functional difference betwee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eneral graduate school that offer music education program. Therefore, we need teacher retraining program, specialization and variety in research programs on music education to develop and professionalize our education program.

      • 한국과 미국 대학원의 무용치료 교육과정 비교 연구

        이선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95

        현대사회는 모든 변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대문명의 발달에 따라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와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적 측면에서도 예술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발전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예술치료영역으로까지 확대되어 점차 활성화 되어 가고 있다. 무용치료는 예술치료의 한 분야로서 움직임을 통해 개인의 감정과 정서를 자유롭게 표현하고 즉흥적인 동작표현의 특성을 치료의 매개체로 사용하여 인간의 심리를 분석하는 심리치료이다. 무용치료는 194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한 분야이며 현재 국내에서도 무용치료에 대한 교육이 여러 대학 및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무용치료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은 무용치료 전공의 교육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무용치료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무용치료사 양성을 위한 바람직한 교육과정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대학원의 무용치료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교육내용 및 현황을 비교해 봄으로써 앞으로 국내 무용치료 교육의 학문적, 실제적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무용치료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 학교로는 한국의 경우 국내 대학원 중 무용치료전공이 개설된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순천 향 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을 선정하여 연구하였으며, 미국의 경우 미국무용치료협회에서 인가한 학교 중 예술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된 Lesley University Graduate Program, Antioch New England Graduate School, The Naropa Institute Graduate Program으로 선정하여 교육목표, 교육내용, 학위 및 자격증으로 나뉘어 비교 분석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목표에 있어서 한국과 미국 모두 공통적으로 무용치료사 양성을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방향을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내용에 있어서 미국은 무용치료의 이론과 실제를 위한 구체적인 과목들로 구성되어있는 반면 한국은 통합적이거나 세분화되지 못한 일반론에 그치고 있었다. 학점 이수에 있어서도 미국은 평균 60학점인 것에 비해 한국은 30학점으로 거의 절반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셋째, 자격증에 있어서 미국은 무용치료협회에서 국가적으로 공신력 있는 자격증을 발급하여 치료사의 능력과 수준을 엄격히 평가하고 인정하고 있는데 반해 한국은 아직 공신력 있는 자격증 제도가 국가적 차원에서 발급되고 있지 않다. 무용치료는 이론적 기초로서 지식세계를 갖추어야 함을 물론이고 실질적인 치료 연구 과 임상 실 경험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져야 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한국 무용치료의 발전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다양성과 실용성을 갖춘 교과목 개설,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이수학점의 확대, 국가자격증 제도의 확립 등이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그리고 미국에 비해 한국 무용치료의 역사가 매우 짧은 이유도 있겠지만 앞으로 무용치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전문가 양성을 위한 보다 깊이 있는 교육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국가와 사회는 무용치료에 대한 가치와 효과에 대한 일반적 인식 변화와 실용적 기반 구축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제공해주어야 할 것이다. In modern society, everything is changing rapidly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comprehension for culture and art is getting higher according to developing of modern civilization. As a result, art has important position in educational aspect and this trend is getting vitalized and expanded to the field of art therap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s. Dance therapy is a field of art therapy and it is psychological therapy that expresses individual’s emotion and feeling freely by the movement and it uses spontaneous action expression as a healing link and analyzes the mentality of human. Dance therapy was developed in 1940 USA and the education of dance therapy has been doing still in various colleges and organizations in Korea. The curriculum of study of dance therapist is the basic course to meet the purpose of dance therapy. In spite of short history of dance therapy in Korea, to see the intention of dance therapy has been increased drastically, the proper curriculum of study for dance therapist urgently. Therefore,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curriculum of study for dance therapist of Korea and USA and compares the contents and situation between them and it establishes the foundation for academic and actual development and provide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curriculum of study for dance therapists. The research selected graduate schools that have the dance therapy curriculum in Korea such as Seoul women’s university of graduate school of professional therapeutic technology, Daeje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health sports, Soonchunh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and also selected schools that was established with purpose of art education with the permission from the US dance therapy association in USA such as Antioch New England Graduate School, The Naropa Institute Graduate Program, Lesley University Graduate Program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purpose of education, contents of education, degree and license and the results are like below. First, Korea and USA both have th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education direction for dance therapists in common in purpose of education. Second,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USA has specific subjects for theory and reality of dance therapy on the contrary the content of Korea is just integrated and not specific generalities. For the credit, the average credit is 60 in USA and the Korea’s is 30 so Korea is the half of USA. Third, for the license, US dance therapy association issues the license which is reputable nationally in USA meanwhile there is no issued reputable license yet nationally. Dance therapy needs not only theory but also practical therapy research and clinical experience essentially. Therefore, to improve Korean dance therapy, there are several issues to be solved. Getting variety of curriculum of study, opening the practical subjects more, expanding of credit and establishing the national license are those issues above urgently. Of course Korean history of dance therapy is shorter than USA,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dance therapy, the thoughtful research and education for the professional should be done continuously and Korean government and society should give more attention and support to dance therapy to establish the practical foundation and change the general awareness over the worth and effect of dance therapy.

      • 여자 대학원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반응양상에 관한 연구

        김순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95

        빠르게 변화하는 복잡한 현대 생활 속에서 대인관계, 학교와 직장에서의 일 수행 등은 여러 유형의 스트레스를 가져다준다. 스트레스는 암, 심장병, 고혈압 등의 신체 질환은 물론이고 정신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현대 사회에서 여성들은 능력 발휘 및 자기 계발을 위해 전문화된 교육 요구가 높아져 고학력화 현상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여자들은 24시간내에 가정, 직무, 학업을 만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여자 대학원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반응양상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여자 대학원생의 스트레스 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의 12개 대학교와 경기도 소재의 2개 대학교에 재학중인 여자 대학원생 163명이었으며, 2001년 9월 한 달간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Cline 등(1992)이 개발한 표준화된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와 미국 워싱톤 대학교 간호대학 스트레스 반응 관리 연구소에서 개발한 SOS(Symptom of Stress)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를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Duncan's test,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여자 대학원생의 스트레스 수준은 10점 만점에서 평균 6.28(±2.14)로 중상위 수준이었다. 2) 스트레스 수준과 관련 있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종교, 대학원의 수업형태, 현재 논문 준비 학기로 나타났다. 천주교인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F=2.774, p=.043), 야간보다 주간 대학원에 재학중인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고(t=3.721, p=.000), 논문을 준비하는 학기의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t=2.240, p=.026). 3) 대학원 생활에서 느꼈던 스트레스의 원인은 과제물, 직장과의 병행, 시험, 발표, 논문 등이었다. 4) 대상자의 총 스트레스 반응양상 평균 점수는 1.23(±.54)으로 "아주 드물게"와 "가끔" 사이로 스트레스 반응이 나타났다. 특히 정신적 스트레스 반응과 관련된 하위척도인 우울, 불안, 정서적 불안정, 인식력 장애가 신체적 스트레스 반응보다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자주 나타났다. 5) 스트레스 반응양상과 관련 있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 결혼상태, 대학원의 수업형태이었다. 연령별로는 20대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반응양상을 나타냈다(F=3.220, p=.043). 그리고 기혼보다는 미혼 대상자의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높았고(t=2.067, p=.040), 야간보다는 주간 대학원에 재학중인 대상자의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높게 나타났다(t=2.322, p<.021). 6)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높았다(r=.373, p=.000).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자주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정신적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더 자주 나타나므로 여자 대학원생이 지각한 신체적 스트레스 반응보다 정신적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관리가 더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여자 대학원생에게 알맞은 스트레스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스트레스 증상을 완화시켜 최적의 건강 상태를 유지하는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e the level of stress and stress response of subjec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3 female graduate students. The data collection with questionnaires was performed for a month, september, 2001. The level of stress was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 and the stress response measured by Symptom of Stress(SOS) inventory.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frequency, mean, t-test,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h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tress level of the subjects showed a mean score of 6.28±2.14. 2) The level of stress diffeed according to religion, class forms of graduate schools and the current term for preparing a graduation thesis. Catholics showed the highest stress levels(F=2.774, p=.043), and students at day graduate schools(t=3.721, p=.000) showed higher stress levels than ones at night graduate schools. Also, students in the term for preparing their graduation theses (t=2.240, p=.026) showed higher stress levels than ones in other terms. 3) The stress they have felt during their life of graduate schools was by reports, performance of studies and works at the same time, examination, presentation and thesis. 4) The stress response of the subjects showed a mean score 1.23±.54. The subscales related to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 depression symptoms, anxiety symptoms, emotional-anger symptoms and cognitive disorientation symptoms was higher than physical stress response. 5) The stress response differed according to age, marrige and class forms of graduate schools. The subjects of twenties showed the highest stress response(F=3.220, p=.043). There was higher stress response in unmarried than married(t=2.067, p=.040). The subjects at day graduate schools showed higher stress response than those at night graduate schools (t=2.322, p=.021). 6) There wa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of stress level and that of SOS score(r=.373, p=.000).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were stress levels of female graduate students, the more appeared stress response. Since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was shown more than physical stress response, concern rather about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than about physical stress response against female graduate students's stress should be needed. Therefore we should provide more attentive care for sound mental health of female 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proper techniques to control and care for female graduate students's stress should be developed, and we should help them to relax their stress symptoms and keep the optimum health for their active life by applying such techniques.

      • 법학전문대학원생을 위한 특수 목적 영어 요구분석과 교수요목 설계

        강민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needs of law school students and developing a syllabus for an ESP course for the students in Korea. In order to investigate learning needs and target needs, law school students and lawyers were interviewed and surveyed. The questionnaires are based at in-depth interview. The fundamental framework of the questionnaire was used similarly with previous studies, but details was adjusted according to result of the interview.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74 law school students and 50 lawyers who were in charge of legal cases.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three units: personal information, learner’s needs about lawyer’s tasks, and open comments about English education for law school students. A separate set of questionnaire was produced for each of the two groups, but the same questions were used in both sets except for those regarding personal information. SPSS Ver.18.0 was used to produce descriptive statistics for the totals, means, frequencies, standard deviations as well as the percentages of the survey items. The degree of importance of 5 notions and 33 functions was ranked based on the mean values.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results.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need for English is great in doing legal research and in communicating with others. Secondly, the major motivation for the law school students to learn English is ‘to lead a good life as a lawyer in the future’. Third, In terms of functions, ‘understanding legal terminology’, ‘reviewing provisions of law’, ‘writing a legal memo’, ‘legal translation’ ‘persuading others’, ‘Identifying actions and events’, ‘Evaluating information to determine compliance with standards’ and ‘getting other’s point’ are shown to be considered important. With regards to the notion of ‘research’ and ‘communication with clients’ are deemed important. Other findings include th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ranking of function and type of language skill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learners and the lawyers. These results also show differences depending on categories such as an intern experience, the type of assigned task of a lawyer. The needs of the lawyers and student with intern experience were more specific and detailed than students who haven’t worked in legal setting. This paper also argued law schools do not provide adequate practical skills training to law students to enable graduates to practice law. With the aim of enhancing subject competence and effectively raising student’s proficiency in English, this paper proposes a syllabus tailored for Korean law students. A variety of methods drawn primarily from sources for developing lawyer-client communication skills is used to actively engage students in the learning precess. It can be facilitative in preparing learners for their future career. Also, activities to get leal concept and understand leal terminologies are introduced. The finding from the study serves as an important foundation in developing an ESP program for law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area of the genre and discourse analysis of legal English for the further investig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법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을 위한 특수목적 영어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습자인 법학전문대학원 학생들과 실무자인 변호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법률영어의 기능을 심층면접을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작성된 설문지로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법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을 위한 영어 교수요목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과 전남지역에 재학 중인 법학전문 대학원 학생 5명과 변호사 5명을 대상으로 1차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이들 중 희망하는 자 7명을 대상으로 2차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결과는 내용 분석하여 법률영어의 사용현황과 법률영어의 언어영역별 기능을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법률상황을 반영하는 법률영어 요구분석을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이후 법학전문대학원생 74명과 변호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124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빈도분석, 요인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이 영어 수업 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어활동은 ‘영미법이나 판례 및 관련 자료 읽기’이다. 영어 학습을 하는 동기는 도구적 동기가 우세하였으며 이를 통해 영어 학습이 졸업 후 실제 업무에 활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법학전문대학원생들과 변호사들이 공통으로 영어교육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기능은 전문 법률용어와 법률자료를 읽거나 들으면서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특히 법률언어는 상이한 법체계에 대한 인식을 정립하고 이해하는 노력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Mattila, 2006; Pommer, 2008) 법학전문대학원생들이 이를 훈련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쓰기 영역에서는 ‘각종 법률서식 작성하기’와 ‘법률의견서 작성하기’에 대한 필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말하기 영역에서는 국내 법률시장의 특성상 법원에서는 영어가 거의 쓰이지 않기 때문에 의뢰인이나 동료 직원들과의 영어 의사소통에 필요한 일반적인 영어말하기 기능에 대한 필요가 나타났다. 셋째, 집단별로 응답자에 따라 존재하는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 집단의 경우 인턴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변호사 집단의 경우 담당업무에 따른 차이를 t검정을 통해 확인하여 보았다. 인턴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에서는 ‘법률영어를 쉬운 용어로 풀어서 설명하기’와 ‘문장에서 전문 법률용어를 이해하기’는 인턴경험을 거친 이후 필요도가 상승하였다. ‘법률의견서(legal memo)작성하기’는 인턴근무 전에는 필요성을 낮게 인지하는 편이었으나 인턴근무 후 필요도가 상승하였다. 법학전문대학원생들의 경우 쓰기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답안 작성활동에서 인턴근무를 통해 법률의견서를 비롯한 실무를 접하게 되면서 실무에 필요한 글쓰기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각 자료 청취이해하기’ 역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각 분야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각자 얻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넷째, 변호사들의 담당업무에 따른 차이를 위한 t검정에서는 다음의 기능에 있어서 자문업무를 담당하는 경우의 변호사들이 소송업무를 담당하는 경우보다 필요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법률용어를 듣고 이해하기’와 ‘법률 번역하기’, ‘세부사항 파악하기’, ‘각종 법률서식 작성하기’등이 이에 해당하였다. 이처럼 변호사의 담당업무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 것은 변호사가 처한 법률 상황에 따라 법률영어에 대한 요구가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음을 반영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법학전문 대학원 학생들을 위한 교수요목을 제안하였다. 읽기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짝 활동과 그룹 활동을 통해 법률영어 학습에 필요한 법적 사건을 요약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법적 판단을 위한 결정을 추출해 내는 논쟁의 과정을 훈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말하기 영역 역시 통합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진정성 있는 읽기 자료를 기초로 하여 실제 직업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반영한 역할극을 통해 기회를 제공하였다. 법률영어의 글쓰기와 관련하여서는 직업상황과 학습상황에 관한 격차(Bartholomew, 1990; Bock, 1988; Maley, 1994; Morrison & Tshuma, 1994)를 줄이기 위하여 학습자들이 실무상황에서 접하게 될 글쓰기를 단계적으로 미리 훈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요구분석에서 두 집단 모두 가장 필요도를 높게 인식한 법률 용어의 이해를 위해 이를 주기적으로 반복적인 훈련을 하도록 배열하였다. 본 연구는 법학전문대학원생들과 변호사들을 대상으로 법률영어의 사용현황과 영어 의사소통 기능들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중요한 기능을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와 더불어 법학전문대학원생들에게 필요한 ESP 교수요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탐색된 국내 법률시장에서 사용되는 영어의 기능들과 필요도가 향후 ESP 개발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나아가 법률영어의 장르와 담화분석, ESP 교재개발과 평가에 관한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 대학원 영재교육학과의 교육과정 구성 비교와 분석 및 교사 인식

        한슬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iculum in department of gifted education of the graduate school in korea with respect to operational overview,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and also the offered subjects. And, the study investigated not only research about curriculum for teachers, gifted education, the process of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ncluding US, Singapore, but also awareness and demands of the gifted teacher about the graduate degree programs. The subjects were 17 graduate schools which had established since 1998 in Korea and also been operated with independent department, the gifted education. The study was investigated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ways with analysis on handbook of the graduate school, and contacts with department assistants through phone call and e-mail. In addition, the subject were 9 male and female gifted teachers who were attending the department of the gifted education of the graduate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study made use of survey, with a qualitative metho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operational overview was analyzed by Operating Principals, time, name of department and graduate dept. Objectives were separately different with their form of the graduate school, and not explicit.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numbers of credits for the major. one graduate school suggested 16 credits as a standard for completion of a major but another school suggested 27 credits. Also courses which were offered were different individually. The study suggest that the schools should offer courses including assessment, participation in real gifted education, and intensive courses such as mathematics, science, arts and language. Secondly, teachers who were attending the graduate school located in seoul reported that they were not completely satisfied with curriculum and school because school's curriculum was not organized. However it is represented that the graduate degree programs were positively effective on competence of gifted teachers which was awared by themselves. This study can draw the following discussions. At first, It is necessary for organization which consists of the professors in charge of the department of gifted education to integrate the curriculum including credits, courses. With the standard curriculum, it will be able to satisfy the demands of the students. Secondly, because it is observed that most of schools offer mathematics and science- based courses, more diverse courses such as arts, language should be offered.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원 영재교육학과의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및 현황을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영재교육에 관한 고찰, 영재 교육 담당 교원 전문성, 영재 교육 교원 및 전문가 양성 현황 및 양성 체제를 살펴본다. 이 후에 각 대학원 별로 어떠한 윤영 개요를 가지고 있는 지, 교육 목적과 목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 개설 교과목 편제 현황을 통해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 현황을 알아본다. 현재 국내 대학원 영재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영재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한 개별 면담 질문지 결과로 향후 영재교육학과 교육과정의 개선점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원에 개설된 23개 영재교육학과 중 독립된 학과로 구성되어 있는 17개 영재교육학과를 대상으로 국내 대학원 홈페이지에 나온 커리큘럼을 수집하였으며 각 학과 실무 담당자에게 통화 및 E-MAIL을 통해 강의 계획안 및 기타 자료 조사를 하였다. 또 서울에 위치한 대학원 3 군데에 재학 중인 9명의 영재교육 담당 교사에게 개별 설문지를 E-MAIL로 배포 후 회수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이 소속되어 있는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이라는 대학원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 운영 형태의 차이가 있었다. 대개 직업인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대학교의 경우, 계절제와 야간제로 개설되어 있었으며, 학문적 수양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대개 주간제로 설치, 운영되고 있었다. 또 지역적 균형 있게 영재교육학과가 설치되어 있어 해당 지역 내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있거나 배우기를 희망하는 이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었다. 둘째, 많은 영재교육학과들이 전문가 양성, 계속 교육을 통한 영재 교원의 양성하고, 영재교육 전문가로서의 유능성을 함양하게 하는 데 교육 목적 및 목표를 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학원이 제시하고 있는 교육 목표나 목적이 명시적이지 않은 경우와 더불어 목표와 목적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있었다. 학문적 수월성이나 연구 기능을 추구하는 대학원은 하나도 존재하지 않았다. 셋째, 개설된 교육과정 편제 현황을 통해 학교 간 석사학위 취득을 위한 학점에 큰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적은 학교는 전공 이수 학점이 16학점 이 었으며 많은 학교는 27학점으로 그 차이가 9학점으로 이수해야할 과목이 최하 3가지로 나타났다. 넷째,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비율 차이가 학교마다 극명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과내용학의 경우, 수학과 과학에 치중하여 있었다. 다섯째, 현재 서울에 위치한 대학원 영재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영재 교사의 인식 조사를 통해 영재교육학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 실태 분석과 마찬가지로 비체계적인 커리큘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으며, 실제로 영재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영재 교사의 전문성 및 자질을 키우는 데 대학원 과정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을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 담당 교원 및 전문가의 육성과 전문성 제고는 대학원 교육과정을 통한 영재교원자격증을 마련하거나 전문영재교원으로 재편될 필요가 있다. 둘째, 영재교육학과의 석사학위의 등가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석사 취득을 위한 이수학점, 졸업학점, 논문, 교육과정 등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 즉, 전국 영재교육학과의 전공별 교수들로 구성된 협의체를 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필수과목의 과목명, 강의목표, 강의내용, 운영방법등과 관련 있는 영재교육과 교육과정 표준안 모형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셋째, 영재교육학과의 정체성에 관한 것으로 교사 재교육이나 재훈련의 기능에만 치우칠 것이 아니라 연구와 교육의 기능을 병행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다양한 교과 영재교육이 대학원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한다. 자세히는 수학, 과학 분야에 편중되어 있는 교육을 다양한 학문을 다루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내대학원 영재교육학과 학생 졸업생 및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내용과 시수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만족도를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 무용전공자에서 예비체육교사로 성장하기

        송효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tivation of dance majors taking P.E. courses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bout the choice of their departments and the teaching profession, their knowledge of courses in teach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vision. It's basically meant to grasp the reality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education an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at. Clandinin & Connelly(2000)'s five-stage narrative inquiry process was adopted to serve the purpos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selected graduate students who were taking courses in physical education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become P.E.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the motivation of their choice of major, the preservice P.E. teachers who had majored in dance chose their major due to their own talent and interest in P.E. and the accuracy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his subject. Concerning the motivation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they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learning P.E. teaching methods and hoped to get a stable occupation. The two motivations were evenly common. Taking courses in teaching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m to look back on themselves, to understand not only themselves but learners and to foster their own qualifications and competencies as preservice teachers. In terms of knowledge of the content area of P.E. courses, they viewed P.E. as a scientific and systematic discipline, as an integrative discipline linked to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philosophy, epidemiology, psychology, physiology and pedagogy, and as part of living culture and amusement. Concerning knowledge of P.E. teaching, they acquired the knowledge by taking courses in education, from the teaching methods of their professors, and by observing P.E. instructio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acquired knowledge in an integrated manner by taking both courses in teaching and major courses, and they seemed to have mapped out their vision in detail. But their student teaching experience rather resulted in demotivating themselves in association with their major choice.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preservice P.E. teachers who took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ot to understand the teaching profession and found it interesting to learn about major courses, but they became cognizant of the necessity of practical P.E. education because of their negative experience during student teaching. According to the objects of preservice P.E. teacher educa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ot only practical education but the preparation of actual P.E. skills are mandatory becausa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ubject. As the students received no practical education, they faced difficulties during four-week student teaching. Although student teaching should provide an opportunity for dance majors to confirm their own possibility as preservice P.E. teachers, it rather resulted in demotivating the students and making them have fear for the teaching profession. Diverse practic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dance majors to foster their professionalism as P.E. teachers, which is actually required at school, so that they could gain significant experience in student teaching. Seco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current curriculum is designed to educate both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offer quality education for either of them, and the curriculum didn't comply with the intent of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graduate school. The dance majors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to have the teaching profession, but the curriculum ended up demotivating them. The kind of curriculum that can nurture full-fledged, qualified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prepared.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future research efforts: First, more diverse groups of subjects should be selected. In this study, preservice P.E. teachers who had majored in dance were selected to analyze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future, not only dance majors but those who majored in similar departments such as industrial sports, health guidance or special physical education and have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to look in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Second, elite athletes who have been retired or who have dropped out due to injuries are likely to decide to go on to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at the experience of receiving preservice P.E. teacher education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eans for athletes who receive graduate-school education and whether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makes it possible for them to foster their professionalism in teaching should carefully be studied. 본 연구는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에 진학한 무용전공자들의 교과 및 교직 선택 동기, 교직과목 지식, 교과교육학 지식, 내적비전을 알아보고 그들의 경험을 통하여 중등 예비교사교육의 실제를 이해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Clandinin&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의 5단계 절차를 따랐으며, 연구목적에 부합하여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체육교육전공 대학원생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용전공 예비체육교사들의 전공 선택 동기는 무용영역에서 체육영역으로의 저변 확대와 체육활동에 대한 소질과 흥미, 체육의 측정 및 평가의 명확성에 대한 신뢰로 나타났고, 교직 선택 동기는 체육교수법에 대한 학습 필요성 인식과 안정적인 직업에 대한 선망이었다. 또한, 교육대학원 교직과목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이해하고 성찰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이를 학습자에 대한 이해로 확대하며 예비교사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성장시켰다. 체육교과내용 영역에 대한 지식은 첫째,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학문으로서의 체육, 둘째, 체육을 중심으로 철학, 역학, 심리학, 생리학, 교육학 등의 다양한 학문으로 연결되어있는 통합적인 학문, 셋째, 일상적인 생활문화 및 놀이로서의 체육으로 이해하며 지식을 형성하였다. 체육교과교수 영역의 지식은 첫째, 교육학을 통해 형성한 지식과 시사점의 활용 둘째, 교수자의 교수-학습 방법을 통해 체육현장관찰 수업 및 담당교수의 교수방법을 통해 형성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교직과목과 전공과목의 지식을 통합적인 차원으로 형성해 나갔고, 내적비전 형성이 구체적으로 완성되어가는 듯 보였으나, 교육실습 경험을 통하여 전공 선택 동기가 저하되고 정체하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을 통해 교직에 대한 이해와 전공과목을 알아가는 흥미를 느끼고 있었으나 교육실습의 부정적인 경험으로 인해 체육실기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교육대학원의 목적에 따른 예비체육교사교육을 목표로 한다면, 체육교육은 과목의 특성이 이론과 더불어 실기능력에 대한 준비도 필수가 되어야 한다. 실기교육의 부재는 4주간의 교육실습현장을 경험하며 실기에 대한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무용전공자들이 예비체육교사로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기회의 장으로 교육실습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교직동기가 저하되며 교사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되었다. 이처럼 유의미한 교육실습경험이 될 수 있도록 체육실기에 대한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여 무용전공자들이 실제 학교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체육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의 현직교사교육과 예비교사교육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현재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은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교육하기 위한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기에 양자 모두에게 질 높은 교육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으며, 교육대학원 진학 목적에 부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교직에 대한 동기를 가지고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에 입학한 무용전공자들에게 교직에 대한 동기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예비교사에게는 교사로서 준비되어야할 자질과 실제학습현장에서 필요한 교육과정을 통하여 예비교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과제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하는 대상을 세분화하고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무용전공 예비체육교사의 교육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무용전공 예비체육교사로 그 대상을 한정지었으나, 무용전공자와 같이 산업스포츠학과, 건강지도학과, 특수체육학과 등의 유사관련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이들의 교육경험을 알아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엘리트 운동선수로 은퇴를 하거나 부상을 당하는 등의 중도 탈락을 경험한 선수들이 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들에게 교육대학원의 예비체육교사교육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을 통해 교사로의 전문성을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음악교육대학원생들의 진학동기 및 진로선택에 관한 연구 : 교육대학원 경험을 중심으로

        김하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what caused the students majoring in the music education 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o study this field and what they want to do after graduation as well as what kinds of experienc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ffected their career choice.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10 students studying at 3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and the collected data was used for the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depending on the study issues. Among the free descriptive questions and the in-depth interview data were categorized into the topics by summarizing the responses in the words or sentences.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sponding to the question of the motive for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students of music education answered the most with “to become teachers”. They also answered that the persons who affected them the most in terms of “my personality and interest” were themselves. In addition, in the in-depth interview, external motives such as 'recommendations of others' and 'job stability', as well as 'one's aptitude and interest' at the time of admission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is way, it was confirmed that music education graduate students are the most interested in internal motivation such as their own aptitude and interest when they ente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le external motivation also influences decision to go t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as the future career, most students majoring in the music education want to become music teachers after they graduate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ven the students who did not hope to become music teachers when they applied fo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howed high hopes of becoming music teachers after their graduation. That shows that their experience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a big effect on their selection of music teachers as their future job.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education experience of graduate school of music education which had the most influence on career choice of graduate students was the major 'teaching method and instruction class'.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who had an influence on career choice, was foun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than on the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It was shown that with peers, they are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ers with the same major', and with professors, they are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within the class'. In add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graduate students of music education wanted counseling with professors and practical help for their career choices.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found out to be prerequisite to encourage career counseling and counseling outside class for students' career choices. Fourth, it was also found that the students majoring in the music education wanted more support related to the information on recruitment of teachers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y want more practical experiences which would be good for their being teachers such as ‘more practical experience’, and ‘lecture made by actual teachers’. This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balance the curriculum appropriate to the purpose of the graduate school with practical educational experience opportunities to reflect the needs of students at the graduate school.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e that the various experienc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ke a big effect on the future career for the students majoring in music education. This found out that most of the students majoring in music education wanted more experienc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ould be more helpful for their becoming music teachers, which was found to be their favorite career after gradu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make a positive effect on the making of the environment where the students can get more practical experience in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well as on their favorite future career.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생들의 교육대학원 진학동기와 졸업 후 희망진로를 알아보고,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친 교육대학원 경험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세 곳의 교육대학원의 재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하여 연구의 내용을 보완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자유기술형 문항과 심층면담 자료는 응답을 나타나는 단어나 문장으로 정리하여 주제별로 범주화 하였다. 다음은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첫째, 음악교육대학원생들의 교육대학원 진학동기로는 ‘교사가 되기 위하여’진학하였다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교육대학원에 진학할 당시‘나의 적성 및 흥미’를 가장 많이 고려하였고, 타인의 영향보다 ‘본인’의 의지로 진학하였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층면담에서는 교육대학원 진학 당시 ‘자신의 적성 및 흥미’ 뿐만 아니라 ‘주변의 권유’, ‘직업의 안정성’과 같은 외적동기도 교육대학원에 진학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이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음악교육대학원생들이 교육대학원에 진학할 때 자신의 적성이나 흥미와 같은 내적동기를 가장 많이 고려하지만 외적동기 또한 교육대학원 진학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음악교육대학원생들은 교육대학원 졸업 후 희망진로로 ‘음악교사’를 희망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교육대학원 진학당시 음악교사를 희망하지 않았던 재학생들 중 상당수가 교육대학원 진학 이후 음악교사를 희망하게 되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교육대학원에서의 경험이 ‘음악교사’라는 직업을 선택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셋째, 음악교육대학원생들의 진로선택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교육대학원의 교육경험은 전공과목인 ‘교수법 및 지도법 수업’으로 나타났다.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친 교수 및 동료와의 관계에서는 동료와의 관계가 교수와의 관계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료와는 ‘같은 전공 동료와의 관계’, 교수와는 ‘수업 내의 관계’에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층면담을 통해 음악교육대학원생들은 진로선택을 위해 교수와의 상담과 실질적인 도움을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재학생들의 진로선택을 위하여 교수와의 진로상담이나 수업 외의 면담이 장려되어야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음악교육대학원생들은 교육대학원에서 ‘임용’과 관련된 보다 많은 지원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뿐만 아니라 ‘더 많은 실습 경험’, ‘현장교사 특강’ 과 같은 음악교사가 되는 데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경험들을 더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대학원에서 학생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교육대학원의 목적에 맞는 커리큘럼과 실질적인 교육경험 기회에 균형을 맞추어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에서의 다양한 경험이 음악교육대학원생들의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으로, 음악교육대학원생 대부분이 교육대학원 졸업 후 희망하는‘음악교사’가 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육대학원에서의 경험을 더 원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육대학원에서 재학생들이 보다 실질적인 교육경험 기회를 가질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그들이 희망하는 미래를 준비하는데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