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식민주의 퀴어 신약해석에 대한 평가 : Jeremy Punt를 중심으로

        송영목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4 신약연구 Vol.23 No.3

        최근 퀴어신학 개론서에 이어, 퀴어 성경 주석이 한글로 번역 출판되었다. 혹자는 이 주석이 전통적인 역사비평이 놓친 본문의 의미를찾아낸 기여가 있다고 평가한다. 그리고 국내에서 성경의 퀴어해석은 여성 구약학자들이 주도 중이다. 하지만 최근 국내에서 개혁주의진영에서 퀴어신학에 대한 조직신학 및 기독교윤리학적 비평이 제기되었다. 국외의 개혁주의 진영에서 퀴어해석과 관련된 신약학 연구는 남아공 화란개혁교회(DRC) 소속 스텔렌보쉬대학교의 예레미 푼트(Jeremy Punt, b. 1962)가 약 20년 동안 주도하고 있다고 볼 수있다. 그는 퀴어 신약해석에 후식민주의(postcolonial) 해석을 접목한다. 따라서 푼트를 적절히 비평한다면, 하나님의 포도원을 거니는 퀴어해석과 후식민주의해석이라는 두 마리 여우의 정체를 밝혀 적절히대응할 수 있다. 이 글의 목적은 푼트의 소논문들에 나타난 후식민주의 퀴어(postcolonial queer)해석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푼트의 후식민주의 퀴어 신약해석을 소개한다. 둘째, 푼트의 후식민주의 퀴어해석의 특징과 경향을 분석하기 위해 The Queer Bible Commentary와 The Women’s Bible Commentary 그리고 The IVP Women’s Bible Commentary의 해당 신약주석과 비평적으로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푼트의 후식민주의 퀴어 해석에 나타난 전제, 방법, 그리고 특징을 비평한다. Recently following the Introduction to Queer Theology, the Queer Bible Commentary was translated and published in Korean. It is evaluated that the commentary has contributed to discovering the meaning of the text that traditional historical criticism has missed. The Queer Bible Commentary’s New Testament is not led by many female scholars. However, currently in Reformed circle, systematic and Christian ethical criticism on the queer theology has been raised. In the Reformed circle abroad of the New Testament studies, queer interpretation has been conducted at Stellenbosch University affiliated with the Dutch Reformed Church (DRC) in South Africa by Jeremy Punt (b. 1962) for about 20 years. He applies a postcolonial interpreta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queer New Testament. Therefore, if a critique on Punt appropriately is done, both revealing the identities of the two foxes, the queer interpretation and the postcolonial interpretation, walking in God’s vineyard and responding to them are possible appropriatel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valuate Punt’s postcolonial queer interpretation. For this end, firstly, Punt’s post-colonial queer interpretations are introduced. Secondl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Punt’s post-colonial queer interpretation, a critical comparison of Punt with the Queer Bible Commentary, the Women’s Bible Commentary, and the IVP Women’s Bible Commentary are implemented. And lastly, the premise, method, and characteristics in Punt’s postcolonial queer interpretation are critically evaluated.

      • KCI등재

        체계기능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담화분석과 신약성경해석 언어학적

        김두석(Doosuk Kim)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3 신약연구 Vol.22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 방식이 가지는 신약성경 본문 해석의 유용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주전 5세기에 인도 언어학자 파니니(Panini)가 언어학의 기초를 놓은 뒤 현대에 이르기까지 언어학적 해석방식은 텍스트의 의미를 고찰하는 중요한 방식으로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성경해석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성경해석에 비평적 방식이 도입된 이후 여러 방법론들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것은 기이한 현상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언어학적 해석방식인 담화분석의 일반적 개념과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 방식을 소개한 후, 로마서 14:1-15:6에 적용하는 사례연구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은 해석자의 주관적이고 직관적인 인식에 의한 해석의 자의성을 최소화하고, 언어가 표현하는 세계 자체에 관심을 가지며, 데이터와 의미론의 시스템 아래에서 담화를 해석한다. 둘째,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 방식은 언어의 각 요소가 본문 안에서 다른 요소들과 함께 통합적으로 창출하는 의미에 집중한다. 셋째,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은 문법의 사용과 기능, 구조와 문맥, 그리고 언어와 상황적 배경과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결정한다. 따라서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은 언어학적 이론과 실제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으며, 구조분석에 대한 구체적인 틀을 제공함으로 전체 메시지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는 측면에서 성경본문 해석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방법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the discourse analysis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New Testament. Since the Indian linguist Panini laid the foundation of linguistics in the fifth century BC, linguistic approaches have been deemed a critical way to interpret texts. Regretfully, however, biblical scholars have pai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the method. Considering various modern criticisms have been applied in biblical studies, it is an odd phenomenon. This paper, therefore, provides a general definition of discourse analysis and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then applies to Rom 14:1-15:6 as a test case. Through thi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minimizes the arbitrariness of interpretation by readers’ subjective and intuitive understandings but pays attention to the world that the given discourse depicts and provides its meaning based on semantic system and linguistic data. Second,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concerns corporate meaning that each linguistic component of discourse creates integrally with other elements. Third,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suggests meaning through multi-layered relations such as language in use, context, the function of grammar, and context of situation. To conclude,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discourse analysis may contribute to the biblical interpretation in that it reflects linguistic theory and practices, provides a concrete method for structural analysis, and suggests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through semantic system.

      • KCI등재

        고대 유대전통의 성서해석과 오늘날신약성서 해석의 과제 1 : 미드라시의 오해와 복음서와 관련된 남용 문제 비판

        이민규(Min Kyu Lee)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1 신약연구 Vol.20 No.1

        미드라시는 성서학에서 자주 오해되어, 복음서 연구 및 해석에도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 논문은 ‘미드라시란 무엇인가’와 학자들의 ‘오남용 사례’를 다루고, 미드라시를 바르게 대응하기 위해 기존 비교군의 오류를 파악한다. 미드라시를 학문 용어로 사용할 때는 랍비문헌의 사용례와 이해를 우선해야 한다. 기독교 신학 용어로 미드라시는 랍비들에게서 나온 개념이기 때문이다. 상당수가 범하는 오류는, 미드라시가 히브리 성서의 거룩한 주해 방식이자 동시에 거룩한 결과물이라는 통합적 성격을 간과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또한, 신약 문헌의 해석방식이 미드라시의 접근방식과 ‘유사성’이 있다는 것만으로 충분한 관찰과 분석 없이 성급하게 신약이 ‘미드라시’ 혹은 ‘미드라시적’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미드라시의 동기가 사용’된 것과 ‘미드라시’라는 것은 전혀 다른 말이다. 그래서 미드라시의 올바른 비교군은 신약이 아니다. 복음서는 미드라시처럼 구약에 종속적인 주석서라기보다는 주 예수 그리스도 중심으로 구약을 사용하는 새로운 문헌에 가깝기 때문이다. 미드라시를 위한 비교군이라면 오히려 정경화된 구약을 주해/설교하는 미드라시와 정경화된 신약을 주해/설교하는 주석들이 되어야 할 것이다. Midrash is often misunderstood in biblical studies, and is indiscriminately used in the research on the Gospels. This thesis shed light on what is midrash, misusing cases in the NT scholarship, and identifies the errors of the comparison group for midrash. When using midrash as an academic term,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rabbinic literature, this is because it is a concept from the Rabbis. Many NT scholars overlook the integrative nature of midrash. It should include both the rabbinic expositions on the Hebrew Bible and the result of them, which are individual or whole commentaries. Without sufficient observation and analysis, NT scholars often conclude hastily that the Gospel of Matthew, and the prologue of John’s Gospel are midrash due to the similarities in interpreting method, or using similar motif and motivation between them. But being similar does not mean that they are the same. The correct comparison group of midrash is not the Gospels, but should be the commentaries or sermons on the NT. Gospels use the Old Testament texts, but they are not the Old Testament commentaries like midrash.

      • 심리학적 신약 해석에 대한 비판적 개관

        오우성 한국신약학회 2001 신약논단 Vol.8 No.-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New Testament is an alien field in the biblical scholarship. But recently the trend has been shifted to more receptive attitude to this interdisciplinary topic. This article is to give a critical overview on the books and articles dealing with this subject. Having surveyed the brief history of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New Testament, I discusses the presuppositions of psychological hermeneutics. Several renowned New Testament scholars have attempted to interpret the New Testament in terms of primarily Jungian and Freudian psychologies. D. Cox, D. Via, D. McGann, M.W. Newheart, W. Wink, J.C. Engelsman applied Jungian psychology to the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R. Rubenstein, R. Scroggs, M.A. Tolbert, F.M. Dolto, G, Severin, J.J. Forsyth made use of Freudian theory in their interpretation of the New Testament. G. Theissen approached the New Testament in terms of learning theory, psychodynamic theory and cognitive theory. Finally, R.A. Batey applied T.A. theory and R.C. Leslie chose logotherapy in their interpretation. After I had discussed the contributions and problems of the psychological approach, I made two suggestions.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is supposed to have solid historical and literary studies as its basis. Otherwise, it is subject to the criticism of psychologism. And it is not desirable to analyze the inner world of the authors or figures of the New Testament psychologically, because the New Testament itself does not provide sufficient data or information for this method.. .

      • KCI등재

        신약성경 텍스트 해석과 의식 : 마가복음과 갈라디아서를 중심으로

        정주환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2 신약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 method of analyzing New Testament texts through the human consciousness. The primary purpose of New Testament texts is communication. Humans use text to think and text to communicate. The communication presupposes that the text receiver understands the concepts of the text producer. The text recipient also actively cooperates with the text producer to understand the texts. The text participants anticipate and utilize each other's cognitive processes. The text producer textualizes his concepts and the text receiver reconceptualizes the texts in their minds. The consciousness is the ability to navigate between external linguistic representations and internal cognitive structures. Therefore, analyzing texts along the stream of consciousness helps in understanding the texts. The consciousness flows along the sequentia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text and its focus is constantly moving. Human communication strategies make appropriate use of these features of the consciousness to grammaticalize the texts for participants to understand. Its aspects vary from clauses to discourse units. I hope that Wallace Chafe's theories of consciousness and other cognitive linguistic theories will certainly help in the interpretation of texts for communication. This would also apply to the interpretation of New Testament texts. 이 논문의 목적은 인간 의식을 통해 신약성경 텍스트를 분석하는방법을 소개하는 것이다. 신약성경 텍스트의 우선적 목표는 의사소통이다. 인간은 텍스트를 사용하여 사고하고 텍스트를 사용하여 소통한다. 의사소통은 텍스트 생산자가 가진 개념들을 그 수용자가 이해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텍스트 수용자는 그 텍스트들을 이해하기 위해 텍스트 생산자에게 적극적으로 협력한다. 그 텍스트의 참여자들은 서로의 마음속 인지과정을 예상하고 활용한다. 텍스트 생산자는 그가 가진 개념들을 텍스트화하고, 텍스트 수용자는 그 텍스트들을 다시 개념화한다. 의식은 언어 외적 구조인 언어 표상과 마음속 인지구조 사이를 탐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그래서 의식의 흐름을 따라 텍스트를 분석하는 것은 그 텍스트 이해에 도움을 줄 수있다. 의식은 텍스트를 통해 전달되는 순차적 정보를 따라 흘러가며 초점이 계속해서 움직이는 특징이 있다. 인간의 의사소통 전략은 이러한 의식의 특징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상대방이 이해 가능하도록 텍스트를 문법화시킨다. 그 양상은 절 단위에서부터 담화 단위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필자는 체이프의 의식 이론과 다른 인지언어학 이론들은 의사소통을 위한 텍스트들의 해석에 분명히 도움을 줄 것이라 예상한다. 이것은 신약성경 텍스트의 해석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것이다.

      • KCI등재

        성경 해석에 있어서 교회와 성경과 비평의 역할 : 성경 해석 역사에 비추어서

        심상법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07 신약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roles of the Bible, the church and the criticism in reference to biblical interpretation through the history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First and foremost one must take on the interpretative task of gaining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Bible as God's Word in addition to the nature of its interpreter as Dasein. With such fundamental understanding as the basis of my argument, I will discuss by dividing the history of biblical interpretation into four periods, together with the method of interpretation that represents each period and each method's governing authority. Briefly speaking, the four periods can be divided into the period from the early church to the Medieval, the period of Reformation to German pietism, the period of modernism, and lastly the period of post-modernism. The period from the early church up to the Medieval mainly deals with allegorical interpretation as the standard interpretation where as the second period uses grammatical-historical interpretation as the standard interpretation. Thirdly, the modernism period, historical criticism is used as the standard interpretation and post-modern interpretation is the standard interpretation method for the fourth period. Additionally the church or dogma can be seen as the first period's governing authority where as the Bible is the governing authority of the second period. The third and fourth period have both reason as it's governing authority, except that the fourth period has post-modern reason as it's governing authority. Ultimately the Bible has the absolute and final authority in biblical interpretation, however as seen throughout the Reformation, church as well as criticism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for fair biblical interpretation, when it is used in a proper way. The Bible and church have a helical relationship in which a genuine church protects and defends our faith and biblical truth, and God's word, the Bible, contributes continuously to the reformation of church. Sound dogma not only guides a believer to true faith but also serves as a measuring stick that distinguishes heresy and orthodox as well as becoming a 'hermeneutical fence' that defends, protects and maintains biblical truth. In understanding the roles of the church and the reason or criticism in biblical hermeneutics, understanding the interpretative presupposition of the interpreter(interpreter as Dasein) is inevitable (Bultmann and post-modernism). Therefore, criticism or reason in biblical interpretation should be practiced strictly on the basis of sound theology, ethic, and spiritual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