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한산성 소나무림의 19년간 (1993~2011년) 식생구조 변화와 관리방안

        이경재 ( Kyong Jae Lee ),한봉호 ( Bong Ho Han ),이학기 ( Hak Gi Lee ),노태환 ( Tai Hwan N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2010년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록된 국가사적 제57호 남한산성을 대상으로 과거 문헌자료와 현장조사를 통해 식생구조 변화를 밝히고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은 남한산성의 식생복원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남한산성 식생의 비오톱 분석 결과 대상지 면적 2,611,823㎡중 참나무류림이 40.8%이었고, 천이 가능성이 높은 소나무림이 16.5%로 청량산 일원과 서문에서 북문 일원, 남문에서 청량산 사이의 산 능선에 분포하고 있었다. 천이 가능성이 낮은 소나무림은 4.7%로 남한산초등학교 뒤 산림에 주로 분포하고 있었고, 천이가 진행중인 소나무림은 2.9%, 도태중인 소나무림은 2.1%였다. 19년간 식생구조 변화 분석 결과 소나무림→소나무 및 참나무류 혼효림→참나 무류림→서어나무림으로 천이가 예측되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참나무류의 세력이 확대되었다. 남한산성 소나무림의 식생 관리방안은 식생구조 특성을 고려하여 관리권역을 구분하였고, 관리권역은 소나무림 경관유지지역 553,508㎡, 소나무림 경관복원지역 114,293㎡, 적극적 관리지역 205,306㎡, 자연천이 유도지역 1,169,973㎡이었다. This study, targeting Namhan Mountain Fortress which was designated as a No. 57 national historic site and placed on the World Heritage Tentative List in 2010,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change of vegetation structures by reviewing past references, pictures, research data and additionally conducting a site survey. Also, it was designed to draw up measures for restoring vegetation suitable for historically and culturally valuable Namhan Mountain Fortress. According to the biotope mapping of study site, Quercus spp. forest distributed a greatest part of area with 40.8% of 2,611,823 . Pinus densiflora forest, highly likely to go through ecological succession, was dispersed in the whole region of Cheongryangsan, the area from West Gate to North Gate and the ranges between South Gate to Cheongryangsan with taking 16.5%. Pinus densiflora forest with a low probability of succession amounted to 4.7% and was dispersed mainly in the forest behind Namhansan elementary school. Pinus densiflora going on the ecological succession is distributed a portion of 2.9%. And the currently dying out Pinus densiflora forest amounted to 2.1%.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for 19 years, the succession from Pinus densiflora forest to Pinus densiflora and succession from Quercus spp. mixed forest to Quercus spp. forest to Carpinus laxiflora forest were predicted. Additionally, Quercus spp. expanded its dominance over tim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ified zone, the site was categorized into 553,508m² area of Pinus densiflora forest area for the landscape maintenance, 114,293 area of Pinus densiflora forest area for the landscape restoration, 205,306m² area of Pinus densiflora forest area for the disclimax, and 1,169,973m² area of Pinus densiflora forest area for inducing ecological succ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