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가 지각한 부모기대로 인한 부모-자녀 간 갈등극복경험

        이영미,한재희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2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experiences of conflicts with adolescent child caused by Parental expectation, by exploring mother’s experiences of coping procedure for conflicts to overcome the conflicts with adolescent child caused by parental expect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ounselor and parent in coping effectively with the conflicts between parent and adolescent child by providing understanding about practical coping experience and process supporting overcoming conflicts with adolescent child. For this research, nine mothers with high mock empathy (as assessed by their children) were chosen among a group of mothers who had high expectations of their children and as a result either experienced conflict with their adolescent children in the past or were still experiencing the conflict.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2001) was applied to the data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these research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92 notions, 34 subcategories, and 10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e study found the casual conditions to be ‘factors causing conflict with children’ and ‘limitations of parent-initiated controlling nurturing behaviors.’ The central phenomenon was ‘I can never give up on my child.’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children's resistance and refusal’ and ‘deepened family conflict.’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o resolve parent-adolescent child conflict were ‘taking one step back and waiting while maintaining eye contact’ and ‘making efforts toward relationship recovery.’ The interventional condition was ‘endurance of anxiety and frustration,’ which resulted in a ‘recovered and matured relationship’ but with some problems still left unresolved. The centric category that provides an overall explanation of how parent-adolescent child conflicts are resolved was determined as ‘actively taking a step back, and striking a balance between parental expectations and emotional needs of children through maternal patience.’ If each family which is the basic unit of society can adequately respond to parent-adolescent child conflicts, it is expected not only to diminish the stress of adolescent child caused by overheated educational fever of our society and expecting pressure of parent and to prevent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to improve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 child and parent who are suffering from the conflicts with their adolescent child and to enhance healthy relationship. 본 연구는 부모기대로 인한 청소년자녀와의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모가 갈등대처 과정에서 겪는 경험들을 심층면담을 통해 탐색함으로써, 부모기대로 인한 청소년 자녀와의 갈등극복경험의 구조와 과정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상담자나 부모들에게 자녀와의 갈등극복에 도움이 되는 실제적 대처 경험과 과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함으로, 부모-자녀간의 갈등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자녀에 대한 기대가 높고, 그로인해 청소년 자녀와의 갈등을 경험했거나, 현재에도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어머니들 중에서, 자녀가 지각하기에 모의 공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어머니들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Strauss와 Corbin(2001)이 제시한 근거 이론 연구법을 적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종적으로 92개의 개념과 34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인과적 조건은 ‘자녀와의 갈등유발요인’과 ‘부모주도의 통제적 양육행동의 한계’로 중심현상은 ‘내 자식은 절대 포기 못함’이 도출되었다. 맥락적 조건은 ‘자녀의 반항과 거부’ 및 ‘가족갈등의 심화’였으며, 부모-자녀 갈등극복을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시선을 떼지 않고 물러서서 기다리기’와 ‘관계회복을 위한 실천적 노력’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불안과 좌절을 견딤’으로, 결과는 ‘관계가 회복되고 성숙해짐’과 ‘남겨진 과제들’로 도출되었다. 부모-자녀 관계회복을 위한 갈등극복과정을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핵심범주는 ‘적극적 물러서기와 모성적 인내를 통한 부모기대와 자녀의 정서적 욕구 사이의 균형 잡기’로 생성되었다. 사회의 기본단위라고 할 수 있는 가정에서부터 청소년자녀와의 갈등에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다면, 우리사회의 과열된 교육열과 부모의 기대압력으로 인한 청소년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정신 병리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녀와의 갈등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부모-자녀 관계를 개선하고 건강한 관계를 향상시키는데 실제적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자녀교육에 관한 부부갈등 지각 척도 개발

        강옥련,허철수,박태수,김성봉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struct factors of inter-parental conflict over children's education, to develop and verify the perception scale of inter-parental conflict over children's education. For these purposes, 41 conflicts which might caused inter-parental conflict over children's education were extracted through reviewing literatures and 2 dimensions of the perception scale of inter-parental conflict over children's education were supposed according to the subject matter and types of expression of conflict.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over national parents, 146 items were developed and preliminary 2 items were confirmed after experts' reviewing contents, professional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pretesting over parents. After 82 items analysis, through the factor analysis, 4 factors - ‘method of children's education’, ‘contents of children's education’, ‘cooperative children's education’, ‘support act for private education’, 44 items were selected. Finally,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perception scale of inter-parental conflict over children's education - 4 factors 28 items 5-point likert scale - was developed. The total reliability of the perception scale of inter-parental conflict over children's education revealed .96, and by each factor revealed its high internal consistency, ‘method of children's education’ .94, ‘contents of children's education’ .88, ‘cooperative children's education’ .89. ‘support act for private education’ .86. For proving the validity of the scale of the perception scale of inter-parental conflict over children's education, construct validity verification and concurrent valid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he 4 factors structure was proved appropriate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ated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by construct reliability and two standard-error interval estimate. The results of the concurrent validity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scale of inter-parental conflict over children's education and Conflict Over Child Rearing(CCR), Dissatisfaction With Children(DSC),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between them. Finally, we referred the mea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suggested follow-up pro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교육에 관한 부부갈등의 구성요인을 밝히고, 자녀교육에 관한 부부갈등 지각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하여 자녀교육에 관한 부부갈등을 유발한다고 가정되는 41개의 내용들을 추출한 후 자녀교육에 관한 부부갈등을 갈등소재와 표출형태에 따라 자녀행동-부모역할 차원, 사고-정서 차원으로 모형을 구안하였다. 전국 부모들의 경험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146개의 최초 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 의견수렴, 내용타당도 검증, 사전검사를 통해 82문항으로 예비문항을 확정한 후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자녀교육방식, 자녀교육내용, 협력적자녀교육, 사교육지원행위의 4개 요인을 얻어 총 44문항을 선정하였다. 44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4요인 28문항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된 자녀교육에 관한 부부갈등 지각 척도를 개발하였다. 자녀교육에 관한 부부갈등 지각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6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는 자녀교육방식 .94, 자녀교육내용 .88, 협력적자녀교육 .89, 사교육지원행위 .86으로 나타나 내적 일관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발된 자녀교육에 관한 부부갈등 지각 척도의 타당도 분석을 위해 구인타당도와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구조가 적합함을 확인하였고, 개념신뢰도값과 표준오차추정구간을 통하여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의 증거를 확보하였다.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하위척도인 자녀양육갈등 척도(CCR: Conflict Over Child Rearing)와 자녀불만족 척도(DSC: Dissatisfaction With Children)와의 상관분석에 의한 공인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자녀교육에 관한 부부갈등 지각 척도와 자녀양육갈등 척도 및 자녀불만족 척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 부부갈등, 부모 참여,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간 관계

        최효식(Hyosik Choi),연은모(Eun Mo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이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상대방 효과를 확인하고,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 부부갈등, 부모 참여,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간 구조적 관계를 한국아동패널 13차(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방법 한국아동패널 13차(2020년) 자료의 1,224쌍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기-상대방 효과 검증을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의 크기 비교를 위해 차이검증을 하였다.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 부부갈등, 부모 참여,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간 구조적 관계 검증을 위해 최대우도법(ML)에 기초한 구조방정식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은 자신이 지각한 부부갈등,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도 자신이 지각한 부부갈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은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갈등,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도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자기효과는 어머니보다 아버지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이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에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갈등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은 자신이 지각한 부부갈등, 교육 참여를 순차 매개로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은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교육 참여를 순차 매개로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 모두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에 영향을 미치지만, 미디어 기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은 다름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f parent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marital conflict an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of parents, marital conflict, parental involvement, and media device addiction of their children who go to elementary school. Methods A total of 1,224 pairs of data from the 13th Korean Children's Panel Study (2020) were analyzed with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In order to compare the actor and the partner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an equivalence constraint model was set up and difference verification was conducted. Also,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ML) was us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al smartphone addiction, marital conflict, parental involvement,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diction to media device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mother’s and father’s smartphone addiction had a positive actor effect on the marital conflict, but a positive partner effect was only confirmed from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Second, the actor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marital conflict was found to be greater in father than mother, however, the partner effect of father's smartphone addiction on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mother was greater than the partner effect of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on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father. Third,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was influenced through how she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involvement on students' media device addiction, while father's smartphone addiction was influenced sequentially by mother's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involvement on students' media device addiction.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both mother and father's smartphone addiction affec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dia device addiction, but the mechanisms affecting on media device addiction from parents are different.

      • KCI등재

        청소년의 공격성·충동성 행동에 대한 부모 갈등 관계, 부모-자녀 간 갈등, 학교생활 부적응의 조절효과

        손병덕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conflicts, parents-adolescents conflicts, and school maladjustment on aggr essive and impulsive behaviors among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314 adolescent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by random sampling in Songpa district, Seoul.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gender of aggressive and impulsive behaviors among adolescents. Second, economic status, father job status, parental conflicts·neglects, parents-adolescents conflicts, and school maladjustment have relations with aggressive and impulsive behaviors among adolescents. Third, the result further showed that parental conflicts·neglects, parents-adolescents conflicts, and school maladjustment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 between socio-demograpic characteristics, parental conflicts·neglects, parents-adolescents conflicts, and school maladjustment on aggressive and impulsive behaviors among adolescent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implication suggestions for developing adequate programs to manage aggressive and impulsive behaviors among adolescent were discussed. Study limits and further study suggestions we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격성·충동성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을 파악하고, 부모 갈등 관계 방임, 부모 간 자녀 갈등과 같은 가족 요인과 학교생활 부적응이 청소년의 공격성·충동성 행동을 조절하는지 분석하여 청소년의 안정적인 행동발달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S시 S지역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집 방식으로 추출된 패널 314명에 대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 대상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Cronbach α 계수를 통하여 연구에 사용한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 보았다. 청소년의 공격성·충동성 행동에 대한 남녀 간 차이를 분석해 보기 위하여 t-test 적용하였고, 선택한 변인들과 공격성·충동성 행동 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 갈등 관계 방임, 부모 간 갈등, 학교생활 부적응이 청소년의 공격성·충동성 행동 조절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의 공격성·충동성 행동의 남녀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경제적 수준, 아버지 직업 여부, 부모와 갈등 관계 방임, 부모 간 갈등, 학교생활 부적응이 청소년의 공격성·충동성 행동과 상관성을 나타냈다. 셋째, 부모갈등 관계, 부모-자녀 간 갈등, 학교 생활 부적응이 모두 추가적인 조절력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바람직한 행동발달 지원을 도모하기 위해 적용해야 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한계,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추가적으로 논의 하였다.

      • KCI등재

        재직 중인 어린이집에 자녀를 재원 시킨 보육교사와 담임교사 간 상황별 갈등관리

        백은영(Baik, Eun-You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4 아시아여성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현재 근무하는 어린이집에 영유아를 재원 시킨 보육교사(학부모-교사)와 그 자녀의 담임교사가 동료이자 학무모와 담임교사라는 이중 역할을 수행하면서 각 갈등상황에서 어떻게 갈등을 관리하고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국?공립, 직장, 민간어린이집에서 함께 근무하는 학부모-교사와 담임-교사 4쌍(총 8명)이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연구 참여자들은 개별적으로 연구자에 의해 7회 이상의 대화적 면담(Spradley, 1979)에 참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갈등상황별 갈등관리 전략을 분석하기 위해 백은영?서영숙(2012)이 사용했던 방법이 활용되어 분석되었다. 학부모-교사와 담임-교사는 일상생활 지도, 공동 업무 등의 상황에서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학부모-교사는 일상생활 지도와 관련된 상황에서는 통합적, 타협적, 배려적인 갈등관리를, 공동 업무와 관련된 상황에서는 회피적 또는 지배적인 갈등관리를 사용하였다. 갈등 상황에서 담임-교사는 일상생활지도와 관련된 상황에서는 통합적, 회피적, 또는 지배적인 갈등관리를 사용하고 있었다. 공동 업무를 하는 상황에서는 학부모-교사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다른 갈등관리를 사용하고 있었다. 학부모-교사가 회피적인 관리를 하는 경우 담임-교사는 배려적인 갈등관리를 사용하면서 내적인 갈등을 겪었고, 학부모-교사가 지배적인 갈등관리를 하는 경우 담임-교사도 지배적으로 대응했다. This study aimed to see how a teacher whose child was at her own workplace (parent-teacher) and her co-worker in charge of the child managed conflicts and maintained their relationship while playing a dual role in each situation with conflicts. To do this, four pairs of parents-teachers and class-teachers (8 persons in total) working together in national/public, employer supported, and private childcare cent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of the participants personally had more than seven unstructured interviews from the research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Baik and Suh"s (2012) method to determine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in each situation. Parents-teachers and class-teachers were experiencing conflicts in terms of routine care, common tasks, and so on. The parents-teachers used integrating, obliging, or compromising conflict management in the situation related to routine care, dominating or avoiding one in the situation related to common tasks. The class-teachers used obliging conflict management in the situation related to routine care and avoiding one when their co-worker"s child was injured. They used different types of conflict management in the situation related to common tasks. When the parents-teachers used dominating conflict management, the class-teachers employed the same type of conflict management; however, while the former used avoiding conflict management, the latter used obliging one and suffered from inner conflicts.

      • KCI등재

        며느리와 동거하는 시부모의 갈등,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생활 만족도의 관계 연구

        이화용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5 No.-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relation and influences among daughter-in-law and mother-in-law conflicts, interpersonal relation,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recognized by parents-in-law living together with daughter-in-law.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we intend to mediate the disputes in the family arising from daughter-in-law and mother-in-law conflicts, and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elderly welfare policy in the aging times For this research, we progressed the study targeting 160 persons of parents-in-law living together with daughters-in-law out of parents-in-law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ial analysis with AMOS using SPSS 20.0 for Windows statistical package and AMOS 7.0 program. In generalizing the result of analysis,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conflict around the son was, the worse parents-in-law's interpersonal relation got.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conflict of the relation with daughters-in-law, the conflict around the son and child-rearing conflict were, the lower parents-in-law's self-efficacy got.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parents-in-law's interpersonal was, the more self-efficacy improved, and the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 and self-efficacy were, the better life satisfaction became. As parents-m-law have the past patriarchal values, it is difficult for them to understand the son's and daughter-in-law's modern values, whereas it is difficult for the daughter-in-law and the son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parents' val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therein in the aspect of social welfare to adjust it smoothly, and it is thought to require a concrete plan to attempt the settlement of the problems through sharing the experiences on the family life between parents-in-law and the daughter-in-law, information exchange, the construction of self-reliance group to get the mental support and consultation telephone. Therefore, as the participation in the social activities and the interchang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t as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parents-in-law's living satisfaction, varied leisure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shall be prepared as a political method so that the elderly may enjoy the aged life affluently. That is to say, as the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is an important factor enough to affect the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set up a plan to reduce the conflict between them to stabilize the parents-in-law's aged life. 본 연구는 며느리와 동거하는 시부모가 지각하는 고부갈등과 대인관계,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고부간 갈등으로 발생하는 가족 내 분쟁을 중재하고, 고령화시대의 노인복지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시부모 중 며느리와 함께 살고 있는 시부모 1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SPSS 20.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와 AMOS 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AMOS를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아들을 둘러싼 갈등이 높을수록 시부모의 대인 관계는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며느리와의 관계 갈등, 아들을 둘러싼 갈등, 양육 갈등이 높을수록 시부모의 자기효능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부모의 대인관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며 대인관계와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생활 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부모는 과거 가부장적 가치관을 지니고 있는 관계로 아들과 며느리의 현대적 가치관을 이해하기 어렵고, 반대로 며느리와 아들은 부모의 가치관에 적응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를 원만히 조정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 측면에서의 개입이 필요하며, 시부모와 며느리의 동거생활에 대한 경험나누기, 정보교환 및 심리적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자조집단의 구성과 상담전화를 통한 문제해결을 시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시부모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활동의 참여와 대인관계의 교류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관계로 노인들이 노후생활을 풍요롭게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여가활동과 사회활동이 정책적 방안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즉, 고부갈등은 시부모의 노후생활을 안정시키고, 삶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 KCI등재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부모-자녀갈등이 청소년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김성애,홍영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9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study figure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ability. Through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the study examined whether problem behaviors, and marital conflict and parents-adolescent conflict perceived by their self-regulatory ability. For this study, 26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marital conflict scale perceived by the children’s Perception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PIC) was used. The parents-adolescent conflict scale perceived by the issue checklist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externalizing, internalizing problem by the K-Youth Self Report(K-YSR)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self-regulatory ability of adolescents, the scale of VCI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ability was significant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abil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between parents-adolescent conflict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ir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ng ability is significant in between parents-adolescent conflict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d that the self-regulatory ability of adolescents serves as a mediating factor to alleviate problem behaviors from adolescent's negative emotions and conflict in home environment, suggesting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future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부모-자녀간의 갈등과 청소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6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수집을 위해 청소년 자녀를 대상으로 한 부부갈등척도와 부모-자녀갈등척도를 사용하였고,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청소년용 자기행동 평가척도(K-YSR)를 사용하였다.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의지구성목록(VCI)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은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갈등과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갈등과 내재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은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자기조절능력은 가정 내의 부정적 정서나 갈등으로 인해 유발되는 청소년 자녀의 문제행동을 완화하는 매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담 및 추후 연구에서의 시사점을 제시 하였다.

      • KCI우수등재

        부부갈등, 부모공동양육 및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양예진(Ye-Jin Yang),도현심(Hyun-Sim Doh) 한국아동학회 2019 아동학회지 Vol.40 No.3

        Objectiv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athways from marital conflict, coparenting and parenting stress to mothers’ parenting efficacy. The purpose was achieved by examining marital conflict’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coparenting and parenting stress)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Methods: The data for the study included 151 mothers of 3- to 4-year-old preschoolers in Seoul. The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their marital conflict, coparenting, parenting stress and their parenting efficacy. The data were conducted using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 v2.16. Results: First, marital conflict had no direct effect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Second, marital conflict had no indirect effect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through coparenting or parenting stress. Lastly, marital conflict had indirect effect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through coparenting and parenting stress sequentially, which means that mothers who perceived a higher level of marital conflict reported more negative coparenting, and mothers who showed more negative coparenting reported a higher level of parenting stress, which led to a lower level of parenting efficacy.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e mediation effects of coparenting and parenting stress in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Findings of this study especially emphasize the crucial impact of coparenting on parenting stress that affects parenting efficacy directly.

      • KCI등재

        후기 청소년들의 부모-자녀갈등의 특징과 부모양육행동의 관계

        박영신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3 No.2

        Age differences in adolescent-parent conflicts and its relations with parenting behaviors were examined in 93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by administering the Issues Checklist and individual interviews. Conflicts were relatively few in numbers, moderate in frequency, and mild in intensity. However, conflicts were more frequent and intense in high school students than in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as the problem which both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had the most conflict with parents. The next problems were cleaning the bedroom, bedtime/curfew and activities in high school students and financial probl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ppearance and health in college students. Adolescents explained their own perspectives in conflicts primarily in terms of personal and psychological reasons whereas they explained their parents' perspectives in terms of moral, conventional and prudential reasons. Conflicts were resolved by adolescents giving in to parents, by parents giving in to adolescents and by joint resolution to the same extents. However, parents giving in declined with age. Among three parenting behaviors, psychological control displayed meaningful relations with conflict frequency, conflict intensity and conflict resolution in both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whereas parental behavioral control displayed meaningful relations with conflict intensity and conflict resolution in college students. 93명의 고등학생과 대학생에게 문제체크리스트와 개별면접을 실시하여 부모-자녀 갈등의 특징과 부모양육행동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갈등이 있었던 문제 수는 비교적 적었고, 갈등의 빈도와 강도도 낮은 편이었다. 갈등이 있었던 문제 수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갈등의 빈도와 강도는 고등학생에서 더 높았다. 갈등이 가장 심했던 문제는 연령에 관계없이 성적 및 진로였고, 그 다음은 고등학생에서는 방청소, 활동 및 활동통제, 취침 및 귀가시간 등이었으며 대학생에서는 돈 문제, 대인관계, 외모 및 건강이었다. 청소년들은 갈등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주로 심리적 및 개인적 이유로 설명하는데 반해 부모의 입장을 주로 도덕적, 사회․관습적 및 분별적 이유로 설명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갈등은 청소년이 원하는 대로, 부모가 원하는 대로, 절충 및 타협으로 비슷하게 해결되었으나 고등학생에서 부모가 원하는 대로 해결되는 정도가 높았다. 부모의 심리통제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부모갈등과 관련성을 보인데 반해 행동통제는 대학생의 부모갈등과 관련성을 보였다. 부모의 심리통제를 많이 받을수록 갈등의 강도가 증가하고, 청소년들이 갈등해결방법을 덜 공정하고 더 부정적이라고 여겼으며 부모의 행동통제를 받을수록 갈등의 강도가 감소하고 갈등해결방법을 더 공정하게 여겼다.

      • KCI우수등재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 온정적 양육행동 및 학령초기 아동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이운경(Woon Kyung Lee),김민주(Minjoo Kim),윤기봉(Kibong Yun) 한국아동학회 2018 아동학회지 Vol.39 No.3

        Objectiv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fathers and mothers work-family conflict on their warm parenting, as well as their early school-aged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Methods: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eighth wave Panel Study of Korea Children (PSKC) data. A total of 558 dual-earner parents and their first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 (boys: 281, girls: 277)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ere used for the dyadic data analysis. Results: First, significant actor effects were found between fathers and mothers work-family conflict and their warm parenting. Second, a significant partner effect was found between fathers work-conflict and mothers warm parenting. Third, fathers work-family conflict showe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However, fathers warm parenting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ourth, mothers work family conflict did not show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However, mothers warm parenting showed a mediating effect between mothers work-family conflict and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Mothers warm parenting also mediated between fathers work-family conflict and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Conclusion: With few extant studies that explored work-family conflicts effect on parenting and childrens development, this study addressed the gap by showing interdependence between parents’ work-family conflict and warm parenting and their effects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