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末 水原지역 老論系 李奭祚의經世論 고찰

        황미숙(Hwang, Mi-Sook)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0 중앙사론 Vol.0 No.51

        조선후기 18세기 末 수원사대부 李奭祚(1713∼1796)는 평소 柳馨遠 『磻溪隨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주목하였으며, 이를 참조하고 보완하여 『집설』을 구성하였다고 스스로 밝혔다. 그러나 이석조 『집설』은 노론 낙론계의 경세학자들과는 일맥상통한 논의에 대해 총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명 받지 못하였다. 따라서 수원 재지사족인 이석조의 주장과 논의를 통해 당시 사회의 운영을 위한 제도개혁론 일단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석조는 송시열의 학문의 영향을 받은 노론계 인물이다. 그가 저술한 4책의 『집설』 「내·외편」의 형식적 분류는 ‘內聖外王’인데 「내편」은 ‘誠’을 근본으로 하는 修己이고, 「外篇」은 실천적 경세론인 ‘治人’에 대한 내용이다. 이석조는 『집설』에서 주목한 것은 ‘養賢才와 定鄕制’이다. 이석조는 과거의 폐단이 문벌에 중심을 둔 까닭으로 인해 인재가 양성·등용되지 못하는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더욱이 수원 신읍의 조성에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鄕制인 坊里制[面里制]와 연계하여 교육하고, 관료의 능력을 갖춘 인재를 천거하는 貢擧制에 따라 선발할 것을 주장하였다. 특히 몰락한 양반들로 인한 영향이 농·공·상에 까지 파급되고, 이것은 사회 전체의 문제로 확대되는 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이석조는 井田制를 실행해야함을 강력히 주장하면서도 현실적으로 이행할 수 없는 점을 들어 限田制의 시행을 구상하였다. 이것은 大夫와 士계층에게 토지를 더 분급하는 차등적 방안이었다. 해마다 結負를 결정할 때 생기는 폐단을 개혁하고자 田人에게 50負의 토지를 지급하고, 신분과 직임에 따라 결부를 규정하였다. 이렇듯 한전론과 결부법의 재해석에 따른 이석조의 전제개혁론은 점진적인 토지 재분배로 토지 소유의 정도를 조정하려는 방식이었다. 그리고 수원의 산업 육성에 관해 주목한 이석조의 상업론은 ‘務本補末’에 입각한 균형 있는 산업 육성책 이었다. 수원에 개설된 시전에서 횡행하는 도거리[都賈]의 폐단은 辛亥年 通貢 政策을 단행토록 하는데 그 영향을 끼쳤다. 또한 기존의 東萊로 향하는 영남대로의 길목을 수원 신읍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것은 수원을 下三道로 향하는 도로를 연결하여 ‘物貨의 유통 중심’인 漢南의 상업적 대도회를 만들려는 계획이었다. 그리고 수원 근처로 駒興·長足·東荷[同化] 三驛을 하나의 역참으로 만들 것을 주장하였다. 察訪까지도 이전하자는 주장은 상업유통 거점 도시로의 확대 가능성을 전망했던 것이다. 이러한 까닭으로 정조의 특단으로 내려진 ‘迎華驛’으로 移設은 이석조의 제안과 일치하는 점에서 그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수원의 상업적 대도시화를 위해 균형 있는 산업의 육성을 도모하고자 제안 하였다. 따라서 이석조의 경세론은 그 실용성이나 해결방안을 위한 모색이 아니라 그 도덕적 이상이나 관념을 통해 구현되는 현실대응의 이념적 장치로 논의하고 주장한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시무 12조를 개진하였다. 17세기 유형원의 개혁론이 18세기 말 이석조가 살아가는 시대에도 여전히 유용한 개혁론이었음을 알 수 있다. 『집설』은 時宜를 반영하여 민인의 생활안정을 위해 주장한 사회개혁론이었다. Lee Seok-Jo as a scholar gentry in Suwon wrote 『Jipsul(輯說)』 based on his deep insight and knowledge in his life, and passed Eungjae(應製) in his 80s for Confucian scholars in Suwon. Jipsul was written to analyze problems which were caused by rapid changes of Suwon but also to propose a plan for ordinary people economic fundamentals. This study examines the policy development of country village(鄕村) and Lee Seok-Jo s theory of reformation in Suwon in the Jeongjo era of late 18th-century Chosun. Lee Seok-Jo was the one who was influenced by Song Si-Yeol(宋時烈) learning. Jipsul consists of four books of Won(元)·Hyeung(亨)·Ri(利)·Jung(貞); it draws a line between Naepyun(內篇) and Woaepyun(外篇) in content. In this way, it is meaningful; Lee Seok-Jo clarified his study was based on 『Banguesurock(磻溪隧錄)』 of Ye Hyeong-Won(柳馨遠), his learned role-model, because Yu was in Lee s opposite fraction. The first point that Lee Seok-Jo recognized in 『Jipsul』 was Yanghyunjae, emphasizing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in order to build a new village in Suwon. In other words, he insists that they should be educated by combining Bangrijae(坊里制), and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Gonggeujae(貢擧制). Lee Seok-Jo noticed that decayed scholars influence on agriculture, industry, and commerce led to the expansion of the whole social problem. Although Lee Seok-Jo declared that Jungjunjae(井田制) should be practiced, because of the realistic difficulty of the implement, he designed the implement of Hanjunja(限田制). Lee Seok-Jo tried to provide land of 50 Bu(負) to Junin(田人), and distribute land by determining Gyeulbu(結負) according to the status in order to prevent negative effects which were caused whenever Gyeulbu was determined every year. Likewise, Lee Seok-Jo s land reform theory was the method to adjust the rate of landholding via gradual land redistribution. Lee Seok-Jo s commercial theory for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Suwon was the reasonable plan based on ‘Mubonbomal(務本補末).’ This was the plan to make Suwon a commercial province of Hannam(漢南) which was the center of the materials and a central distribution of commodities(物貨). In addition, he insisted to make a post town by moving three stations(三驛) into around Suwon. As seen in Lee Seok-Jo s current affairs theory in 『Jipsul』, he suggested a practical alternative from a national perspective. Regardless of any political fraction, 『Jipsul』 was a social reform plan which was designed for ordinary people s life 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