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HP를 통한 온라인 유통 통합 관리플랫폼의 확산 중요 요인 우선순위 평가

        방선호,고세은,조유진,이강현,신광섭 한국생산관리학회 2023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34 No.-

        최근 공공 디지털 플랫폼은 공익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기회로 활용되고 있으며, 우리 정부 역시 공공 데이터 플랫폼을 운영 중에 있다. 특히, 온라인 유통 물류 산업 내 공공 주도 디지털 플랫폼을 도입하기 위한 사업이 추진 중이나추진 중에 있으나 실제 플랫폼에 참여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관점이 반영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플랫폼의 개발과 원활한 확산을 위해 다수의 이해관계자를 플랫폼 개발자와 사용자 측면으로 구분하고, 각 이해관계자가 플랫폼의 성공적인 운영과 확산을 위한 주요 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플랫폼의 도입과 확산과 관련된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기술 수용 모형 기반으로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사용자 그룹 간그룹간 중요도 평가 결과가 상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성공적인 디지털 플랫폼 구성과 운영, 유통물류 산업 전방위 확산을 위한 방향성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blic digital platform is currently utilized as the opportunity to create public profit and social value, our government also operates the public data platform. Especially, it is ongoing to introduce the public digital platform in the online retail and logistics industry. But, it seems very difficult to consider all the viewpoints of various stakeholders who participate in the digital platform. In this research, we have categorized the stakeholders into two groups, platform developers and users. Then, we have evaluat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s that are very important to successfully design, operate, and proliferate the digital platform. To identify the critical factors related to implementing and proliferating the digital platform by revi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the result shows a very different rank among groups. Wit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seems possible to build a more reasonable and stable direction to design, operate, and proliferate the digital platform in the online retail and logistics industry.

      • KCI등재

        한국학 데이터 표준화 방안과 공공데이터 정책

        서동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 한국학 Vol.47 No.2

        법으로 규정된 데이터 표준화의 의무적 상황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각 분야별 데이터 표준화 연구 추세와 궤를 같이한다. 이 글은 ‘한국학 데이터 표준화 방안’ 연구의 일환으로서, ‘통합플랫폼과 공공데이터의 상보적 역할’이라는 지형도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로 이어질 예정이다. 한국학 데이터 표준화는 학계의 시장 과정에 의한 표준화보다는 집단적 합의에 의한 표준화의 일환으로 정부의 공공데이터 정책에 따라 최소한의 형식적 표준화가 종용되고 있지만 아직은 시작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 시론은 이러한 실정의 저변을 체계적으로 집약 정리하는 차원에서 각종 데이터 표준화 관련 개념과 분류 체계 및 정책 환경에 대해서 검토하고 한국학 분야의 데이터 표준화 현황을 공공데이터 정책과 함께 살펴본 후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개시킬 수 있는 역할 체계의 일면을 제시한다. 통합플랫폼과 공공데이터의 상보적 진형(陣形)은 한국학 데이터에 대한 ‘세계적 표준’을 지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학과 인접한 국내외 학문 영역에서의 표준과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하고, 한국학만이 가진 영역에서는 독자적인 표준을 정의해야 한다. This work is part of a study on “Methods for standardizing Korean studies data.” This study began with the topographical map of “the complementary role of integrated platforms and public data” derived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tudies data standardization. As part of the study, this work focuses on the role of public data policy. In line with the trend of data standardization research in each field that is actively underway around the world, this work reviews various data standardization-related concepts, classification systems, and policy environments,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data standardization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along with public data policy, and then presents a role system that can develop this more effectively. To determine the status of data standardization in the specialized field of Korean studies, one’s own system needs to be created by narrowing down only the stems necessary for the issue in the complex maze. In terms of carrying out this task, this work also has considerable significance.

      • KCI등재

        AHP를 통한 온라인 유통과 물류시스템 연계를 위한 디지털 플랫폼 내 정보 제공 및 공유우선순위 평가

        방선호(Sun-Ho Bang),이강현(Kang-Hyun Lee),장지영(Ji-Young Jang),선하늘(Ha-Neul Seon),신광섭(Kwang-Sup Shin) 한국물류학회 2023 물류학회지 Vol.33 No.1

        최근 유통물류 산업에서는 디지털 전환과 COVID-19 확산에 따라 디지털 플랫폼 기반 전자상거래의 발전은 물류 산업의 수요가 폭증하는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 국내 온라인 쇼핑몰이나 디지털 플랫폼에 참여하는 대부분의 판매사들은 중소 혹은 영세한규모를 가지고 있어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기 어려워 다수의 플랫폼이나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시스템을 활용하는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유통물류 디지털 플랫폼에는 판매사, 공급사 및 물류서비스기업과 같이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고 있으나, 개별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이나 업무 활용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상황에서 플랫폼 내 데이터 항목 및 양식의 단일 표준을 설계하여 운영 중에 있다. 이는 각 이해관계자에게는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비용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불필요한 데이트의 공유와 축적이 발생하고, 실제로 필요한 데이터는 누락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통물류 디지털 플랫폼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를 판매사, 공급사 및 물류서비스기업으로 구분하고 각 이해관계자가제공가능하고,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 항목을 선별하였다. 또한, 선별된 데이터 항목들 간 상대적 중요도를 AHP 기법을 활용하여평가하였다. 우선순위 평가 결과 각 이해관계자 별 업무의 특성과 관리의 목적에 따라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이 다르게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 플랫폼 내 데이터 생성과 공유 방식에 대한 차별화된 방식을 설계할 수 있으며, 각 이해관계자의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the digital transformation and COVID-19 pandemic in retail and logistics industry, the development of digital platform based e-Commerce makes the demand of logistics dramatically increased. Most of sellers take part in the online shopping mall or digital platform has very small volume and they do not have enough budget to invest on building their own information systems. Thus, it is general to use the standard systems which are presented by the platform. Especially, there are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sellers, suppliers and logistics service providers in the online retail and logistics platform. But, The standard data fields and forms are designed without considering the different requirements,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applicability in business of different stakeholders. It may cause the unnecessary cost to transmit the non-value added data, make useless data accummulated, and the required data missed. In this research, the stakeholders who take part in the digital platform are categorized as sellers, suppliers and logistics service providers. The data fields which stakeholders can provide and need to share for enhancing the operations are defined. Also, using AHP,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data fields in the different point of view considering each stakeholders’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evaluation, it was concluded that different stakeholder has different priority to create and share data through the digital platform. Wit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may be possible to design the differentiated data architecture and enhance the efficiency of operations.

      • KCI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수산과학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메타 데이터 관리방안

        김재성,최영진,황재동,조완섭 사)한국빅데이터학회 2019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Vol.4 No.2

        본 논문에서는 수산과학 R&D 정보의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메타 데이터 관리기법에 관해 소개한다. 빅데이터 플랫폼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수산과학 R&D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연계하고, 이를 데이터 레이크 형태로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수산과학 분야에서 수집, 축적되고 있는 기존의 데이터와 함께 위성영상 데이터, 연구보고서 등 비정형 빅데이터까지 수집하여 다양한 분석을 지원하는 빅데이터 플랫폼의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추출과 전처리 및 저장 과정에서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함으로써 수산과학 빅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함께 메타 데이터를 표준양식으로 구축함으로써 데이터의 수집, 저장, 활용 및 유통 등 데이터 수명주기 전반에 걸쳐 체계적이고도 지속적인 빅데이터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CLOUDS 프로그램을 통한 민군 겸용 쿼드콥터 중량별 표준 플랫폼 내 최적 설계 기준안 도출

        박도예,강민우,이덕영,김찬호,장상수,남한솔,김도훈,조동연 한국항공우주학회 2024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52 No.3

        본 연구에서는 CLOUD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대이륙중량(MTOW, Maximum takeoff weight) 25kg 미만의 민군 겸용 멀티콥터 드론의 설계를 최적화하였다. 멀티콥터의 설계 과정에서 경험적 요인으로 인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설계 최적화 플랫폼을 활용하였다. 주요 구성 부품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설계 조합을 분석하여 Class A, B, C 그룹의 쿼드콥터에 대한 최적 설계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임무에서 요구하는 운용시간, 임무 장비 수준에 따라 각 Class에 대한 적합성 및 제한사항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한계점은 민간용 및 군용 드론의 제조 공정 및 표준화를 위한 성능 지표의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design of a dual-use(civilian-military) multi-copter drone with a maximum take-off weight(MTOW) of less than 25kg using the CLOUDS program. Design optimization platform was carried out to overcome problems caused by empirical factors in the design process of multi-copter. In order to determine the quad-copter optimal design results for Classes A, B, and C, a variety of design combination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main component database. In addition, suitability and restrictions for each clas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time and payload. These limitations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performance indicato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standardization of dual-use drones.

      • KCI등재후보

        블록체인 기술 동향에 관한 연구

        박찬홍,이영실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19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20 No.4

        Since the publication of Satoshi Nakamoto’s white paper on Bitcoin in 2008, blockchain is in the spotlight as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Fou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can be used in various industries beyond simple cryptocurrency. various researches and developments are being conducted worldwide to utilize blockchain technology, and a global blockchain consortium is formed. In addition, attempts are being made to apply to various industries such as logistics, distribution, and medical care as well as the financial sector. However, blockchain tecnology developments still do not reach the level that meets these concerns and expectations. In this paper, we present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blockchain technology by giving its brief concepts, consensus algorithms, standardization, and security threats. 2008년 비트코인에 대해 나카모도 사토시 백서가 발표된 이후 블록체인은 단순 암호화폐의 수단을 넘어서 다양한 산업에 사용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글로벌 블록체인 컨소시엄을 결성하고 금융 분야뿐만 아니라 물류, 유통, 의료 등 다양한 산업분야로의 적용을 위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블록체인의 기술 발전이 이러한 관심과 기대를 충족시키는 수준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개발은 아직 시작 단계인 만큼 블록체인 플랫폼의 생태계 구축을 위해 필요한 요소들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의 전반적인 개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블록체인 기술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고 , 생성된 블록을 기존의 체인에 연결하기 위한 합의 알고리즘, 국제표준 기구를 중심으로 한 블록체인 표준화 동향 및 블록체인의 한계점과 발생 가능한 보안 위협에 대하여 기술한다.

      • 사물 인터넷 분야의 연구 및 표준화, 플랫폼 동향

        홍경환 ( Gyeong Hwan Hong ),신동군 ( Dong Kun Shin ) 텔코경영연구원 2015 텔코 저널 Vol.3 No.-

        Nowadays, many IoT products are emerging on the market, and IT companies are competing on the areas of IoT standardization and platforms. This paper introduces many researches, standardizations, platforms on IoT. This paper also describes recent IoT products such as smart home, wearable devices, etc.

      • KCI등재

        개방 공간 데이터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개선 방안에 관한 실증 연구: 입지 분석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안재성,박미라,김화환 국토지리학회 2019 국토지리학회지 Vol.53 No.2

        A variety of spatial data is provided through open services such as data portals. However, availability is limited due to lack of standardization and data redundancy. Users who need to integrate open spatial data from various sources are burdened with various additional tasks such as sorting and preprocessing of data.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problems of using open spatial data through a case study to evaluate location of new industrial complexes,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effective use of open spatial data. In order to construct the evaluation index for the location evaluation of the new industrial complex, various additional works were required in the open spatial data search, sorting and preprocessing stages, and different producers provided the duplicate data for the same subject. In the preprocessing stage of spatial data, various problems such as accuracy and precision mismatch, object geometry mismatch, geocoding error, coordinate system mismatch, and merging problem have been found. Based on the case analysis, this study derives the improvement plan for effective use of open spatial data as follows. First, the basis for efficient spatial analysis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data standardization. Second, to prevent redundant dat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ole between data producers. Thir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user-oriented platform that acts as a mediator between user and open spatial data services. 다양한 공간 데이터가 데이터 포털 등의 개방형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고 있지만, 표준화 미비와 데이터 중복성 등의이유로 인해 활용성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양한 출처의 개방 공간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는 사용자는 자료의 선별과 전처리 등 다양한 추가 작업의 부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단지 입지분석에 개방 공간데이터를 활용하는 사례 분석을 통해서 개방 공간데이터 사용 과정의 문제점을 정리하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래형 산업단지 입지분석을 위한 평가지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개방 공간데이터 검색, 선별 및 전처리 단계에서 다양한 추가 작업이 요구되었고, 동일 주제에 대해서도 상이한 생산 기관들이 중복된 데이터를 제공하여 데이터를 선별하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공간 데이터의 전처리 단계에서는 정확도 및 정밀도 불일치, 객체 지오메트리 불일치, 지오코딩 오류, 좌표계 불일치, 병합 문제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견되었다. 사례 분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방 공간데이터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데이터의 표준화를 통해 효율적 공간 분석을 위한기반을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중복 데이터 방지를 위해 데이터 생산 주체간의 역할 정립이 필요하다. 셋째, 공간 데이터 개방 서비스와 사용자간 중개 역할을 하는 사용자 중심의 플랫폼 도입이 필요하다.

      • KCI등재

        웹 2.0을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적용하는 방안 모색

        이종수 ( Chong Soo Lee ),이우균 ( Woo Kyun Lee ),전성우 ( Seong Woo Jeon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환경정책연구 Vol.7 No.1

        최근 웹의 패러다임을 주도하고 있는 웹 2.0에 관한 주요 논의 요소를 도출하고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웹 2.0이란 서버-클라이언트 중심의 정적인 기존 웹 환경에 대비해 개방과 참여, 공유 등 사용자 중심의 웹 플랫폼을 제공하는 차세대 웹 환경을 뜻한다. 웹 2.0을 구현한 지리정보 서비스 사례들은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웹 2.0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술뿐만 아니라 정보와 서비스 및 사용자에 대한 접근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 정보를 관리하는 관점이 소유나 독점이 아니라 공유와 개방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현재 대부분의 공공기관들은 정보시스템을 포털화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웹 2.0 시대에서 포털서비스는 하나의 정보허브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신에 사용자가 파일 탐색기와 같은 손쉬운 방법으로 원하는 정보와 기능을 모아서 개인 블로그 형태로 만들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웹 2.0을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도 있다. 우선 각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국토지리정보 시스템들의 폐쇄성 극복과 표준화된 자료구축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외형적으로만 웹 2.0을 표방하면서 실제로는 기존 시스템의 형태만 바꿔 정보를 나열하는 식의 획일화 된 서비스는 지양해야 한다. This paper review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Web 2.0 and discussed the possible applications related to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general, Web 2.0 refers to a next generation World Wide Web environment that let people participate and share information and data. The recent examples using Web 2.0 with geo-spatial information are convincing us apply Web 2.0 into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order to imply Web 2.0 into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we should consider not only technological advancements related to providing the services but also shif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provider(government agencies) and end-users. In other words, new platform should be provided to users so that users can easily create, share, and mash-up data, which was previously managed and owned only by government agencies. Successful integration Web 2.0 platform into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require some important points such that; 1) the consideration for the data should be changed from closed and agency owned data to opened and shared data. 2) data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to integrate al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3) real change need to be happened rather than different naming on the sam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