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농업디자인 관련 연구동향 및 시사점

        하봉수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8 한국디자인리서치 Vol.3 No.3

        The phenomenon of quantitative increase of study on agricultural design based on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is recently noted. This dissertation searched the direction & role of agricultural design which is really helpful for agriculturists by investigating the tendency of preceding study related to agricultural design. The study analyzed theoretic study & preceding study in parallel and the analytic data took 30 dissertations in domestic journals in sector of agricultural product out of preceding study for 10 recent years. Although preceding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3 areas such as study on the method to develop package design(strategy), study on the case of improving package design, study related to education on package design, etc., most focus on package design, showing definite phenomenon of concentration on study theme. Thus, the area of quest needs to be divided in order to make general base on agricultural design. Further, when it comes to study contents, universal standard tends to be intensively handled such as indicated matter, law, design guide, etc. After all, study contents need to be deepened so that they may be applied to individual plantation or farmhouse based on such universal standard. While education for agriculturist to understand design and to convert sense is significant, cooperation with expert group is also important for high added value of agricultural product. In such meaning,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xpert design group. In conclusion, although it is important to solve the current task, package design, we think that the role of design should be intensified as solution(for example. Farm Identity Program) which enhances internal motive so that agriculturists are self-motivated with pride & satisfaction instead of sense of obligation or responsibility based on the comprehension of farmers, agricultural product & agricultural site, which can be said to the fundamental of agriculture in order to attain the goal, namely, realization of welfare agricultural town through activation of the 6th industry. 최근 농업의 6차산업화를 화두로 한 농업디자인에 대한 연구의 양적 증가 현상이 주목된다. 본고는 농업디자인 관련 선행연구의 동향을 고찰함으로써 진정으로 농업인들에게 도움이 되는 농업디자인의 방향과 역할을 모색했다. 연구는 이론연구와 선행연구 분석을 병행했고, 분석 자료는 최근 10년 사이에 보고된 연구 중 농산품 부문 국내학술지논문 30편을 대상으로 했다. 선행연구는 포장디자인 개발방안(전략) 연구, 포장디자인 개선사례 연구, 포장디자인 교육관련 연구 등 3가지 영역으로 대별되지만, 대부분 포장디자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연구주제의 편중현상이 뚜렷하다. 따라서 농업디자인에 대한 근본적 토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탐구영역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또한 연구내용을 보면, 표시사항, 법령, 디자인가이드 등 범용적 기준을 다루는 경향이 많다. 이제는 이러한 범용적 기준을 토대로 개별 농장이나 농가단위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대상의 개별화, 심층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농업인의 디자인 이해 및 의식전환을 위한 교육도 필요하지만 농산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서는 전문가 그룹과의 지속적인 협업이 중요하다. 그런 차원에서 디자인 전문집단의 구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포장디자인이라는 당면 과제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6차산업 활성화를 통한 복지농촌 실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농업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는 농자(農者)와 농산품, 농업 현장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기반으로 의무감이나 책임감에서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농업인 스스로 ‘하고 싶도록’, 그래서 자긍심과 뿌듯함을 느낄 수 있도록 내적 동기를 강화시키는 솔루션(예를 들면, 농장이미지통합계획)으로 농업디자인의 역할이 심화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디자인경영 관점의 강소농 육성 전략에 관한 연구

        안수지(Ahn, Soojee),나건(Ken, Nah)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강소농 육성을 위하여 디자인경영의 필요성을 논하고 전략적 수단으로 디자인리서치 툴킷의 필요성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농촌성과 강소농, 디자인경영, 디자인리서치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4종의 디자인리서치툴킷을 조사했으며 그 내용 정리하면, IDEO사의 HCD 툴킷, bootcamp bootleg, Drivers of Change, Design thinking for Educator를 살펴본 결과, 사용가능 범위와 내용은 비슷하였으며 주로 지역, 교육, 프로젝트 솔루션을 도출하고 프로젝트 리더와 참여자의 아이데이션을 돕는 방법론과 도구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디자인리서치툴킷의 필요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활동하는 컨설팅전문가를 인터뷰하고 SNS를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인터뷰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컨설팅이 요구되고 있는 현장의 사정을 들을 수 있었으며 참여자 다수의 지식과 의견이 중심이 되는 ‘두레지성"을 활용하고 있었다. SNS설문을 통해 확인한 결과 회의 진행시 가장 큰 걸림돌은 ‘이해관계"로 나타났으며 조사결과를 유추하여 보면 디자인리서치툴킷은 사업의 리더와 참여자는 물론 컨설팅전문가 모두에게 필요하였으며 「컨설턴트용」과 「참여자용」으로 용도를 구분하여 개발하여야 할 할 것으로 판단된다. 획일화된 농촌개발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농촌지역에 대한 디자인경영관점의 강소농 육성을 위하여 전략적으로 계획단계에서 부터 디자인리서치방법론을 적용하여 농촌성을 살린 창조적인 스토리텔링을 개발하고 타 지역과의 차별화를 이끌어 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중앙부처 또는 농촌관련기관에서 주도적으로 농촌형 디자인리서치 툴을 개발 보급하고 전문가 양성을 위한 커리큘럼 개발 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suggest for that a necessary of design management and design research toolkit as a strategy tool for "Strong small farmers" fostering.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concept of rurality, Strong small farmers, design management, design research. Second, case study about HCD toolkit, bootcamp bootleg, Drivers of Change, and Design thinking for Educator. The result of case studies, the contents and range of available is similar and mainly local, education, projects, solutions, and was composed of methodologies and tools to help the project leader and partner validation. In addition, to verify the need for design research toolkit, expert interviews and SNS surveys. So, that result is when meetings obstacle is "stake", and design research toolkit is needed for consultants and partners. Therefore, it would be a plan for the Rural Development of design tools and a leading research center in the ministries or rural agencies, and be spread through the expert.

      • KCI등재

        농업용 트랙터 디자인 개발

        박성희 ( Sung-hee Park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08 산업디자인학연구 Vol.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had started from the development of a design enabling both domestic production and export. Afterwards, it has gone through many designing processes in terms of development and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by going through many stages using NC processing and FRP resin for the flawless implementation of shape. With this, we began to design the tractor as a sensible user interface and new model while presenting a designing process in which the designer participates in all stages of designing. This would continue to be applied usefully in the development stage of designing by establish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ractor design.

      • KCI등재

        A Study on Necessity of an Introduction to Urban Agriculture System in Vietnam

        Chieu Anh, Long(안롱),Pan, Young Hwan(반영환)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전 세계의 많은 도시 도시들은 도시 녹지를 개선하고 도시 농업을 촉진함으로써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베트남은 도시농업을 활성화하려는 국가이기도 하다. 농업 국가로서, 그러나 요즘 대도시에서는 점점 더 붐비고, 도시 주변의 농장들은 점차 건물들로 대체되고 있다. 따라서, 식량생산과 도시의 결합은 유망한 잠재력을 제공한다. 기술 발달로 도시농업은 점차 그 가치를 형성하여 개방된 옥상농장, 옥상온실, 실내농장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농업에 대해 매우 염려하고 있지만, 가장 큰 어려움은 경작해야 할 농장이다. 건물 옥상에서의 도시농업의 적용은 도시의 도시녹화 개선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요구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을 약속한다. 본 연구는 도시인들의 요구를 바탕으로 베트남 도시농업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를 실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거기서 도시 옥상에서의 도시농업을 베트남 환경에 적합한 방식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Many urban cities around the world are trying to promote solutions to enhance sustainability by improving urban greenery and promoting urban agriculture. In which Vietnam is also a country that is trying to boost urban agriculture. As an agricultural country, but nowadays in big cities becoming more and more crowded, farms around the city are gradually being replaced by buildings. Thus, the reconnection of food production and cities offers promising potential. With the strong development of technology, urban farming is gradually shaping its value and becoming popular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open rooftop farms, rooftop greenhouses, and indoor farming. In Vietnam, most people are very concerned about agriculture, but the biggest difficulty is the farm to cultivate. The application of urban farming at the rooftop of buildings promises to contribute to addressing people’s needs as well as improving urban greenery for the city.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practical study of urban farming in Vietnam based on the needs of urban people. From there, propose the method of applying urban farming on rooftops in the city in a way that is suitable for the Vietnamese environment.

      • KCI등재

        패시브디자인을 적용한 주거용 스마트팜 건축계획연구

        맹동,류리,김용성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world population continues to grow, food demand will increase, and it is expected that rapid urbanization will lead to more active research into urban agriculture. As a result, research is being conducted and plans are being implemented to establish smart farms in the city, but the utilization of vertical farms is insufficient due to problems such as the energy demands of vertical farms and limited cultivation plants. We propose a residential smart farm that accounts for the energy problem by a passive design application of the vertical farm. (Metho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vertical farm, the following study was carried out. First, the problems of current vertical farms were deriv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Second, we analyzed cases of passive design and smart technology to identify problems in vertical farms.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residents and vertical farm experts, suggesting directions and design methods for vertical farm planning. (Results) First, with a residential and greenhouse smart farm plan oriented in the direction of the sunri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quirements of indoor heating energy in the winter season due to the acquisition of square heat and the use of artificial lighting due to cultivation of Smart Palm crop.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comfort of the occupant through the interception of four-way heat introduced into the room and public purification. Second, indoor natural ventilation through formation of a southern opening can secure the environment of residents and the comfort of the smart farm. Third, in addition to individual farms in residential areas, it is possible to secure diversity of crops during the cultiva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common farms in atrium,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by implementing the same environment for crops through the cultivation of cascading crops. (Conclusions) The reason for the underutilization of vertical farms in urban areas is that there are problems in artificial energy consumption, unification of cultivated crops, and labor shortag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conducted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based on passive design and smart technology theory survey and review. Through a passive design application method this study proposes a building arrangement for saving artificial energy, along with an efficient space configuration for individual smart farms and public farms, and a natural ventilation method through openings. This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vertical farm and the urban self-sufficiency plan which cities are currently pursuing. (연구배경 및 목적)세계 인구의 지속적 증가로 식량 소요량은 더욱 증대되고,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도시 내 농경 삶을 유입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이라 예상된다. 이에 따라 도시 내 스마트 팜 구현을 위한 연구 및 계획이 시행되고 있지만 수직농장의 에너지 수요량 및 한정적 제배식물 등의 문제점 발생으로 수직농장 활용은 미비한 현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내 수직농장 활성화를 위해 문제점으로 제시되는 에너지 소요량 및 식물의 재배적 문제 해결을 위해 수직농장의 패시브디자인 적용으로 에너지소요 문제점 및 식물재배와 거주자의 쾌적성을 위한 주거용 스마트 팜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수직농장에서의 문제점 해결방안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이론 고찰을 통해 현재 수직농장의 문제점을 도출한다. 둘째, 수직농장 문제점을 파악을 위한 패시브디자인 및 스마트기술의 사례를 분석한다. 또한 주민과 수직농장 전문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직농장 계획방향성 및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과) 첫째, 일조 방향과 동일한 주거 및 온실 스마트 팜 계획에 있어서 동절기에는 일사열 획득으로 인한 실내 난방 에너지저감 및 스마트 팜 작물 재배에 따른 인공조명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으며, 하절기에는 식물재배를 통한 녹화 현상으로 실내 유입되는 일사열 차단 및 공지 정화를 통한 재실자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남측 개구부 형성을 통한 실내 자연 환기를 통하여 거주자의 환경 및 스마트 팜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주거내의 개인 팜 이외에도 아트리움(Atrium) 내 공용 팜 구현을 통한 작물 재배시의 작물의 다양성을 확보 할 수 있으며, 계단식 작물 재배로 인해 작물에게 동일한 환경을 구현을 통한 사용에너지 저감이 가능하다. (결론) 현재 도시 내 수직농장 활용이 미비한 이유는 인공에너지사용량과 재배작물의 단일화, 노동력부족 등의 문제점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패시브디자인과 스마트기술 이론고찰 진행,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국내, 외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패시브디자인 적용방법 및 스마트 기술을 통한 스마트 팜 디자인 방법으로 인공에너지 절약을 위해 건물배치 및 개인 스마트 팜과 공용 팜의 공간 구성, 개구부를 통한 자연환기 방식, 효과적 농장 운영을 위한 스마트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는 수직농장의 활성화와 현재 도시가 추구하고 있는 자급자족형 도시계획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농촌마을 농특산물 포장디자인 개선을 위한 샤렛 개발 및 효과- 재능기부디자이너들의 의식변화를 중심으로 -

        채혜성 ( Hye Sung Chae ),도경록 ( Kyung Rok Do ),진혜련 ( Hye Ryeon Jin ),이동관 ( Dong Gwan Lee ),홍광우 ( Kwang Woo Hong ),안옥선 ( Ok Sun Ahn ),조록환 ( Lok Hwan Jo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3 농촌계획 Vol.19 No.2

        In these days, agricultural products are regarded as a core income source in tourism villages. Nevertheless, poor packaging of agricultural products has threatened the competitiveness and quality of products. For farmers, it is less likely to employ individual designer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their packages due to low accessability to rural villages and budgets.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conducted ‘Charrette’ in order to improve agricultural product packaging. The target village was ‘Goraday’ in Gangwon province. This study consisted of different steps for building and implementing proper ‘Charrette’ programs. Then, it also conducted empirical investig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Charrette’. ‘Charrette’ has made progress as follows; first step was concerned with advance preparation for constructing program. Second, implementation of ‘Charratte’ include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development of design. Third, evaluation and feedback stage have given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bout suggested design with local residents. Empirical investig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Charrette’ has been composed with survey and interview targeting participants. In survey and interviews, designers were asked about their attitudinal changes in relation to knowledge, recognition, func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oward ‘Charrette’ and ‘agricultural product package desig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the event. The results showed that knowledge and perception of designers toward ‘agricultural product package design’ have positively increased. In addition, it revealed that designers were satisfied with collaborations with others and their contribution to rural community business. However,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sufficient preparation time/schedules and opportunity to meet other and farmers before events would be required to have better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in relation to their tasks and role distribution. Furthermore, it is also required for designers to hold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y in order to actualize their packaging design.

      • KCI등재

        자연순환농법을 기반으로 한 치킨 케이지 디자인 모델 연구

        남현우(Hyun Woo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1

        자연순환농법은 경종과 축산을 겸업하면서 각각의 부산물을 작물재배 및 가축사육에 활용하고, 경종작물의 퇴비소요량에 맞게 가축사육 마리수를 유지하는 형태의 농법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닭을 사육하면서 실험법과 관찰법을 중심으로 친환경농업법의 인증기준인 “자연순환농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도시에서 육축이 가능한 환경친화적이면서도 자연순환농법을 기반으로 한 치킨케이지 디자인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42개월의 실험기간 동안 7차례의 자연순환농법을 사용하여 EM 공법과 활성부식토를 이용하여, 음식쓰레기와 배변에 따른 냄새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으며, 육축에 필요한 온도는 발효열 실험을 통해서 해결할수 있었다. 이외에도 닭울음소리와 질병실험을 통해서 디자인에 필요한 가이드라인 요소를 추출 할 수 있었다. 치킨 케이지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공간확보, 포란횟대 등의 공간적 설계와 공기순환과 채광, 배변판, 급수대, 급식판 디자인의 내용적 설계를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의 자연순환농법을 기반으로한 디자인 실험연구로서, 자연순환농법을 이용한 닭의 생육은 음식물 쓰레기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으며, EM공법과 활성 부식토를 이용한 닭의 생육은 친환경 비료를 대체할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시킬수 있었다. Natural circulation farming refers to keep the number of animals in accordance with the compost requirement of crops and put the respective byproducts into crop or livestock to manage both crop cultivation and animal breeding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u the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of raising chickens according to the ``Natural Circulation Farming``, the certification standard of environment- friendly farm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chicken cage design model available in urban area under the eco-friendly and natural circulation farming conditions. The odor of bowel movements and food waste was removed by EM process and active humus in 7 times of natural circulation farming for 42 months of experiment period and the fermentation heat experiments covered the temperature required to raise the chickens. Further, chicken crying and disease experiments were added to the design guidelines available for the spatial design such as security of space or incubation roost and the internal volume design including air circulation and lighting, defecation plates, water supply and feeding plates. This research is in reference to the design experiments based upon the natural circulation farming carried ou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the natural circulation farming can dramatically reduce the food waste and EM process and active humus could become an alternative to eco-friendly fertilizer.

      • KCI등재

        농장 시뮬레이션 융합형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지속가능성 요인 분석과 사용자 경험 디자인 평가 연구

        양연경(Yang, Yeon Kyo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3

        농장 시뮬레이션 게임은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플레이어들과 상호 연계성이 강하며, 장기간 지속적으로 게임서비스를 이용하는 충성고객층이 많은 편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사회적, 문화적, 시스템적 특성을 연구하여 농장 시뮬레이션 게임의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 컴투스(Com2us)에서 개발한 타이니팜을 대상으로 하여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업데이트 된 게임의 발전과정들을 4세대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1세대는 육성 및 성장, 2세대는 캐릭터-아이템-맵 확장 전략, 3세대는 소셜 빌리지와 온오프믹스 마케팅, 4세대는 컨셉팅과 멀티미션 전략으로 각각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타이니팜의 성공요인을 ‘지속가능성 요인’에 초점을 두어 연구하였으며, 혁신성, 놀이성의 즐거움, 디자인 심미성, 사회적 지위 등이 장기간 동안 게이머들을 유지할 수 있었던 주요 조건들을 분석하였다. 타이니팜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은 10대 청소년, 20~30대 청년, 40~50대 중장년 성인 등으로 그룹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피터 모빌의 허니콤 모델에서 추출한 UX 디자인 키워드 7가지 조건을 중심으로 유용성, 편의성, 매력요인, 접근가능성, 발견용이성, 가치창출성, 신뢰성 등으로 본 평가를 시행하였다. 게임 참여자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매력요인, 접근가능성, 신뢰성 등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본 연구를 총괄하여 분석하면 20대 및 30대 게임 사용자들이 대부분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타이니팜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평가에서는 매력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게임플레이의 즐거움에 영향력을 줌으로써 게임의 지속성을 유지하는 동기부여와 몰입성 강화를 증명하였다. 둘째, 게임의 접근 가능성과 신뢰성은 사용자들이 게임을 대체로 원활하게 잘 참여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셋째, 편의성과 발견용이성은 게임 플레이에 큰 문제로 관여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에 대한 공유사회의 특성과 생산성에 대한 새로운 문제를 논의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소셜 게임의 호혜성에서 기인하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 평가 모델을 더욱 심도있게 분석해야 할 것이다. Farm simulation games are highly interconnected with players around mobile social networks, and it has a large loyal customer base that continues to use game services for a long tim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ocial, cultural and systemic characteristics of mobile social network games and analyzed various factors of farm simulation games. Seco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game updated from 2012 to 2019 was studied in four generations, targeting Tiny Farm developed by Com2us. This was analyzed by dividing the first generation into incubation and growth, the second generation character-item-map expansion strategies, This study focused on the "sustainability factors" of Tiny Farm, and the main success factors are innovation, playfulness, design aesthetics, and social position. The user experience design of Tiny Farm was analyzed in groups of teenagers,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nd middle-aged adults in their 40s and 50s. This study focused on seven conditions of the UX design keyword extracted from Peter Morville"s Honeycomb model, and conducted the main evaluation with usable, useful, desirable, accessible, findable, valuable and credible. After analyzing the opinions of the game participants, they respond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were the attractiveness, accessibility, and reliability The overall analysi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game users in their 20s and 30s showed high satisfaction. In conclusion, Tiny Farm"s user experience design assessment showed the highest "desirable", which proved to enhance the motivation and immersion of maintaining the game"s continuity by influencing the enjoyment of game play. Second, the accessibility and reliability of games have shown that users are generally well involved in games. Third, "useful" and "findable" showed that they were not involved in big problems. Future research will have to discuss new issues on shared society"s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for mobile social network games.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be able to discuss new issues about shared society"s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for mobile social network games.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further analyze the user experience design assessment model resulting from the benefits of social games

      • KCI등재

        농산물 포장디자인의 과제와 발전 방향

        김미자 ( Mi Ja Kim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0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24 No.-

        After the middle of 1990`s, people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design and brand in Korea. At the beginning, the meaning of the brand is to be recognized f개m others. Nowaday, there has been a remarkable change in the concepts of the brand and package design. The smaller sized Packages are produced reflecting family size and life styles of customers. However, branding of the farm products is mainly focused on traditional images rather than technology and brand image. Farm products are various in size and shape. They are too heavy and big considering their commercial value. It is necessary that there is some kind of buffers or structural consideration to protect and keep them fresh.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farm products and problems, and present the possibilities of future growth. In this study, brand image and package design are the primary matters to present the ways and means of the functional packaging for the farm produce to develop the brand value. The research analyzed the strategic packaging methods: functional packing materials, standardization, informations provided, various packaging sizes and units, structural and graphic design development, branding, quality of the products, environmental friendly package.

      • KCI등재

        베트남 도시 농업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안롱,반영환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전 세계의 많은 도시 도시들은 도시 녹지를 개선하고 도시 농업을 촉진함으로써 지속가능성을 높이기위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베트남은 도시농업을활성화하려는 국가이기도 하다. 농업 국가로서, 그러나 요즘 대도시에서는 점점 더 붐비고, 도시 주변의농장들은 점차 건물들로 대체되고 있다. 따라서, 식량생산과 도시의 결합은 유망한 잠재력을 제공한다. 기술 발달로 도시농업은 점차 그 가치를 형성하여 개방된 옥상농장, 옥상온실, 실내농장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농업에 대해 매우 염려하고 있지만, 가장 큰 어려움은 경작해야 할 농장이다. 건물 옥상에서의 도시농업의 적용은 도시의 도시녹화 개선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요구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을 약속한다. 본연구는 도시인들의 요구를 바탕으로 베트남 도시농업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를 실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있다. 거기서 도시 옥상에서의 도시농업을 베트남 환경에 적합한 방식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Many urban cities around the world are trying to promote solutions to enhance sustainability by improving urban greenery and promoting urban agriculture. In which Vietnam is also a country that is trying to boost urban agriculture. As an agricultural country, but nowadays in big cities becoming more and more crowded, farms around the city are gradually being replaced by buildings. Thus, the reconnection of food production and cities offers promising potential. With the strong development of technology, urban farming is gradually shaping its value and becoming popular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open rooftop farms, rooftop greenhouses, and indoor farming. In Vietnam, most people are very concerned about agriculture, but the biggest difficulty is the farm to cultivate. The application of urban farming at the rooftop of buildings promises to contribute to addressing people’s needs as well as improving urban greenery for the city.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practical study of urban farming in Vietnam based on the needs of urban people. From there, propose the method of applying urban farming on rooftops in the city in a way that is suitable for the Vietnamese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