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민일기에서 나타나는 기술수용과 그 양가성에 대한 연구

        손현주(Son, Hyeon-Ju),문만용(Moon, Man-Yong) 역사문화학회 2016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9 No.1

        이 글은 『창평일기』와『아포일기』를 바탕으로 한국의 압축근대화 과정에서 농민들이 겪게 되는 근대적 경험으로서 기술의 수용과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양가성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동안 기술수용에 관한 연구는 기술수용모형에 기반한 정량적 연구에 집중하여 미시사적이고 질적인 연구가 부족하였고, 기술을 사용할 때 직면하는 상호모순적인 감정과 생각 등과 같은 양가성에 대한 측면을 등한히 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일상 활동, 이야기, 사건 등을 담고 있는 일기를 통해 농민의 기술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았다. 두 농민이 경험한 기술수용과정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계와 기술의 수용을 적극적으로 한다는 것이다. 둘째, 기술수용과정에서 농민들이 노동의 개인화를 지향하면서 공동체가 와해되는 경향이 있다. 셋째,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용성, 편리성 등과 같은 내적 요인 외에 정부의 강력한 정책, 영농교육 같은 외부 영향 요인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넷째, 농촌지도소와 같은 농민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이 신기술을 농민들에게 전파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다섯째, 기술수용과정이 반드시 경제적 합리성에 근거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기술수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양가성은 크게 3가지가 있는데, 첫째, 기술의 해방적 기능과 기술에 대한 부정적 인식, 둘째, 사적이익을 위한 기술과 공적이익을 위한 기술, 셋째, 기술수용과정의 합리성과 비합리적 관행 등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의의는 그 동안 소홀히 취급되었던 농민들의 기술수용과정의 특징을 밝혀낼 수 있었다는 것이다. This paper constitutes of the analysi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process and the ambivalence experienced by two Korean farmers as recorded in their diaries: the Diary of Changpyung and the Diary of Apo, during a period of compressed modernization. In regard to the technology acceptance process, previous studies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research such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rather than a micro and qualitative approach, and largely ignored the aspects of ambivalence that fosters mutually contradictory feelings and ideas. This paper, therefore, explores a farmer’s experience of technology through diaries focusing on daily activities, stories and events. The technology acceptance progress can be defined by 5 characteristics. 1) Two farmers pursue new technologies aggressively, because they believed that they will benefit from using various technologies. 2) The adoption of new technologies by the farmers resulted further individualization, resulting in the breakdown of the rural community’s support network. 3) The farmer’s acceptance of technology is affect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government policies and education as well as internal factors such a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4) Agricultural education and the training system provided by agricultural extension office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bringing knowledge of new technologies to the farmers. 5) The technology acceptance process is not always based on economic rationality. We identify the three major ambivalences of technology acceptance that played a central part in the modern technology usage experience in the rural area: (1) technology of human liberation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technology, (2) personal interest and public interest (3) rational and irrational practice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process. An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detail the distinct features of the farmer’s technology acceptance process which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as a research topic.

      • KCI등재

        「일기」를 통해 본 1970년대 농촌개발정책과 마을사회의 변화

        이성호(Lee, SungHo),문만용(Moon, Manyong) 한국지역사회학회 2014 지역사회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rural lives and society through Changpyung Diary. During the 1970s, Korea experienced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due to the central government’s modernization policy. State bureaucracy propelled rural development policy with state power dominant over the civil society, modern mindset and policy ability of the state elite. Formal modern elements, such as agricultural technology, village landscape, housing style, and the compression of distances between villages and cities were introduced in rural society during the 1970s.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the rural changes in the 1970s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power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national mobilization system and the correspondence of rural residents to cope with the state power. The state could incorporate rural residents into the nation by overwhelming material domination and moral and intellectual hegemon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state could mobilize the physical and spiritual efforts of rural residents. The state power could mobilize human, physical, and political resources from rural areas to achieve modernization effectively. The rural residents who were in adverse market positions wanted to recover their losses by depending on support from the state. The effects of the material and technological support from the state were very helpful not only for the individual and but also for rural communities. The vertical domination system of the state system over villages could only be attained by voluntary mobiliza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 KCI등재

        1970~80년대 농촌근대화와 로컬시간의 재구성

        차철욱(Cha, Chul-Wook) 역사문화학회 2016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9 No.2

        본 연구는 1970~80년대 근대화를 경험하는 농촌의 로컬시간을 분석한 것이다. 로컬시간을 ‘로컬의 고유한 리듬 혹은 시간’으로 정의하였다. 이 시간은 로컬 구성원들의 일상생활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로컬의 내재적 속성 즉 에너지를 구성한다. 로컬시간은 다양하게 존재하며, 로컬외부에서 작동하는 국가시간이나 자본시간과 충돌, 포섭, 재구성 등의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는 로컬시간 탐색을 위해 전라북도 임실군 창인리에서 살았던 최내우가 쓴 『창평일기』를 분석하였다. 이 일기는 1970~80년대 농촌근대화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이 마을사람들은 농업에 종사하였기 때문에 자연에 의존적인 시간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이 시기 국가의 국민 포섭의 한 방법은 시간 지배였다. 농민들의 생활리듬인 로컬시간은 성과주의로 대표되는 국가시간과 충돌하였다. 마을사람들은 국가시간에 포섭되기도 하지만, 국가시간을 비켜갈 수 있는 자신들의 시간을 구성하기도 하였다. 이 시기 국가시간은 마을사람들의 생활리듬을 빠르게 만들었고, 한편으로는 경제적으로 곤란하게 만들었다. 로컬시간의 연구는 글로벌시대의 빠른 시간에 무조건 흡수되지 않는 개체의 고유한 시간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것이 로컬사람들의 삶을 안전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안전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nalyzed local time of agricultural communities experienced modernization in the 1970s to 1980s. Local time was defined as ‘a unique local rhythm or time.’ This time is made in the process of local members’ daily life, which constitutes the implicit local property, that is, energy. Local time exists in various ways and shows aspects such as crashes, subsumption and reconstitution with national time or capital time operating outside the local area. This study analyzed Changpyung Diary written by Nae-u Choi who lived in Chang-in-ri, Imsil-gun, Jeollabuk-do Province in order to explore local time. This diary records the process of the modernization of agricultural communities in the 1970s and 1980s in detail. Since the village people worked in agriculture, they had a time dependent to nature. However, the state would dominate them by taking over the peasants’ time. There are increasing cases of the collision of local time, the rhythm of the peasants’ life to national time, characterized by the performance principle. Village people were persuaded by national time, while they constituted their own time by which they could move around national time. The national time during this period made the rhythms of village people’s life faster on the one hand and made it economically more difficult on the other hand. Studies of local time raise the necessity of a time peculiar to the individual, not absorbed into the fast time in the global era, unconditionally. It is because this can be a safety net that can make local people’s life sa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