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국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과 사회성 발달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이규형 ( Kyu Hyung Lee ) 대한무도학회 2010 대한무도학회지 Vol.12 No.3

        이 연구에서는 미국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 경험 유무와 수련 빈도, 수련 강도에 따라 사회성 발달과 정신건강의 차이와 태권도 수련이 미국의 초등학생들의 사회성발달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2010년 1월 15일부터 2월 3일까지 미국의 매사추세츠 주(Massachusetts) 소재 공립 초등학교에 방문하여 학교 재학생 중 정규 체육시간에 태권도 프로그램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참가자 3, 4, 5학년 남녀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277부를 추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15.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정(t-test),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계수,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등으로 검증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초등학교의 태권도 수련을 한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안정성, 자율성과 사교성, 활동성, 예절성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자율성과 사교성, 활동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태권도 수련 경험 유무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를 규명한 결과 정신건강의 하위요인 중 대인예민성과 적대감은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울, 불안, 신체화 장애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국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 빈도에 따른 사회성의 차이는 태권도 수련을 자주 한 아동일수록, 사회성 발달 하위요인인 안정성, 자율성, 사교성, 활동성, 예절성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태권도 수련 강도가 높을수록 사교성과 활동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미국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 빈도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는 수련을 자주한 아동일수록 정신건강의 하위요인인 대인 예민성, 우울, 적대감, 불안, 신체화 장애가 낮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태권도 수련 강도가 높을수록 정신건강의 하위요인인 대인 예민성, 적대감, 불안, 신체화 장애가 낮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미국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을 통한 사회성 발달은 정신건강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This research is done to look into the difference in sociality development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whether American elementary schoolers have experience in taekwondo training, training frequency, and training intensity, and also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American elementary schoolers` sociality development and mental health. To make a survey on this, this research set up the 3rd, 4th, 5th graders as its study object who participated in taekwondo program conducted in regular PE class among the enrolled students of a public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Massachusetts in the USA from Jan. 15 to Feb., 3, 2010. 277 samples were selected using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conclusions deducted from the verification with frequency analysis, T-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correlation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sim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 15.0program for data analysis are as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that a schooler who has taekwondo training in American elementary school was higher in sub-factors of sociality, such as stability, autonomy, sociability, activity, and civility than a schooler who doesn`t and there appear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utonomy, sociability and activity. In addition, as a result of inquiring into the difference in mental health consequent on whether American elementary schoolers have experience in taekwondo training,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hostility among the sub-factors of mental health were found to show a statistical difference, but gloom, anxiety and somatization disorder were found not to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s for the difference in sociality consequent on taekwondo training frequency of the US elementary schoolers, a schooler, who has more frequent taekwondo training, was found to be higher in sub-factors in sociality development, such as stability, autonomy, sociability, activity, and civility,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aekwondo training intensity was, the higher their sociability and activity were,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as for the difference in mental health consequent on taekwondo training frequency of the US elementary schoolers, it was found that the more frequently a schooler had taekwondo training, the lower were the sub-factors, such as interpersonal sensitivity, gloom, hostility, anxiety, and somatization disorder,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aekwondo training intensity was, the lower the sub-factors in mental health, such as interpersonal sensitivity, hostility, anxiety, and somatization disorder were,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sociality development through taekwondo training of the US elementary schooler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