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바움가르텐의 미학과 미적 교육론

        김수현(Kim Soohyun) 민족미학회 2015 민족미학 Vol.14 No.2

        A. G. 바움가르텐에 의하면 미학(aesthetica)의 목적은 감성적 인식 그 자체의 완전성 즉 미다. 이러한 규정은 그의 미학을 미적 교육론의 선구적인 이론의 하나로서 해석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아이스테티카가 인식의 미를 목표로 삼는다면, 이는 고상한 취미, 아름다운 영혼 같은 계몽주의 시대의 이상적인 미적 인간성의 이념과 연결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미에 대한 바움가르텐의 이론 속에서 미적 교육론의 단서를 끌어내고, 또한 미적 교육에 관한 그의 이론이 계몽주의 시대의 유사한 미적 교육론들과 상관하여 어떠한 특징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아이스테티카는 아름다운 정신(felix aestheticus)에게 그의 감성적 인식이 완전한 것이 될 수 있도록 필요한 미의 규칙들을 제공한다. 이에 따른 아이스테티카는 장래의 아름다운 정신, 애미자, 예술가를 길러내기 위한 미적 교육의 원리이자 방법이 된다. In 1750 <aesthetica>, A. G. Baumgarten defined the goal of aesthetica as perfection of sensitive cognition itself, that is beauty. This definition seems to measure up to an interpretation that Baumgarten"s aesthetica is one of pioneering theories of aesthetic education at the time. On the basis that his aesthetica had aimed at the beauty of cognition, so it appears that aesthetica had some correlation with the Enlightenment"s ideal of the aesthetic man, such as fine taste, beautiful soul, etc. I have tried 1) to find out some clues of a theory of aesthetic education in Baumgarten"s theory of beauty, and 2) to show characteristics of it pertaining to the other agenda of aesthetic education in the age of Enlightenment. Baumgarten"s aesthetica will provide felix aestheticus with rules of beauty in order to guide sensitive cognition into perfection. Accordingly, the discipline of aesthetica might be needed for cultivating an aesthetician(aestheticus) for a future beautiful spirit.

      • KCI등재

        모세스 멘델스존과 미 현상의 자율성

        김수배 새한철학회 2000 哲學論叢 Vol.22 No.-

        멘델스존의 사상은 특히 그의 미학이론에서 진가를 보여주고 있다. 그가 활동하던 18세기 중반의 유럽 미학의 큰 흐름은 합리론적 전통의 주지주의의 미학과 경험론적 전통의 감정주의 미학, 그리고 이와 유사한 성격을 지녔던 프랑스의 감각주의 미학에 의해 결정되었다. 주지주의 미학은 미를 객체에서 인식되는 특정한 성질, 즉 대상의 "완전성"에서 성립하는 것으로 보며, 인식 주체가 그것을 파악할 때 미를 경험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감정주의와 감각주의는 일반적으로 객체보다는 주관의 감각적 태도를 강조하여 모든 지성 작용에 앞서는 미적 지각을 미 체험의 결정적 요소로 간주하였다. 멘델스존은 일단 주지주의적인 전통의 미적 관점이 감정주의나 감각주의의 공격을 얼마나 견뎌낼 수 있을 것인가를 시험하면서 자신의 미 이론을 출발시켰다. 한편 바움가르텐의 미학은 그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특히 그의 미에 대한 정의는 멘델스존으로 하여금 주지주의 미학의 객관적 미 개념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바움가르텐에게서 감성적 능력의 고유한 권리를 평가하는 법을 배운 멘델스존은 인간 심성 능력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적 쾌의 본성을 인식능력이나 욕구능력과 대등하며 그것들과 분명히 구분되는 주관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활동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은 볼프로부터 칸트로 이어지는 독일 미학 사상의 발전과정에서 멘델스존의 미학이 차지하는 비중을 미 현상의 자율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먼저 멘델스존의 미학적 사고에 큰 전환점을 준 바움가르텐의 미적 현상 이론을 살펴보고, 미적 감각 이론으로부터 자율적인 취미의 능력으로 나아가는 멘델스존의 미 이론의 전개과정을 재구성한다. Der eigentliche Beitrag Moses Mendelssohns zur Philosophiegeschichte liegt aller Vermutung nach auf dem feld der &Aml;sthetik. Mendelssohn sah sich vor die Aufgabe gestellt, die beiden groβen Hauptströmungen der damaligen &Aml;sthetik, nämlich die der intellektualistischen Tradition und die der emotional-sensualisti-schen, miteinander zu versöhnen. Die von der empirischen Psychologie Wolffs geprägten Vollkommenheitsästhetik hatte die Auffassung, daβ die Schönheit einer Sache in einer Beschaffenheit, d. h. in ihrer Vollkommenheit besteht. Dagegen vertraten die &Aml;sthetiker der emotional-sunsualistischen Richtung die Ansicht, daβ bei der Erfahrung des Schönen dem sinnlichen Affekt in einem Subjekt die entscheidende Rolle zugebilligt werden muβ. &Aml;sthetische Erfahrung ist ihrer Meinung nach gleichsam nichts weiter als ein Leiden des Subjekts. Mendelssohn beginnt seine Theorie des Schönen, indem er prüft, ob die intellektualistische Position den Angriff der entgegengesetzten Seite erfolgreich abwehren kann. Während seines Gedankenexperiments lernte er Baumgartens Aesthetica kennen. was ihn veranlaβt, sich von der dem Objekt orientierten Vollkommenheitsästhetik zu verabschieden und immer mehr mit der psychologischen Untersuchung des ästhetischen Gefühls zu beschäftigen. Nach einem langwierigen Kampf um die Lösung und den selbstkritischen Korrekturen gelang es ihm, das ästhetische Phänomen durch das dem ästhetischen Menschen eigenes, positives Vermögen zu erklären. Diese Arbeit hat die Absicht, zu versuchen, das richtige Gewicht der ästhetischen Theorie Mendelssohns innerhalb der deutschen Geschichte der A&Aml;sthetic des 18. Jahrhunderts zu würdigen. Dabei richtet sich der Hauptaugenmerk auf den Entwicklungsgang seiner Theorien über die ästhetischen Empfindungen und das Geschmacksvermögen im Hinblick auf die Verselbständigung des Phänomens des Schönen.

      • KCI등재

        바움가르텐 『미학』과 비코 『신학문』에 나타난 계몽의 긴장 -미학과 문화학의 학문적 접근을 위한 시도-

        김남시 ( Nam See Kim ),김문환 ( Moon Hwan Kim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人文科學 Vol.96 No.-

        Vicos Nouvo Scienza (1725) und Baumgartens Aesthetica(1750) stellen sich als ein intellektueller Versuch dar, gegenuber der Einseitigkeit der Aurklarung die eigentliche Einheit und Totalitat des Menschen geltend zu machen. Entgegen der mathematischen und naturwissenschaftlichen Methode, die seit Descartes auf alle Wissensgebiet einheitlich angewendet worden war, hebte Vicos Nouvo Scienza den unabhangigen Wert der Kultur und Geschichte des Menschen hervor, wahrend die Aesthetica von Baumgarten dem sinnlichen Vermogen, dessen Unklarheit im aufklarischen Denken stets abgewertet worden war, einen Zugang zur reicheren Wahrheit der Welt philosophisch verleihte. Auf dieser Weise trugen die beiden Werke zur produktiven Spannung des Aufklarungsdenken im 18 Jahrhundert stark bei. Auberdem schuffen die gewagten intellektuellen Ansatze beider Werke einen neuen Wissensraum, von dem aus sich die Asthetik und die Kulturwissenschaft als neue moderne Wissenschaft hervorbrachten. Angesichts der heutigen wissenschaftlichen Situation, wo die Asthetik und die Kulturwissenschaft sich unter den neuen moderenen Lebensbedingungen auf ein gemeinsames Ziel richten, namlich zur Auffassung modernen Lebensverhaltnisse durch die mikroskopischen Analyse unterschiedlichsten kulturellen Phanomene, mussen die beiden Autoren-Vico und Baumgarten - neu interpretiert werd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