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혜순 시에 나타난 욕망과 사랑

        김정신(Kim, Jeong-sh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08 문화와 융합 Vol.30 No.-

        The poetry of Kim, Hae-soon showed multilayered and overlapped poetics. Instead of representing complicated realties, she used fractal imagination to create new realities. She showed complex world recognition understanding the totality of the object from various points of view, consciousness and voices. Because this polyphony poetics revealed overlapped aspects of time, subjects and speakers, it is not easy to read her poetry. Kim, Hae-soon did write to show expansion of thinking by the body. To her, the body was the lens to look the world through, the way to state it, and the strategic mechanism to resist against it. In 『Poor Love Machines』, she suggested the way to involve and read the world like fractals. She traced the whole history of women with a way of self-analogy of fractals(프랙탈 도형의 自己相似) , which was based on the stream of time. <The Rats> showed this kind of biological imagination and imagination based on the reversely evolved body well. This paper studied the poetry of Kim, Hae-soon from the viewpoint of machine desire . In her poems, machine became the thing to desire, and the desire became mechanized. In other words, desire existed as a machine. They coexisted inseparately. Desire is a machine, a collection of machines, an array of machines. In her poems, Ⅰ, as a poetic ego, was a death machine as well as machine desire. While one axis of 『Poor Love Machines』 was machine desire , the other axis was love machine . This desirous being was also longing for love. Reversely, the desire longing for love became the only dynamic to activate the being. So, every being became poor love machine . Rerunning into poor love machines, this love machine was accompanied with death . In her poems, desire, love, death and solitude were connected in a Rhizome way. She expressed this world as factories producing desire, love, death and solitude through the self living as the other in the self and self-replicating multilayered writing.

      • KCI등재

        들뢰즈·가타리 철학에 기반한 <알리타: 배틀 엔젤> 분석 - 욕망, 되기, 탈주의 개념을 중심으로 -

        여수현 ( Yeo¸ Soo Hy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본 논고는 들뢰즈·가타리의 철학을 바탕으로 예술이 생성해낼 수 있는 삶에 대한 사유를 <알리타: 배틀 엔젤>(2019, Robert Rodriguez)을 통해 탐구한다. 본 논고의 목표는 당연하다고 여겨왔던 관념의 동종성을 거부하고, 일원적 중심성으로부터의 탈주하는 삶을 들여다보는 데 있다. 우선 Ⅱ절에서 기계, 배치, 욕망의 세 가지 개념을 논리적으로 풀어나가며 ‘욕망하는 기계’로서 알리타를 분석한다. 들뢰즈·가타리는 모든 행위 주체를 가리켜 ‘기계’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주체는 다른 것들과 접속함으로써 그 자신의 속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기계들이 접속하여 선을 이루고 나아가 면을 이루면, 그 장을 가리켜 ‘배치’라고 하는데, 이러한 배치를 이루는 모든 기계가 바로 ‘욕망하는 기계’이다. 알리타의 욕망을 배치의 두 축인 ‘기계적 배치와 집단적 배치’, ‘탈영토화의 지점과 재영토화된 선’, 그리고 두 축 사이의 ‘감응’으로 분석한다. 다음으로 Ⅲ절에서 알리타의 욕망의 흐름을 ‘-되기’의 과정에서 풀어본다. 들뢰즈·가타리의 맥락에서 욕망은 ‘-되기’가 발현되기 위한 힘 자체이다. ‘-되기’를 통해 알리타의 자아는 분산되고, 해체됨으로써 어떠한 형태도 될 수 있는 잠재성을 띠게 된다. 이는 알리타가 지향해야 할 본질적 속성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알리타의 생성적 속성이 발현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Ⅳ절에서 ‘-되기’를 통해 발산되는 알리타의 존재 역량이 ‘탈주’로 드러남을 확인한다. 알리타의 욕망, 그리고 그 욕망의 흐름인 ‘-되기’는 세계에 틈새를 생성하는 ‘탈주’를 향하게 된다. 소위 ‘탈주’라 하면 문제 상황으로부터의 회피를 의미하지만 들뢰즈·가타리의 맥락에서 ‘탈주’는 발산적인 행위 역량이 결부된 차이 생성의 운동으로 ‘나’라는 존재자를 확인하는 관문을 의미한다. 알리타 존재가 지닌 함의를 ‘탈주’로 탐구함으로써 그것이 내포한 진리를 밝혀본다. 이상으로 들뢰즈·가타리 철학에 기반한 <알리타:배틀 엔젤> 분석을 시도하는 본 논고는 ‘기계’라는 개념 규정에서 출발한 알리타 존재의 의미가 ‘탈주’를 통해 확인된다는 점, 그리고 이는 탈위계적 세계를 생성하는 힘이 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thoughts of life that art can create through < Alita: Battle Angel(2019, Robert Rodrigues) > based on the philosophy of Deleuze·Guattari.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ject the sympathy of the ideas that have been taken for granted, and to look into the fuite from the monolithic centrality. First of all, in Section II, the three concepts of machine, agencement and desire are logically solved and Alita is analyzed as ‘a machine of desire’. Deleuze·Guattari refer to acting subject as ‘machine’. The reason is that the subject changes its own attributes by connecting with others. When these machines connect, form lines, and then form faces, the space is called ‘agencement’. Every machine that makes this agencement is a 'machine of desire'. Alita's desires are analyzed by two axes of agencement, ‘collective assemblage of enunciation and machined assemblage’, ‘points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lines’, ‘affect’ between the two axes. Next, in Section III, we explore the flow of Alita's desires in the process of ‘devenir’. In the context of Deleuze·Guattari, desire is the power itself to express ‘devenir’. Through 'devenir', Alita's ego is dispersed and disintegrated, giving it the potential to become any form. This mean that Alita's creative attribute is expressed. Finally, it is confirmed in Section IV that Alita's ability to exist through 'devenir' is revealed as 'fuite'. Alita's desire, and ‘devenir’ are directed toward the ‘fuite’ that creates a niche in the world. The so-called ‘fuite’ means avoidance from a problem situation, but in the context of Deleuze·Guattari, ‘fuite’ means a gateway to identifying the existence of "I" as a movement to create differences involving the ability to releasable act. Explore the implications of Alita's existence as ‘fuite’ to reveal the truth it implies. This paper found that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Alita, which started from the concept regulation of ‘machine’, was confirmed through ‘fuite’, which became a force to produce a Nonhierarchical world.

      • KCI등재

        인공지능과 자유의지

        김영두 ( Kim Young Doo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法學硏究 Vol.30 No.1

        Human beings have dignity and are responsible for their actions because they have free will. The human brai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in common that they ar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that process the information from outside and output the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I is legally important, as there are view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needs to be recognized as a legal entity an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needs to be held accountable for its action just like humans. I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free will, there is no reason to treat AI differently from humans. In order to examine whether AI can have free will,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concept of free will. Free will can be divided into freedom and will. Freedom means being free from physical causes, but the definition of freedom in this way cannot explain the fact that the brain is governed by the laws of physics. To avoid this inconsistency, freedom can be defined as unpredictability and the unknownness of causes. In reality, we can not distinguish the unknownness of causes from nonexistence of causes. In this respect, the human brain is free, because the causes of the brain's judgment can not be physically identified. Will means a mental state that is motivated to achieve a certain purpose. Motivation means desire and dread, or the pursuit of pleasure and the avoidance of pain. The desire can be divided into first order desire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survival or reproduction and second order desire such as curiosity, desire of power, and the pursuit of wealth. Among these two types of desire, only the second order desire is related to the will. In order to recognize the free will of AI, the information processing of AI should be unpredictable and AI should have second order desires.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AI output value. Therefore, information processing of AI is as free as the human brain. However, the activity of the human brain is more difficult to predict than AI because metacognition and self-awareness, or high level awareness is the key attributes of human mind. It is unclear whether high-level awareness of AI based on metacognition is possible. If high-level thinking of AI is impossible, AI is less free than humans. In order for AI to have a will, it must have desire or dread. While desire and dread are motivations for humans, it is not clear how these motivations are working in the brain's information processing. Therefore, in order to make the algorithm of motivations such as desire and dread, we must first reveal the secrets of the human brain. Unlocking the secrets of the brain eventually means unlocking the secret of the beginning of life, which seems to be difficult in the near future. Even if we reveal the secrets of the brain, it is not certain that the algorithm of motivation can be technically developed. Considering these points, it is difficult for AI to have a will. As a result, AI cannot have free will because it has a lower level of freedom than humans, and it is difficult to have will.

      • KCI등재

        인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기계에 중독된 인간의 미래상

        김문주 한국중독범죄학회 2019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9 No.2

        Human desire to have new abilities is as old as the human species itself. However, the nature of man evolves not simply with evolution but with a close relationship with human machine creation. However, humans try to regard beings created by their desires as 'mechanical other'. In short, human beings are afraid of machines. Today, human beings are living in the digital panopticon, in which human beings themselves are not only the subject of surveillance, but the object of surveillance, they illuminate and monitor themselves.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talk about the era of human machine addiction. In most science fictions, science and technology are represented as fearful things. Because of these fears, humans define mechanical things as being lower than humans and place them on the object of surveillance. While anthropocentric thought mechanical types is a form of human being unable to escape from machine addiction. In the end, machine addiction of human causes people to question their own identity. Machine addiction of human throws human beings into a dilemma.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social problems that will arise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identity of human beings, and the in – depth examination of machine addiction of human patterns. 새로운 능력을 갖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은 인간이라는 종(種) 자체만큼이나 오래 되었다. 그런데 인간의 본성은 단순히 진화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기계 창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진화한다. 하지만 인간은 자신들의 욕망으로 낳은 존재들을 ‘기계적 타자’로서만 간주하려고 한다. 간단히 말해서 인간은 기계를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인간은 인간 스스로가 감시의 주체이자, 감시의 대상으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자기 자신을 조명하고 감시하는 디지털 파놉티콘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시대를 본 글에서 인간의 기계중독 시대라고 이야기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공상과학 텍스트에서 과학기술은 두려운 존재로 표상된다. 이러한 두려움 때문에 인간은 기계적 존재를 인간보다 하등한 존재로서 규정지어 감시의 대상에 놓는다. 인간중심주의적 사고로 기계를 감시의 대상으로 놓으면서도, 계속적으로 기계적 타자를 만들어내는 인간의 모습은 기계중독을 벗어나지 못하는 인간의 모습이다. 결국 인간의 기계중독은 인간의 스스로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을 품게 만든다. 인간의 기계중독은 인간을 딜레마에 던져 놓는다는 것이다 인간의 기계 중독 양상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과 그로 인해 인간의 정체성이 바뀌는 과정 속에서 발생하게 될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소셜 미디어와 유목적 삶: 들뢰즈.가타리 욕망이론의 관점에서 본 소셜 미디어 문화현상

        오창호 ( Chang Ho Oh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4 언론과학연구 Vol.14 No.4

        본 논문은 오늘날 다양한 소셜 미디어 이용현상의 의미를 욕망론의 관점에서해명해 보았다. 특히, 들뢰즈·가타리의 무의식적 욕망론에 입각하여 소셜 미디어이용현상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무의식적 욕망론의 특징은 소셜 미디어를 “주체(인간)-대상(기계)”이라는 이원적 구도에서 “누가” “무엇을”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라는 기능적이고 도구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인간 연속체”라는 일원적 구도로 접근한다는 점이다. 일원적 구도에서는 인간도 기계도 자연도 없이 오로지 이것이 저것을, 혹은 저것이 이것을 접속하고 생산하는 과정이있을 뿐이다. 그것은 소셜 미디어에 대한 특정한 이해관계에 얽매인 당사자의 입장에서 소셜 미디어를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한 관점을 배제한 채 무관심하고 초연한 입장에서 소셜 미디어 문화 현상을 바라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경우주위에서 목격되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 이용행위를 몇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하는것이 가능하며 각 유형의 문화적 의미를 그들이 제시하는 다양한 욕망의 배치로설명하였다. 소셜 미디어, 욕This paper explores the cultural phenomenon of social media inthe light of desire theory. To do this, this paper adopts the perspectivewhich consider social media in terms of the “machine-humancontinuum” instead of as a “subject (human) - object(Machine)” dualistic composition. The dualist focus on the functionof the instrument on the base of “Who”, “What”, “for whatpurpose” and “by how” problematic. But the unitarist considersneither human nor machine without relationship. They see onlyprocess of production that are connected to it in terms of access tothe unconscious desire. This approach is not by way of a particularinterest in social media bounded to the perspective of theparties, but indifferent and detached perspective position. I intendedto explain the cultural phenomenon of social mediathrough Deleuze & Guattari”s theory of desire.

      • KCI등재

        영화와 얼굴-들뢰즈와 가타리의 흰 벽-검은 구멍의 체계를 중심으로-

        김형래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8 현대영화연구 Vol.14 No.1

        들뢰즈와 가타리는 자신들의 공저 『천개의 고원』에서 ‘얼굴’에 관한 심도 깊은 논의를 전개한다. 이 논의는 역시 자신들의 공저인 『앙띠 오이디푸스』의 연속선상에 있는 것으로서 구조주의 정신분석학과 인본주의적 존재론을 비판하고자 하는 맥락 속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얼굴론은 『천개의 고원』에 이어 또한 들뢰즈의 단독 저서인 『감각의 논리』와 『시네마 I: 운동-이미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본고는 특히 『천개의 고원』의 얼굴론과 『시네마 1』의 감정-이미지를 중심으로 다루며, 본고의 주된 과제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얼굴론에서 주된 개념인 흰 벽-검은 구멍의 체계가 무엇이고, 그것이 들뢰즈의 영화 이론에서 어떻게 발전되고 적용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먼저 철학과 정신분석학에서 흰 벽-검은 구멍의 유래와 기능을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흰 벽-검은 구멍은 사르트르의 주체성 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단적으로 사르트르의 ‘무’와 ‘존재의 구멍’이라는 개념은 주체성 및 주체화라는 관점에서 검은-구멍과 맞닿아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흰 벽-검은 구멍은 라캉의 거울 단계 및 욕망 개념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때 흰 벽은 거울 및 상징계의 기표의 연쇄와, 검은 구멍은 기표 연쇄에 난 구멍으로서의 대상 a 혹은 욕망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그러나 사르트르와 라캉의 주장은 지나치게 인본주의적이고 구조주의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들뢰즈는 흰 벽-검은 구멍에 대해 다른 방식으로 접근한다. 그들에게 흰 벽-검은 구멍은 욕망하는 기계의 구성 성분이자 얼굴성이라는 추상기계로서, 결국 흰 벽-검은 구멍과 욕망하는 기계, 얼굴성이라는 추상 기계는 얼굴화, 즉 기표화와 주체화로부터의 탈영토화를 가능하게 하며, 권력의 배치에 따라 정치적 함의를 가질 수 있는 힘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넷째, 흰 벽-검은 구멍을 퍼스의 기호학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시네마 I』의 ‘감정-이미지’에서 등장하는 퍼스의 도상, 다이어그램, 일차성 등의 개념은 흰 벽-검은 구멍의 관계를 잠재적 가능태라는 맥락에서 비교적 매우 선명하게 보여준다. 그리고 그 개념은 얼굴 클로즈업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특히 얼굴 클로즈업에서 얼굴은 더 이상 개별화, 사회화, 의사소통의 대상이 아니라 탈인격화와 얼굴의 해체로 발전한다. 이는 영화 미학적 관점에서 기존의 클로즈업 개념에 새로운 지평을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e theme ‘Face’, on which Deleuze and Guattari have written together. Especially 0 Year: Faciality in A Thousand Plateaus takes Face to the topic. In addi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affection-images of Cinema 1: the movement-image, because this text seems to be an extension of 0 Year: Faciality of D&G. My question is, therefore, in particular where the concepts of the white wall and black hole come from and what their function is, and how these concepts are applied for the Deleuzian film theory. This paper offers approximately four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first answer relates to the concept hole-in-Being which Sartre deployed in his book Being and Nothingness. According to the Sartre’s non-being thesis, the human-being as Being-for-itself bases on nihilation and nothingness that lead to hole-in-Being. It means that hole-in-Being constitutes the subject. In this sense, D&G’s black hole has the similar role, because it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subjectification. The second relates to the Lacanian concepts: the mirror-stage, object a, and desire and so on. The mirror functions as a reflective white wall that indicates a series of signifier or signification. At the same time, this signification contributes to producing the subject as an effect of signifier. In addition, desire and object a as the gap in a series of signifier allow for the subject to sustain itself. This associates us definitely with the black hole as the subjectification. However, basically D&G do not agree with the humanism and structuralism of Sartre and Lacan. Therefore they suggest a non-humanistic and non-structuralistic theory of face. That is the fourth answer. It relates to the desiring machine and body without organs. The desiring machine comes from the combination of Lacan’s desire and Guattari’s machine. It functions as the attributes and power of BwOs. In this context, D&G present that the white wall-black hole system is nothing but the desiring machine that produces the facialization, or signification and subjectification and simultaneously gives rise to the dismentling and the deterritorialization of face. And finally, the fourth answer relates to the Peirce’s semiotic terminologies: Icon, Diagram and Firstness, which Deleuze introduced in the affection-images of Cinema 1: the movement-image. These terms show the relation between the virtual possible and the actual, which are also the properties of the white wall-black hole. Above all, the close-up of face as an affection-image describes the dismentling and deterritorialization of face, unlike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s of face. In this respect, Deleuze provides the close-up of face with its new aesthetics.

      • KCI등재후보

        잠재성으로서의 문화

        오창호(Chang-Ho Oh)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4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8 No.4

        이 논문의 목적은 그 어느 때보다도 문화담론이 난무하는 가운데 정작 문화연구가 직면한 난관을 돌파할 수 있는 이론적 전망을 제시해보는 것이다. 본 논문은 오늘날 문화연구가 직면한 난관을 문화에 대한 욕망적 접근과 그에 따른 문화연구의 보수화 현상으로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문화연구에 욕망적 접근이 대두했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문화연구가 봉착했던 장애를 걷어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연구의 오랜 전통, 즉 자본주의에 대한 견제와 비판이라는 본래의 사명을 포기하는 위험을 초래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과제는 문화연구에 있어서 욕망 주제의 등장이 갖는 긍정적인 의미를 적극 수용하면서도 문화연구의 정치성을 상실하지 않는 제3의 길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 논문은 욕망이론 중에서도 들뢰즈·가타리의 욕망론에 주목하고 의지하였는데, 그들의 욕망론이 다른 욕망론과 달리 빼어난 특성은 그들이 욕망의 잠재적 차원을 발견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그들이 말하는 잠재성의 구체적 내용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면서, 욕망의 잠재성이 문화연구에 주는 통찰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theoretical prospect of being able to break through the impasse faced by cultural studies amid rampant cultural discourse than ever. This paper identified the challenges faced by today’s cultural studies as a desire approach to culture and hence conservative phenomenon of cultural studies and tried to overcome them. What emerged was a desire approach in the cultural studies, on the one hand, means to provide a great opportunity to be able to kick a disability which cultural studies face, on the other hand, to have a risk to give up a long tradition of cultural studies that checks for the original mission of capitalism. So an object of this present paper is to accept the strongly positive significance of the emergence of desire topics in cultural studies, while at the same time to show a third way for not losing politics of cultural studies. To accomplish this task, the thesis depended on the desire concept of Deleuze & Guattari among many desire theories. and intention theory. Their desire theory’s outstanding characteristics is that, unlike other desires theories, they have found a virtual level of desire. This study is by looking at what the specific contents of virtuality of culture as they say, to suggest some insights that the virtuality of desire present to cultural studies.

      • KCI등재

        허버트 조지 웰스의 『타임머신』과 2010년대 할리우드 SF영화에 나타난 시간초월 양상 연구-『소스 코드』, 『엣지 오브 투모로우』, 『인터스텔라』를 중심으로

        김은경 대중서사학회 2015 대중서사연구 Vol.21 No.1

        본고는 최근 할리우드에서 제작, 발표되고 있는 SF영화 서사 속 시간초월의 양상과 그것이 함의한 정서적 동기 및 상징적 의미에 주목하도록 한다. 과학적 허구를 통한 가상의 시간 혹은 공간으로의 서사적 접근은, 아직 구현되지 않은 인간의 잠재적 가능성에 관한 기대와 믿음을 자극해 왔다. 19세기부터 본격적인 계보를 확립하며 그 첨병으로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 온 공상과학소설은, 파격적인 가설과 메타포, 이를 뒷받침하는 이론으로 당대의 과학자들에게 깊은 영감을 주기도 했다. 요컨대, 이 일련의 장르가 당대의 커다란 사회적 반향으로 확장될 수 있었던 것은, 시대가 직면한 문제에 관한 정밀한 분석과 그것을 가능케 하는 혜안 덕택일 것이다. 시간초월 서사도 예외는 아니었다. 주제 혹은 부분적인 모티프로서 이미 수많은 작품에 차용되며 그 골격을 다져 온 시간초월은, 그 역사만큼이나 시대적인 의미에 있어서 다양한 변주를 거듭해왔다. 특히 허버트 조지 웰스의 『타임머신』이 미래의 풍광에 대한 디스토피아적 세계관을 구축, 19세기 말 산업혁명으로 촉진된 자본의 비대화와 윤리적 해이를 비판하며 시간초월의 의미적 위치에 있어서 구체적인 전범 역할을 했다면, 1960년대를 기점으로 할리우드에서 꾸준히 발표되고 있는 시간초월 SF영화들은 뛰어난 영상기술과 시대밀착적인 담론을 앞세워 21세기 시간초월 서사의 선봉장 역할을 하고 있다. 예컨대, 최근 2010년도 이후 발표된 일련의 작품들, 『소스 코드』(2011), 『엣지 오브 투모로우』(2014), 『인터스텔라』(2014) 등은 그 시대정신을 계승하며 각기 다른 과학적 모티프와 대안으로 자성(自省)과 함께, 다가올 앞날을 진단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해롤드 핀터의 Betrayal에 나타나는 안티-오이디푸스와 여성-되기

        사공일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22 현대영미드라마 Vol.35 No.1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nti-Oedipus in Betrayal of Harold Pinter and woman-becoming of Emma, a protagonist in this drama. Pinter betrays the properties of Oedipus by destroying the traditional arrangement of time in drama and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Emma and three men (Robert, Jerry, and Casey). First, the reverse placement of scenes in Betrayal has an effect on destroying the Oedipus voyeurism of audiences who wonder what the fate of characters is and how events progress. Also, audiences always watch the stare of Emma on the stage from start to finish. Her stare is not that of an oppressed subject but that of destructing men-centered gazes in the traditional Oedipus regime because she serves as a center figure in the relation among three men. As the result, Emma collapses the men-centered desire of Oedipus and severs as the desiring-machine of anti-Oedipus. As an active subject or a desiring-machine, she realizes becoming-woman in Deleuze’s thought. Her becoming-woman is related to the affirmation of minority and difference that Deleuze stresses.

      • KCI등재

        The Spatial Experience of Department Stores

        홍지순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9 東亞 硏究 Vol.38 No.1

        This article explores the spatial experience of department stores, focusing on East Asian department store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Firstly, I explore East Asian department stores as male intellectuals’ space and discuss how the department store played a role in circulating metropolitan exoticism and modernism globally. In East Asia, the department store was also related to configuring various images of urban men within familial boundaries: patriarchal tycoons, entrepreneurial brothers, disciplined children and a conformist head of the nuclear family. Secondly, this article examines human relationships in the space of the department sto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space of the building. By focusing on the Renaissance architectural style, I discuss conservative masculinity and spati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theatre and spectacle. Lastly, I explore concrete dimensions of bodily experience in the department store with the terms of “building machine” and “desiring machine.” In describing urban masses’ tactile experience of the technologically equipped building machine, I stress physical mobility and the unconscious. I approach “desire”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economy rather than configuring it in terms of Freudian psychoanalysis. By configuring both the space and its users as “machines,” I also challenge the subject-object binary. This study attempts to shift the critical focus on East Asian department stores from women, westernisation, and visuality to men, globality, and desiring mach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