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 내 학업성취도 격차와 학령인구 이동과의 관련성: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김감영,용환성 한국지도학회 2014 한국지도학회지 Vol.14 No.2

        최근 몇몇 연구들은 지역 간 교육격차를 설명하는 원인의 하나로 인구이동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내에서 학업성취도의 지역적 차이와 학령인구 이동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인구이동이 어떻게 지역의 인구구성, 교육환경, 주택시장에서의 변화와 연결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는 것이다. 대구를 사례로 분석을 수행하였고, 주요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학교급에 상관없이 지역 간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영어와 수학 과목에서 두드러졌다. 둘째, 학업성취도는 공간적 군집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학교급이 올라가면서 보다 뚜렷해졌다. 셋째, 초등학교 저학년(8~10세)의 순이동률이 학업성취도와 가장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정적인 상관관계는 초등학교 고학년(11~13세)까지만 나타났다. 넷째, 학업성취도와 학령인구 이동은 양방향적 관계를 보이며, 인구이동은 지역의 인구구성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교육서비스와 주택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켜 지역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선별성이 강화된 새로운 인구이동을 유발한다. 즉 교육격차와 인구이동은 순환누적 과정을 보인다. Recently some studies maintain their focus on migration as one of causes explaining the educational gap among regions.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p in educational achievements and school-age migration in a metropolitan area and to discuss how the migration might be related to changes in population composi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housing market of regions. The study area is Daegu Metropolitan City and main findings are following. First, there is a regional gap in educational achievements regardless of the level of school and the difference in English and math subjects is remarkable. Second, educational achievements are globally and locally clustered and the tendency of spatial clustering is more clear as promoting the level of school. Third, the net migration rate of lower grades in elementary (8~10 years old) shows the largest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 appears only until higher grades in elementary (10~13 years old). Fourth, educational achievements and school-age migration have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Migration triggered by the educational gap might bring about changes in regions through increasing demand for education and housing services as well as altering population composition. These changes might reinforce selective migration. T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educational gap and migration shows a circular and cumulative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