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들뢰즈·가타리 철학에 기반한 <알리타: 배틀 엔젤> 분석 - 욕망, 되기, 탈주의 개념을 중심으로 -

        여수현 ( Yeo¸ Soo Hy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본 논고는 들뢰즈·가타리의 철학을 바탕으로 예술이 생성해낼 수 있는 삶에 대한 사유를 <알리타: 배틀 엔젤>(2019, Robert Rodriguez)을 통해 탐구한다. 본 논고의 목표는 당연하다고 여겨왔던 관념의 동종성을 거부하고, 일원적 중심성으로부터의 탈주하는 삶을 들여다보는 데 있다. 우선 Ⅱ절에서 기계, 배치, 욕망의 세 가지 개념을 논리적으로 풀어나가며 ‘욕망하는 기계’로서 알리타를 분석한다. 들뢰즈·가타리는 모든 행위 주체를 가리켜 ‘기계’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주체는 다른 것들과 접속함으로써 그 자신의 속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기계들이 접속하여 선을 이루고 나아가 면을 이루면, 그 장을 가리켜 ‘배치’라고 하는데, 이러한 배치를 이루는 모든 기계가 바로 ‘욕망하는 기계’이다. 알리타의 욕망을 배치의 두 축인 ‘기계적 배치와 집단적 배치’, ‘탈영토화의 지점과 재영토화된 선’, 그리고 두 축 사이의 ‘감응’으로 분석한다. 다음으로 Ⅲ절에서 알리타의 욕망의 흐름을 ‘-되기’의 과정에서 풀어본다. 들뢰즈·가타리의 맥락에서 욕망은 ‘-되기’가 발현되기 위한 힘 자체이다. ‘-되기’를 통해 알리타의 자아는 분산되고, 해체됨으로써 어떠한 형태도 될 수 있는 잠재성을 띠게 된다. 이는 알리타가 지향해야 할 본질적 속성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알리타의 생성적 속성이 발현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Ⅳ절에서 ‘-되기’를 통해 발산되는 알리타의 존재 역량이 ‘탈주’로 드러남을 확인한다. 알리타의 욕망, 그리고 그 욕망의 흐름인 ‘-되기’는 세계에 틈새를 생성하는 ‘탈주’를 향하게 된다. 소위 ‘탈주’라 하면 문제 상황으로부터의 회피를 의미하지만 들뢰즈·가타리의 맥락에서 ‘탈주’는 발산적인 행위 역량이 결부된 차이 생성의 운동으로 ‘나’라는 존재자를 확인하는 관문을 의미한다. 알리타 존재가 지닌 함의를 ‘탈주’로 탐구함으로써 그것이 내포한 진리를 밝혀본다. 이상으로 들뢰즈·가타리 철학에 기반한 <알리타:배틀 엔젤> 분석을 시도하는 본 논고는 ‘기계’라는 개념 규정에서 출발한 알리타 존재의 의미가 ‘탈주’를 통해 확인된다는 점, 그리고 이는 탈위계적 세계를 생성하는 힘이 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thoughts of life that art can create through < Alita: Battle Angel(2019, Robert Rodrigues) > based on the philosophy of Deleuze·Guattari.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ject the sympathy of the ideas that have been taken for granted, and to look into the fuite from the monolithic centrality. First of all, in Section II, the three concepts of machine, agencement and desire are logically solved and Alita is analyzed as ‘a machine of desire’. Deleuze·Guattari refer to acting subject as ‘machine’. The reason is that the subject changes its own attributes by connecting with others. When these machines connect, form lines, and then form faces, the space is called ‘agencement’. Every machine that makes this agencement is a 'machine of desire'. Alita's desires are analyzed by two axes of agencement, ‘collective assemblage of enunciation and machined assemblage’, ‘points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lines’, ‘affect’ between the two axes. Next, in Section III, we explore the flow of Alita's desires in the process of ‘devenir’. In the context of Deleuze·Guattari, desire is the power itself to express ‘devenir’. Through 'devenir', Alita's ego is dispersed and disintegrated, giving it the potential to become any form. This mean that Alita's creative attribute is expressed. Finally, it is confirmed in Section IV that Alita's ability to exist through 'devenir' is revealed as 'fuite'. Alita's desire, and ‘devenir’ are directed toward the ‘fuite’ that creates a niche in the world. The so-called ‘fuite’ means avoidance from a problem situation, but in the context of Deleuze·Guattari, ‘fuite’ means a gateway to identifying the existence of "I" as a movement to create differences involving the ability to releasable act. Explore the implications of Alita's existence as ‘fuite’ to reveal the truth it implies. This paper found that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Alita, which started from the concept regulation of ‘machine’, was confirmed through ‘fuite’, which became a force to produce a Nonhierarchical world.

      • KCI등재

        ≪알리타: 배틀 엔젤≫을 중심으로 고찰한 포스트휴먼과 호모 사피엔스의 신체

        김영목,김성규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3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 No.63

        With the ri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CT technology, and the ability to combine humans and machines to overcome previously incurable maladies and physical limitation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ushering in a new era that no one has ever before experienced. Above all, the human body is on the verge of an unprecedented transformation, and we are now entering an era in which portions of our bodies will be combined with or replaced by machines. This is what we call the Posthuman era, and the bodies that humans will have in the Posthuman era will b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bodies that Homo sapiens have had as a result of the evolution of life. During the transition to the Posthuman era, the human body may be liberated from disease and physical limitations, and even death, the ultimate annihilation of the body. On the other hand, the proliferation of mass-produced, standardized, and so-called modular bodies may usher in a bleak era in which the human body and its organs are completely subjugated by the neoliberal logic of capital. This paper explores the nature of “moral goodness” and “human values” that humans should possess as they transition from homo sapiens to posthumans and analyzes the future of the human body in the Posthuman era from multiple perspectives. In particular, we will compare and analyze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posthumans and humans portrayed in Alita: Battle Angel. In doing so, it will reveal, beyond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most human values of posthumans and homo sapiens, as well as the thought algorithms that preserve them. .

      • KCI등재

        <총몽>의 사이보그 기표 연구 - 인지과학의 자기조직화와 체현된 인지 개념을 중심으로

        윤나라 한국기호학회 2019 기호학연구 Vol.58 No.-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cyborg signifier and its connotation, presented in Battle Angel Alita(1990-1995, Gunnm or 銃夢, literally “Gun Dream” in Japanese) as a symbiosis of human mind and machine body, through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When it comes to the cyborg, the most general perspective is a technofantasy that the machine body can let u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natural one. Here, the cyborg finds itself as a signifier for a specific state of the body; an enhanced one rather than an outcome of high technology and sophisticated engineering. The technology itself is developed in a in a cascading manner, not in a linear right-upwards way. A next-gen tech is not always better than prior-gen, and a technological body is not always superior to natural one. Important are the situation and the context, not the superiority nor the inferiority. Yet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 between the technology and the human, numerous works still emploie conventional dichotomies: ones that separate the brain from the body, the mind from the body, or the machine body from the natural one, etc., then grant them hierarchical relationships. The cognitive science in the late 20th century suggests us entangled, connective and non-separative approaches; alternatives to those separative dichotomies. In this perspective, the cognition is not a representation nor a projection, but an embodiment. The body and the cognition are therefore inseparable. The body appears to be stable and persistant, but beyond the superficiality, it perpetually meta-morphs itself in every fractions of nano-seconds. In result, the embodied mind and cognition are also continuously 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During the displacements from one body to another, the characters of Battle Angel Alita are differently embodied by their own bodies, therefore, their cognitions towards the world widely vary. In these contexts, this paper tries to reveal that the ensemble of ‘embodied mind-a body as a place of an embodiment-a world cognized through an embodied perpective’ is in fact one inseparable and indivisible entity, and that, these three elements share equal, non-hierarchical values. 이 글은 키시로 유키토 원작의 <총몽>에서 인간의 마음(Mind)에 기계 몸이 결합된모습으로 제시된 사이보그 기표를 인지과학의 관점을 통해 분석하고, 그에 담긴 코노테이션에 관해 사유한다. 사이보그를 대하는 일반적인 관점은, 자연적(Natural) 몸이 가진 제약을 기계 몸이 극복할 수 있으리라는 테크노판타지(Technofantasy)적 관점이다. 이 때 사이보그는 기술과 공학의 산물이라기보다 몸의 특정한 상태, 다시 말해 향상된(Enhanced) 몸을 지칭하는 상징적 기표로서 작동한다. 사이보그를 비롯한 기술의 발전 양상은 선형적 우상향이 아닌 계단식 향상이다. 차세대 기술이 전세대 기술에 비해 늘 우월하지만은 않으며, 기술적 몸 또한 자연적 몸에 비해 항상 더 나은 것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우열이 아니라 상황과 맥락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창작물들은 기술과 인간의 관계를 말함에 있어서 몸과 두뇌 또는 몸과 마음으로, 자연적인 몸과 기술적인 몸 등으로 이를 구분하고 우열관계를 부여하는 관습적 이분법을 사용한다. 20세기 후반의 인지과학은 기술과 인간의 관계를 논함에 있어 분리보다는 얽힘의논리를 강조한다. 이 관점에서 인지는 재현(Representation)도 투사(Projection)도 아닌 체현(Embodiment)이며, 따라서 몸과 인지를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신체는 지속하는것처럼 보이지만 피상의 너머에서 매 순간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으므로, 그 몸에 체현된 마음과 인지 또한 변화무쌍하다. 여러 사이보그 몸을 자리옮김 하는 동안 <총몽>의인물들은 각 몸에 따라 다르게 체현되며, 세계에 대한 그들의 인지 또한 몸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체현된 마음-체현의 장소로서의 몸-체현된 관점을 통해인지하는 세계가 서로 따로 떼어낼 수 없는 하나의 총체로서 동등하고 우열없는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총몽>에 나타난 사이보그 여전사의 신체의 의미와 정체성

        이영수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3

        The SF genre shows the imagination of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human beings will develop. Particularly when cyborg is used as a material, it raises the theme consciousness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human and non-human. In this case, when there is a problem of gender, the discussion becomes more complicated. In this article, I tried to look at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the cyborg woman who is the main character of Galli in the <Gunnm>, which was considered as one of the top 3 SF comics in Japan, and made into a movie <Alita: Battle Angel>. A cyborg woman warrior's body contains a dual meaning that it is difficult to combine with a weapon and women. In the case of Galli, she changes her body several times as if she is changing to a better weapon, but she continues to maintain her femininity nonetheless. I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how the cyborg woman's body is expressed and how it relates to the identity of Galli. In the text, three questions were extracted with Donna Jeanne Haraway’s cyborg feminism theory for analysis. First, where did the Cyborg woman's body come from? Second, who controls the body? This question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yborg body and the world that makes up the body. Finally, how does Galli get out of control? This third question raises the question of how Galli acquires identity with the body of a cyborg woman. Galli is constantly fighting against it, even though she is controlled as Galatea and subject to sexual desire through the cyborg body. But it is through solidarity that she acquires a new human identity beyond the control of the cyborg world. I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us to study the imagination and narrative of the SF genre. SF장르는 기술과 인간 사이의 관계가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에 대한 상상력을 보여준다. 특히 사이보그를 소재로 할 경우 인간/비인간의 차이에 대해 주제의식으로 제기하게 되는데, 이때 젠더의 문제가 있을 경우 논의는 더 복잡해지게 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영화 <알리타: 배틀엔젤>의 원작, 일본 3대 SF만화로 꼽히던 만화 <총몽>에서 주인공 갈리가 가진 사이보그 여전사의 신체에 주목하여 그 주제의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이보그 여전사의 신체에는 여성과 싸우기 위한 무기라는 다소 합치가 어려운 이중적 의의가 담겨 있다. 갈리의 경우 더 좋은 무기로 바꾸듯 여러 번 신체를 바꾸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여성형을 유지한다. 이 사이보그 여전사의 신체가 어떻게 표현되고, 갈리의 정체성과 어떻게 연계되는지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본문에서는 분석을 위해 다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페미니즘 이론을 가지고 세 가지의 질문을 추출하였다. 첫째, 갈리가 받은 사이보그 여성의 신체는 어디에서 왔는가? 둘째, 누가 그 신체를 지배하는가? 이 질문은 사이보그 신체와 그 신체를 만드는 세계 간의 관계에 대한 질문이다. 마지막으로 갈리는 어떻게 그 통제에서 벗어나는가? 이 세 번째 질문은 갈리가 사이보그 여성의 신체로 어떻게 정체성을 획득하는지에 대한 질문이 된다. 여성인 갈리는 사이보그 신체를 통해 갈라테아로 빚어지면서 통제를 받고 성적 욕망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그에 맞서 끊임없이 싸운다. 그러나 사이보그 세계의 통제를 벗어나 새로운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을 획득하는 건 연대를 통해서다. 그 과정을 살펴본 본 연구가 SF장르의 상상력과 서사에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기억과 서사의 허구성 : 영화「Memento」를 중심으로

        변난수 한국독어독문학회 2002 獨逸文學 Vol.83 No.1

        Der Essay von Walter Benjamin, Zum Bilde Prousts, behandelt den Begriff der Erinnerung und ihre Fiktionalita¨t. Benjamins Theorie der Erinnerung besagt, daß die Erinnerung nie das ewige Nocheinmal, nie die ewige Restauration des Urspru¨nglichen bringt, sondern nur die im Stander A¨hnlichkeit entstellte Welt hervorbringt. Darum ist Erinnerung vielmehr eine Art von Vergessen und steht der Fiktion viel na¨her als der Wirklichkeit. Die Verbindung zwischen Erinnerung und Fiktion erkla¨rt die Theorie der dekonstruktivistischen Psychoanalyse durch das Konzept der narrativen Wahrheit. Psychoanalyse besteht aus der Erza¨hlung zwischen dem Analysanden und dem Analytiker, und ist in der Kausalita¨t begru¨ndet, daß das jetzige Symptom des Patienten(Folge) aus dem vergangenen Ereignis(Ursprung) stammt. Aber es zeigt sich, daß die prima¨re Szene nicht die Wirklichkeit ist, sondem eine Filktions, die von dem Narrativen konstruiert oder rekonstruiert worden ist. Es ist nicht die geschichtliche Wahrheit, sondern nur die narrative Wahrheit. Um die narrative Wahrheit klarer zu verstehen, mu¨ssen wir auf die U¨bertragugn und Nachtra¨glichkeit, die Konzeptionen von Freud, Ru¨cksicht nehmen. U¨bertragung ist eine allgemeine Bezeichnung fu¨r einen unbewußten Vorgagng, bei dem ein Mensch seinen Wunsch und seine Erwartungen auf andere Personen projiziert. Der Effekt U¨bertragug ist am sta¨rksten zwischen sehr a¨hnlichen Situationen und bringt ein falsches Erkennen, eine falsche Identifizierung hervor. Die Deinition von Nachtra¨glichkeit, die Freud ha¨ufig gebraucht hat und die von Lacan neu gedeutet wurde, la¨ßt uns erfahren, daß die Vergangenheit nachtra¨glich umgearbeitet und neu geschrieben worden kann. Die Ursprungsszene ist nicht mehr Ursprung, sondern nur ein Produkt des Narrativen, nur eine Fiktion. Der Film Memento besteht aus zwei Erza¨hlungen, die eine, die in schwarz-weiß, u¨ber Sammy Jenkis vorwa¨rts erza¨hlt, und die andere, die in Farbe die Geschichte u¨ber Teddy ru¨ckwa¨rts behandelt. Seit einem U¨berfall, bei dem seine Frau vergewaltigt und ermordet wurde, leidet Leonard Shelby, der Held des Films, unter einem bescha¨digten Kurzzeitgeda¨chtnis, wondurch er sich Begebenheiten nur 10 Minuten merken kann. Um sich zu behelfen, macht er sich zu allem Notizen und ziert seinen Ko¨rper mit Ta¨towierungen. Er nennt sie Fakten, die allein zuverla¨ssig sind. Aber sind sie es tatsa¨chlich? Am Ende des Films erkennen wir, daß seine Schreiben sich mit Lu¨gen gefu¨llt haben. Er nutzt seinen Zustand, um die Tatsache und Wahrheit vom Bewußtwerden abzuhalten. Sein Eingedenken steht dem Vergessen viel na¨her als der Erinnerung. Die Geschichte u¨ber Sammy ist auch eine Fiktion, die Leonard auf Sammy projiziert hat. Leonards Frau wurde nicht von John G ermordet, sondem Leonard hat sie sogar selbst versehentlich geto¨et. Das Tatoo "John G raped and murdered my wife" war nachtra¨glich vo seinem Narrativen produzierte Phantasie. Er hat Phantasie und Wiklichkeit gleichgestellt. Phantasie besitzt eine Art von Realita¨t und bleibt als Tatsache. Der Film Memento zeigt uns, daß die Vergangenheit nicht als feste Wiklichkeit existiert, sondern als Fiktion, die die Erinnerung und das Narrative rekonstruieren. Er stellt die objektive Repra¨entation, das ewige Nocheinmal, und die ewige Restauration des Urspru¨nglichen in Fr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