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표준화의 불확실성과 메르스사태

        김기흥(Kiheung Kim) 한국환경사회학회 2016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0 No.1

        2015년 한국에서 발생한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는 전국을 공포에 몰아넣었으며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일으켰다. 메르스의 갑작스럽고 빠른 확산은 정부의 대응시스템의 비효율성과 의료체계의 문제점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 지금까지 다양한 학문적 분석을 통해 메르스 사태에서 나타난 의료체계의 문제와 한국정부의 방역체계의 문제를 논의했지만 정작 메르스 확산에 하나의 원인을 제공한 국제보건기구가 제공한 정보와 매뉴얼의 문제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지 못했다. 특히 세계보건기구 (WHO)는 메르스 확산과정에서 중앙정부만큼이나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메르스를 둘러싼 불확실성의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본 논문은 메르스 사태를 사회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다양한 문헌들과는 달리 메르스 사태에 세계보건기구가 어떠한 역할을 했으며 세계보건기구가 구성했던 메르스 병원체의 특징에서 나타나는 불확실성이 어떻게 지역국가 단위에서 다른 형태로 구성되는가, 즉 불확실성의 공동구성성의 형태에 대해서 논의하게 될 것이다. 신종전염병으로서 한국에서 확산된 메르스의 경우 이 질병에 대한 대응지침이 세계보건기구가 설정해놓은 일반적인 표준화된 병원체 정의, 진단 및 조치방식이 어떻게 지역적인 맥락과 충돌하면서 문제를 악화시키는가에 대한 논의를 하게 될 것이다.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 is a novel infectious disease that is mainly widespread in the region of Middle East including Saudi Arabia, Qatar, and Arab Emirates. The diseases was first reported in 2012 in Saudi Arabia. As the name indicates, the disease outbreaks in the Middle East region and it was thought to be limited in the area, though there can be possible danger of international outbreak due to the increasing interaction between countries. This potential danger became a reality in 2015 when a 68-year-old male with a recent travel history to several Middle Eastern countries including Bahrain, Arab Emirates, Saudi Arabia and Qatar showed severe respiratory symptoms in South Korea. For two months, the whole nation was stopped her functions. The fear of spreading the disease prevailed amongst Koreans. By the end of July there have been a total of 185 confirmed cases and 26 deaths reported. Also, more than 14,000 contacts had to be traced for monitoring. The Korean case of the MERS outbreak alarm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particula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paid attention to the situation in Korea. At the height of the outbreak WHO sent delegates to conduct a joint mission wit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n government. The WHO team worked closely with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to assess the whole disease controlling system and concluded that there were several potentially problematic factors which might contribute to the widespread of the disease in such a short time period including poor ventilation and ineffective disinfection in hospital, medical shopping culture and overcrowded situation of ER rooms. However, although many research have searched for why the government agency failed to manage risk communication, there are more important elements to consider in order to understand how and why the disease controlling and preventing system did not work properly. The communication problems and secrecy of policy making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f you examine the whole network of healthcare system including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esearch community, government agencies and private clinics, an interesting question can be raised; are there conventional referential criteria to make a decision for controlling and preventing the disease? In fact, most explanations of the origin, transmission route, treatment and guidelines of managing the disease are not completely settled down. In other words, the uncertainties are not completely removed from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disease.

      • KCI등재

        감염병 유행과 국가배상책임 - 서울고등법원 2018. 6. 14. 선고 2018나2010317 판결을 중심으로

        양태정(Yang, Taejung) 한국법학회 2020 법학연구 Vol.78 No.-

        이 사건은 2015년 대전광역시 서구 F에 있는 G병원에 입원하였다가 중동호홉기증후군(MERS-CoV;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이하 메르스’)에 감염되어 사망한 D의 자녀들이 G병원의 운영자이자 위 병원 의료진의 사용자인 C와 대한민국 및 G병원의 소재지인 대전광역시 서구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의 제1심과 항소심 및 상고심이다. 원고들의 청구에 대하여 제1심은 ① C에 대해서는 D의 메르스 진단 검사를 조속히 요청하여야 할 주의의무 위반 및 D에 대한 메르스 진단 및 전원 조치를 지연한 과실이 없으며 ② 대한민국에 대해선 질병관리본부 소속 공무원들에게, 메르스에 대한 사전 연구 및 지침 설정과 관련한 과실, 의심환자 신고에 따른 진단검사를 지연한 과실, 밀접접촉자로 분류한 사람들외의 대상자들에 대하여 사후 모니터링 체제를 적절히 갖추지 못한 과실, 병원명 등에 관한 정보공개를 지연하고 공개범위를 잘못 설정한 과실 등을 인정할 수 없거나 또는 과실이 인정된다 하더라도 그 과실들과 D의 메르스 감염으로 인한 사망 등 사이의 상당인과관계를 인정할 수 없다는 이유로, ③ 대전광역시 서구에 대해선, 메르스 관련 교육 및 홍보 의무를 다하지 아니한 과실과 D에 대한 메르스 진단 지연 내지 사망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존재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원고들의 청구를 전부 기각하였다. 항소심은 제1심의 청구와 판단을 같이 하면서, 원고들이 추가적으로 제기한, C가 규정에 의한 신고의무 및 의사의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를 위반하였다는 주장 역시 인정하지 않고 항소 기각 판결을 내렸다. 상고심 역시 항소심과 같은 취지로 상고기각 판결을 내렸다. 이 판례는 집단 감염병 관리와 관련하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의료기관 등의 감염병 환자에 대한 책임 범위를 어떻게 설정할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보여주는 사건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하여 전세계적인 감염병 유행에 대한 보건 당국의 책임이 날로 커지는 추세이므로, 추후 유사 사건이 발생하면 보건 당국 및 의료기관의 책임제한에 대한 판결의 태도가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 역시 충분하다 할 것이다. The case was filed against the Western District Court in Daejeon, where children of D, who died after being hospitalized at G Hospital in F, Seo-gu, Daejeon in 2015 after being infected with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MERS-CoV), are the operators of G Hospital and users of the hospitals medical staff, C, and Seo-gu District, Daejeon Metropolitan City, where Korea and G Hospital are located. Regarding the plaintiffs claims, the first trial said that C had no fault of violating the duty of care and delaying the diagnosis of MERS and all measures for D as soon as possible. In addition, for South Korea, officials at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re not allowed to acknowledge error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prior research and guidelines on MERS, negligence in delaying the diagnosis of suspected patients, negligence in not properly equipped with a post-monitoring system, negligence in setting the scope of information on hospital names, etc., or, even if the errors are recognized, the deaths caused by MERS infection. As for Seo-gu, Daejeon Metropolitan City,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negligence that did not fulfill its duty to educate and promote MERS and delay or death of MERS diagnosis for D. For the above reasons, the first trial court rejected all the plaintiffs claims. In line with the first trials request, the appeals court ruled against the appeal, refusing to acknowledge the additional claim made by the plaintiffs that C violated the reporting obligation under the regulations and the doctors duty to explain the patient. The Supreme Court also ruled on the dismissal of the appeal to the same effect as the appeals court. This case can be seen as a case of the courts judgment on how to set the scope of responsibility for infectious disease patients in the state, local governments, medical institutions, etc. in relation to the management of collective infectious diseases. As the health authorities are increasingly responsible for the global epidemic of infectious diseases due to the COVID-19, there is also a good chance that the attitude of rulings on liability restrictions by health authorities and medical institutions will change in the event of similar incidents.

      • KCI등재

        메르스 루머의 수용과 확산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색: 트라이앤디스(Triandis) 모델의 적용

        이준영,허우철,한미정 한국광고홍보학회 2019 광고연구 Vol.0 No.122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11 people in 2030s to explore factors that influenceacceptance and diffusion of rumors about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The results indicated that rumor accepta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rumor diffusiononline both in real name and in anonymity. Several significant factors were identifiedas influential for rumor acceptance and diffusion. Normative influence was positivelyrelated to rumor acceptance.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likelihood of experiencing MERS were both positively related to rumor acceptance and diffusion online both in real name and in anonymity. As a facilitating condition directly to MERS rumor diffusion, a sense of fear of MERS diffus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rumor acceptance and rumor diffusion online both in real name and in anonymity. 본 연구는 메르스와 같은 공중보건 위험에 대한 루머 수용과 확산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다양한 요인을 트라이앤디스 모델을 적용하여 탐색하였다. 온라인 루머에 민감한 2030세대(n = 411)를 중심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메르스 루머를 접했을 때 발생하는 부정적 감정은 루머 수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요인인 규범적 요인이 루머 수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결과에 관련해서는 심각성 지각과 개연성 지각 모두 루머 수용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르스 루머 수용은 메르스 확산 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메르스에 대한 사전 지식은 루머 수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르스루머에 관련한 촉진 요인인 공포감 지각과 불확실성 지각의 경우 공포감 지각이 메르스루머 확산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메르스 루머와 관련하여부정적 감정, 사회적 요인, 지각된 요인, 사전 지식, 촉진 요인 등이 루머 수용과 루머 확산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메르스와 같은 보건 위기 상황에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쓰기-주체-되기’의 정치성

        양경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여성문학연구 Vol.36 No.-

        This study examines women’s writing, which is part of discursive practice. The writing encompasses all forms of writing activities by those who are not allowed to speak out but struggle to make their voices heard as a subject. Rewriting the words dominated by men’s view, women can pioneer a space for free speech. For this reason, writing activity by women should be encouraged and emphasized in the society dominated by gender inequality. This paper explores outside of academic world in which performativity of the writing subjects is executed, specifically, Shinyeoseong, a Korean magazine in the 1920s. In this magazine, women were hated and belittled by men who became subjects in the modern society. Women, however, did not sit on their hands and stand up against such view by writing articles full of parody and irony. Such confrontations are witnessed on the internet these days. Women’s confession of painful stories on social media, for example, is changed into disclosure to the public, thereby generating discourses on who is to blame for dating abuse and sexual assault. Women’s writing activities on online communities such as Megalia also give women opportunities to contemplate what to do in dealing with gender inequality issues. Thus, the writing-subjects come to be recognized when their voices, which have been mute in history of gender inequality, begin to be heard by writing, and what they can do is as follows: first, the writing-subjects criticize those with greater power in relationship by making use of irony and parody in writing; second, such critiques spark heated discussions, thereby changing the writings into conversations with listeners/readers of the critiques. The change to conversation produced by performativity of writing-subjects, in the end, generates open discourse. 본고는 언어가 ‘불평등한 세상을 공고히 하는 권력의 주체’라는 것을 인식한 여성들이 ‘담론적 실천’으로 펼치는 ‘쓰기 활동’을 살핀다. 이때 주목하는 ‘쓰기’란 자유로운 표현활동이 제한된 위치에 처해있는 이가 저 자신을 스스로 주체화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쓰기 활동을 삼는 상황을 포괄하여 이른다. 여성은 남성의 문자를 다시 쓰는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말할 장소를 개척하는 ‘쓰기-주체’로 거듭난다. 특히 승인된 학문의 장(場)이나 문학 장이 아닌, 제도의 가장자리에서 ‘쓰기-주체’들은 가부장제와 젠더 관습의 억압적 양태를 교란시키고 새로운 담론 지형을 형성하는 일을 훨씬 더 자유롭게 수행한다. 그와 같은 활동을 탐색하다보면 ‘메갈리아’에서 우세하게 활용되는 ‘미러링 화법’은 메갈리안들이 고안한 최초의 방식이 아님을 발견하게 된다. 이는 ‘쓰기-주체-되기’에 대한 해석을 진행할 때 여성의 역사 역시 다시 쓰일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가 분석대상으로 삼는 ‘쓰기 주체’의 수행성이 발휘되는 장소는 학문 장 바깥에 있다. 우선 그와 같은 활동을 1920년대 잡지 『신여성』 에서 살폈다. 남성이 근대적인 주체로 거듭나는 과정에서 여성은 혐오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여성을 업신여기는 내용의 글이 잡지에 수록될 때, 여학생들은 가만히 있지 않았다. ‘패러디’와 ‘아이러니’를 활용하여 여성혐오를 일삼는 남성에 맞섰다. 이를 잇는 최근의 활동은 온라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기 고백적인 서사를 사회적인 현안으로 전환해내는 쓰기 방식은 데이트폭력, 성폭력과 관련한 사안이 ‘누구의 문제인지’를 질문하는 방향으로 담론을 형성한다. 또한, ‘메갈리아’와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이뤄지는 여성들의 쓰기 활동은, 여성들이 스스로 젠더관계의 불균형과 관련한 여러 문제 사안에 실천적으로 대면할 수 있도록 한다. 젠더 관계의 불균형적인 힘의 구도 속에서 삭제되어왔던 ‘저항-목소리들’을 역사의 한복판으로 출연시킬 때 확인할 수 있는 ‘쓰기-주체’는 첫째, ‘패러디’ 및 ‘아이러니’를 활용한 화법을 구사함으로써 권력관계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이들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둘째, 그러한 방식을 통해 다른 이들의 격론을 불러일으킴으로써 말을 듣거나/읽는 이들과 대화적인 전환을 이루어낸다. ‘쓰기-주체’의 수행을 통해 이뤄지는 ‘대화적 전환’은 종국에는 ‘열린 구조’의 담론을 형성하는 정치성을 발휘한다.

      • KCI등재

        메르스 보도가 메르스 정보 검색행위에 미치는 영향

        김병철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ange in the amount of information retrieved by the audience using PC and mobile internet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change of the media coverage about MER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media’s reports about MERS will act as a cause of affecting the ‘behavioral response’. To do this, we used Naver’s big data portal, Data Lab, to extract the information retrieval amount by the audience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from May to December 2015 when the MERS occurred in Korea. In addition, we used the number of news reports about MERS in the 11 newspapers including Chosun Ilbo, Joongang Ilbo, and Donga Ilbo, as well as the three major broadcasters including KBS, MBC and SBS as independent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Granger causality relation 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number of infected person, dead person and cured person in the MER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reports about MERS and the MERS information search behavior, rather than the number of infected person, dead person and cured person in the MERS.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revers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 behavior of the MERS and the MERS reports of the med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dia may influence the public awareness of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MERS. To conclude, these results show empirical evidence to remind us of the importance of the ‘infectious disease reporting rule’. 본 연구는 언론의 메르스 보도가 수용자의 메르스 정보 검색이라는 ‘행위적 반응(behavioral response)’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수용자가 PC와 모바일 인터넷을 이용해 검색한 메르스 정보 검색량 변화가 언론의 보도량 변화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네이버의 빅데이터 포털인 데이터랩의 검색 트렌드 분석 기능을 이용해 메르스 사태가 있었던2015년 5월∼12월을 분석 대상 기간으로해서 종속 변수로 사용된 메르스 정보 검색량을 추출했다. 또 같은 기간 동안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 11개 중앙종합일간지와 KBS, MBC, SBS 등 3대 공중파 방송을 통해 보도된 메르스 보도량, 질병관리본부(CDC)가 발표한 메르스 감염자 수, 메르스 누적사망자 수, 메르스 완치자 수를 독립변수로 사용해 다중회귀분석과 그랜저 인과관계(Granger causality relation) 검정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메르스 감염자 수, 누적 사망자 수, 완치자수와 같은 메르스 관련 숫자보다는 언론의 메르스 보도가 메르스 정보 검색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메르스 정보 검색 행위가 언론의 메르스 보도에 영향을 미치는 반대방향으로의 역 인과관계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같은 결과는 언론이 메르스와 같은 신종 감염병 관련뉴스를 어떻게 보도하고 프레임하느냐에 따라 공중의 위험에 대한 인지와 행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감염병 보도준칙’의 의미와 중요성을 반증해주는 실증적 증거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메르스 관련 위험정보 탐색과 처리가 메르스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미혜(Mihye Seo)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8 No.4

        본 연구는 2015년 메르스 위기 중 두 차례에 걸쳐 동일한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온라인 패널 서베이 자료를 이용해 개인의 위기관련 정보탐색 처리에 미치는 요인과 위험정보 탐색처리가 위험 방지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메르스 위기 상황에서 SNS를 통해 가족, 친구, 지인과 활발한 소통이 메르스 위기관련 정보의 탐색, 처리 그리고 방지행동에 어떤 조절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위기정보 탐색처리 모델은 한국의 메르스 위기상황에서 그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특히 메르스 관련 정보의 적극적 탐색과 체계적 처리가 이후 메르스 방지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SNS 이용량에 따라 나뉜 두 집단에서 메르스 관련 정보의 탐색과 처리에 미치는 요인과 그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NS 이용에 따른 조절효과는 주로 부정적 감정과 사회적 동기요인을 중심으로 드러났고, 연구결과는 메르스 위기 중 SNS의 이용이 불필요한 공포를 조장한다는 우려와는 달리 위기의 지각이 부정적 감정으로 이어지는 관계를 완화시켜주고, 나아가 사회적 동기요인을 자극하고 메르스에 대한 체계적 정보처리를 강화시키는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individuals’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using the case of 2015 MERS outbreak in Korea. Analyses of two-wave online panel data demonstrated that perceived risk, negative affect, subjective norm, and information insufficiency predicted the risk information seeking/avoiding as well as information processing mode, which validates the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RISP) model. More importantly, this study found new evidence that information seeking and systematic processing promoted MERS preventive behaviors. In addition, active SNS use moderated the link between perceived risk and negative affects about MERS crisi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ormative pressure and to seek the risk related information.

      • KCI등재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최병두(Byung-Doo Choi) 한국공간환경학회 2015 공간과 사회 Vol.25 No.3

        2015년 5월 20일 첫 황자가 발생하면서 시작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MERS) 사태는 이 바이러스의 높은 치사율과 예기치 못한 전파 경로 때문에 사태 관련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전체 국민을 불안과 혼돈의 도가니 속에 몰아넣었다. 이 사태는 일단 7월 말 종식이 선언되었지만, 사회경제적으로 엄청난 충격을 주었음에도 이에 대해 아무도 책임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고려해서, 앞으로 유사한 사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대안적 정책과 깊이 있는 학문적 분석이 요구된다. 이글은 지리학적 관점에서 이번 메르스 사태의 발생 및 전개 그리고 이에 대한 병원과 정부의 대응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번 메르스 사태는 학문적으로 여러 측명에서 분석되어야 하겠지만, 특히 이 글은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에 초점을 두고, 메르스를 포함해서 현대 사회에서 새로운 전염병이 등장하는 지리적 배경과 공간적 전파에 관한 문제, 이러한 전염병의 출현과 확산에서 병원이라는 장소의 문제, 전염병의 확산에 따른 확진 환자 및 이들과 접촉한 사람들의 격리와 감염을 우려한 일반인들의 이동성 위축의 문제, 끝으로 가장 심각한 점으로 관련된 지리정보의 통제와 질병 관리에 관한 생명권력의 정치의 문제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As the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outbreak, started from May 20 2015 with the first patient who had traveled to the Middle East, was rapidly diffused nation-widely, not only persons who were directly related to it but also all people in Korea were thrown into an extreme fear and chaos. Even though, having made tremendous social and economic impacts, the viral disease has been nearly disappeared with the MERS-free declaration of Korean government in late July, there has been no one who has taken the responsibility for the MERS outbreak. However the MERS outbreak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seriously, and it is indispensable not only to work out alternative policies and but also to carry out in-depth academic researches in order not to relapse such dangerous epidemic diseases. From a geographical point of view,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incidence and evolving process of the MERS outbreak and the responding process of hospitals and government to it. In particular,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geography of the MERS outbreak, dealing with the problem of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circumstance of contemporary society in which new epidemic diseases emerge and diffuse world-widely, that of placeness of commercial hospitals which become a fatal hub of emergence and diffusion of such diseases, that of socio-spatial isolation of patients and those contacted with them and of reducing movement of ordinary people worrying about contamination of the disease, and, finally but most importantly, that of government’s control of medical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politics of bio-power.

      • KCI등재

        메르스가 관광산업의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김수정(Su-Jeo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는 전염병이 관광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메르스 발생 전후 호텔업, 여행업, 항공업의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호텔업의 경우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세전 순이익률과 매출액영업이익률이 메르스 발생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두 변수 모두 메르스 발생 이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업의 경우 안정성지표인 부채비율과 차입금의존도가 메르스 발생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변수 모두 메르스 발생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성지표 중 재고자산회전율이 메르스 발생이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업의 경우 수익성지표 중 매출액영업이익률이 메르스 발생 이후 약간 높아졌으며 활동성 지표 중 총자산회전율이 메르스 발생이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관광산업의 경영자는 업종의 특성에 맞게 전염병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완화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의 수립 등 적극적인 대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out how Mers affects tourism industry.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we analyzed the differences of management performance of hotels, travel agencies and airlines before and after Mers occurrence.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profit margin ratio before income taxes and operating profit ratio as a profit index before and after Mers occurrence in the hotel firms. And in case of travel agenc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debt to equity ratio and borrowings dependence ratio as a stability index before and after Mers occurrence. La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operating profit ratio as a profit index and total assets turnover ratio as an activity index before and after Mers occurrence in the airlines. Therefore the managers should find an way to reduce the negative image of plague through the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 KCI등재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김은성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10

        위험소통은 2015년 상반기 발생한 메르스 위기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어왔다. 감염자가 방문한 병원의 이름을 정부가 늦게 공개하는 바람에 메르스가 여러 병원으로 확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대중들의 공포가 증폭되었다. 이 글은 이 메르스 위기 당시 정부에 의해 이루어진 위험소통이 실패하게 된 사회적 원인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이 글은 정부의 위험소통전략을 “결핍모델”로 해석하면서 “맥락적 모델”의 관점에서 결핍 모델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한다. 특히 위험소통에서의 과학적 불확실성, 이해관계, 정부의 신뢰, 대중의 정체성 형성 및 낙인효과에 대한 함의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메르스와 같은 신종전염병 관련 위험소통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Risk communication was one of the most serious challenges surrounding the MERS crisis that occurred in 2015 in Korea. As the Korean government postponed to disclose the names of the hospitals where confirmed MERS cases were exposed, the MERS spread from hospitals to hospitals and public anxiety was amplified significantly. This article examines social causes for the failure of governmental risk communication during the MERS outbreak in Korea. This article views the MERS risk communication strategy of the Korean government as the “deficit model” and analyzes its problems and limit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textual model.” In particular, it addresses the roles and implications of scientific uncertainty, mutual interests, governmental trust, the construction of citizens’ identity, and the social stigma effect of sigma in risk communication. Finally, it suggests a guideline on how to improve risk communication process in handling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such as the MERS.

      • 메르스 유행 기간 중 영상의학과의 감염관리

        전상훈(Sang-Hoon Joon),추상덕(Sang-Deok Chu):오동진(Dong-Jin Oh),정원규(Won-Kyu Jung),천지현(Ji-Hyun Chun),선화연(Hwa-Yeon Sun):신형호(Hyeong-Ho Shin),한사랑(Sa-Rang Han),김광훈(Kwng-Hun Kim)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7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7 No.1

        Purpose : On May 20, 2015. A man at the age of 68 was the first to be diagnosed with mers corV in korea. After a month probable 186 MERS cases had been identified in Korea uo to On June 17. and 35 healthcare workers had infected from MERS. 2 Radiographers had been infected by the 17 June. Radiographer could catch infections easily. because they had close contact with probable patients while conducting chest X-ray examinations. Because The department established a MERS infection control team and designed X-ray examination procedures based on the concept of MERS patient s risk grade. The goal of this program was to reduce the infection rate and distribute materials efficiently in the department. This article introduces the infection control and examination procedure of Radiology department during the MERS outbreak and the infection-protection experience of the department staff. Materials and Methods : Duration of MERS, We reallocated human resources in Radiology department and set a criterion of protection and flow of human traffic for operational procedures for radiographers conducting X-ray examinations on MERS patients. Result : Duration of MERS, we had examination 513 cases. but 2 radiographers who was over 37.5 had been isolated for 2 weeks, no one was infected from MERS. that is to say standards was effectiveness. Conclusion : Standards was effectiveness for MERS in National medical center 목 적 : 2015년 5월 20일 한국에서 68세 남자가 메르스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6월 17일 까지 186명의 환자가 한국에서 발생하였다. 이 중 35명의 의료진이 포함되어있고, 2명의 방사선사가 감염되었다. 검사 특성상 방사선사는 portable chest x-ray 검사 중에 환자로부터 감염 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국립중앙의료원 영상의학과에서는 방사선사의 메르스 감염 방지를 위해 환자의 등급을 나누고 방호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번 기준설정의 목적은 방사선사의 감염 비율을 낮추고, 영상의학과 내에서 이 자료를 효율적으로 배포하기 위함이다. 이 논문은 메르스 창궐 기간 동안 영상의학과에서 감염 방지와 검사 과정 및 검사에 참여한 방사선사의 방호에 대한 경험을 다룬 것이다. 대상 및 방법 : 영상의학과 내 근무인력을 재배치 하였고, 메르스 환자 검사에 관련된 방사선사의 방호기준과 동선을 설정하였다. 결 과 : 메르스 창궐 기간동안 총 513명의 환자를 검사하였으며, 국립중앙의료원 영상의학과에서 설정한 기준에 따라서 검사에 참여한 방사선사 중 체온 37.5도 넘은 의심환자가 2명 발생했지만 감염은 없었다. 결 론 : 국립중앙의료원에서 메르스 검사를 위해 설정한 가이드라인이 직원안전에 적절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