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학계의 부여사 인식과 滿鮮史

        권창혁(Kwon, Chang-Hyuk) 고려사학회 2018 한국사학보 Vol.- No.72

        근대 역사학의 성립 이래 부여 · 고구려 · 발해 등 만주 · 한반도 지역의 고대사는 20세기 초 중국 · 조선 등 주변국에 대한 일본의 제국주의적 팽창과 궤적을 같이했던 滿鮮史의 주된 연구 대상이었다. 그 중 부여사의 경우 滿鮮史에서 가장 관심을 가졌던 고구려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주목받지는 못하였으나, 1930년대 만주국의 성립을 계기로 ‘만주 민족’에 의한 ‘만주사’에 대한 관심이 환기되면서 일련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같은 滿鮮史로서의 부여사 연구는 주로 중심지 및 강역과 같은 역사지리 관련 문제와 건국신화 및 종족기원과 같은 민족 관련 문제에 집중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다양한 문헌자료들에 대한 극히 상세한 고증이 이루어지면서 후대 해당 분야에 대한 근대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방법론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기여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이 滿鮮史의 사상적 기반에는 근대 일본의 역사적 · 사회적 배경에서 형성된 일종의 하위 오리엔탈리즘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그 같은 인식을 전제로 하여 이루어진 滿鮮史의 부여사 연구 역시, 한국사와의 연관관계 및 주체성 부정 및 그에 따른 문헌자료에 대한 편향적이고 자의적인 취사선택, ‘퉁구스계’라는 인종주의에 가까운 애매모호한 종족 개념의 설정, 남북 사이의 이원적 인식에 따른 지나친 지리결정론 등의 여러 문제점이 파생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滿鮮史의 부여사에 대한 인식상의 문제점들은, 일제 패망 이후 戰後시기에 들어 이루어진 연구들에서도 비판 · 극복의 대상임과 동시에 여전히 일정한 영향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 滿鮮史란, 제국주의가 횡행하던 20세기 초의 상황 속에서 이면의 아시아 멸시적 하위 오리엔탈리즘과 같은 비뚤어진 인식을 표면의 강고한 합리적 · 실증적 방법론으로서 뒷받침하면서 형성된 것이라 하겠다. 그렇기에 비록 戰後에 이르러 滿鮮史 자체는 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실증적 방법론을 매개로 한 패러다임은 별다른 비판 없이 받아들여졌으며, 그 과정에서 이면에 잔존해 있던 오리엔탈리즘에 가까운 인식 역시 비록 본래 의도한 것은 아니었어도 일정 부분 영향을 끼치게 되었던 것이 아닐까 한다. 물론 실증주의란 하나의 방법론일 뿐 그 자체가 특정한 가치를 지향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그 자체를 완전히 부정할 수는 없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이면에 잔존해 있는 근대의 유산을 직시하면서 어떠한 방식으로 극복할 것인지는 추후의 과제라고 할 것이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modern history, the ancient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Manju region concerning Buyeo · Goguryeo · Balhae, etc. was the main subject of Manseon history, accompanied by Japan’s imperialistic expansion to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While the history of Buyeo formerly did not receive as much attention as the history of Goguryeo in Manseon history, with the establishment of Manchuria State in the 1930’s, interest in Manchuria history composed by the Manchuria nation was recalled, and a series of research was progressed on Buyeo history. Buyeo history as a subject of Manseon history mainly focused on issues related to historical geography, such as central and provincial areas, and national issues such as founding myths and race origins. Thorough research based on historical evidence conducted in this process contributed to the modern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ology used in the future in this area. However, fundamentally, Manseon history possessed a subordinate Orientalism perspective formed from the historical · social background of modern Japan. Based on such perception, the study of Buyeo history within Manseon history also derived problems due to the biased and arbitrary recruitment of historical documents, the ambiguous and racist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race as `Tungus`, and excessive geographical determinism due to the dual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problems referred above were still influential in future studies developed in the post-war period after the collapse of Japan - dealt as a subject of criticism and as a barrier to overcome. Thus, we can conclude that Manseon history of the early 20th century was formed in the context of perverse subordinate Orientalism supported by a strong rational and empirical methodology. Due to the strong mediation of methodology, even though Manseon history was negated after the post-war period, the ideology was accepted without any criticism, and the foundation of Orientalism within this historical methodology may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have had an effect. Of course, positivism is merely one single methodology; we cannot completely deny this historical methodology as it is not itself aimed at a specific value. Nevertheless, it is a task for the future to face and overcome the modern legacy that remains behind it.

      • KCI등재

        滿鮮史와 日本史의 위상 : - 稻葉岩吉의 연구를 중심으로 -

        정상우(鄭尙雨) 한국사학사학회 2013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8

        植民主義歷史學は日本の大陸侵掠を合理化するためのものであっただけでなく、日本で近代歷史學の成立過程で日本史を中心に周邊民族の歷史を日本史の他者に規定することだった。このような觀點から見ると、滿鮮史は日本史を中心に朝鮮と滿洲の歷史を再構成したものとしせていただき、そのために滿鮮史に対する理解のためには滿鮮史の中で日本史の位相を考慮しなければならない。本稿は代表的な滿鮮史學者な稻葉岩吉の硏究課程を追跡して滿鮮史の體系化過程とその中で日本史の位置を糾明するためのものである。 硏究初期から淸朝と滿洲の歷史を硏究しながらもそれを大陸と日本の關係史で見た稻葉は1920年代朝鮮に赴任しながら硏究對象を朝鮮とその周邊に變貌させた。当時、日本の学界の研究の風土がそうであったように、彼は主に古代史を硏究したが、別人の学者のように韓日關係に集中するよりは自分が以前から関心を傾けていた大陸と朝鮮の關係を糾明しようとした。当時、稻葉は民族的・政治的・經濟的側面で滿洲と朝鮮の不可分を主張する一方、半島に影響を与えたものは滿蒙の民族よりは漢族とし、中国の影響力を說明した。このように朝鮮の歷史で滿蒙より中国の影響力を重要視することは滿鮮が不可分だと言っていた自身の主張を自ら否定することだった。また、この時期滿鮮の歷史を說明する方式は史料の解釋というよりは傳達に近い、朝鮮方面の民族と漢族を一對一で對應させることで朝鮮とそれをめぐる周邊の歷史をどのような構造に立脚して統一的に解釋することはなかった。つまり1920年代、稻葉の硏究は朝鮮と彼を取り巻く周邊との關係、特に朝鮮に及ぼした漢族とその文化の影響力についたものと言わせていただき、このような意味で滿鮮史としにくいことだった。 しかし、1930年代に入ってからはこのような樣相から脱し、朝鮮とそれをめぐる周邊に対する統一的な歷史像を提示しようとした。稻葉の表現を借りればいわゆる"全局上注意"を傾けて朝鮮の歴史を東洋史の一部として解釈する中で、単に民族あるいは勢力の間の一對一對應がなく東胡系民族、漢族、蒙古族の三者の勢力關係の中で思考することだった。でもこうした構造は契丹が興起して新羅が三國を統一する7世紀以降は滿鮮分離が行われるため、適用不可能ということを稻葉自ら是認している。そのために稻葉も7世紀以後の歷史を敍述する場合においては、滿鮮を統一的に思考するよりは中国の漢族の王朝、契丹や女眞のような北方民族、半島の民族などとように個別的に眺めており、漢族の以夷制夷による滿鮮分離の過程に敍述する一方で、このような秩序が揺らぐ17世紀の歷史的展開について大きな關心を表明した。しかし、この場合にも稻葉の硏究は滿鮮の不可分性を機械的に適用して女眞と朝鮮の接近を高く評価する樣態を示すとする。 むしろ稻葉岩吉が硏究の初期から末年の1930年代まで変わらず主張したのは東北亞細亞の歷史的展開において日本の位相に関するものだった。時間の經過によって稻葉は自身の主要な硏究對象を淸、朝鮮とその周邊、滿鮮に移動したが、いつも大陸と日本の關係を說明するのに腐心した。また硏究課程で過去自身の見解を否定したりするが硏究の初盤から変わらなかったのは大陸の影響を受けて開國と同時に强國になった日本の歷史的位相に関するものだった。1920年代大陸と日本が相互影響を交わした側面を强調した稻葉は1930年代このような論議を反復しながらも大陸が無視できなかった海洋の强者として日本の位相を2世紀まで遡及する一方、それが始終一貫持續なったという歷史像を提示した。日本のこのような位相については古代を超えて稻葉自身も滿鮮分離が加速化なったとし、自身が提示する滿鮮史的構造で說明しなかった7世紀以後の歷史に(元の日本招諭と侵掠、淸朝の興起) 貫徹なることだった。 こうなると、稻葉が體系化した滿鮮史というのは1930年代に入って現れるもので稻葉自ら認定するように7世紀以後には存在できない、むしろ滿鮮分離史というのが實體に近いものといえる。また滿鮮史を構造化して漢族、蒙古族、東胡系民族の關係を說明する過程で、彼が提示する主要な局面 – 漢四郡の設置、三國の角逐、隋唐と高句麗の戰爭はすべて日本の開國と海東の强者として日本の位相を說明することとも連結なっている。このような意味で稻葉が追求した'滿鮮史'というのは7世紀以前に存在したことで、日本を中心とした東北亞細亞の歷史の再構成といえるだろう。 식민주의 역사학은 일본의 대륙침략을 합리화하기 위한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일본의 근대역사학 성립과정에서 일본사를 중심으로 주변민족의 역사를 일본사의 타자로 규정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滿鮮史는 일본사를 중심으로 조선과 만주의 역사를 재구성한 것이라 하겠으며, 그렇기 때문에 만선사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그 속에서 일본사의 위상을 고려해야만 한다. 이 논문은 대표적인 만선사학자인 稻葉岩吉의 연구 과정을 통하여 만선사의 체계화 과정과 그 속에서 일본사의 위치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조선에 부임하던 1920년대 이전 稻葉은 만선사가라기 보다는 청조사가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동북아의 역사를 대륙과 일본의 關係史라는 맥락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가운데 주된 관심을 淸朝와 滿洲에 두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던 것이 조선 부임과 함께 만주와 더불어 조선과 그 주변을 연구하며 만선의 불가분성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稻葉 역시 당시 일본학계의 풍토가 그러했듯이 주로 古代史 연구에 집중했지만 다른 일본인 학자들처럼 韓日關係 보다는 자신이 이전부터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던 대륙과 조선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당시 稻葉은 民族的ㆍ政治的ㆍ經濟的 측면에서 만선의 불가분을 주장하는 한편 半島에 영향을 준 것은 만몽의 민족보다는 漢族이라며 중국의 영향력을 강조하였다. 이처럼 조선의 역사에서 만주보다 중국의 영향력을 중요시하는 것은 만선이 불가분이라던 자신의 주장을 스스로 부정하는 것이었다. 또 이 시기 만선의 역사를 설명하는 방식은 사료의 해석이라기 보다는 전달에 가까웠고, 조선방면의 민족과 漢族을 일대일로 대응시키는 것으로 조선과 그를 둘러싼 주변의 역사를 어떠한 구조에 입각하여 통일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아니었다. 즉 1920년대 稻葉의 연구는 조선과 그 주변의 관계, 특히 조선에 미친 漢族과 그 문화의 영향력에 대한 것이라 하겠으며, 이러한 의미에서 만선사라 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하지만 1930년대 들어서는 이러한 양상에서 벗어나 조선과 그를 둘러싼 주변에 대한 통일적인 歷史像을 제시하고자 했다. 稻葉의 표현을 빌리자면 이른바 “全局上 注意”를 기울여 조선의 역사를 동양사의 일부로서 해석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는 단순히 民族 혹은 勢力들 사이의 일대일 대응이 아닌 東胡系 民族, 漢族, 蒙古族의 3자의 세력관계 속에서 사고하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구조는 契丹이 흥기하고 新羅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에는 만선분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을 稻葉 스스로 시인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稻葉 역시 7세기 이후의 역사를 설명할 때는 滿鮮을 통일적으로 사고하기 보다는 漢族의 왕조, 契丹이나 女眞과 같은 북방민족, 半島의 민족 등과 같이 개별적으로 바라보았으며 漢族에 의한 以夷制夷에 따른 滿鮮分離의 과정으로 서술하는 한편 만선의 접촉이 있던 17세기의 역사적 전개에 대해 관심을 표명하였다. 그러나 이럴 경우에도 稻葉의 연구는 滿鮮의 불가분성을 기계적으로 적용하여 女眞과 朝鮮의 접근을 높게 평가하는 양태를 나타낸다고 하겠다. 오히려 稻葉이 연구 초기부터 말년까지 시종일관 변치 않고 주장했던 것은 동북아시아의 역사적 전개에 있어서 일본의 위상에 관한 것이었다. 연구의 진전에 따라 稻葉은 자신의 주요 연구대상을 淸에서 조선과 그 주변, 만선으로 이동했지만 언제나 대륙과 일본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에 부심했다. 또 연구과정에서 과거 자신의 견해를 부정하기도 하지만 대륙의 영향을 받아 개국과 동시에 强國이 된 일본의 역사적 위상에 대해서는 변치않는 신념을 나타내었다. 1920년대 대륙과 일본이 상호 영향을 주고받았던 측면을 강조하던 稻葉은 1930년대 이러한 논의를 반복하면서도 대륙이 무시할 수 없었던 해양의 강자로서 일본의 위상을 2세기까지 소급하는 한편 그것이 지속되었다는 歷史像을 제시하였다. 일본의 이러한 위상에 대해서는 古代를 넘어 稻葉 자신도 滿鮮分離가 가속화되었다며 자신이 제시한 만선사적 구조로 설명하지 못한 7세기 이후의 역사에도 관철되는 것이었다. 이렇게 볼 때 稻葉이 체계화했던 만선사라는 것은 1930년대에 접어들어 나타나는 것으로 稻葉 스스로 인정하듯이 7세기 이후에는 존재할 수 없는, 오히려 滿鮮分離史라고 하는 것이 실체에 가까운 것이라 하겠다. 또 滿鮮史를 구조화하며 漢族, 蒙古族, 東胡系 民族의 관계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그가 제시하는 주요한 국면 – 한사군의 설치, 삼국의 각축, 수당과 고구려의 전쟁은 모두 일본의 개국과 해동의 강자로서 일본의 위상을 설명하는 것과도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稻葉이 추구했던 ‘滿鮮史’라는 것은 7세기 이전에 존재했던 것으로,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 역사의 재구성이라

      • KCI등재

        고구려사와 만선사(滿鮮史)

        이노우에 나오키(Inoue, Naoki),박성현(번역자)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동서인문학 Vol.0 No.53

        러일 전쟁 후 시라토리 쿠라키치[白鳥庫吉], 이나바 군잔[稲葉君山] 등의 연구자는 일본의 확고한 한국 통치를 위해 한반도와 요동반도를 같이 지배할 것을 주장하면서 이를 위해 ‘만선 불가분론(滿鮮不可分論)’을 주창했다. 여기에서 고구려사는 매우 중시되었는데, 요동반도와 한반도를 동시에 지배한 나라는 역사상 고구려가 유일했기 때문이다. 만선사(滿鮮史)라고 하는 것은 역사적 · 지리적은 물론 당시의 정치적 정세로 보았을 때 고구려를 근거로 한 역사 지리적 공간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만선사는 곧 고구려사였던 것이다. 여기에서 만선사와 고구려사의 밀접한 관계가 인정되어, 그 특질의 하나를 엿볼 수 있는 것이다. After Russo-Japanese War, KURAKICHI Shiratori and KUNZAN Inaba insisted on ruling over Korean Peninsula and Liaotong Peninsula at the same time for strong rule of Japan in Korea. Therefore, they insisted on the inseparability of Manchuria and Korea. It was only Koguryo to have ruled over Liaotung and Korean Peninsula at the same time in history. Therefore the history of Koguryo was esteemed. The history of Mansen (Manchuria-Korea) is not only a historic geography object, and, judging from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at time, it may be said that it was history geographical space to assume only Koguryo grounds. History of Mansen was history of Koguryo. This shows that the history of Mansen and history of Koguryo were related. And I can accep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of Mansen.

      • KCI등재

        『朝鮮史』(조선사편수회 간행) 편찬과 만선사의 상관성 ―『朝鮮史』 제 3편을 중심으로

        정상우 만주학회 2017 만주연구 Vol.- No.24

        This paper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P’yŏnsuhoe’s Joseonsa (vol.3) that led by Inaba Iwakichi’s editing, who was representative of a Manchuria-Korea- historian and Manchuria-Korea-History. Regarding Korean history, Inaba who was stationed in Korea for the purpose of compiling the Joseonsa and former Korean-history-researchers representing Imanishi Ryu maintained different views. Imanishi described the Korean history as one of the Han ethnic group, which was akin to that of a Japanese ethnic group living in the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 On the other hand, Inaba criticized Japanese researchers who studied Korean history as one tied to Japan’s history. He thought Korean history should be studied as a part of Oriental history and insisted that Korean history should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Manchuria and Mongolia. With the Joseonsa vol.3, Inaba served as the chief and reflects his view of Korean history. Before he taking charge of Joseonsa vol.3, Inaba regard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ryeo dynasty as tied to the appearance of Manchuria and Mongolia people, such as the Kitan, Jurchen, and Mongolians. Inaba’s perspective on the Goryeo Dynasty was reflected in Joseonsa vol.3. The editors of Joseonsa vol.3 also regard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ao, Jin, Song, Yuan and Goryeo as the most significant components in Joseonsa vol.3. In particular, with the so-called ‘the Goryeo Dynasty`s War Period against Mongolian Invasion’, the editors of Joseonsa vol.3 relied on historical materials that emphas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Yuan and Japan, rather than that of the Anti-Mongol Struggle or changes in domestic politics of Goryeo. This coincided with Manchuria-Korea historical plans to raise the status of Japanese history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Northeast Asian history into the tripartite relationship with the people of China, Mongolia and Donghu (東胡). And the editors’ emphasis coincided with Inaba’s work published at the time of the compilation of Joseonsa vol.3. The general view is that few historical materials are found in early Goryeo period and more materials such as collections of writings, epigraph are found in the late. However, the historical materials used in Joseonsa vol.3 point to the opposite.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the use of Korean historical materials (especially epigraph materials) decrease, while the use of foreign historical materials (mostly Japanese materials) increasingly point to a relationship with Japan. Indirectly, the tendency of using historical materials with Manchuria–Korea historic perspectives was used in the compilation of Joseonsa vol.3. 이 논문은 대표적인 만선사학자였던 이나바 이와키치가 편찬을 총괄한 조선사편수회 간행 <朝鮮史> 제 3편(고려시대)과 만선사의 관련성을 살펴본 것이다. 朝鮮史 편찬을 위해 조선에 부임한 이나바는 이마니시 류우로 대변되는 이전 연구자들과 한국사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랐다. 강점 이후 조선총독부에서 주도한 각종 조사 사업이나 ‘반도사 편찬’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이마니시는 일본과 종족적으로 동일한 반도 남부의 ‘韓種族’을 중심으로 한국사를 서술하며 고구려로 대변되는 북방의 역사를 한국사에서 배재하였다. 반면 이나바는 당시 일본인 연구자들이 한국사를 ‘일본사’의 범주에서 접근하는 것을 비판하며 한국사를 대륙-만주와의 관련 속에서 ‘東洋史化’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한국사를 연구함에 있어 대륙의 영향력이 절대적인 반도라는 ‘토지’를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한국과 만주와의 불가분한 관계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이나바가 주임을 맡은 朝鮮史 제 3편은 그가 품고 있던 만선사적 관점이 반영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나바는 朝鮮史 제 3편의 주임을 맡기 이전부터 고려시대의 특징으로 거란, 여진, 몽골 등 만몽지역의 민족이 끊임없이 등장했던 것을 꼽았으며, 이러한 그의 생각은 朝鮮史 제 3편에 반영되었다. 편찬 관계자들이 朝鮮史 제 3편에서 주목해야 하는 사건으로 遼․金․宋․元 등과 고려와의 관계를 가장 우선적으로 꼽고 있는 것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이른바 ‘대몽항쟁기’, 朝鮮史 편찬 관계자들이 중요시 했던 것은 고려의 항쟁이나 국내 정치 변화를 알려주는 사료가 아니라 만선사적 조망에서 중요시되었던 일본과 元의 관계를 드러낼 수 있는 사료들이었다. 이는 일본사의 타자로서 동북아시아의 역사를 漢民族, 蒙古民族, 東胡系民族 3자의 관계로 재구성하는 가운데 일본사의 위상을 높이고자 했던 이나바의 만선사적 구상, 또 朝鮮史 제 3편이 간행될 당시 발표된 이나바의 연구와도 정확히 일치하는 것들이었다. 한편 고려 전기의 사료는 매우 부족하며 후기로 감에 따라 문집류를 비롯하여 금석문들도 증가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렇지만 『朝鮮史』 제 3편에서 활용한 사료들은 그와 반대 경향을 보인다. 즉 후반으로 갈수록 한국측 사료, 특히 금석문의 활용은 감소하는 반면 대륙과 일본의 관계를 보여주는 데에 필요한 외국 사료, 특히 일본측 사료의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료의 활용 역시 간접적으로나마 朝鮮史 제 3편 편찬시 여기에 실을 사료를 선별함에 있어 만선사적 관점이 작용하고 있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즉 이나바는 자신이 추구했던 만선사적 관점에서 고려시대를 조망하는 가운데 朝鮮史 제 3편의 후반으로 갈수록 元 또는 일본과 관련된 사건을 자세히 정리하고 그와 관련된 사료의 소재를 알려주어, 향후에도 이를 통해 이 시기가 조명되기를 희망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특집 : 「만주역사지리」의 한사군 연구와 "만선사"의 성격

        이준성 ( Jun Sung Lee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科學 Vol.0 No.54

        1908년 1월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에 의해 설립된 ‘만선역사지리조사실(滿鮮歷史地理調査室)’에서는 1913년 『만주역사지리』를 편찬하였다. 본고에서는 『만주역사지리』에 보이는 한사군 서술을 분석하면서 그 속에서 만선사 내지 만선사적 시각이 실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만선사적인 인식은 일본사를 중심으로 조선과 만주의 역사를 타자로 규정하고 재구성하려는 과정에서 제시된 것이었다. 『만주역사지리』에서는 만주사의 공간 내에서도 중국의 영향력 하에서 다시 동심원적으로 구분하여 이해하려는 경향이 간취되었는데, 만주의 역사를 중국의 영향력이 더 깊숙하게 침투한 한반도 북부의 고조선과 그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력이 행사된 고조선 동북 지역의 예맥으로 구분해 보려 하였던 것이다. 또한 고구려가 건국하는 압록강 유역에는 창해군-진번군-현도군이 차례대로 위치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근대 일본의 대륙정책이라는 국가적 요구에 대응하는 의도에서 출발한 만선사는 순연한 학술적 견지를 내세웠지만, 현재 형세의 유래를 따져보기 위한 실제적 필요에서 자유로울수 없었다. Established in January 1908 by Kurakichi Shiratori, the Research Department for Historical Geography of Manchuria and Joseon published an academic journal Historical Geography of Manchuria in 1913. This paper has analyzed the depiction of Han Chinese Commanderies (Hansagun) in Historical Geography of Manchuria and has examined how the histories of Manchuria and Joseon during the formative years and the colonial view of the history of two nations had been applied to actual situations. The colonial view of the histories of Manchuria and Joseon had otherized the histories of Manchuria and Joseon and attempted to reorganize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Japan as the axis. It was noticed that Historical Geography of Manchuria attempted to portray the space of Manchuria as a form of concentric circles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Besides, it interpreted the history of Manchuria by dividing it into two states: “Gojoseon” in the nor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had been deeply influenced by China and “Yemaek” in the northwestern area of Gojoseon where such influence was indirectly exercised. According to the journal, Changhae-gun Commandery, Jinbeon-gun Commandery, and Hyeondo-gun commandery were located in regular sequence in the basin of the Yalu River where Goguryeo was founded. As the Japanese view of the histories of Manchuria and Joseon originally was formulated in order to cope with the continental policies of modern Japan, Japan attempted to accomplish its practical needs of figuring out the origins of the current territories but did under the name of pursuing “pure academic perspectives.”

      • KCI등재

        시라토리 구라키치의 ‘만선’과 ‘동양’

        장우순(Jang, Wu-Soon) 한일관계사학회 2020 한일관계사연구 Vol.70 No.-

        시라토리 구라키치는 근대 일본의 동양사와 만선사를 창안한 인물이다. 그는 평생 정치와 밀착된 학술 활동에 매진함으로써 온갖 학술 권력을 향유할 수 있었다. 시라토리는 조선을 교두보 삼아 만주를 침략하고자 획책하였던 군부의 정책에 부응하여 ‘만선역사지리조사실’이라는 군・산・학복합체를 만들어 침략을 위한 각종 논의를 생산하였다. 특히 한국사와 관련하여 고조선을 부정하고, 고구려를 한국사에서 분리하여 만주사에 편입시켰으며, 한민족의 영역을 삼남지방으로 축소하는 등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주장으로 일관하였다. 시라토리의 ‘만선사’ 및 ‘동양사’는 일본 제국주의의 시각으로 상상한 동양의 모습에 학문적 형식을 부여하는데 그친 관변학문에 불과하였다. Kurakichi Shiratori is the maker of Man-Seon history and Oriental history in modern Japan. All his life, he was able to enjoy all kinds of academic power by focusing on academic activities closely related to politics. To meet the military"s policy of invading Manchuria based on the Joseon, Man-Seon history of Shiratori created a military-industry-academic complex called the Man-Seon Historical Geography Investigation Department to produce various discussions for invasion. In particular, it denied Gojoseon in relation to Korean history, and separated Goguryeo from Korean history and set it as history of Manchuria, and It was consistent with totally groundless arguments, such as the reduction of the territory of the Korean people to three southern provinces. The history of Man-Seon and Oriental, created by Shiratori, was nothing more than a pseudo-history that gave academic forms to the Oriental drawn from the perspective of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내선일체 역사학’과 일선동조론 - 김성률의 『사실(史實)로 본 내선일체』(1938)를 중심으로

        홍종욱 ( Hong Jong-wook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47

        『사실로 본 내선일체』에 나타난 ‘내선일체 역사학’의 특징으로는 다음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일선동조론, 만선사, 투란주의를 짜기운 유사 역사학이다. 일선동조론은 인류학, 고고학, 언어학 등 과학의 외피를 빌렸지만, 논리의 비약이 쉽게 눈에 띈다. 일본 아카데미즘 역사학은 만선사의 입장에서 일선동조론을 비판했다. 투란주의는 반서양주의를 주창하고 제국 지배를 합리화하는 사이비 역사학에 불과했다. 내선일체 역사학은 시류에 영합하기 위해 이질적이고 근거가 불분명한 논리를 이어붙인 유사 역사학이었다. 둘째, 내선일체와 일선동조를 나름의 과학성, 보편성 속에서 설명하고자 했다. 니시무라 신지의 문화인류학, 도리이 류조의 고고학이 주된 근거였다. 일선동조를 과학적으로 입증하고자 노력한 셈이다. 또한, 유라시아 대륙에서 일본 열도에 걸친 공통의 문화 지반을 강조함으로써, 내선일체를 한일 관계를 넘어 더 큰 틀에서 합리화하고자 했다. 다만 황국사관에 입각한 이들이 이러한 과학성과 보편성을 흔쾌히 받아들였을지는 의문이다. 셋째, 조선 우위의 일선동조론을 주장했다. 일선동조론에는 대륙에서 반도를 거쳐 열도로 이어지는 문화 전파를 강조하는 흐름과 고대 일본의 한국 진출을 강조하는 흐름이 따로따로 존재했다. 두 흐름 가운데 어느 쪽을 강조할 것인가는 일본의 한국 식민 지배라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민감한 문제였다. 일본의 식민 통치에서 일선동조론은 ‘양날의 검’이었다. 『사실로 본 내선일체』가 말하는 일선동조론은 일본의 한국 지배를 정당화하려는 입장과 갈등할 소지가 있었다.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ography of Japan and Korea being one entity appears in The Unity of Japan and Korea Viewed by Historical Facts. First, it is a pseudo-historiography that woven the theory of Japan and Korea sharing the same ancestry, the studies of Manchurian-Korean history, and Turanism. The theory of Japan and Korea sharing the same ancestry borrowed the disguise of science such as anthropology, archeology, and linguistics, but the leap of logic is easily noticeable. Japanese academic history criticized it based on the studies of Manchurian-Korean history. Turanism was nothing more than a pseudo-historiography that advocated anti-Westernism and rationalized colonial rule. The historiography of Japan and Korea being one entity was a pseudo-historiography in which heterogeneous and unfounded logics were connected. Second, it attempted to explain the unity of Japan and Korea and the historical homoeology of Japan and Korea in its own science and universality. The main grounds were the cultural anthropology of Shinji Nishimura and the archeology of Ryuzo Torii. It is an effort to scientifically prove the theory of Japan and Korea sharing the same ancestry. In addition, by emphasizing the common cultural ground from the Eurasian continent to the Japanese archipelago, it attempted to rationalize the unity of Japan and Korea beyond Korea-Japan relations in a larger framework.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ose who were based on the Japanese emperor-centered historiography would be willing to accept such science and universality. Third, it asserted Korea’s dominance in explaining the theory of Japan and Korea sharing the same ancestry. In the theory of Japan and Korea sharing the same ancestry, there existed separate flows emphasizing the spread of culture from continent to peninsula to archipelago, and a trend emphasizing the advancement of ancient Japan to Korea. Which of the two trends to emphasize was a sensitive issue in light of the reality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Korea. In Japan’s colonial rule, the theory of Japan and Korea sharing the same ancestry was a “double-edged sword.” The theory of Japan and Korea sharing the same ancestry in The Unity of Japan and Korea Viewed by Historical Facts had a potential to conflict with the position to justify Japan’s colonial rule over Korea.

      • KCI등재

        ‘만선사’에서의 고대 만주 역사에 대한 인식

        박찬흥(Park, Chan-Heung)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6

        ‘만선사’에서 만주역사 즉 ‘만주사’의 공간적 범주는 만주지역과 함께 예맥족, 말갈족 등이 활동했던 한반도 북부를 포함했다. ‘만주사’의 왕조는 대개 고구려-발해-요(거란)-금(여진)-원(몽고)-明代의 만주-청의 순서로 이어졌다. 白鳥庫吉에 따르면, 만주민족은 퉁구스 종족이 흑룡강 방면에서 이주한 ?·貊, 肅愼 등이며, 예맥족이 세운 고구려가 최초의 만주민족 국가이고, 말갈족이 세운 발해가 이어 등장했다. 그는 만주를 중국, 러시아, 일본 사이의 중립지대로 보면서, 일본이 만주를 합병하여 東亞의 天地에 패권을 떨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대 만주 역사 연구의 초기 성과를 대표하는 것은 『滿洲歷史地理』 제1권이다. 漢四郡을 포함하여, 漢代부터 남북조시대까지 만주지역에 설치된 중국 郡縣과 그 바깥의 烏桓, 鮮卑, 夫餘, ?婁, 高句麗, 濊貊, 勿吉 및 고구려와 수·당의 전쟁지역, 발해 등의 위치와 강역에 대해 고증·정리했다. 초기 ‘만선사’ 서술에서는, 요동 및 압록강 하류 지역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 지역을 차지한 고구려를 높이 평가했고, 발해문화의 독자성이나 주체성 등을 인정하지 않았다. 만주국 건국(1932년) 이후 만주 역사는 만주국의 역사로 체계화되었는데, ‘현재’의 만주국과 일본의 관계를 전제로 만주 지역과 일본의 교류를 지나치게 강조했다. 만주민족을 순수 퉁구스 종인 숙신-읍루 계통과, 몽고종이 일부 혼혈된 예맥족으로 구분했다. ‘기자조선’과 위만조선은 漢族의 식민지였고, 부여는 만주민족 최초의 부족국가나 농업왕국 등으로 새롭게 인식했다. 고구려는 만주족 최초의 ‘獨立國’으로 일본이 본 받아야한다고 여전히 높이 평가되었다. 발해는 만주족이 세운 정돈된 국가로서는 최초의 大國이며 최초의 퉁구스적 색채가 농후한 중앙집권국가로 보았는데, 발해 문화와 일본과의 교류에 대한 부분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고 특히 일본 우위의 우호 관계가 더욱 강조되었다. 고구려 역사를 본받아 한반도와 만주를 아우르면서 중국과 대결해나가야 하고, 고구려가 발해에게 그랬듯이 일본이 만주국을 개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는 점 등을 볼 때, ‘만선사’에서 고대 만주 지역의 역사에 대한 연구는 철저하게 일본 제국주의의 만주 침략과 지배라는 전제 위에서 진행되었다. ‘Manseonsa(滿鮮史, the history of Manchuria-Joseon)’ is term united ‘Manjusa(滿洲史)’ and Joseonsa(朝鮮史). The regional boundary of ‘Manjusa’ was Manchuria including the nor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Shiratory Kurakichi had a perception Manchuria ethnic was YeMaek, Sushen, and Gogurye founded by YeMaek people is the first Manchuria ethnic’s state and Balhae founded by Mohe people was the second. He asserted Manchuria is the Neutral zone between China, Russia and Japan, and Japan had to wield supremacy in East Asia by annexing Manchuria. The initial researchers of ‘Manjusa’ investigated the location and territory of Chinese counties and prefectures set up at Manchuria, and Manchuria ethnics including Wuhuan, Seonbi, Buyeo, Gogurye. Gogurye was highly appreciated because her occupied Liaodong and the lower Amnok river. ‘Manjusa’ after founding MANCHUKUO was the history of MANCHUKUO. The exchange and intimacy between Manchuria and Japanese was overemphasized. The researchers of ‘Manjusa’=’MANCHUKUOSA’ asserted Japan have to struggle China and civilize MANCHUKUO by emulating Gogurye. A Study on the Ancient History of Manchuria Interpreted through ‘Manseonsa’ was researched from the premise of Japanes Imperialism’s invasion of and rule over Manchuria.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동양사학의 계보와 ‘실증’주의의 스펙트럼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의 ‘만선사(滿鮮史)’ 연구를 중심으로-

        박준형 ( Park Junhyung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8 한국문화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의 ‘만선사’ 연구를 중심으로 근대 일본의 동양사학의 계보를 재검토한 것이다. ‘전후 조선사학’을 이끈하타다 다카시는 전전의 동양사학, 특히 ‘만선사’를 인간 부재의 역사학이라 비판하고, 나아가 실증에만 천착하는 순수 학문의 존립 가능성에까지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때 대표적 인물 중 하나로 꼽았던 것이 자신의 스승이기도 했던 이케우치 히로시이다. 이케우치를 중심으로 일본 동양사학의 계보를 작성해 보면, 그 시원은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와 루드비히 리스(Ludwig Riess)를 매개로 랑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 계보를 따라 근대 과학으로서의 ‘실증’주의가 일본에 수용되었는데, 시라토리는 랑케의 ‘실증’주의뿐만 아니라 그의 역사철학을 통해 천황제 국가 일본을 국민국가로 진화하는 역사적 존재로 자리매김하고자 했다. 시라토리는 학문에 있어서도 오로지 학문을 위해 탐구를 행하는 순수성뿐만 아니라 국가의 필요에 봉사할 수 있는 실효성을 강조했으며, 이러한 이중적 태도는 일본동양사학의 제2세대인 이케우치와 이나바 이와키치(稻葉岩吉)에게 각각 계승되었다. 즉 이나바는 정세적 요구에 응답하는 차원에서 학문을 수행하려했던 데 반해, 이케우치는 학문의 실효성 자리를 나름의 ‘합리주의’로 대체하면서 자신만의 ‘실증사학’을 발전시켜 나갔다. 하타다 다카시(旗田巍)는 이케우치의 ‘합리주의’를 “일종의 논리학”이라고 비판했으나, 이케우치를 떠나 만철에 입사하여 그가 담당했던 일 또한 실증을 위한 현지 조사였다. 이처럼 ‘실증’주의는 다양한 논의들과 결합하면서 폭 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실증’주의의 경계는 애매모호할 수밖에 없으며, 그 경계를 긋는 행위 자체가 사실은 정치적일 수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s the genealogy of Oriental History in modern Japan, focusing on Ikeuchi Hiroshi(池內宏)’s studies of Manchurian-Korean History (滿鮮史). Hatada Takashi(旗田巍) who led the study of Korean history in post-war Japan, criticized Oriental History which was studied during the pre-war era, especially the specialty of Manchurian-Korean History. Further, he questioned the academic integrity that strives only for actual, empirical proof. Incidentally, it was Takashi’s teacher, Ikeuchi Hiroshi, who he present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s. The origin of Japanese Oriental History’s genealogy centering on Ikeuchi Hiroshi can be traced back to the famous German historian, Leopold von Ranke, through the works of Ludwig Riess and Shiratori Kurakichi(白鳥倉吉). As is well recognized, historical factualism as a scientific approach entered Japan through this genealogical route. By using historical factualism, informed by von Ranke’s historical philosophy, Shiratori tried to position the Japanese Empire as an historical entity that evolved into a nation state. Even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Shiratori emphasized academic integrity in the study of history to meet the needs of the state in addition to study for purely academic purposes. Shiratori’s dual perspective was passed on to Ikeuchi and Inaba Iwakichi(稻葉岩吉), the second generation of Japanese Oriental History specialists. While Inaba attempted to pursue academic tasks within the context of the political situation, Ikeuchi developed his own factual history by repla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cademic approach with rationalism. Hatada criticized Ikeuchi’s rationalism as being closer to logic than history, but his work, when he joined the South Manchuria Railway Co., LTD(南滿洲鐵道株式會社), was a field survey comple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mpirical proof. In this way, historical factualism, which was combined with various discourses, formed a broad spectrum. Therefore, its boundaries were ambiguous, and the act of drawing those boundaries could be based on political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