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수 취약성 평가를 위한 대표 지표 선정에 관한 연구

        주홍준(Joo Hongjun),이명진(Lee Myungjin),최창현(Choi Changhyun),김수전(Kim Soojun),김형수(Kim Hung Soo)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representative indicators that strongly influence flood vulnerability in existing methods. Indicators for assessing the degree of vulnerability are widely scattered among previous studies, which creates challenges in adopting of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measur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ove duplicate indicators in such assessment measures and to select indicators with high impact. Therefore, the present study considers indicators in six existing evaluation methods such as FRI, PFD, FDRRI, FVA, FDI, and RSA. For this purpose, the representative indicators were selected by factor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f Chungcheong-Do including Daejeon metropolitan and Sejong metropolis cities,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verifi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 index consisting of representative indices was identified as the flood vulnerability indicator (R),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flood vulnerability index. R showed better results in metropolitan areas than indices of existing methods. This study can provide guidance when considering the representative indicators used in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홍수 취약성 평가를 구성하는 여러 지표를 대상으로 대표 지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홍수 취약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는 선행 연구를 통해 많이 산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현황은 홍수 취약성 평가 수립자에게 있어서 채택적인 측면에서도 난해한 실정이다. 따라서, 홍수 취약성 평가에 의미가 중복되는 지표를 제거하고 영향력이 큰 지표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표 지표를 선정하기 위해 6개 기존 평가 방법(FRI, PFD, FDRRI, FVA, FDI, RSA)내의 지표를 고려하였으며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를 포함하는 충청도 일대를 대상으로 통계 기법인 요인 분석(factor analysis) 및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zsis, PCA)을 수행하여 대표 지표를 선정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설명력을 검증하였다. 대표 지표로 구성된 홍수 취약성 평가 지표를 홍수 취약성 지표(R)로 명칭하고 기존 방법에서 제시하는 지표와 비교하여 특징을 고찰한 결과, 홍수 취약성 지표(R)가 기존 방법의 지표에 비해 대도시에서 나은 결과를 보여 주는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홍수 취약성 평가를 구성하는 대표 지표를 고려할 때 일종의 지침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기후변화취약성 평가지표 분류체계에 따른 홍수취약성 평가결과의 비교

        이종석(Lee Jong Seok),최현일(Choi Hyun Il)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3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구조적 홍수저감대책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비구조적인 대책 중 하나인 홍수취약성 평가를 통한 선제적 홍수대응 방안이 필요하다. 홍수취약성 평가에는 IPCC(2001)의 기후변화취약성 평가이론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평가지표의 구성에 따라 홍수취약성 평가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취약성의 3가지 평가지표인 노출성, 민감도, 적응능력 지표를 종합한 홍수취약성 지수와, 노출성 및 민감도 지표의 함수인 잠재영향 지표와 적응능력 지표를 종합한 홍수취약성 지수를 우리나라 231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산정하여 2가지 홍수취약성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홍수저감계획의 대안설정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Since the structural flood mitigation measures are limited due to climate change, preemptive measures are recently required by the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one of the nonstructural countermeasures to floods. Although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theory to climate change in IPCC (2001) is widely used for the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s,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the effect of the classification schemes for vulnerability components on flood vulnerability evaluation outcomes. This study has therefore compared the two flood vulnerability results for 231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 under study, for which the one is a combination of the three vulnerability components to climate change such as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ability capacity, while the other is a combination of potential impact as a function of exposure and sensitivity along with adaptive capacity indic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selecting alternatives in flood mitigation plans.

      • KCI등재
      • KCI등재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취약성지표의 개발

        손민우,성진영,정은성,전경수 한국수자원학회 201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4 No.3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요소를 반영하여 홍수취약성지표 (Flood Vulnerability Index, FVI)를 개발하였고 이를 북한강 유역의 6개 중권역에 적용하였다. 기후변화 요소를 고려하기 위해 IPCC의 CGCM3 모형의 A1B와 A2 시나리오를 이용하였고 일단위로 축소화하기 위해 SDSM (Statistical Downscaling Model) 모형을 이용하였다. 홍수취약성 인자를 선정하기 위해 지속가능성 평가모형인 추진력-압력-상태-영향-반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Flood Vulnerability Index (FVI) and apply it to the Bukhan River Basin. A1B and A2 scenarios of CGCM3 of IPCC were adopted and SDSM (Statistical Downscaling Model) was used to downscale the original data to the daily data. D

      • KCI등재

        홍수위험지도 활용을 위한 낙동강 유역에서의 홍수취약도 분석

        김태형 ( Tae Hyung Kim ),한건연 ( Kun Yeun Han ),조완희 ( Wan Hee Cho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4 No.3

        The characteristics of flood damages have been increasingly strengthened and take the form of unpredictable and unusual weather phenomena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climate anomalies. To prevent inundation damage caused by breach of hydraulic structure such as dam or levee, and trouble of drainage of inner basin, the prediction necessity of flood inundation area, flood risk analysis, and drawing flood risk maps have been on the rise, and the national flood risk maps have been produced. In this study, the quantitative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which represents population living within flood-affected areas, types of economic activities, facilities affected by flood, in order to extend flood risk mapping from simple hazard concept into risk based idea. By applying it to Nakdong River basin, the flood vulnerability indices were estimated to draw flood risk maps subdivided into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establish the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and priority decision of disaster prevention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