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침수피해와 침수취약요인 관계 연구 : 피해액과 인명피해를 중심으로

        박한나,송재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3 國土計劃 Vol.58 No.3

        본 연구는 침수피해를 피해액과 인명피해로 구분하고, 피해 특성과 침수취약특성 간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침수피해의 주요 지표인피해액과 인명피해 간의 차이를 파악하고, 둘째, 피해액과 인명피해 발생에 기여하는 주요한 침수 취약요인의 차이와 비선형적기여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선행연구검토를 통해 피해액과 인명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침수취약성 지표를 식별하고, 기계학습 모형을 이용하여 침수피해 양상과 침수취약요인 간 비선형적인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국내외 기존 자연재해 관련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간 선형적인 관계를 가정하는 선형회귀 모형을 활용하거나 종속변수에0의 분포가 많은 특성을 고려한 영과잉 음이항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침수피해 영향요인을 식별하였다. 하지만 재해피해는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닌, 특정 시점에 극단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특성이 있다. 이에 도시의 물리적 환경과 인구·사회적 특성이 침수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선형관계만으로 진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최근 홍수 등 자연재해 분야에서는피해를 예측하고 재해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계학습 모형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Ma et al., 2021; Parvin et al., 2022; Pham et al., 2021; Ha and Kang, 2022). 본 연구는 기존 피해액 위주의 침수피해 연구에서 인명피해로 침수피해 양상을 다각화하고, 침수피해 양상과 침수취약요인 간 비선형적인 관계를 포착함으로써 기존 침수피해 연구를 보완하고 있으며, 물적 피해와인적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침수취약 특성을 규명하여 효과적인 방재정책에 시사점을 제시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시설농경지 침수피해 유형 및 원인

        최경숙 ( Kyungsook Choi ),이종원 ( Jongwon Lee ),이현우 ( Hyunwoo Lee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최근 우리나라 원예작물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원예작물재배 면적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시설원예작물은 고부가가치작물로서 농민 소득증대에 큰 보탬이 되고 있기 때문에 시설원예작물 재배면적이 매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시설원예작물 재배지가 저지대 및 논구역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홍수에 의한 하천수 범람, 배수불량 및 지하수위 상승 등으로 침수피해발생 우려가 높아 이에 대한 대책 수립 및 배수개선 사업의 추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설농경지 침수피해 경감을 위한 재해예측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시설농경지의 침수피해유형 및 원인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우리나라 시설재배의 대부분은 비닐하우스 재배로서, 시설농경지의 침수피해는 주로 강우에 의해 발생된 유출량이 배수능을 초과할 때 발생가능하다. 소방방재 청 재해연보 최근 자료를 토대로 시설재배 피해에 관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시설재배 피해면적은 태풍에 의한 것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강풍, 대설, 호우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설재배 피해금액으로는 태풍, 대설, 강풍, 호우 순으로 나타나 피해면적과 비교해 볼 때 순위가 다르게 집계되었으며, 강풍에 비해 대설에 의한 피해금액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시설농경지 침수피해 발생유발 원인으로는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발생 자연재해요인의 약 56%를 차지하는 태풍이 가장 큰 원인으로 조사되었고, 그 다음으로 집중호우, 장마 등에 의해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피해 유발 기상요소들은 대부분 여름철에 발생하므로 시설농경지 침수피해를 사전에 예측하고 경감시키기 위해 피해발생시기와 발생 유형 등을 잘 파악한다면 대책수립마련에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농식품부 자료와 한국농어촌공사의 원예작물 배수개선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논구역내 원예작물 재배지 침수피해 현황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저지대 농경지에 위치한 시설재배지의 침수피해 유형을 조사해 본 결과 하천의 불완전 및 미개수 상태, 지구내 배수장 용량부족, 배수로 규모 부족 및 수로 정비 상태 불량, 유수지 용량 부족 등이 시설농경지에 침수피해를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시설원예작물이 재배되는 시설농경지는 특히 비닐 및 유리온실 등 사용되는 시설재료의 특성상 우수침투가 되지 않는 불투수성 재질이기 때문에 일반농경지에 비해 강우에 의한 유출량이 매우 많고 첨두유출이 높은 반면 유출발생시간이 빨라 배수여건이 불량한 지역일 경우 침수현상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그 피해규모가 크고 방재에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정도 높은 침수피해 예측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사전에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대책 마련들이 필요하다.

      • KCI등재

        도시지역 침수피해액 산정을 위한 다차원법 적용

        탁용훈,김영도,강부식,박문현 한국수자원학회 2017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0 No.6

        인구와 자산이 밀집된 도시에서 침수가 발생할 경우 농촌과 달리 관거월류에 의한 건축물 피해가 지배적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피해액산정기 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림천 유역의 도림1 배수분구를 대상으로 침수예측을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방법을 통한 침수피해액 분석을 실 시하였다. 과거 침수가 발생한 강우사상을 활용하여 XP-SWMM 모형을 통한 도시유출해석 및 침수해석을 실시하였고, 침수구역의 행정구역별 기 초자료와 유출해석 결과를 활용하여 건물 피해액을 산정하였다. 침수범위를 예측하기 위한 XP-SWMM모형 구동 결과, 관거 월류에 의한 침수 발 생 4시간 후인 16시 30분에 침수면적이 가장 넓게 나타났고, 계산된 침수심 별 침수면적을 다차원법과 연계하여 건물 피해액을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최대 침수면적은 305,955 m2으로 나타났으며, 0~0.5 m의 경우 305,190 m2, 0.5 m 이상은 765 m2으로 나타났으며, 침수해석 결과를 활 용한 도림1 배수분구의 건물피해액은 약 155억 원, 건물 내용물 피해액은 약 70억 원으로 산정되었고, 0~0.5 m 이하의 건물 및 건물 내용물 피해 액은 약 224억 원, 0.5 m 이상 약 1억 원으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할 때, 도시지역의 침수피해액 산정을 위해 침수심 및 침수시간과 같은 다양한 피해양상에 따라 세분화된 피해액 산정기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case of inundation in a city where populations and properties are highly concentrated, unlike rural areas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damage amount considering the sewage overflow and the corresponding building damage. In this study, Dorim 1 drainage sector has been analyzed with 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ssessment (MD-FDA) for flood forecast. It is analyzed with past flood history through the SWMM model and calculated the amount of damage with district base data and the result of flow analysis. The result of the SWMM model to predict a range of flood, it was shown that the wide area after 4 hours (at 16:30) by sewer overflow. The building damage was estimated using MD-FDA. As a result, the maximum flood area has shown as 205,955 m 2 (0~0.5 m: 205,190m 2 , over 0.5 m: 865 m 2 ) and estimated building damage of Dorim 1 drainage sector is approximately 15.5 billion KRW (Korean won) and other contents is 7 billion KRW (Korean won). Also from 0 to 0.5 m depth estimated damage is approximately 22.4 billion KRW (Korean won) and over 0.5 m is 100 million KRW (Korean w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estimate the amount of sub-divided flood damage in urban areas according to various damage patterns such as flood depth and flood time. Keywords: SWMM, Flood damage, Building damage, Multy-Dimensional Flood Damage Analysis

      • 농경지 침수피해 자료 수집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은상규 ( Sangkyu Eun ),김태곤 ( Taegon Kim ),서교 ( Suh Kyo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농경지 침수피해는 주로 집중호우와 태풍 등에 의해 발생하며, 기후변화로 인해 이러한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도시지역에서는 침수피해를 줄이기 위해 침수지도 제작, 스마트폰을 이용한 침수 정보 및 대피경로 제공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농촌지역에서는 침수피해를 저감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농경지 침수피해 자료 수집 방법의 비효율성 등으로 인해 침수피해 저감 방안에 활용할 수 있는 농경지 침수피해 자료가 부족하다. 이에 농경지 침수피해 저감 방안 활용에 필요한 자료 조사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농경지 침수피해조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디자인 하였다. 침수피해 조사 어플리케이션은 현장조사, 조사자료 정리, 컴퓨터를 이용한 자료 업로드 등 여러 가지로 나누어져 있던 기존 침수피해 조사 절차를 간소화하여 이용할 수 있게 설계하였으며, 기존 농경지 침수피해 조사항목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침수피해 자료를 활용하는 시스템들의 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어플리케이션 항목을 디자인하였다. 또한 침수피해 지역 조사에 필요한 카메라, 조사표, GPS등을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농경지 침수피해 조사 어플리케이션 구조를 설계 하였으며, 스마트폰 카메라에서 촬영한 침수피해지역 사진으로 침수면적을 계산할 수 있는 기능 등을 구현하여 조사자의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침수피해 조사 어플리케이션을 디자인 하였다. 이는 농경지 침수피해 조사 어플리케이션 활용으로 기존 침수피해 조사 방법을 이용할 때 보다 농경지 침수피해 자료 수집, 전송 및 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침수피해방지시설에 대한 지진해일 파력

        신재완,조용식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침수피해방지시설은 지진해일이 내습할 때 범람으로 인한 침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안가 육상에 건설된다. 특히 지진해일로 인한 침수피해가 잦은 일본에서 수많은 침수피해방지시설은 해안을 따라 건설되어있다. 하지만 2011년 동일본 지진해일 당시에 거대 지진해일에 침수피해방지시설이 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였다. 무엇보다 밀도가 높은 지진해일의 파력에 의해 침수피해방지시설이 전도 되거나 이탈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것은 전도나 이탈되는 지점에 대한 지진해일 파력이 집중되어 저항하지 못한 구조물이 파괴된 것으로 보인다. 침수피해방지시설의 한 지점이라도 손상이 되면 배후지 침수피해는 예방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건설될 삼척항의 침수피해방지시설의 특정 지점에 대한 파력 집중을 수치모의를 통해 검증하였다. 14개의 역사 및 가상지진해일 통해 가장 큰 범람 특성을 갖는 지진해일을 선별하여 유속흐름을 분석하고 유속을 통해 파력을 산정하였다. 항의 형상에 따라 유속흐름이 달라지며 흐름이 모여 파력이 집중되는 곳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침수피해방지시설물의 안전성과 배후지의 완전한 보호를 위해서는 파력이 집중되는 지점을 보강하여 지진해일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가 필요하다.

      • KCI등재

        내수침수시나리오와 침수피해곡선을 활용한 도시지역 내수침수피해특성 분석

        신지예,임성민,김중훈,김태웅,Shin. Ji Yae,Lim. Sung Min,Kim. Joong Hoon,Kim. Tae-Woong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4 No.1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한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여름철마다 내배수 시설물의 설계빈도를 벗어나는 강우사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불투수성이 큰 도시지역의 경우에는 우수관거 및 펌프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극치강우로 인한 내수침수의 발생 및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수침수 위험도가 높은 지역의 내수침수피해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부산시 연제구 거제지구를 대상으로 다양한 지속시간과 강우강도를 고려한 강우시나리오를 구축하였으며, XP-SWMM을 활용하여 내수침수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법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내수침수피해액 산정법을 활용하여, 침수심과 침수면적에 따른 침수피해액을 산정한 후, 내수침수시나리오에 따른 침수피해곡선을 작성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대상지역의 내수침수피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침수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강우량 및 큰 침수피해를 유발하는 호우사상을 파악하며, 침수가 발생되는 지역의 침수면적, 침수심, 침수피해액을 예측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in Korea, localized heavy rainfall events have occurred frequently due to climate change. Especially, since urban areas depend heavily on pump and pipe systems, extreme rainfalls that exceed the design capacity of drainage facility result in increasing inland flood damage. This study proposed a methodology to analyze urban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in inland flood prone areas. After firstly constructing rainfall scenarios which have various durations and intensities, inland flood scenarios were developed using XP-SWMM. This study presented the inland flood damage analysis (IFDA) to calculate inland flood damage from the inland flood scenarios. Based on the inland flood scenarios and corresponding flood damage curves, the characteristics of damage due to inland flood were analyzed using the relationships among precipitation depth, flood depth, and flood area.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to identify the storm event resulting in heavy flood damage, and to predict the flood area, depth and damage from various storm events.

      • KCI우수등재

        객체기반법을 이용한 침수피해액 추정 방안 연구

        나유경(Yugyung Na),최진무(Jinmu Choi)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6

        해마다 반복되는 침수피해의 예방 및 복구를 위하여 침수 피해액을 정확하게 추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국내 침수피해 추정 방법의 변천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추정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를 활용한 객체기반 피해 산정방법을 제시하고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다차원법과 비교하기 위해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객체기반법을 사용하면 개별 건물의 자산가치를 현실적으로 반영하여 침수피해를 산정할 수 있으며 개별건물에 대해 건물의 유형에 따라 침수피해율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객체기반법을 사용한다면 침수 피해를 보다 정확히 추정할 수 있으므로 침수피해 예방 및 복구를 위한 합리적인 예산 분배가 가능할 것이다.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estimate the amount of flood damage in order to prevent and recover from flood damage annually. In this regard, we examined the changes in domestic flood damage estimation methods, identified problems, and proposed a novel method to improve the estimation accuracy. To this end, this study suggested object-based flood damage estimation method by actively utilizing spatial information, and case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is method with a multi-dimensional analysis method previously us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object-based analysis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flood damage by realistically reflecting the asset value of an individual building, and that the flood damage rate can be applied to individual buildings depending on the type of building. The use of object-based methods in the future will allow more accurate estimates of flood damage, enabling reasonable budget distribution for the prevention and recovery of flood damage.

      • 15. 기본연구보고서 2015-15 : 기후변화를 고려한 환경인프라 -사고대응체계 개선방안 연구

        류재나,김태현,김민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기본연구보고서 Vol.2015 No.-

        환경인프라는 사고발생으로 인한 영향의 정도가 국민의 생활 안전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환경부는 안전 및 사고 대응 체계에 대한 국가적 관심에 대한 중요도를 반영하여 2015년 도시침수, 지반침하, 화학물질 누출 등에 대비하기 위한 예산을 대폭 편성하였지만, 기후변화 추이를 반영하여 장기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인프라 사고의 대응체계 마련은 부재한 실정이다. 또한 기후변화가 환경인프라에 미치는 중요성은 이미 알려져 있으나, 재난 및 사고발생 측면에서 우수관리에 가중되는 리스크에 대하여는 언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기후변화로 가중될 수 있는 침수피해의 위험에 대하여 강우의 변화에 기인한 홍수의 증가, 침수피해의 증가에 대한 리스크의 산정에 대하여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둘째, 기존의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대응체계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기존 대책에 덧붙여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여 환경인프라의 사고 발생, 특히 도심 홍수발생으로 인한 침수피해에 대한 대응체계 및 관련 정책의 보완책을 제시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침수발생 리스크 분석의 프레임워크 제안에서는 강우특성 변화-하수관로로 기인한 홍수발생의 변화-홍수발생으로 인한 침수피해의 변화를 정량화하여 리스크를 분석하는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기후변화로 기인한 강우특성 변화와 하수관로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발생 가능성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통계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강우량의 변화와 침수피해의 관계를 이용하여 침수피해를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기후변화를 반영한 홍수발생가능성을 산정하기 위하여 비정상시계열의 확률분포를 적용하여 확률강우량의 변화추이를 분석하는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홍수피해의 산정을 위해서는 강우량의 변동에 따르는 피해의 관계식을 이용하였다. 현재상태의 확률강우량을 정상시계열 분석방법을 이용해 결정하고, 기후변화를 반영한 미래시점의 확률강우량을 예측하고, 변화된 강우량에 따른 피해를 산정하여, 현재상태의 리스크와 기후변화를 고려한 리스크를 산정하는 사례를 나타내었다. 환경인프라 사고 대응체계 및 관련 정책의 제안에서는 하수관로의 수량적 측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대응체계와 관련 정책의 국내외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적으로, 내수침수의 발생은 하천이 인접한 지역에서는 외수의 범람이 연계된 문제만 아니라, 배수유역 말단에서 외수위 상승으로 인한 배수불량으로 인한 침수 문제 등, 복합적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이 된다. 하천시설과 내수배제 시설이 서로 다른 부처에서 관리되고 있는 실정에서, 복합적 원인으로 발생하는 침수에 대한 대책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제시되는 실정이므로, 홍수종합대책과 하수도 관련 계획들의 연계성 확보를 제안하였다. 기후변화 리스크를 반영한 시설 설계기준 정립의 제안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침수발생 리스크 분석 프레임워크 중 기후변화를 반영한 확률강우량의 변화추이 분석결과를 근거로 하수관로의 시설기준 제정에 있어서, 기후변화를 고려한 확률년수의 산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시설물별 사고대응 매뉴얼 작성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침수관련 사고 대응을 위해서 개별 시설물별 작동 정지에 대한 위험에 대해 분석하고, 리스크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 등을 작성하여 각 시설물에 대한 대응 방안 및 행동 요령의 제공함을 제안하였다. Impacts of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acciden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ublic’s safet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has allocated a large amount of budget to address the detrimental impacts of urban flooding, ground subsidence and chemical leaks in 2015 by reflecting the public’s keen interest in safety and accident response system. However, a plan to improve the response system for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accidents has not been suggested yet. While the detrimental impact of climate change on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is well-known, additional risks associated with stormwater management upon occurrence of disasters and incidents have not been properly discussed yet.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firstly to suggest a methodology to estimate the risk of sewer flooding that can be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The second objective is to suggest a plan to better respond to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accidents by focusing on measures to improve the response plans for sewer flooding caused by flood in urban areas. The risk analysis platform suggested in this study quantifies the changes in the occurrence of floods resulting from the changes in rainfall and accompanied impacts on sewers and flood damage.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quantify the probability of flood occurrence, and flood risk was calculated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rainfall and flood damage. Nonstationary time series probability distribution was used to analyze the changes in flood probability, and rainfall-damage relationships were applied to calculate flood damage.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hanges in rainfall. The rainfall probability in current state was determined by using stationary time series probability distribution, then the rainfall probability in the future was predicted by taking climate change into account. The case study also presented the changes in future flood risk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and risk that reflects climate change. Existing policies concerning the response system against sewer flooding were reviewed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Sewer flooding is attributable to a complex combination of causes including river flow inundations, backflow resulting from the blockage of outfalls and others. However, different government agencies have the management authority of each infrastructure and the management/response plans for flooding are being presented from different directions. The first suggestion regarding the response system against sewer flooding is to ensure the integrated linkage between different flooding plans. Based on the analysis conducted in this study (under the abovementioned case study), the second suggestion was made regarding the upgrade of sewer design specification. Finally, the need for accident response manual formulated based on risk analysis and checklist for evaluating the flood risk of each facility was suggested.

      • 금강변 저지대 시설원예단지 침수피해 실태조사

        남상운 ( S. W. Nam ),김태철 ( T. C. Kim ),김대식 ( D. S. Kim ),김선주 ( S. J. Kim ),이덕주 ( D. J. Lee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금강변 저지대의 시설원예 재배단지를 대상으로 원예시설 현황 및 침수피해 사례를 조사하였다. 대상 지구는 농어촌공사 관리구역 내 상습 침수피해지역 중 예비답사를 통하여 3개의 배수장지구(논산 개척배수장, 부여 군수배수장, 부여 가회배수장)를 선정하였다. 조사는 연구원이 현장을 방문하여 대면 면접으로 하였으며 구역내 모든 시설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하였고, 응답한 농가수는 개척 234호, 군수 171호, 가회 200호로 전체 605농가였다. 주 재배작목은 개척이 수박(70%)과 딸기(24%), 군수는 수박(90%), 가회는 토마토(96%)였으며 대부분 단동 비닐하우스(91%)에서 재배되고 있었다. 여름철 혹서기에는 시설 내 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에 대부분 9~10월에 정식하여 5~6월에 수확을 마치는 작기를 택하고 있었으며, 이는 장마철의 침수피해를 회피하기 위한 대안으로도 판단할 수 있다. 시설하우스 설치시 배수여건을 고려하였다는 응답이 77%로 나타났으나 침수의 우려를 무릅쓰고 저지대에 설치한 이유는 시설하우스 1동(200평)당 평균 소득이 622만원으로 조사되어 벼농사에 비하여 약 13배 정도의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난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침수로 인한 피해를 경험한 농가는 전체의 45.8%였으며 피해횟수는 평균 11.1년에 1회 꼴로 나타났다. 피해시기는 주로 육묘기와 수확기였으며, 침수시간은 24시간 이상이 27%로 가장 많았고, 피해정도는 시설전체피해(100%)가 52%로 나타났다. 침수로 인한 피해액은 1동당 평균 277만원으로 응답하였으며, 침수 후 조치사항으로는 영농포기가 57%로 가장 많았다. 양수기나 배수고랑 등의 자가 배수시설을 갖추고 있는 농가가 85%로 나타났으며, 이 지역에서 시설재배 시 가장 시급한 사항으로는 배수개선사업 실시(28%), 에너지절감 대책(23%), 용수원확보(22%)의 순으로 나타났다. 배수개선사업이 필요한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61%가 매우 필요, 20%가 필요한 편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배수개선사업의 시행 시기는 즉시(75%), 1~2년 이내(7%)로 나타났다. 원예작물 배수개선사업 시행시 고려할 사항으로는 배수로 능력 확대(32%), 배수장 능력 확대(31%), 배수지거 콘크리트 개거화(21%)의 순으로 나타났다. 원예시설의 입지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광(일사)조건과 용수(양과 질) 공급이며 그 다음으로 양호한 배수가 필수조건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경지정리 된 논에 특히 상습적으로 침수되며 벼의 허용 침수시간을 고려하여 설계된 배수장 구역 내에 원예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문제가 있으므로 신규설치를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미 설치되어 경작 중인 시설을 철거하거나 경작을 금지하기는 곤란하므로 시설 경작자에게 최소한의 의무사항을 부과하여 자가 배수시설을 갖추고 침수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관리기관에서는 일정범위 내에서 배수능력을 향상 시키고 벼 재배와는 다른 유지관리 패턴을 도입하여 농민 피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레이더 위성영상을 활용한 침수피해 지역 파악 및 완화방안 연구

        이명진 ( Moung Jin Lee ),명수정 ( Soo Jeong Myeong ),전성우 ( Seong Woo Jeon ),원중선 ( Joong Sun Won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9 환경정책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레이더 위성영상을 활용한 침수피해 지역 파악 및 그 완화방안의 도출을 위해 실제 침수지역을 대상으로 레이더 위성 영상의 침수피해에의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시계열 레이더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홍수에 취약한 침수 지역을 추출하고, 동일지역의 토지이용도에 대한 GIS 중첩분석을 통하여 토지이용 현황별 침수피해를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지역의 경우 침수피해가 심한 토지이용 형태는 농경지와 숲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레이더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구축 가능한 침수피해 지도를 바탕으로 침수피해 완화를 위한 대응정책도 함께 논의하였다. 침수가 발생할 경우 긴급복구와 같은 위기대응적 접근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침수피해 지도와 같은 자료를 기반으로 위험한 지역에 건물의 입지를 제한하는 등 상습 침수피해 지역이 개발되지 않도록 예방적 차원에서의 토지이용적 접근을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안은 레이더 위성 영상의 환경 분야 활용과 침수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의 일부이며, 레이더 위성영상은 대규모 홍수와 같은 재해문제 이외에도 다양한 환경 분야에 있어 활용잠재력이 높으므로 향후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레이더 위성영상을 여러 환경문제에 적용하는 연구가 계속되어야할 것이다. This study applied satellite radar imagery to identify flooded areas and examined post-flooding conditions using time-series satellite radar imagery for the development of flood damage mitigation strategies. Using time-series satellite radar images, this study constructed a map delineating areas vulnerable to frequent flood damage. The extracted flooded areas were combined with reference land use maps to examine flood damage by land use type. Major landuse types with severe flood damage were agricultural and forested areas. The analysis of the damage conditions, in terms of land use, served as the basis for developing flood damage mitigation policies, in conjunction with land use planning. The policies for flood damage mitigation can be summarized as land use regulations, land use planning, and flood damage mapping. A preventive measure to minimize flood damage of properties, which regulates developing areas with high flooding potential, is highly recommended. Although this study suggested a number of policies for flood damage mitigation, they represent only a small number of possible policies useful for mitigating flood damage and other environmental problems.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may be concluded that satellite radar imagery has great potentia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large-scal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flooding and oil spills. Nevertheless, further examinations should be conducted and the application of satellite radar imagery should be used to examine other environmental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