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담석의 내시경 치료

        유병무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1 No.5

        Gallstone diseases include gallbladder stones, extrahepatic bile duct stones and intrahepatic duct stones. In the past, the main treatment modality was a surgical oper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endoscopic treatment, the main treatment modality is shifting towards endoscopic treatment. After the development of endoscopic sphincterotomy, endoscopic stone removal using a basket or balloon has been the major treatment modality for extrahepatic bile duct stones. For huge extrahepatic bile duct stones, mechanical or laser lithotripsy are used as ancillary equipment. Direct peroral cholangioscopic methods using a slim endoscopy or a Spyglass system now being rapidly developed instead of the “mother and baby” scope. If extrahapatic bile duct stones fail to be removed with peroral endoscopic treatment, then the stones can be treated via a percutaneous route (a percutaneous transhepatic route or a percutaneous transabdominal route). For intrahepatic duct stones, the location of stones, the site and degree of bile duct stricture and the existence of parenchymal atrophy are important factors to decide the treatment modality. The treatment modality is usually decided on according to the Tsunoda classification. Gallbladder stones usually need cholecystectomy because of recurrence. Endoscopic treatment is an indication for treating inoperable calculous cholecystitis patients. Endoscopic treatment for gallstone disesae will continue to rapidly develop in the future to the benefit of both the patients and endoscopists. 담석은 그 위치에 따라 담낭 담석, 간외 담석, 간내 담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위치에 따라 치료 방침이 달라진다. 담석은 과거에는 수술이 주치료 방법이었으나 내시경 및 술기의 발달로 인하여 근래에는 많은 경우에 내시경 치료가 일차적인 치료방법으로 선호되고 있다. 담석의 내시경 치료는 내시경유두괄약근절개술 및 담석 제거를 위한 여러가지 부속기구가 개발되면서 급격히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간외 담석의 내시경 치료는 유두괄약근절개술 시행 후 바스켓이나 풍선도관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치료 방침이나 거대 담석의 제거에 기계식쇄석술이나 레이저쇄석술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시술로도 제거가 어려운 경우에는 세경내시경을 이용하여 담도를 직접 관찰하고 담석을 제거하는 시술이 시행되기도 한다. 간외담석의 치료는 경구경유두 시술이 가장 간단한 치료 방법이나 경구경유두 접근에 실패하거나 담석제거에 실패한 경우에는 경피적 경로를 통하여 제거할 수 있다. 간내 담석이나 담낭 담석의 내시경적 치료는 주로 경피적 경로(경피경간 또는 경피경복적 경로)를 통하여 시행하게 된다. 간내 담석은 담석의 위치, 간내 담도의 협착위치 및 정도, 간실질의 위축 여부에 따라 치료방법이 결정되며 주로 Tsunoda 분류 방법이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담낭 담석은 수술적 치료가 원칙이지만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는 담낭염이 있는 경우 경피적 경로를 통하여 내시경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담석의 내시경 치료는 지금까지 발전이 있어왔지만 향후에도 환자와 내시경 시술의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발전해 갈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대장내시경에 의한 대장천공의 고찰

        서정혁,김진승,이광찬,고진철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8 No.1

        Background/Aims: Many physicians agree that colonoscopy is the best modality for either the diagnostic evaluation or use in therapy for colorectal disease. Although the incidence of perforations that occur after colonoscopy is low, the increasing number of performed colonoscopies may pose a relevant health problem with including the often lethal consequenc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perforation and the management of colonoscopic perforation. Modern Korean society has adopted westernized dietary habits, and this has led to an increased incidence of colorectal disease such as colorectal cancer, polyps and diverticulosis.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of all the patients who underwent colonoscopy complicated by colon perforation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7. The patients’ demographics, the purpose of colonoscopy, the location of the perforation, the management and the outcome were compared. Results: A total of 5254 patients underwent either a diagnostic or therapeutic colonoscopy procedure during four consecutive years at a single institution. Iatrogenic colonoscopic perforations (0.2%) were diagnosed in 11 patients (seven males and four females). Perforations occurred in six patients during a diagnostic colonoscopy and these occurred in five patients during a therapeutic colonoscopy. Free air in the peritoneum or retroperitoneum was seen in all the patients, as depicted on plain X-rays. 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ical intervention and four patients were treated with conservative management. One of the 11 patients with a perforation expired on postoperative day 47 due to infective endocarditis. Conclusions: The rate of iatrogenic colonoscopic perforation is still very low. Although perforation is a very serious complication and it can be a lethal malady, early recognition and treatment are very critical factors to optimize the patient outcome. Although a gold standard therapeutic modality has not been established, the patients who present with the signs and symptoms of generalized peritonitis are recommended to undergo early surgical intervention. 목적: 최근 한국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한 악성종양, 용종, 게실염 등 대장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대장내시경은 대장질환의 진단과 치료목적으로 가장 좋은 방법이다. 대장내시경에 의한 천공의 빈도는 매우 낮지만 대장내시경의 시행 횟수의 증가로 불가피하게 늘고 있으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르는 중요한 합병증이다. 본 연구는 대장내시경에 의한 대장천공의 빈도, 임상적 특징, 진단, 치료 및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본원 소화내시경 센터에서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환자 중 대장천공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무기록을 통해 천공의 빈도, 임상적 특징, 진단, 치료 및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기간 내에 총 5,254예의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였으며 11예(0.2%)에서 대장천공이 발생하였다. 남녀비는 7:4이며 진단 내시경 후 발생된 대장천공이 6예(0.13%)이며 치료 내시경 후 발생된 대장천공은 5예(0.82%)이다. 11예 모두 단순 방사선 촬영으로 복막 또는 후복막 자유공기가 관찰되었으며 천공의 위치는 에스결장이 8예로 가장 많았다. 7예에서 수술적 치료를 하였으며, 4예에서 내과적인 보존적 치료를 하였다. 천공 크기의 평균은 수술적 치료군에서 10.71±4.03 mm, 보존적 치료군에서 7.75±3.30 mm이다. 진단까지 소요된 시간의 정중치는 수술적 치료군에서 6시간, 보존적 치료군에서 11시간이다. 진단 직후 11예 모두 금식 및 병합항생제 요법을 시행하였다. 수술적 치료군의 수술 방법으로 일차봉합술이 5예, 분획절제술이 1예 그리고 하트만 술식이 1예이다. 진단적 내시경 후 발생한 천공을 수술적으로 치료를 시행한 1예에서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대장내시경에 의한 대장천공의 빈도는 매우 낮지만 발생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중요 합병증이므로 빠른 진단과 치료는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전반적인 복막염 증세 및 증상이 있으며 천공 부위가 큰 경우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면 보존적 치료실패 후 발생되는 수술의 어려움 및 합병증의 증가를 예방할 수 있겠으며, 복막염 증세 및 증상이 경미하거나 천공의 크기가 작고 장정결상태가 양호한 경우 보존적 치료를 통하여 수술로 인한 합병증 및 이환율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단일종합병원에서 10년간 경험한 대장 내시경에 의한 천공

        오지은 ( Ji Eun Oh ),심상군 ( Sang Goon Shim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4 No.6

        목적: 대장 내시경 검사는 대장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유용한 수단이며, 최근 대장 내시경 검사의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내시경 합병증의 발생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경남 지역 중심의 중소 종합 병원에서 지난 10년간 대장 내시경 및 에스 결장 내시경 검사를 통해 발생했던 대장 천공 합병증의 임상 경험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약 10년 동안 본원에서 시행한 16,388건의 대장 내시경 검사와 결장 내시경 검사 중 대장 천공이 발생한 예의 의무기록을 후향 검토하였다. 결과: 16,388예 중 대장 천공이 발생한 경우는 10예(0.06%)였고, 이는 모두 대장 내시경 검사 시에 발생하였다. 진단 목적으로 검사 시행 시 1예, 용종 제거술이나 점막 절제술 등의 치료 목적으로 시행 시 9예에서 천공이 발생하였다. 천공의 발생 위치는 직장 4예, 횡행 결장 2예, 하행 결장 2예, 에스 결장 2예였다. 시술 후 천공까지의 진단시기는 8예의 경우에는 시술 중 또는 시술 직후에 진단되었고, 1예는 시술 후 3시간 뒤 다시 내시경을 통해서 확인되었고, 나머지 1예는 24시간이 지나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으로 확인되었다. 치료로는 수술 치료가 7예, 내시경 클립술 및 보존 치료를 한 경우가 3예였다. 수술 치료로는 단순 봉합술이 4예, 장 부분 절제술 및 문합술이 1예, 일차적으로 장루술을 시행한 경우가 2예였다. 결론: 대장 내시경에 의한 천공의 빈도는 아주 적지만 일단 천공 발생 시 때로는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최근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 술기가 증가함에 따라 대장 내시경 천공에 대해 다시 한 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고, 내시경 시술 중, 시술 직후에 항상 환자의 통증이나 복부 신전 유무를 자세히 살펴 천공에 대한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Colonoscopy is the principal method for diagnosis, treatment, and follow up of colorectal disease. The study aimed to assess the incidence, clinical features, and management of colonoscopic perforations at a local general hospital.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patient record was performed for all patients with iatrogenic colonic perforation after sigmoidoscopy and colonoscopy between 1997 and 2007. Results: In the 10-year period, 16,388 colonoscopic and sigmoidscopic procedure were performed. All 10 cases of procedure related colonic perforation were developed. Perforation occurred in 9 cases during therapeutic procedure; 5 cases due to polypectomy and 4 cases due to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Perforation occurred in one case during diagnostic procedure. Conclusions: Therapeutic procedure is a clear risk factor of colonic perforation. When colonic perforation occurs, we should be able to make early diagnosis. Early diagnosis can lead to a good treatment and can produce good prognosis with short hospital days. (Korean J Gastroenterol 2009;54:371-376)

      • KCI등재

        내시경 점막 절제술 및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행 중 발생한 위장천공의 비수술적 치료

        이석근,조광범,홍윤석,이현웅,이정민,장병국,정우진,박경식,황재석,박은지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7 No.2

        목적: 내시경 점막 절제술(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및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은 점막에 국한된 조기 위암 및 전암성 병변에 대하여 비교적 비침습적인 치료법으로서 현재 시행되고 있으나 출혈, 천공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며 이 중 천공은 사망률, 이환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저자 들은 시술 중 천공이 발생했을 경우 내시경을 이용한 클립 봉합 등의 비수술적 방법을 통한 치료의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해서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소화기 내과에서 2003년 2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점막을 침범한 조기 위암 및 위 선종을 가진 환자 중 EMR 또는 ESD를 시행한 482명, 507병소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 중 천공이 발생한 14예에 대해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14예에서 천공이 발생하였다(14/507, 2.8%). 천공이 발생한 환자들의 연령은 68세였으며, 병변의 크기는 평균 35.6 mm이었다. 천공이 발생한 위치는 분문부 1예, 전정부 4예였으며, 나머지 9예는 체부에서 발생하였다. 천공의 크기는 12예에서 5 mm 이하였으나, 2예에서는 크기가15 mm 이상이었다. 11예는 시술 중에 천공을 발견하여 클립 봉합을 하였으나, 3예에서는 시술 후 방사선 검사에서 천공이 발견되어 클립 봉합 없이 보존적 치료만 하였다. 보존적 치료로 금식, 정맥 내 수액 공급 및 항생제 치료(평균 5.8일)를 실시하였다. 14예 모두에서 수술적 치료 없이 증상이 호전되었고, 시술 후 평균 7.2일간 재원 후 특별한 증상 없이 퇴원하였다. 결론: 내시경 점막 절제술 및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행 중 발생한 천공은 내시경을 이용한 즉각적인 클립 봉합 등의 비수술적 치료로 비교적 안전하게 치료될 수 있으므로 천공 발생 시 우선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 KCI등재

        소장의 치료 내시경

        장현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9 No.2

        Since the first introduction of double balloon enteroscopy (DBE) in 2001, DBE has been refined for complete exploration of the small bowel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Diagnostic DBE using a model EN-450P5 (Fujinon, Saitama, Japan) equipped with a small accessory channel is mainly used for endoscopic observation and limited therapeutic procedures including injection therapy, argon plasma coagulation and polypectomy. Therapeutic DBE utilizing a model EN-450T5 (Fujinon, Saitama, Japan) equipped with a larger accessory channel was developed for various endoscopic interventions. Recently, new enteroscopic techniques such as single balloon enteroscopy and spiral enteroscopy were introduced. These enteroscopic techniques are all used for the controlled observation, targeted tissue sampling for pathologic evaluation and various therapeutic interventions. The overall complication rate of DBE seems acceptable but that of therapeutic DBE is higher than diagnostic DBE and therapeutic colonoscopies because the small intestinal wall is much thinner than other intestinal wall. This review provides an overview concerning therapeutic interventions of DBE. DBE는 전 소장을 관찰할 뿐만 아니라, 조직 생검을 비롯한 다양한 치료 내시경 시술이 가능하여 단 시간 내에 소장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소장의 치료 내시경 시술 분야에서 초기의 진단용 DBE는 지혈술, 용종 절제술 등 몇 가지 술기만 가능하였으나, 겸자공이 큰 치료용 DBE가 개발되면서 위 또는 대장내시경에서 적용하는 대부분의 치료내시경 시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소장의 치료 내시경 시술은 장시간의 시술시간과 시술자의 물리적인 노력이 많이 필요하며, 치료내시경 시술의 장기 치료 성적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종설은 소장의 치료내시경 시술 경험을 바탕으로 문헌고찰과 함께, 소장의 치료내시경 시술들과 주의할 점을 살펴서 정리하였다.

      • KCI등재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 후 발생한 십이지장 천공에 대한 치료

        김종현,이건영,안승익,홍기천,정석,이돈행,최윤미,최선근,허윤석,김세중,조영업,신석환,김경래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1 Clinical Endoscopy Vol.42 No.2

        Background/Aims: Surgery has been the mainstay of treatment for duodenal perforations after the introduction of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Yet there have recently been arguments that conservative management with or without endoscopic intervention may be possible and safe. Methods: For the patients who received ERCP at Inha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2001 to Dec. 2007,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linical manifestations, the treatment and the clinical outcomes of the cases with duodenal perforation. Results: Among the 1708 ERCP cases, duodenal perforation occurred in eleven (0.6%) patients. There were two cases of duodenal perforations (type I), four cases of peri-Vaterian injury (type II), two cases of bile duct perforations (type III) and three cases of retroperitoneal perforations (type IV). Six patients (55%) were treated surgically while the others were managed conservatively. Except for one death (9.1%), ten patients fully recovered. Either residual diseases or fluid collections, as seen on CT, were present in the surgically managed patients. The median time interval between ERCP and surgery was 19 hours (range: 8∼30 hours). Conclusions: To decide on the management of duodenal perforation after ERCP, the presence of residual disease or the leakage of intraluminal contents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type of the perforation. 목적: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 후 발생하는 십이지장 천공의 치료는 수술적 방법이 표준이 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클립을 이용한 내시경적 일차 봉합을 포함한 보존적 치료의 안전성이 보고되면서 그 치료 방침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인하대병원에서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을 받은 환자들 중에서 십이지장 천공이 발생한 환자들을 찾아 그 임상양상, 진단, 치료 방법과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모두 1,708 명의 시술 환자 중 11예(0.6%)에서 천공이 발생하였고, 이 중 8예는 내시경 시술 중에, 나머지 3예는 영상학적 검사를 통해 진단하였다. 십이지장 천공(1형)이 2예, 바터 팽대부 주위 천공(2형)이 4예, 담관 천공(3형)이 2예 그리고 후복막 유리 공기(4형)가 3예였다. 여섯 명의 환자(55%)가 수술적 치료를, 다른 환자들은 보존적 치료를 받았다.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1명(전체 천공 환자의 9.1%)이 사망하였고, 다른 환자들은 완쾌하였다. 수술 환자들은 시술 후 남은 질환이 있거나 전산화 단층촬영상 액체 저류가 있었다. 수술까지 경과시간의 중앙값은 19시간(8∼30시간)이었다. 결론: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 후 발생하는 십이지장 천공의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데는 그 유형과 함께 남은 질환의 유무나 장관 내용물의 누출 여부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일차 및 이차 의료기관에서 내시경 절제술은 가능한가?

        전성우,정민규,김성국,김태년,장병익,이시형,김경옥,김은수,조광범,박경식,김은영,정진태,권중구,양창헌,이중현,박창근,서향은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1 No.6

        Background/Aims: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has been gaining popularity with the advances in the technique and the accumulating experien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ssess the current situation of endoscopic resection (ER) in primary clinics and community-based hospitals and to suggest an affordable training program. Methods: A questionnaire about the indications to perform ER for gastric or colonic lesions was sent to the doctors working in the non-tertiary hospitals by mail. Results: The responders who were performing EMR or polypectomy for gastric lesions accounted for 43% (31/72) and 44.8% (47/101), respectively, of the total responders. The percentage of responders who had experience with performing EMR or polypectomy for colonic lesions accounted for 56.6% (30/53) and 87.3% (62/71), respectively, of the total responders. The indication for ER for treating gastric and colonic lesions was restricted to the size of 1∼2 cm irrespective of the type or location of lesion. Most of the responders assumed that ER should be performed in their clinics and they wanted to have a chance to improve these techniques. Conclusions: The infrastructure for therapeutic endoscopy, such as ER, should be progressively expanded. Therefore, well designed schematic training programs are currently needed to advance using ER more commonly in clinical practice. 목적: 내시경점막절제술 및 내시경점막하박리술은 기술적 측면에서 발전을 거듭하면서 현재 위장 및 대장의 조기암이나 전암성 병변의 치료 영역에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삼차 의료기관에서 시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 연구는 일차 및 이차 의료기관에서 내시경절제술에 대한 현황을 알아보고, 실제 진료에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체계적 교육에 대한 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구경북지역 내과, 외과 및 가정의학과 계열 개원의와 봉직의를 대상으로 위 및 대장의 내시경절제술 경험과 적응증에 대한 설문지를 보낸 후 회수하였다. 결과: 총 1,631명 중 112명이 응답하여 수거율은 6.8%였다. 내시경 전문의가 79명으로 75.2%를 차지하였고 내과의가 82명으로 78.1%를 차지하였다. 위 병변에 대한 EMR 또는 용종절제술은 43%(31/112)와 44.8%(47/101)에서 시행하였다. 위 병변에 대한 EMR의 적응증으로는 모양이나 위치에 상관없이 크기가 1∼2 cm일 때 시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장 병변에 대한 EMR 또는 용종절제술의 경험은 각각 응답자의 56.6%(30/53)와 87.3%(62/71)에서 있었다. 대장 병변에 대한 내시경절제의 적응증 역시 모양이나 위치에 상관없이 크기가 1∼2 cm일 때 시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내시경절제술을 일차 및 이차 의료기관에서도 시행하는 것이 좋다고 답하였으며 동물모델 등을 이용한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석하겠다는 답변이 많았다. 결론: 내시경절제술과 같은 치료 내시경의 저변을 점진적으로 확대해나가는 것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과 지속적인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만성 췌장염의 내시경치료

        이홍식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0 No.5

        만성 췌장염의 치료에서 최근 술기와 부속기구의 발전으로 내시경 치료를 널리 시행하고 있다. 만성 췌장염으로 인한 복통은 주로 췌관의 협착 및 췌석에 의하여 췌관 내 압력상승이 원인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내시경을 이용한 췌석의 제거 및 배액관 삽관을 통한 협착 치료는 복통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내시경 초음파의 발달과 함께 가성낭종의 배액, 내시경적 복강신경 차단술 등으로 치료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만성 췌장염의 증상 및 합병증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만성 췌장염 내시경 치료의 적응증, 시술방법, 합병증 및 외과적 치료와의 비교 성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Endoscopic treatments are being increasingly used for chronic pancreatitis. The most common indications for endoscopic treatment are pancreatic duct stones (requiring removal) and pancreatic duct stricture (requiring stenting). Endoscopic treatment is also widely indicated for drainage of pseudocyst and ceiliac plexus block/neurolysis. In this review, I discuss techniques, efficacy and complications of various endoscopic treatments for chronic pancreatitis.

      • KCI등재

        내시경 삽입 중 발생한 십이지장 천공의 성공적인 치료 3예

        류충헌,박도현,김명환,서동완,이상수,이성구,김홍준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1 Clinical Endoscopy Vol.42 No.1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has become a standard procedur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ncreatobiliary disease. Like any invasive procedure, it carries a small, but significant rate of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duodenal perforation. Primary surgical closure i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the cases of duodenal perforation. However, there have been some case reports in which endoscopic metal clip closure of an iatrogenic duodenal perforation was successful. We experienced three cases of successful treatment of the iatrogenic duodenal perforation using endoscopic clipping and fibrin glue injections during a duodenoscope insertion. 내시경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은 췌담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필수적인 검사이고, 최근 내시경 술기 및 기구의 발전으로 시술의 기회가 많아짐에 따라 천공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의인성 십이지장 천공의 치료원칙은 현재까지 수술적 봉합이지만, 최근 내시경을 이용한 금속클립을 사용하여 성공적인 봉합술을 시도한 여러 예가 보고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내시경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 시행을 위해 십이지장 진입 중 발생한 천공을 내시경 금속 클립 및 fibrin glue를 이용하여 성공적인 치료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치료적 위내시경 시술 환자의 퇴원 후 식이와 위출혈

        최혜정,박정윤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7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치료적 위내시경 시술은 병변이 있는 점막을 절제 또는 박리하는 시술로 위절제수술 없이 위암의 전암병변인 위선종과 조기위암을 제거할수 있어 선호되고 있는 치료법이다. 1시간 이내의 짧은 시술이지만, 출혈이나 천공 등의 합병증 위험이 있어 3박4일 입원하고, 퇴원 전 위내시경으로 시술 부위의 출혈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그리고, 출혈이 없을 시 물, 유동식순서로 섭취하고 2주후 외래 진료를 예약하고 퇴원하게 된다. 퇴원 이후 발생한 출혈을 지연출혈이라고 하며, 토혈이나 혈변, 심한 어지러움증 등으로 나타날 수 있고, 다량의 출혈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기관마다 담당간호사나 전담간호사는 환자에게 퇴원 후 위출혈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카페인, 자극성 음식의 섭취 제한과 과식 금지, 스트레스관리, 금연, 금주 등의 생활습관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지연출혈 감별을 위한 정보와 대처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치료적 위내시경 시술을 받고 퇴원 환자를 대상으로 퇴원 이후 식이 형태와 위출혈 발생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여 위출혈예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소재 A종합병원에서 치료적 위내시경 시술을 받고 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외래 방문시점에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식이 형태와 위출혈 발생 유무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총 11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남자는 78명(69.0%), 여자는 35명(31.0%), 평균 연령은 63.0± 9.6세였다. 조기위암은 83명(73.5%), 위선종은 30명(26.5%)였으며, 대부분 ESD(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시술을 받았다(107명, 94.7%). 표준지침에 따라 퇴원 후 죽 섭취는 3일 정도 권유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1주이상 죽을 섭취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32명(27.5%)로 나타났다. 퇴원 교육대로 2주간 카페인, 향신료 등의 카페인 섭취를 제한한 대상자는 96명(85%)이었고, 맵고 짜고 자극적인 음식을 제한한 자는 91명(80.5%)이었으며, 과식하지 않고 식사량을 조절한 경우는 93명(82.3%)로 나타났다. 그리고, 환자가 보고한 혈변, 토혈, 어지러움 증상과 혈색소 검사결과를 통해 지연출혈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 지연출혈은 퇴원 당일에 1명, 5일째 1명, 10~14일 사이에 8명으로 총10명(8.8%)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활동과 관련이 있었으며, 남자와 직업이 있는 경우 교육 이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출혈의 주된 발생요인은 주로 시술의 숙련성이나 병변의 크기나 깊이 등과 관련될 수 있으나, 퇴원 이후의 출혈은 식이를 포함한 일상활동과 관련될 수 있다. 이에 식이교육에 대한 실효성 있는 지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지연출혈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