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300W급 광원을 이용한 조명기기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윤봉식,황민구,신현정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5 No.3

        By international lighting market's growth and domestic landscape lighting market's growth, the latest lighting market is activated. But, They are doing price competition that domestic lighting technology and development technology of lighting fixtures design do not posses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an these change. Specially, as image of area and the country can be influenced greatly by cityscape at present visual point that many interests are converged country and identity establishment of local government, many cities are using force hereupon. Constructs which cityscape is various including natural ecology area of life environment gather and are done Image creation and this people's consciousness and culture living soon inside thing which do speaking by proxy be. Than city's night view nature lighting more than by spectacle lighting along with life lighting to basis materialize can. It is meaning more than thing that fine view of city becomes beautiful simply that night view of city becomes superior, that means that city efficiency and quality of life are exalted by a word. Wish to establish effective lighting technology and new product design process through PLS lighting technical development and 300 W lighting fixtures design development hereupon, and raise domestic spectacle lighting market's localization and domestic lighting market's competitive power furthermore. 국제 조명시장의 성장과 국내 경관조명시장의 확대로 인해 최근 조명시장은 활성화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 비해 국내 조명기술과 조명기구디자인개발기술은 국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체, 가격만을 경쟁하고 있다. 특히 국가 및 지자체의 정체성 수립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지역 및 국가의 이미지는 도시의 경관에 의해 크게 좌우될 수 있기에 많은 도시들이 이에 힘을 쓰고 있다. 한 도시의 경관은 자연생태환경을 포함한 다양한 구조물들이 모여 이미지화되어지고, 이는 곧 그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의식과 문화를 대변하는 것이다. 도시의 주경에 비해 야경은 자연채광을 기본으로 생활조명과 더불어 경관조명에 의해 보다 가시화되어질 수 있다. 도시의 야경이 우수해진다는 것은 단순히 도시의 미관이 미려해지는 것 이상의 의미, 곧 도시 효율과 삶의 질이 고양됨을 의미한다. 이에 PLS조명기술개발과 300W급 조명기구디자인개발을 통해 효과적인 조명기술 및 신제품디자인 프로세스 확립하고, 나아가 국내 경관조명시장의 국산화 및 국내 조명시장의 경쟁력을 제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도시공간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에 대한 소고

        양정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도시·건축 부분에서 인공지능은 관리, 설계, 제작 부분에서 주목할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조명디자인 분야는 스피커와 연계된 테이블램프나 스마트 가로등 위주로 상용화되고 있어 공간으로 확장성은 극히 제한적이다. 특히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 연구와 지침 등은 거의 없어 엔지니어들이 인공지능이 적용된 조명환경을 어떤 방향으로기술개발 하여야 할지 그 방향성이 모호하다. 인공지능 기술개발은 급진적이나 활용 방향성이 제시되지 않아 공간경험과 공간환경 보다는 요소 위주로 이루어지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성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도시 건축공간에 대한 인공지능 관련 선행연구와 개발내용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건축공간에서 인공지능 기술개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현황에 대해 개별 조명기구 중심의 개발, 운용시스템 그리고 문화콘텐츠로 구분하여 최근 5년간의 신문과 뉴스, 잡지, 조명기술전문사이트 검색을 통해 개발현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셋째, 수집된 내용을 바탕으로 건축공간에 있어 인공지능 개발의현황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성에 대해 의견을 개진하고자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로 4 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사람, 사물, 공간을 초연결, 초지능화 산업구조와 사회시스템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그에 대응하는 조명환경에 대한 연구개발이 미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명디자인은 지리환경 분석, 법규 적용, 주변 이용자 현황, 동선, 소비 등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으로 빛환경 연출이 확장 가능하다. 더 나아가 공간조명은 정보인지, 생물학적 리듬조절 및 건강, 심미성 강화하는 빛환경의 조건을 찾아 인공지능 적용 가능하다. 이에 인공지능기반 조명디자인은 안전성 강화, 건강증진, 정보전달 및 지역공동체 의식 강화, 유희적 경험과 문화예술적 체험, 자가 학습과정으로서 인공지능 조명을 중심으로 개발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방향성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여그 방향성에 대해 함께 모색하고자 하였다. 비록 본 연구가 실험 바탕의 정량적 연구가 아니어서 연구결과에 대해 구체적 수치나데이터는 제시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AI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에 대한 사회적 담론 없이 단편적 기술 위주로 개발되는 현재 조명산업 개발 방향에 의구심을 제기하고 그 방향성 수립의 필요성과 발전상을 제안한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shown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management, design, and production of urban and architectural fields. However, in the lighting design field, AI table lamps linked to speakers or smart street lighting fixtures with multiple functions have been commercialized, which is limited for spatial applications. In particular, there are only few studies and guidelines on the development of AI-based lighting design, making it ambiguous for engineers to choose a direction in developing the lighting environment appli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radical, but there is a limit to the fact that it is focused on elements rather than spatial experience and the spatial environment because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is not presented. Therefore, this study raises the need for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AI-based lighting design development. (Method) First, based on previous researc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architectural space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Second, a status survey for lighting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was conducted. This study concerned with lighting fixtures and operation systems, contents based on data newspapers, news, magazines, and lighting technology-specialized websites in the last five years.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present opinions on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lighting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Results) People, things, and space, which are at the cor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hanging into hyper-connected and super-intelligent industrial structures and social systems, but research and development on lighting environments corresponding to them are insufficient. Lighting design can expand illuminated environmen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an analysis of the geographic environment, application of laws, and big data analysis of surrounding user status, movement, and consumption patterns. Furthermore, space lighting can be appli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by determining the conditions of a light environment that enhances information recognition, biological rhythm control, health, and aesthetics. Accordingly, I propose development direction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ighting as safety enhancement, health promotion, information delivery and awareness enhancement of region, playful experience,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and self-learning processes. (Conclusions) We sought direction by forming a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lighting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aising doubts about the current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lighting industry, which is developed mainly on fragmentary technologies without social discourse on the direction of AI lighting design development, and it suggests its necessity and development.

      • KCI등재

        도시 공공공간 조명디자인 유형과 장소성에 관한 연구

        마동칭(Ma, Dong Qing),윤지영(Yoon, Ji Yo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7 No.-

        본 논문은 도시 공공공간, 조명 디자인과 장소성과의 관련성에 의거하여, 도시 디자인에서 장소성을 표현하는 도시 조명디자인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선행 연구고찰을 토대로, 공공공간의 조명디자인의 장소성 평가를 위한 6개 디자인 평가요소를 추출하였고, 12개의 우수 조명 디자인 사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2개 사례에 대해 기본형, 은유플롯형, 인터랙티브형, 미디어 복합형 등의 4개 유형으로 공공공간 조명디자인을 분류하였고 각 유형별로 주도적인 디자인 평가요소와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기능성, 지속 가능성, 심미성은 도시 공공공간 조명을 통한 장소성을 실현시키는 기본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은유 플롯형”에 속한 사례는 6가지이며, 이 유형의 사례는 특정 지역에 대한 테마 즉 스토리텔링의 발굴이기 때문에, 조명디자인에서도 뚜렷하고 명확한 지역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다. 셋째, “인터랙티브형”과 “미디어복합형”은, 새로운 매개 기술 및 최첨단의 조명 방식이 개입되었기 때문에, 도시 조명디자인의 의미와 외연이 광범위하게 확장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도시 공공공간의 조명디자인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여 장소성을 강화하고 도시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도시 공공공간의 조명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ublic space, urban lighting and the sense of plac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lighting environment types with the sense of place and their characteristics. First, with the theory study as the research foundation, it extracts six spatial factors of public space lighting design and then analyzes 12 relevant cases on the basis. Finally, it divides the 12 cases into four types, Basic types, Storytelling, Interactive and Multi-Media and analyzes the core design factor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type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functionality, sustainability and aesthetics are the basic factors to realize the urban public space lighting places. Second, the six cases of “Storytelling” show that the theme of specific areas, namely the exploration of “story” is conducive for lighting design to form clear and definite environment recognition. Third, for “Interactive” and “Multi-Media”, the intervention of new media technology and new lighting way has made the wide expansion of urban lighting design connotation and extension.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strengthening the urban location performance by the lighting design could improve the city image, which provide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public space lighting design.

      • KCI등재

        가정용 LED 조명 기구의 디자인 연구 - 조형적 특징을 중심으로

        백박도,김철수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LED 제조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였지만 조명 기구 디자인은 그 뒤를 따랐다. 조명 기구는 상품 디자인상에서 대체적으로 원래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한 채 단지 전통 조명 기구안의 광원만 LED로 대체하였다. LED 광원의 독특한 성능은 조명 기구의 조형 디자인에 변화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Kiss의 연구논문 검색을 활용하여 조형특징, 조형요소, 조명의 Keyword를 검색하여 조사된 조형에 관한 연구논문 중 본 연구 주제와 관련이 있는 30개 선행연구 논문을 선정하여 조형의 특징에 관한 분석방법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조명 제품은 매우 광범위 하며, 연구내용이 디자인의 조형성을 다루고자 하기에 굿 디자인으로 인정되는 제품을 연구대상의 범위로 한다. 이에 조명 디자인의 표본은 세계적으로 Good Design 공인된 RED DOT(표본 110개), IF(표본 17개), IDEA (표본 19개) 3 대 국제공모전상 3년 건(2009년-2011년도)의 수상작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Image Mapping 방법을 통해 형태, 색깔, 재료 의 3개 방면으로부터 가정용 일반 조명기구와 LED조명기구에 대해 연구한다. 이어서 일반 조명기구와 LED 조명기구의 조형적 특징을 근거로 미래 조명 기구의 조형 디자인에 대한 발전 추이를 예측할 수 있다. 첫째: 심플하고 이성적인 조형. 구조적으로 다양한 기능성을 지니는 디자인이 증가될 것이다. 둘째: 특이한 조형을 자유롭게 시도된 디자인이 다양화될 것이다. 셋째: 다양한 문화 현상과 친환경적인 이념을 중시하고 자연적 요소를 활용한 디자인이 증가될 것이다. 따라서 얻어낸 결론과 결합하여 가정용LED조명 기구에 대하여 개념 구색 디자인을 진행한다. Along with the high speed development of the LED lighting technology, lamps and lanterns design follows with high gear, too. Currently, LED lamps design is more like a photo source replacement by LED, keeping the basics of the original shapes of the lamps and lanterns. Still, LED photo source shows its special characteristics. This essay, by selecting the key words “styling characteristics, styling basics, lighting” from the KISS Essay Web site, analyzes the study and research methods of 30 papers related from the web site. There are many products for lamps and lanterns. Those with better and special design are chosen for the object of study. Lamps rewarded by the world three product design institutes are used in this essay, RED DOT(110 samples), IF(17 samples), IDEA(19 samples). The Image Mapping is used to analyze the shape, color and material of the samples. Based on the styling characteristics of both the LED and conventional lamps, forecast the future styling design of the LED lamps as well as its development trend. Trend 1: styling features are more simple and rational. Styling design is more focus on function. Trend 2: different and unique shapes are freely adopted. Decorative purpose is addressed more. Trend 3: lamps design addresses multi-culture theme and environment friendly concept. People see more and more features reflecting nature in the styling design of the lamps. Last, based on the conclusion, start the styling design of home use LED lamps.

      • KCI등재

        Slim LED Bar를 이용한 Table 조명 디자인 개발

        이진욱 ( Lee Jin U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40 No.-

        현대의 조명은 단순하게 빛을 밝히는 조명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조명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인간의 감성을 충족하는 조형 욕구를 만족하게 해야 한다. 빛을 발생하는 단순한 기능에서 벗어나 실내공간에서 다양한 이미지로 공간 연출을 겸비해 개개인의 감성을 충족시키는 조명이며 친환경적으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는 Slim LED Bar을 이용한 테이블 조명 디자인 개발을 연구하게 되었다. 연구의 방법으로 위해 테이블 조명의 사전 연구를 통해 테이블 조명의 디자인 경향과 소비자의 이해도를 파악하고 테이블 조명 시장을 분석하여 디자인 개발의 기본 방향을 설정했다. Slim LED Bar에 대한 소재 연구를 통해 Slim LED Bar의 특성과 디자인에 대한 적용 범위를 연구했다. 디자인의 조건으로 조명의 기본적 기능 충족, Slim LED Bar의 특성 활용, 미적 요소를 가진 감성 조명, 이동성과 안정성을 가진 디자인을 도출했으며 스케치와 CG 프로그램을 이용해 3D 모델을 생성하여 디자인을 구체화하고 차후 CNC 작업을 위한 수치화된 DB 생성했다. 이렇게 생성된 DB는 규격화된 CNC 가공을 이용해 실증 모델로 제작하고, 최종 결과물로 Slim LED Bar를 이용해 빛을 밝히는 조명의 기본목적에 충실하면서 소비자의 감성도 만족할 수 있는 테이블 조명의 시제품 제작까지 과정을 연구하였다. Modern lighting should meet the needs of art which satisfies human emotion by providing a high-quality lighting environment as well as the simple role of lighting.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 table lighting design using a slim LED Bar which can be eco-friendly in saving energy. For this study table lighting design trends were reviewed, an understanding of customers was researched, current table lighting markets were analysed, and basic directions for design development were presented. Then the study analysed the materials and characteristics of Slim LED Bars and sought their applicability in a design. The conditions for the design were the satisfaction of basic functions, the use of a Slim LED Bar`s characteristics, emotional lighting with aesthetic elements, and a design with mobility and stability, A 3D model was created using sketch and CG programs to specify the design and create a numerical Database for CNC. The DB was modelled with the use of standardized CNC processing and the Slim LED Bar, a table lighting design which is faithful to the basic purposes of lighting and that can satisfy the emotions of customers was developed.

      • KCI등재

        아파트 단지의 조명디자인에 대한 주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보행 및 휴게공간을 중심으로 -

        윤주영 ( Yoon Joo-young ),정강화 ( Chung Kang-wha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4 No.-

        최근 도시화의 진행과 생활환경 수준이 향상되면서 자연 및 환경 친화적인 삶에 대한 현대인들의 욕구 또한 높아졌다. 이는 여가 시간으로서의 야간 활동을 증가 시켰고, 개인의 삶의 공간뿐만 아니라 공공공간의 환경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아파트 옥외공간의 계획에 있어 야간 이용 역시 현대인의 형태 임에도 불구하고 주간 이용에 관한 계획이 주를 이루고 있어, 주간활동에 비하여 야간활동은 만족할 수 없는 수준에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단지의 대상지 현황분석과 주민 설문조사 분석을 통하여 아파트 단지의 조명디자인에 대한 조명디자인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1장에서는 연구배경 및 목차와 연구방법 및 범위를 서술하였다. 2장에서는 현장조사를 통해 아파트 옥외공간의 조명연출방식의 종류를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2장의 현장 조사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조명디자인의 특성을 보기위해 선호도와 함께 경관형용사를 사용한 어휘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 결과는 기존의 아파트들에서는 흔하지 않은 프로젝션 조명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보행공간과 휴게공간 모두 선호도가 높은 조명연출방식에서 `개성있는`과 `아름다운`이 강한 느낌을 보이고 있었다. 4장에서는 앞서 실시한 설문분석을 통하여 조명연출방식에 따른 조명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보행공간은 기존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폴 조명과 볼라드 조명과 함께 프로젝션을 이용한 조명이나 수목조명, 지중매입조명 등과 같은 새로운 조명연출방식을 적용한 조명디자인방향으로 가야한다. 휴게공간은 보행공간보다 머무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다양한 조명유형을 통하여 시간의 변화에 따른 시퀀스적 조명연출이나 계절이나 시간의 변화에 맞추어진 조명시나리오를 통한 조명연출방식을 적용한 조명디자인 방향이 좋고 생각한다. 이는 아파트 옥외공간의 야간환경을 보다 높은 수준으로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의 연구과제는 조명연출방식과 함께 조도와 휘도, 색온도와 같은 조명의 물리량 측정 등을 통하여 보다 상세한 조명디자인 방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Recent progress of urbanization and improved living conditions as the level of natur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for the modern needs of life also increased. This increased the leisure time activities as the night, the lives of individuals as well as the public space of the space environment, the instrument was also paying attention. However, the plan of an apartment in an outdoor space used at night as well, despite being in the form of modern humans on this week`s plan for fulfilling this week, compared to the daytime activities that can not be satisfied on the level of nighttime activity is ha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sis of the designation of an apartment complex and residents through a survey analysis in an apartment complex in the lighting design is to provide direction for the lighting design. Chapter 1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tables of contents and a range of research methods were emphasized. Chapter 2 apartments with site survey of outdoor space lighting looked kind of way. Section 3, Chapter 2,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surveys. Survey in order to see the nature of the lighting design landscape with affinity with adjectives vocabulary assessment was conducted. And survey results the existing apartment unusual projection light showed the highest affinity, pedestrian spaces and all the rest area lighting with high affinity in the way `unique` and `beautiful` was showing a strong feeling. Chapter 4 surveys conducted earlier analysis of the way through the lighting direction of the proposed lighting design. Walking in space is often used in the existing pole lights and Bollards with lighting and projection, lighting and trees with lights, ground lighting and buy the way you apply the new lighting should go in the direction of lighting design. More space than a pedestrian rest area due to long residence time, through a variety of lighting typ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or season, or time Sequence lighting tailored to the changing scenario over one trillion people lighting the way you think is good and the direction of applying the lighting design is. This apartment`s outdoor space at night to create the environment to a level that is higher than is thought. Through this study, future research with the way the lighting illuminance and luminance, color temperature, such as quantities of light, and through measurement was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a more detailed lighting design.

      • KCI등재

        공간의 이미지에 미치는 조명디자인의 영향분석 - 주택 식당공간의 식탁조명을 중심으로 -

        진은미 ( Jin Eun-mi ),김장석 ( Kim Jang-se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39 No.-

        본 연구에서는 주거공간의 식탁위에 배치된 천장매닮등의 디자인에 대하여 거주자가 감성적으로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분석하여, 조명디자인에 의한 공간의 이미지 특성을 파악하고 공간디자인, 조명디자인, 조명기구디자인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주방공간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제작하고 대표적인 유형의 조명기구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2) 피험자가 식탁위에 배치된 천장매닮등의 디자인 유형별로, 공간 이미지에 대하여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실험하였다. 3) 실험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를 위해 신뢰도분석을 하였으며,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평가의 경향을 파악하였다. 4) 중회귀분석(HAYASHI I)을 실시하여 조명기구의 디자인 요소가 공간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명기구 디자인에 따른 공간의 이미지 형성 특성을 파악하여, 공간디자인, 조명디자인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The pendent light is fitted up in the most of dining room. The light fixture design is very difficult because of the complex system - the physical properties of light,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the response of applied space and the sensitivity response of resident. In this study, a material for pendent light design in the dining kitchen was made. This study followed a four-step process. First, design parameters were extracted for an evaluation. The shape, w/d ratio, color were selected by parameters. In the second step, an experiment to evaluate response to a variety of parameters and categories was carried out using computer graphics. In the third step,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sitivity evaluation were analyzed by means of factor analysis. The cognitive structure formulat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of the sensitivity evaluation. Fourth, the eval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ategories of the respective parameters were analyzed through a multi-regression method (HAYASHI I). Finally, we can expected objectively consumer`s response of pendent light design.

      • KCI등재

        움직임을 모티브로 한 건축물 조명 디자인 작품 연구

        손동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에서 조명은 단순히 어두운 곳을 밝히는 역할을 넘어 공간의 이미지를 새로운 관점으로 정의하는 조형 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실내에서 사용되는 펜던트 조명, 테이블 조명과 같은 리빙 제품군부터 도로 및 교량, 건축물을 비추는 경관 조명까지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그중에서도 건축물 조명은 공간의 깊이를 강조하고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통해 건축물의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본 작품연구는 조형의 변화를 기능적인 요소로 재해석함으로써 하나의 디자인 컨셉으로 시리즈로 전개할 수 있는 건축물 조명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조형 재료로써 빛의 역할과 건축물 조명의 기능을 고찰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1) 매립형 조명보다 상대적으로 조형적인 자유도가 높은 단독으로 설치될 수 있는 건축물 조명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는 기존 제품들이 가지고 있는 조형과 조명이 갖춰야 할 기본적인 조건들을 파악하여 향후 작품 연구의 방향 설정에 참고하기 위함이다. 2) 스케치, 도면, 3D 프로토타입핑 과정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 시안들을 검토하여 조형의 변화가 기능의 확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3) 조명 전문 회사와 협업하여 실제 1:1 워킹 목업 제작을 통해 조명의 구조적 설계 검토 및 기능에 따른 빛의 광량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결과) 하나의 디자인 컨셉으로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조명으로 기능적 확장을 할 수 있는 조명 시리즈를 디자인하였다. 탱고를 추는 모습과 움직임에서 영감을 받아 회전축을 활용하여 좌우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빛을 더욱 풍부하게 즐길 수 있게 하였고 총 3가지의 조명인 수목 조명, 벽 조명, 볼라드 조명으로 제안하였다. 소재는 야외에 설치되는 특성상 내구성과 변형에 강한 금속 소재를 선정하였고 두 개의 동일한 형상이 마주 보는 모습이 만들어내는 조형이 인상적이며 실제 생산에 있어서도 하나의 금형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의 측면에서 이점이 있었다. (결론) 본 작품연구는 주로 개별 디자인으로 존재했던 건축물 조명을 하나의 디자인 언어로 제안하고 움직임이라는 동적인 조형 요소를 재해석하여 각 조명의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빛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작품연구의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modern society, lighting is used as an aesthetic material that defines the image of space from a new perspective beyond simply illuminating up dark places. From living products such as pendant lighting and table lighting used indoors to landscape lighting that illuminates roads, bridges, and buildings, landscape lighting emphasizes the depth of the space and reveals the beauty of the architecture through harmony with its environment. This study aims s to propose an architectural lighting design that can be developed as a series with a single design concept by reinterpreting the change in formulation as a functional element. (Method) As a research method to examine the role of light as an aesthetic material and the function of architectural lighting, 1) cases of architectural lighting that can be installed alone and have the possibility of formative approach than buried lighti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is was done in order to identify the basic conditions of the form and lighting of existing products and refer to set the design direction of future work research. 2) Various design proposals were reviewed through the process of sketching, drawing, and 3D prototyping, and the study was conducted so that the change in the form could lead to the expansion of the function. 3) In collaboration with a lighting company, we reviewed the structure and verified the amount of light according to its function through the production of a real-scale 1:1 working mock-up. (Results) By one design concept, a lighting series that could be functionally expanded into lights with different functions was designed. Inspired by the appearance and movement of the tango, it wa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from side to side using a rotating structure, allowing for more abundant light to be enjoyed. This lighting series consists of three lights: tree lighting, wall lighting, and bollard lighting. Due to the nature of being installed outdoors, metal materials were chosen for its durability and resistance to deformation. The composition of the two identical shapes facing each other was impressive, and the use of a single mould for the actual production was also beneficial in terms of production cost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architectural lights that existed mainly as different designs within a single design language, and reinterpreted the movement as an aesthetic element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light in various ways while remaining faithful to the function of each light.

      • KCI등재

        모듈개념을 적용한 가변형 실내조명 디자인개발

        이승헌(Seungheon Lee),김기수(KieS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본 논문에서는 실내 인테리어에 적용 가능한 조명 디자인을 기본으로 생각하고 연구하였으며 나아가 근린공원에 설치될 공익시설물을 대상으로 공공디자인의 목적도 함께 연구하여 합리적 사용을 추구하는 모듈형 가변식 실내조명 제품디자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모듈의 기본적인 개념을 알 수 있는 선행연구 고찰과 실내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조명과 실내에 대한 선행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모듈개념을 적용한 조명디자인의 새로운 컨셉을 도출을 위해 제품실무 개발을 위한 디자인 방향과 프로세스, 제품보관, 조립, 관리가 편리한 모듈 조립형 디자인을 제시하여 향후 조명디자인 개발에 관련된 합리적 유지관리 방향을 살펴보고 새로운 제품디자인개발에 반영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인지전략 프로세스를 통해 디자인을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프로세스는 개념적 전략으로 실내환경 분석단계, 조명유지 보수단계, 가변형 메커니즘단계, 감성활성화 단계를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단계적특성은 디자인적인 조형적 아름다운과 접목시켜 MLD(Module Lamp Design) 전략을 제시하여 인간이 느낄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자유로운 적용을 모듈제품과 접목시키고 인간의 시각적접근과 바라보며 자유롭게 생각하는 개념적 가치를 담아 MLD인지전략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시켜 개발 하고자 하였다. It is necessary to produce and maintain interior lighting design reasonably and actively. Based on the lighting design applicable to interior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ublic design of public facilities installed in neighborhood parks and thereby to suggest a module-type variable interior lighting product design for reasonable use. To achieve that, relevant studies were reviewed to find the basic concepts of a module and the best cases of interior lighting applicable to interior design. To draw a new concept of the lighting design to which the concept of a module is applied, this study suggested the design direction for practical product development and a module-type design featuring easy process, product storage, assembly, and management, analyzed the reasonable maintenanc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lighting design, and proposed a case of design development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a new product design. Through cognitive strategy process, the design was made. This process, as a conceptual strategy, included the step of interior environment analysis, the step of lighting maintenance, the step of variable mechanism, and the step of emotional activation. These steps were connected with formative beauty of design so as to suggest a MLD(Module Lamp Design) strategy. In this way, this study tried to connect humans free application for a space to a module product and to apply humans visual approach and free conceptual value to MLD cognitive strategy design process for develop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