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셀프카메라(Self-Camera)행위가 20대 여성들의 외모 존중감, 자기노출 욕구, 외모개선 욕구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안서연(Seo Yeon Ahn),김정현(Jung-Hyun Kim)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3 No.2

        스스로의 사진(셀프카메라, self-camera)을 핸드폰으로 촬영하고, SNS에 게재하는 행동을 뜻하는 셀피촬영(Selfie, 이하 셀피)이 세계에서 selfie 신드롬을 불러일으키며 새로운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대두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셀피를 통한 자기표현을 할 때 20대 여성들의 자신감으로 대변되는 자기노출, 외모존중감, 외모개선욕구, 사회적 자기효능감 등이 어떻게 나타나며 나르시시즘과 관련이 깊을 것으로 여겨지는 셀피 행위가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았을 때와 받지 않았을 때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아바타를 통해 진행되었던 실험인 프로 테우스효과를 새로운 자기표현인 셀카를 통해 보고자 했다. 외모 존중감, 외모관리 욕구, 자기노출 욕구,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나르시시즘과 사진에 대한 긍정적인 댓글 유무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상호작용을 선형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나르시시즘과 긍정적인 댓글 유무의 상호작용은 외모 존중감, 자기노출 욕구, 사회적 자기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모관리 욕구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아바타로 진행되었던 프로테우스효과를 셀피를 통한 자기표현으로 까지 확장시켰으며 나르시시즘이 높은 사람들이 긍정적인 칭찬을 받았을 때 외모 존중감과 자기노출 욕구,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밝힘을 통해 셀피촬영 후 자신감이 높아지는 데에는 긍정적인 피드백과 나르시시즘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밝혔다. Self-Camera(selfie) which is a habit taking photos of oneself using a smart- phone and uploading on social network sites is making world-wide syndrome nowadays. Selfie represents as a way of self-presentation online widely. Particularly, recent self-presentation online via selfie to some extent reflects one’s identity in reality.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focus on the recent phenomenon of self-presentation online via selfie, the influence of selfie on 20s women’s confidence like self-disclosure, body-esteem, appearance management and social self-efficacy and also tri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ho got the positive reply or no reply at all. As a result,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narcissism and positive reply appeared to exist in self-disclosure, body-esteem, and social self-efficacy except appearance management.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e, narcissism and the desire for social support. Further discussion on the results in detail and implication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