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변 원리의 도식화와 요가 수련에의 적용

        안필섭(Ahn, Pilseop) 한국요가학회 2016 요가학연구 Vol.- No.16

        「요가경」을 중심으로 한 고전요가 체계는 상키야의 이원론 철학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전변의 원리에 대해 상세히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 대상인 5대와 5유, 인식 도구인 5지근, 5작근, 마나스, 인식 주체인 아함카라와 붓디 등 푸루샤, 프라크리티와 함께 전변설을 이루는 원리 각각은 철학적 체계를 이루는 개념이다. 하지만 수행론을 표방하고 있는 고전요가 체계는 이러한 철학적 개념까지도 집중명상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런데 전변의 원리와 같이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는 대상은 감관의 대상이 되기에는 너무 미세하기 때문에 집중의 대상으로 삼기 위해서는 개념 그 자체의 형태에서 어떠한 변환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변의 원리가 지니고 있는 특성을 고려해 이에 대한 도식화 가능성을 「요가경」을 중심으로 하여 그 문헌적 근거를 찾는 작업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렇게 마련된 근거를 토대로 구체적인 도식화「요가경」을 중심으로 한 고전요가 체계는 상키야의 이원론 철학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전변의 원리에 대해 상세히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 대상인 5대와 5유, 인식 도구인 5지근, 5작근, 마나스, 인식 주체인 아함카라와 붓디 등 푸루샤, 프라크리티와 함께 전변설을 이루는 원리 각각은 철학적 체계를 이루는 개념이다. 하지만 수행론을 표방하고 있는 고전요가 체계는 이러한 철학적 개념까지도 집중명상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런데 전변의 원리와 같이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는 대상은 감관의 대상이 되기에는 너무 미세하기 때문에 집중의 대상으로 삼기 위해서는 개념 그 자체의 형태에서 어떠한 변환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변의 원리가 지니고 있는 특성을 고려해 이에 대한 도식화 가능성을 「요가경」을 중심으로 하여 그 문헌적 근거를 찾는 작업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렇게 마련된 근거를 토대로 구체적인 도식화 방법을 모색한 후 이를 실제 수련에 적용하는 사례를 궁리함으로써 전 변의 원리가 어떻게 집중명상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The classical yoga system focusing on <Yogasutra> is mentioning the details of the principle of Parinama, while proactively accepting the dualism of Samkhya. The recognition target of 5 mahabhuta and 5 skandha; recognition tool of 5 buddhi-Indriya, 5 karma-Indriya and manas; recognition principal of purusa and prakrtiincluding buddhi and ahamkara; and each principle that creates the parina-ma-vada are the concept that makes up the philosophical system. However, the classical yoga system, which is advocating the theory of discipline, considers even those philosophical concepts as a target of concentrative meditation. However, since the targets composed of the concepts like the principle of the Parinama are too fine and minute to become the target of sense, some transformation process is additionally required in the form of a concept itself to consider the target as a target of concentration. This study starts with finding the literary grounds of the possibilities of diagraming the principles of Parinama focusing on the <Yogasutra>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uch principles of Parinama. It aimed to find the specific diagramming methods based on the grounds and identify how the principles of parinama can become the target of concentrative meditation by deliberating the examples of applying to the practical training.

      • KCI등재

        『요가경』의 수행 체계로서 대치 명상의 범위와 효과

        안필섭 ( Pilseop Ahn ) 인도철학회 2016 印度哲學 Vol.0 No.47

        『요가경』에서는 8지 요가의 지분 중 금계와 권계의 실천 원리로써 대치 명상(pratipaksa-bhavana)을 언급하고 있다. 대치 명상은 금계와 권계의 각 항목에 해당하는 거친 생각(vitarka)이 마음에 일어날 경우 그 정도를 분석하고 그와 대치되는 내용을 상정하여 비유 표현을 통한 방법이나 분석적 방법을 통해 명상을 실행함으로써 이를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대치 명상의 범위는 금계와 권계에 해당하지만 복주의 해석을 근거로 그 가능성을 좌법, 조식, 제감에까지도 확장할 수 있다. 대치 명상은 집중 명상을 행하기에 앞서 이루어지는 예비적 단계의 명상으로, 본격적인 수행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본론에서 고찰한 대치 명상의 가치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첫째, 대치 명상은 요가 수행의 과정에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구체적인 실천 수행 방법이다. 둘째, 좌법과 조식, 제감의 실행에 있어서도 대치 명상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셋째, 대치 명상은 집중 명상을 행하기에 앞서 이루어지는 예비적 단계의 명상이다.이와 같은 대치 명상의 결과 요가행자는 다양한 효과를 과보로 획득할 수 있는데, 금계와 권계의 각 지분별로 해당하는 성취가 달리 나타난다. 예를 들어, 범행과 관련된 대치 명상이 이루어질 경우 힘의 획득이, 청정과 관련된 대치 명상이 이루어질 경우 감관의 정복이나 집중 등의 성취가 일어난다. The fundamental practice system of YS consists in eight-steps, or astanga-yoga, and it begins with restraint(yama) and observances(niyama). It is the step of restraint and observances required to set up specific action that laid the foundation of yoga performed in a yogi; however, yogi is not required simply through the act of keeping a restraint & observances. It is because the actions required prior to each element of restraint & observances appear as perverse thoughts (vitarka) is blocked prior to the execution phase. Since, The goal of yoga is the restriction of the meditations of the mind (cittavrtti-nirodhah), and perverse thoughts, belonging to a restraint & observances, is just a process of mind. Therefore, in order to practice the restriction of the meditations of the mind by one-pointedness meditation, yogi must first remove the perverse thoughts through meditation on opposite thoughts(pratipaksa-bhavana).Such perverse thoughts vary enough to be divided into 81 types depending on the degree. And if it applies to each of restraint & observances, the number will be increased multiple times. Depending on the degree and condition of such perverse thoughts, there are two ways through meditation on opposite thoughts of the method of the relative expression and the analytical method which were confirmed by a review of the YBh. In addition, the two methods can practiced appropriately modified according to the perverse thoughts again. And the range of meditation on opposite thoughts extended from the region of restraint & observances to beyond following steps which are posture (asana), regulation of breath (pranayama), withdrawal of the senses (pratyahara) to be able with the possibility to verify it. And so with a discussion organized by several things about the values that have a meditation on opposite thoughts. First, meditation on opposite thoughts is a specific action must be done in the course of performing yoga. We need to adjust by using the two specific methodology that is presented in YBh to suit their circumstances yogi practice the meditation on opposite thoughts. Second, the use of meditation on opposite thought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osture, regulation of breath and withdrawal of the senses should be positively encouraged. If we supposed of such perverse thoughts in advanced of posture, regulation of breath etc. and configured to analyze the details of meditation on opposite thoughts that would be an effective training. Third, meditation on opposite thoughts is the preliminary stage of meditation made prior to performing the one-pointedness meditation. Because if perverse thoughts of the restraint & observances never stop in the mind, the meditation on opposite thoughts to b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