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안면비대칭과 상악치열궁형태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김동우,손우성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이 존재하는 사람에 있어서 상악치열궁의 좌우측 치아에서 전후방, 측방 그리고 수직 비대칭의 존재 유무와 상악 중절치의 치축경사 변화 정도 및 이러한 비대칭 양상과 하악골의 편위 정도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정상군과의 비교를 통하여 상대적인 비대칭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고안되어졌다. 부산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들 중 하악골의 편위를 동반한 골격성 비대칭을 가진 21명을 안면비대칭군으로 선정하고 임상적으로 양호한 안모를 가지고 골격성의 비대칭이 없는 20명을 정상군으로 선정한 후 상악치열궁모형과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이용하여 상악치열궁을 이루는 좌우측 치아의 위치와 상악 중절치 치축경사, 그리고 상악 제1대구치의 수직위치를 계측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안면비대칭군에서 치성 비대칭의 정도와 하악의 편위정도 사이에는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2. 안면비대칭군에서 악골이 편위된 측의 치아들이 더 측방으로 확장되어 있었다. 그리고 상악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의 전후방위치와 상악 중절치의 치축경사에서 차이가 있었다. 3. 안면비대칭군에서 측방 비대칭은 후방치아로 갈수록 증가되었으며 전후방 비대칭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dental asymmetry in person with facial asymmetry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mandibular deviation and asymmetry of maxillary dental arch. The samples were divided to asymmetry group and normal group. The asymmetry group consisted of 21 subjects(6 males and 15 females) and their mean age was 23.5 years. The normal group consisted of 20 subjects(10 males and 10 females) and their mean age was 18.6 years. Anteroposterior, transverse position of all maxillary teeth except 3rd molars, vertical position of maxillary 1st molars, and angulation of central incisors were measured. The anterioposterior and transverse positions of teeth were measured on the maxillary dental casts, the vertical position of maxillary 1st molars and angulation of maxillary incisors were measured on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radiographs. The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whether significant asymmetries existed in each of the asymmetry and norma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n the asymmetry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mandibular deviation and that of 3-dimensional dental asymmetry was not so high. 2. In the asymmetry group, the teeth in deviated side were more laterally positioned than that of undeviated sid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nteroposterior position of maxillary 1st and 2nd molars and the angulation of maxillary central incisors. 3. In the asymmetry group, the transverse symmetry was larger in the posterior teeth rather than in the anterior teeth and larger than the anteroposterior asymmetry.

      • KCI등재

        안면비대칭자의 3차원 전산단층사진 분석에서 경·연조직간 비대칭 정도 차이

        김왕식,이기헌,황현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 환자에서 경조직의 비대칭 정도와 연조직 비대칭 정도의 차이를 3차원적으로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안면비대칭으로 보이는 성인 남녀 34명을 대상으로 두경부 전산단층사진을 촬영하고 3차원 입체영상으로 재구성한 후 기준평면에 대해 비대칭을 나타내는 6개의 계측항목을 경조직에 설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연조직계측항목을 각각 설정한 후 3차원 계측을 시행하고 경조직과 연조직의 계측항목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부편위측과 반대측간의 계측치 차이를 비교한 결과, 경조직과 연조직 모두에서 좌우측 계측치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경조직과 연조직의 비대칭 계측항목을 비교한 결과. 0개의 계측항목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부편위를 나타내는 chin deviation, 하악지와 하악골체를 나타내는 frontal ramal inclination difference. frontal corpus inclination difference 항목은 경조직의 비대칭 정도에 비하여 연조직 비대칭정도가 작게 나타난 반면, 입술경사를 나타내는 lip cheilion height difference. lip canting은 maxillary height difference, occlusal plane canting보다 크게 나타나 입술부위의 비대칭 정도는 하부 경조직의 비대칭정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안면비대칭자에서 경조직과 연조직간 비대칭 정도 차이를 규명한 본 연구 결과는안면비대칭 평가 시 경조직 외에 연조직 계측항목을 이용한 비대칭 분석도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symmetric degree between maxillofacial hard and soft tissues in individuals with facial asymmetry. Computerized tomographies (CT) of 34 adults (17 male, 17 female) who had facial asymmetry were taken. The CT images were transmitted to personal computers and then reconstructed into three-dimensional (3D) images through the use of computer software. In order to evaluate the degree of facial asymmetry, 6 measurements were constructed as the hard tissue measurements while 6 counterpart measurements were taken as the soft tissue measurement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obtained for each measurement using 3D measure, then t-test was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hard tissue measurement and the corresponding soft tissue measurement. All measurements used in the present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ard and soft tissues. The degree of soft tissue asymmetry was smaller than that of corresponding hard tissue asymmetry in case of chin deviation, frontal ramal inclination difference, and frontal corpus inclination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the degree of soft tissue asymmetry was greater than that of underlying hard tissue asymmetry in the measurement of lip canting and lip cheilion height difference.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symmetric differences of hard and soft tissue is observed in facial asymmetric subjects, and thus soft tissue analysis is needed in addition to hard tissue analysis when making an evaluation of facial asymmetry.

      • KCI등재

        안면비대칭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하악 과두의 위치, 형태와 이부 편위의 관계: cone-beam CT를 이용한 연구

        이보람,강대근,손우성,박수병,김성식,김용일,이경민 대한치과교정학회 201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1 No.2

        안면비대칭의 원인은 다양하며, 비대칭적 성장은 상악골과 하악골의 길이나 각도로 평가되어지곤 한다. 하지만 하악 과두의 비대칭적인 위치나 형태 또한 비대칭의 표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악 과두가 안면비대칭의 표현형인 이부 편위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50명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중 4 mm 이상의 menton point deviation을 보이는 비대칭군 30명, 4 mm 이하의 menton point deviation을 보이며 뚜렷한 안면비대칭이 없는 20명을 대칭군으로 하여, 두개저에 대한 좌우 하악 과두의 근원심적, 전후방적 위치를 평가하고, axial 평면에서 장축을 설정해 하악 과두의 최대 크기와 coronal plane에 대한 각도를 평가하였으며, sigmoid notch 상방 하악 과두의 길이와 부피를 측정하였다. 대칭군은 좌우 하악 과두의 위치, 각도, 크기, 길이, 부피에 있어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비대칭군은 이부 편위측과 비편위측으로 나누어볼 때, 이부 편위에 따른 좌우 하악 과두의 위치와 angulation에서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하악 과두의 크기, 길이 및 부피에서는 비편위측 값이 컸고, 이부 편위량이 클수록 좌우 크기, 길이의 차이 및 편위측에 대한 비편위측 하악 과두의 부피비가 컸다. 또한 편위측에 대한 비편위측 하악 과두의 부피비가 이부 편위의 정도를 가장 잘 설명해주는 특성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하악 과두의 비대칭이 안면비대칭의 발현에 영향을 주며, 비편위측 하악 과두가 편위측에 비해 크고 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SCOPUSSCIEKCI등재

        안면비대칭에 대한 주관적 인지도와 정모두부방사선사진 분석치의 연관성

        안정순,황현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5

        본 연구는 환자의 비대칭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전남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 중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촬영이 필요한 12세 이상의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본인의 얼굴이 좌우 비대칭이라고 생각하고 있는가" 를 물어보아 비대칭 인지 정도에 따라 5개 군(아니다, 아니라고 생각한다, 모르겠다, 비대칭이라고 생각한다, 분명히 비대칭이다)으로 분류하였다. 각 대상자의 정모두부방사선사진 투사도에서 계관(crista galli)과 전비극첨(anterior nasal spine)을 연결한 선을 기준으로 하여 비대칭 정도를 나타내는 9개의 선 계측치와 4개의 각도 계측치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Menton의 변위와 상ㆍ하악 정중선차이가 클수록 안면비대칭에 대한 본인의 인지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2."모르겠다" 라고 응답한 군의 모든 계측치는 "아니다", '아니라고 생각한다" 군과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3."비대칭이라고 생각한다" 라고 응답한 군의 모든 계측치는 "분명히 비대칭이다" 군과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안면비대칭에 대한 환자 본인의 인지 정도를 불어보는 것이 교정진단에 도움이 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at how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measurements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patient about his/her facial asymmetry. One hundred orthodontic patients, over the age of 12, who required a posteroanterior cephalogram in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used as the subjects. They were asked if they thought their faces were asymmetrical. Their responses were classified into 5 groups based on the level of asymmetry as follows : Definitely No, Probably No, Don't Know, Probably Yes, and Definitely Yes. Nine linear and four angular measurements from each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analysed on the standard of the line between crista galli and anterior nasal spine to show the extent of asymmetry. Through this comparative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As the deviation of menton and the midline discrepancy of the upper and lower jaws were greater, the perception of patients about their facial asymmetry was higher, 2.All the measurements from the group "Don't Know"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from those of the groups "Definitely No" or "Probably No." 3.All the measurements from the group "Probably Ye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from those of the group "Definitely Yes."

      • SCOPUSSCIEKCI등재

        안면비대칭을 동반한 Angle Ⅲ급 부정교합자의 교모양상

        손우성,김성조,전은예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4

        치아교모는 모든 연령층에서 일어나는 생리적인 현상이며, 교묘를 초래하는 원인요소로는 연령, 교합시의 다양한 접촉상태, 접촉시의 힘의 크기나 방향, 접촉의 지속 시간, 이갈이 등의 구강 악습관, 음식물 등 구강내에 개재되는 물질의 마모성, 치아 침식요소의 존재, 그 뢰에 저하된 교합 감지 감수성등을 들 수 있다. 치아의 접촉면적이나 교모면의 형태는 생리적인 과정외에도 부정교합, 교합간섭, 조기치아접촉, 이갈이, 이악물기 등의 여러 형태의 교합이상으로 인하여 변화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서 생리적인 과정과 병적인 변화를 분명히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치과 진료시 흔히 치아 교모 현상을 볼 수 있으나 진단과 치료 계획수립시 이를 간과하기 쉽다. 악구강 기능이 정상적으로 발휘되는 경우에는 교모가 큰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겠지만 악구강 기능이 비정상적이며 과도한 마모가 유발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심미적, 기능적, 수복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악교정 수술이 필요한 안면 비대칭이 있는 AngleⅢ급 부정교합자에서는 전치부 반대 교합으로 전방 유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하악 운동의 부조화로 인해 비정상적인 교모가 일어날 가능성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동양인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AngleⅢ급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안면 비대칭이 있는 환자의 치아 교모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정상교합자군으로는 양호한 안모와 교합을 가지며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 분석시 안면비대칭이 관찰되지 않는 자를 선정하였고, 부산대학교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 중 구강내 사진과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 및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 분석시 안면비대칭이 업슨 AngleⅢ급 부정교합자와 하악골 편위를 보이는 안면비대칭을 동반한 AngleⅢ급 부정교합자를 선정하였다. 교모면적을 측정하기 위하여 알지네이트 인상재로 인상을 채득한 후 경석고를 이용하여 상하악의 석고 모형을 제작하였다. 석고모형상의 교합면상 마모된 부위를 가는 연필을 이용하여 경계를 그렸다. 경계가 표시된 석고 모형을 scanning하여 면적을 계측한 후 SAS program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교모 면적은 Ⅰ군이 Ⅱ,Ⅲ군 보다 크게 나타났다. 2. 각 군의 좌우측간의 교모 면적차이는 비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못하였으나 Ⅰ군, Ⅱ군, Ⅲ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3. Ⅰ군에서는 상악의 교모면적이 하악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나 Ⅱ,Ⅲ군에서는 상하악 교모면적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4. 안면 비대칭 환장의 경우 편위측보다 비편위측의 치열궁에서 교모 면적이 더 크게 나타났다. 5. 저작측에 따른 교모 면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6. 성별에 따른 총교모 면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ttrition pattern in Angle ClassⅢ malocclusion with asymmetry. The sample consisted of three groups, the 20 subjects of normal occlusion group(GroupⅠ), the 12 subjects of classⅢ malocclusion without facial asymmetry group(GroupⅡ) and 17 subjects of ClassⅢ malocclusion with facial asymmetry group(GroupⅢ). Attrition areas from canine to second molar on both sides upper and lower arch, totally twenty, was marked by pencil and mesured by computer system(INTERGRAPH CO. USA) 2 times and the average value was used for date processing. Attrition areas from canine to second molar on both sides in upper and lower arch, totally twenty, was marked by pencil and mesured by computer system (INTERGRAPH CO. USA) 2 times and the average value was used for date processing. All attrition areas were measured 2 times and the average value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tal attrition area in GroupⅠ was larger than in GroupⅡ and Ⅲ.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rition area between right and left side in each group, but attrition area in GroupⅢ was larger than in Group Ⅰand Ⅱ. 3. In GroupⅠ, Maxillary attrition area was larger than mandibular attrition area, but in GroupⅡ and Ⅲ, there was no signigicant difference in attrition area between maxilla and mandible. 4. In Group Ⅲ, the attrition area of deviated side was larger than undeviated side.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rition area between chewing side and non-chewing side in each group. 6. The total attrition area was unaffected by gender.

      • SCOPUSSCIEKCI등재

        안면비대칭을 동반한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에서 하악 과두의 위치, 형태와 이부 편위의 관계

        이보람(Bo-Ram Lee),강대근(Dae-Keun Kang),손우성(Woo-Sung Son),박수병(Soo-Byung Park),김성식(Seong-Sik Kim),김용일(Yong-Il Kim),이경민(Kyung-Min Lee) 대한치과교정학회 201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1 No.2

        안면비대칭의 원인은 다양하며, 비대칭적 성장은 상악골과 하악골의 길이나 각도로 평가되어지곤 한다. 하지만 하악 과두의 비대칭적인 위치나 형태 또한 비대칭의 표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악 과두가 안면비대칭의 표현형인 이부 편위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50명의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 중 4 ㎜ 이상의 menton point deviation을 보이는 비대칭군 30명, 4 ㎜ 이하의 menton point deviation을 보이며 뚜렷한 안면비대칭이 없는 20명을 대칭군으로 하여, 두개저에 대한 좌우 하악 과두의 근원심적, 전후방적 위치를 평가하고, axial 평면에서 장축을 설정해 하악 과두의 최대 크기와 coronal plane에 대한 각도를 평가하였으며, sigmoid notch 상방 하악 과두의 길이와 부피를 측정하였다. 대칭군은 좌우 하악 과두의 위치, 각도, 크기, 길이, 부피에 있어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비대칭군은 이부 편위측과 비편위측으로 나누어볼 때, 이부 편위에 따른 좌우 하악 과두의 위치와 angulation에서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하악 과두의 크기, 길이 및 부피에서는 비편위측 값이 컸고, 이부 편위량이 클수록 좌우 크기, 길이의 차이 및 편위측에 대한 비편위측 하악 과두의 부피비가 컸다. 또한 편위측에 대한 비편위측 하악 과두의 부피비가 이부 편위의 정도를 가장 잘 설명해주는 특성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하악 과두의 비대칭이 안면비대칭의 발현에 영향을 주며, 비편위측 하악 과두가 편위측에 비해 크고 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Facial asymmetry is usually evaluated from the difference in length and angulation of the maxilla and mandible. However, asymmetric position or shape of the condyle can also affect the expression of asymme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condylar asymmetry and chin point deviation in facial asymmetry. Methods: Cone-beam CT images of fifty adult skeletal Class Ⅲ patients were studied. Thirty patients who had more than 4 ㎜ menton deviation were categorized in the asymmetric group. Twenty patients with less than 4 ㎜ menton deviation were assigned to the symmetric group. Anteroposterior and transverse condyle positions were evaluated from the cranial base. The greatest mediolateral diameter (GMD) of the condyle in the axial plane and angulation to the coronal plane were measured. The height and volume of the condyles were evaluated. Results: The symmetric group had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oth condyles in position, angulation, GMD, height and volume. In the asymmetric group, the non-deviated side condyle was larger in GMD, height and volume than the deviated sid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condyle position and angulation. The GMD, height difference and condylar volume ratio (non-deviated/deviated)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n deviation. From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condylar volume ratio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chin deviation.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the non-deviated side condyle is larger than the deviated side. In addition, condylar asymmetry can affect the expression of facial asymmetry.

      • KCI등재

        수기요법에 의한 비대칭 체형 여대생의 안면 비대칭 및 근체형 변화

        정미라,최은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8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ffects Golgeun therapy and meridian massage on facial asymmetry and muscular body typ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diagnosed with bodily asymmetry and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Thirty-fiv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bodily asymmetry by Moiré topography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ie., Golgeun therapy group (n=17) and meridian massage group (n=18), respectively for 10 weeks and the before and after results about facial asymmetry and muscular body type through Moiré topograph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The change of facial asymmetry and muscular body type has been comprehensively improved in the statistics before and after Golgeun therapy and meridian massage. Therefore, manual therapy is proved to give positive affect to facial asymmetry and muscular body type of female students with bodily asymmetry. Most of the numerous previous facial asymmetry had studied to be concerned in the surgery and orthodontic but this study which appeared the improved method with massage will help the massage development on the beauty sector.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칭 체형 여대생을 대상으로 골근테라피와 경락마사지가 안면 비대칭 및 근체형 변화에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여 수기요법의 효과를 비교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모아레 토포그래피 검사를 통하여 비대칭 여대생 35명을 선정하여 골근테라피 집단 17명과 경락마사지집단 18명에게 10주간 실시한 후 모아레 토포그래피를 사용하여 안면 비대칭과 근체형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 처리하였다. 안면 비대칭 및 근체형 변화는 골근테라피와 경락마사지를 받은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골근테라피가 경락마사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기요법이 안면 비대칭과 근체형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전의 수많은 비대칭 연구는 수술과 교정에 집중되었으나 본 연구는 마사지로 개선되어진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미용분야에서 마사지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3차원 전산화 단층 사진을 이용한 안면비대칭 환자의 악교정 수술 전, 후 교근 분석

        서승아,백형선,황충주,유형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masseter muscle (MM) between the shifted and non-shifted sides in facial asymmetry patients, and the changes shown by MM after mandibular surgery. Methods: Pre- and post-operative CT scans were performed on 12 Class III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who were treated by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and 10 subjects with normal occlusion. Using the V-works 4.0 program (Cybermed, Seoul, Korea), 3-dimensional images of the mandible, and MM were reconstructed, and evaluated. Results: In the asymmetry group, the MM angle between the shifted and non-shifted sides was only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Compared with normal occlusion, the asymmetry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smaller volume and maximum cross-sectional area in both sides of MM (p < 0.05). After mandibular surgery, the angle of MM (p < 0.01) and differences in angle between the shifted and non-shifted sides of MM (p < 0.05)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hickness in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1). After surgery, MM in facial asymmetry patients was similarly changed to those in the normal occlusion group except for widths. Conclusions: MM in facial asymmetry was definitely different from those in normal occlusion.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at MM changed symmetrically in conjunction with the mandible after proper mandibular surgery. 안면비대칭 환자에서 하악 우각부위의 연조직 형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근의 성상에 대한 평가는 경조직의 분석과 더불어 중요하다. 교근은 수술로 인한 하악의 후방이동 시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구조 중 하나이며, 수술 후 교근의 상태는 환자의 저작력과 하악 우각부 외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을 가진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편위, 비편위측 교근의 형태학적 차이와 하악골 후퇴술 이후 양측 교근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안면비대칭의 개선 전, 후 교근을 정상교합자와 비교하여 비대칭의 수술이 교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면비대칭으로 진단된 환자 12명의 양악수술 전후의 3차원 CT 영상과 정상교합자 10명의 3차원 CT 영상에서 하악골과 교근을 계측,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칭군에서 교근의 편위, 비편위측 모두 정상교합군에 비해 부피가 작고, 최대 단면적 부위가 좁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편위, 비편위측의 교근의 주행각도 차이와 최대단 면적 부위에서의 두께 차이가 정상 교합군보다 크게 나타났다. 양악 수술 전, 후에 교근의 주행각도는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편위, 비편위측 각도의 차이도 감소하였으며, 최대 단면적 부위에서의 교근의 두께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비대칭 수술 후 좌우 교근은 너비를 제외하고는 정상 교합자와 유의차 없게 변화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안면비대칭 환자는 교근의 성상이 분명히 정상 교합자와는 다르지만, 적절한 수술 후에 경조직뿐만 아니라 교근도 정상범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안면 비대칭 환자의 수직 안모 유형과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계측치 및 표면 근전도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김성수,차봉근,이남기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3

        안면 비대칭 환자의 진단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과 표면 근전도 검사 자료는 통용화된 진단분석법 부재 등의 이유로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타 진단분석법과 비교할 때, 수직 안모 유형의 평가 등 차별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면 비대칭을 보이는 60명을 대상으로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및 저작근의 표면 근전도를 측정하여 수직 안모 유형과의 연관성 및 안면 비대칭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함이다.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계측치 중 radiographic corpus length는 비편위측이 큰 값을 보였고 (p < 0.001), 유의성은 없었으나 gonion to interspinosum axis는 편위측이 크고, gonion과 하악과두의 위치는 비편위측이 편위측에 비해 전방에 위치하였다 (p = 0.07). 안정시 편위측 전측두근의 근활성은 비편위측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1). 또한 최대 폐구 시 교근의 활성은 유의성이 없었으나 비편위측에 비해 편위측이 큰 값을 보였다 (p = 0.09). Facial index와 intercondylar axes angle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1). 최대 폐구 시 편위측 및 비편위측의 교근의 활성은 facial index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골격성 안면 비대칭을 보이는 환자에서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과 표면 근전도 검사를 통해 비대칭 양상의 평가와 더불어 수직 안모 유형의 평가 또한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Although the submentovertex radiograph and surface EMG are not often used due to the difficulty of interpretation, they are accepted as useful diagnostic and analytic aids for skeletal asymmetry. There have been reports which state that they were also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vertical skeletal rel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s between EMG data, measurements from submentovertex radiographs, facial types and facial asymmetry following examination of 60 asymmetric patients. The radiographic corpus length were greater in the nonaffected sides (p < 0.001), gonion to interspinosum axis were greater in the affected sides and the mandibular condyle and gonion were located more anteriorly in the non-affected sides than in the affected sides but not significant (p = 0.07). The activity of the anterior temporal muscle in rest position was higher in the affected sides than in the non-affected sides (p < 0.01). The activity of the masseter muscle at maximum clenching was found to be nonsignificant but it was higher in the affected sides than in the non-affected sides (p = 0.09).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cial index and the intercondylar axes angle (p < 0.01).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sseter muscle activity in maximum occlusion and facial index in the affected and non-affected sides (p < 0.05).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ubmentovertex radiograph and EMG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evalua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skeletal relations.

      • SCOPUSSCIEKCI등재

        안면비대칭 환자의 natural head position에 대한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연구

        김현,황현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5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 환자의 natural head position(NHP)시 정면에서의 두부 또는 경추의 경사 정도를 알아봄으로써 교정환자의 임상검사시 비대칭의 진단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두드러진 전후방 골격이상은 없으나 뚜렷한 좌우 안면비대칭을 보이는 성인 20명을 비대칭군으로, 좌우 대칭적인 외모와 비교적 정상교합을 보이는 성인 21명을 대칭군으로 선정한 다음 물방울 수평계를 이용하여 NHP상태의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고 투사도를 작성하였다. Crista galli와 anterior nasal spine을 연결한 선과 crista galli와 mention을 연결한 선이 이루는 각을 menton의 변위 정도로 정하고, 좌우 supra-orbital margin의 최상방점을 지나는 supra-orbital line과, 제1경추와 제4경추의 중심을 연결한 cervical line이 각각 true vertical line과 이루는 각을 계측한 다음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Supra-orbital line이 true vertical line과 이루는 각이 직각에서 벗어난 정도가 대칭군에 비하여 비대칭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2.Cervical line이 true vertical line과 이루는 각은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나 비대칭군에서 더 큰 경향을 보였다. 3.비대칭군에서 supra-orbital line이 true vertical line과 이루는 각이 직각에서 벗어난 정도는 menton의 변위 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안면비대칭 환자는 menton의 변위를 보상하려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NHP를 가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ontal natural head position(NHP) of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and to contribute to the diagnosis of focial asymmetry in the clinical examination of orthodontic patients. Twenty adult patients who had apparent facial asymmetry and no severe sagittal skeletal discrepancy were selected as the asymmetry group, and 21 young adults who had symmetric faces were selected as the symmetry group. Frontal cephalograms were obtained in the state of NHP using a pivot-mounted fluid level device. The degree of the mentors deviation was defined as the angle between the line drawn through crista galli and anterior nasal spine and the line drawn through crista galli and menton. The following angles were measured and each of them was compared with the degree of the mention deviation : one is the angle between the true vertical line and the supra-orbital line which is a tangent line to the extreme cranial point on the supra-orbital margin, and the other is the angle between the true vertical line and the cervical line drawn through the midpoint of atlas and the 4th cervical vertebra.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The angle between the supra-orbital line and the true vertical line was much more deviated from the right angle in the asymmetry group than in the symmetry group. 2.The angle between the cervical line and the true vertical line in the asymmetry group showed greater tendency than in the symmetry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In the asymmetry group, the degree of the menton devi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ngle between the supra-orbital line and the true vertical line.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facial asymmetry patients show the tendency to have the tilted NHP to compensate the deviation of menton 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