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학생의 시험불안, 국어교과효능감, 교사에 의한 학교 적응 및 국어교과학업성취도 간 관계 분석

        김가연,정재삼 한국교육공학회 2019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9 No.1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5차년도 자료 중 중학생 5,395명을 대상으로 시험불안을 긍정적 시험불안과 부정적 시험불안으로 나누어 국어교과효능감, 학교적응(교사) 및 국어교과학업성취도와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시험불안이 국어교과효능감에 정적으로, 부정적 시험불안은 국어교과효능감에 부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시험불안이 학교적응(교사)에 정적으로, 부정적 시험불안은 학교적응(교사)에 부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시험불안, 부정적 시험불안, 국어교과효능감 및 학교적응(교사)가 국어교과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긍정적 시험불안은 국어교과학업성취도에 정적으로, 부정적 시험불안은 국어교과학업성취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어교과효능감 및 학교적응(교사)의 영향력 또한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지나친 긴장감을 감소시키고 적절한 수준한 시험불안을 조절하고, 국어교과효능감 및 교사에 의한 학교적응을 증진하여 국어교과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전략을 고안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중학생의 시험불안이나 자기효능감과 같은 정서 요인은 교사와의 관계에서 밀접한 영향을 받으므로 학생들이 긍정적 지지감을 인지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험, 과제 등과 같은 특수상황에 적절한 긴장감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실제 상황과 유사한 환경에서 연습을 구현해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여고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과보호가 여고생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정규(韓正奎)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과보호가 인문계 고등학교 여학생의 시험불안의 두 국면인 시험준비불안과 시험도중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한 4개 인문계 고등학교의 여학생 1,2,3학년 568명을 대상으로 시험불안 척도(Anxiety Responses in Testing Scale: ARTS),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척도, 부모의 과보호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과보호는 여고생의 시험불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을 높게 지각하는 여고생들은 시험도중불안 보다 시험준비불안을 더 높게 지각했으며 특히, 시험준비불안의 하위 요인 중 인지를 가장 높게 지각했다. 셋째, 부모의 과보호를 높게 지각하는 여고생들은 시험준비불안 보다 시험도중불안을 높게 지각했으며 특히, 시험도중불안의 하위 요인 중 심체를 가장 높게 지각했다. 이러한 결과는 여고생들의 시험불안을 낮추기 위해서는 부모의 학습관여 형태와 여고생들의 시험불안 시기 및 원인에 대한 탐색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즉, 부모의 학습관여 형태가 성취압력의 형태가 아니라 여고생들이 자율적으로 학습계획과 목표를 수립할 수 있도록 민주적인 학습관여가 필요하며, 시험도중과 시험준비 상황에 따라 인지적 요소와 심체적 요소를 여고생들이 다르게 지각하므로 부모의 양육태도를 고려한 시험불안 감소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개입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overprotective attitudes on two contexts, test-preparation and test-taking, in the test anxiety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568 high school female students 1st grade through 3rd recruited from four high schools in Busan, Korea.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ARTS(Anxiety Responses in Testing Scale)’, ‘The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Scale’, ‘The Overprotection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correlational analysis showed that both of the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the overprotec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test anxiety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Second, th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influenced on test-preparation anxiety more than test-taking anxiety. Particularly, high school female perceived highly cognition which is a sub-factor of the test-preparation anxiety. Third, the parents’ overprotection influenced on test-taking anxiety more than test-preparation. Particularly, high school female felt highly somatic symptoms which is a sub-factor of the test-taking anxiety. Late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청소년의 시험불안 감소에 관한 연구

        임지혜,Rim, Jee Hye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9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the Song Psychotherapy Program in decreasing test anxiety in adolescent students. For this study, twelve sessions were conducted in five stages for four 14-year-old middle school students at D Middle School on Daejeon.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Song Psychotherapy Program, the researcher compared the results of Test Anxiety Inventory of Korea (TAI-K)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earcher also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participants' verbal responses and answers to repeated questionnaires to find out what participants experienced in Song Psycho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comparison of test anxiety scores prior to and following the program showed an average decrease from 91.75 to 60.5. Second, the subjects reported a positive musical experience in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s described above show that the Song Psychotherapy Programis effective in decreasing test anxiety levels and general examination stress in adolescent students. 본 연구는 시험불안을 경험하는 청소년들의 시험불안 감소를 위해 주 2회 50분씩 총 12회기의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시험불안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대전 소재 D중학교에 재학 중인 4명의 중학생을 선별하여 척도 검사에 의한 양적연구방법과 내용 분석을 통한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시험불안 척도(TAI-K) 검사를 실시하여 양적 분석을, 대상자들의 회기별 노래 자료에 대한 언어적 반응을 3회에 걸쳐 반복 실시한 질문지를 정리하여 질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시험불안은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회 반복 실시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대상자들의 기술을 비교 분석한 결과, 노래심리치료는 시험불안 청소년의 불안, 걱정, 긴장감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노래심리치료는 시험불안과 연관이 있는 학업에 대한 부담감이나 스트레스 해소에도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노래심리치료는 청소년의 시험불안 감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중재이며, 시험불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의 감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험불안으로 인한 인지적, 정서적인 문제를 호소하는 시험불안 청소년에게 노래를 통한 치료적 중재가 시험불안을 감소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후보

        여자 고등학생의 시험불안에 영향을 주는 인지특성에 관한 연구

        강이순,김명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5 청소년상담연구 Vol.13 No.2

        This study postulated and testified that irrational belief and self-efficacy interact and influence test anxiety. The subjects were 492 female students, who attend high school. Test anxiety scale, irrational belief scale, and self-efficacy scale were administered to them. The used statistics methods were frequency analysis, simple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st anxie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erfectionism, anxious overcern, catastrophization, and attention getting. And especially perfectionism was sicgnificantly more correlated with test anxiety. Second, it testified the validity and fitness of the cognition and efficacy model on test anxiety. Irrational belief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test anxiety and especially perfectionism, anxious overcern, catastrophization, and attention getting of them influence the test anxiety more significntly. Self-efficacy did not influence the test anxiety directly, but it correlated with irrational beliefs, therefore self-efficacy lessens the test anxiety indirectly. In order to make more effective counseling programs for test anxiety, irrational beliefs, such as perfectionism, anxious overcern, catastrophization, and attention getting, should be coped with approately and included as main program components, and various strategies and programs for enhancing self-efficacy should be developed. The limits and meanings of this study and future tasks for korean adolescents' test anxiety were disscussed. 본 연구는 시험불안에 대한 사회학습 모형과 거래과정 모형, 그리고 주요 선행 연구결과들을 적용해 고등학교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지각된 자기효능감의 시험불안에 대한 영향력을 비교 및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 492명을 대상으로 시험불안, 비합리적 사고, 자기효능감 검사 등을 실시했다. 본 연구모형은 비합리적 신념과 지각된 자기효능감이 부적으로 상호작용해 시험불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정되 었고, 모형의 적합도를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을 통해 검증했다. 연구결과 첫째, 단순상관 분석 에서 비합리적 신념 중 완벽성, 과잉불안, 파국화, 인정욕구 등이 시험불안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지각된 자기효능감은 비합리적 신념 중 문제회피, 파국화, 과잉불안, 무기력, 완벽성, 시험불안과 유의한 부적 상 관이 있었다. 둘째, 본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비합리적 신념은 시험불안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특 히 완벽성, 과잉불안, 파국화, 인정욕구 등의 비합리적 신념이 시험불안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지각된 자기효능감은 시험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비합리적 신념과 유의한 부적 상관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각된 자기효능감이 간접적으로 시험불안을 감소시킬 것이 추론되었다. 본 연구결과 향후 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비합리적 신념들 중 완벽성, 과잉 불안, 파국화, 인정욕구 등에 대한 적절한 논박과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포함되어야 할 필요성 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효과

        황성옥 ( Sung Ok Hwang ),박성현 ( Sung Hyun Park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0 동서정신과학 Vol.13 No.2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중학생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에 10명, 통제집단에 10명을 무선 할당하였다. 수용전념프로그램의 사전-사후 집단별 시험불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수용행동 검사(AAQ), 자동적 사고 부정형(ATQ-N) 검사, 시험불안(K-TAI) 검사, 시험대처행동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용전념프로그램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종속변인에는 시험불안과 관련하여 과정요인(수용행동, 자동적 사고-부정형)과 결과요인(시험불안, 시험대처행동)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통계프로그램은 SPSS 12.0의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이다. 분석 결과, 수용전념프로그램의 처치를 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시험불안 과정요인인 수용행동은 증가하고, 자동적 사고-부정형은 감소하였다. 또한 시험불안 결과요인인 시험불안은 감소한 반면, 시험대처행동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수용행동> 시험불안> 자동적 사고-부정형> 시험대처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수용전념치료(ACT)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시험불안을 감소시키고 적절한 시험대처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the ACT(acceptance-commitment therapy) on the test-anxiet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20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as control and treatment group. To explore the changes between pre and post test anxiety of each group. AAQ, ATQ-N, K-TAI and Test Coping Behavior Scale were used. ACT program was independent variable. Process factor(acceptance and action,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outcome factor(test anxiety and test) which was relevant with test anxiety wer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group. The treatment group which experienced ACT had efficacy in alleviating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increasing acceptance behavior. Second, the test -anxiety was reduced, but the test-coping behavior was increased. Third, the effect size of ACT program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are as follows; acceptance behavior>test-anxiety>negative automatic thought>test-coping behavior. In conclusion, it is supposed that ACT have positive effects on reduci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test-anxiety and increasing appropriate test-coping behavior.

      • KCI등재

        청소년의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환경적 변인

        성종호,이영식,이길홍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3

        연구목적: 시험 불안의 인지적, 감정적 두 요소와 상호 관련이 있으리라 예상되는 수험생들의 개인적 변인과 수험생들을 둘러싼 환경적 변인간의 상호 관련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개인적 변인으로는 성별, 나이, 학업 성적, 지능(I.Q), 심리 상태(자존심, 강박 성향, 일반적 불안 성향, 사회적 인정 욕구)이며, 환경적 변인으로는 수험생의 거주 지역, 학교 특성(인문계/실업계), 부모의 학력, 직업, 경제 상태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시험 불안의 인지적, 감정적 두 요소가 명확히 구분되는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고, 시험 불안이란 시험에 국한된 특수 불안인지 아니면 일반적 불안의 한 단면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 시내의 강남과 강북에 소재한 남·녀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실업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8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 도구는 Spielberger의 시험 불안 목록(Test Anxiety Inventory), 심리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Rosenberg의 자존심 척도(Self-Esteem Scale), Hodgson과 Rachman의 Maudsley Obessive-Compulsive Inventory, 이영식과 이철원의 한국형 소아 공포-불안 주제 목록, Ellis의 비합리적 신념(Irrational Belief)중 사회적 인정 욕구(Demand for Approval)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 과: 1) 시험불안의 감정적 요소, 인지적 요소, 총점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2) 시험불안은 인문계와 실업계간, 강남과 강북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시험불안은 중학교 1학년이 2학년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고교 1학년과 2학년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시험불안은 자존심 척도, 지능지수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강박 장애 척도, 사회적 인정 욕구 척도, 소아불안 척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소아 불안 척도와 가장 큰 상관 관계를 보였다. 5) 시험 불안의 인지적 요소, 감정적 요소, 총점 모두는 어머니의 학력과는 의미 있는 관계를 보였고, 경계 상태와는 시험 불안의 감정적 요소가 의미있는 관계를 보였다. 6) 시험 불안의 인지적 요소와 학업 성적 사이에는 의미있는 관계를 보였다. 결 론: 상기 결과들을 종합하여 본다면, 첫째, 시험 불안의 인지적 요소, 감정적 요소가 청소년의 심리적 요소, 환경적 요소에 따라 명확히 구분되는 것이 아니지만, 학업 성취 면에서는 인지적 요소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둘째, 시험 불안은 시험이라는 특정한 상황에서 발생한다고 하지만 개인의 전반적인 심리적 상황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특성 불안의 요소를 가자고 있으며, 소아, 청소년에서 나타나는 불안 장애의 일종이라고 정의 내릴 수가 있다. 셋째, 시험 불안의 인지적 요소만이 청소년의 학업 능력과 상관관계를 보이며, 인지적 요소와 감정적 요소 모두는 심리적 요인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넷째, 청소년의 환경적 변인 중 어머니의 학력이 시험 불안에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것은 어머니가 자녀를 통해 보상을 받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자녀의 심리 상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 외의 환경적 변인은 큰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individual, socioenvironmental factors in adolescents. Also, this study assessed whether two components, worry and emotionality, of test anxiety were distinctly distinguished or not, and whether test anxiety was specific state anxiety limited to test situation or a part of general trait anxiety.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8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o evaluate test anxiety level, we used Spielberg's Test Anxiety Inventory. For the evaluation of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Rosenberg's self-esteem scale, Maudsley's Obsessive-Compulsive Inventory, Lee's the Korean version of Fear-Anxiety Survey Schedule for Children, and Ellis' Demand for Approval scale were applied.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est anxiety level was higher in girls,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offspring's of high school graduate mother, and high economic clas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graduate mother, and high economic clas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characteristics and residence location. 2) Test anxiety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self-esteem, I.Q. and correlated positively with obsessive-compulsiveness, demand for approveness, especially general fear-anxiety(r=0.47). So although test anxiety occurs in test situation, test anxiety is a part of general trait anxiety affected by individual psychologic factors. 3) The better school achievement subjects showed the lower worry component of test anxiety. 4) Two components, worry and emotionality, of test anxiety were not distinctly distinguished in this study. Conclusion : In summary, first, Worry and Emotionality of test anxiety were not markedly different from according to adolescent's psychological factor, sociodemographic factor but performance achievement was significantlycorrelated with Worry of test anxiety. Second, although test anxiety was occurred in specific situations as test, test anxiety was affected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 so defined by a series of anxiety disorder. Third, only Worry of test anxiety was correlated with performance achievement and Worry and Emotionality were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factor. Forth, mother's education leve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est anxiety, this means that mother has the wish to compensate the her inferiority through her offspring and mother strongly affect to adolescent's psychological state.

      • KCI등재

        명상상담을 활용한 수험생의 ‘시험불안’ 치유 경험 : 내러티브 탐구 사례

        이성권 ( Lee Seong-kw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3

        본 연구는 수험생의 시험불안을 주제로 한 명상상담의 전개과정을 내러티브 연구 사례로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는 명상상담의 분야에서나 내러티브 연구에서 시험불안을 주제로 다룬 첫 시도로서 의미있는 작업으로 볼 수 있다. 기존의 시험불안 연구는 양적 통계 작업으로 이뤄졌으나 그 이면에 간과 될 수밖에 없었던 시험불안의 경험내용, 그 의미, 변화 과정의 경험, 치유 경험 등을 ‘자서전’이라는 수험생의 사례를 통하여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자서전’과 나는 시험불안 경험을 함께 이해하고 공유하면서 새로운 내러티브를 구성해낼 수 있었고 그에 따른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야기하기’, ‘다시 이야기하기’, ‘다시 살아내기’의 내러티브 단계적 서술을 통하여 시험불안 경험의 다층적 의미와 중요성을 검토하고 성찰할 수 있었다. 첫째, ‘자서전’의 시험불안 경험의 의미를 ‘심리적 맥락’, ‘가정환경적 맥락’, ‘사회 의미적 맥락’의 세 각도에서 조명하였다. 둘째, ‘자서전’의 시험불안은 세 가지 점에서 변화의 과정을 보여주었다. 치유의 요인으로는 ‘공감과 직면’, ‘호흡명상과 영상관법’ ‘이야기의 힘’ 등을 제시하였다. ‘자서전’의 시험불안은 결코 일시적이고 우연한 증상이 아니라 그의 오래도록 억압된 정서의 표출이었으며 과도한 학업성취에 대한 압박의 상징적 코드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시험불안은 학력, 학벌 중심적 한국 사회에서 사회불안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개인의 삶의 행복을 예고해주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시험불안의 질적 연구가 구체화되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아울러 명상상담을 통한 시험불안의 효과적인 치유적 기제들이 더욱 개발되고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resent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ditation counseling on the anxieties of test-taking students through narrative analysis. The study has its implications in being the first study to explore anxiety induced by taking tests in the fields of meditation counseling or experiments utilizing narrative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verse personal experiences occurring from test-taking anxieties, its meaning, experiences coming from processes of change, and healing experiences the current research studies the experiences of the test-taking student ‘jaseojeon’ as an example. Such efforts have its meaning in its endeavors to attend to critical information that could be overlooked when having utilized Quantitative statistical method. Through the process of sharing and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anxiety in test-taking situations ‘jaseojeon’ and the researcher could build a new narrative. The new narrative was built on the phased narrative descriptions on on ‘Storytelling’, ‘Re-Storytelling’, and ‘Living Again’. These phased narrative descriptions allowed the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ive meanings to test-taking anxieties and its importance. First, the study observed the test-taking experience of ‘'jaseojeon'’ in the perspectives of the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al’, and ‘social’. Second, the test-taking anxiety of ‘jaseojeon’ showed procedural change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Therapeutic factors such as ‘Empathy and Confrontation’, ‘Respiration Meditation and Image-based Mindfulness Meditation’, and ‘the Power of Storytelling’ are explained. As a result, the test-taking anxiety of ‘jaseojeon’ was reported of having been an expression of emotion repressed through great lengths of time rather than being a momentary or coincidental experience. Such repressed emotion can be observed as the symbolic experience of what effects excessive goals to academic achievement can bring. Not only does test-taking anxieties of students have socially anxious characteristics in Korea where academic ability is of importance, they also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anticipating the respective students’ happiness. Future work on the qualitative research of test-taking anxiety is deemed necessary in order to explore and develop effective therapeutic mechanisms to treating test-taking anxiety using meditation counseling.

      • KCI등재

        인문계 고등학생의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미희,유형근,신효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3

        The research seeks to prov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test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To do this, the research examined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est anxiety and constituent factors of anxiety responses in testing scale, and selected 6 test anxiety subfactors based on common elements. Based on these constituent factors, the research formed 11 session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test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To verify hypothesis, the research selected 22 1st grader students, whose having a high test anxiet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1 students were i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other 11 students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test tool was 'Anxiety Responses in Testing Scale' of Park Byeong-gi, Im Sin-il, Kim Eo-jin(2008). For the data processing, 'Mixed ANOVA' was used to analyze statistical results. To complement the limits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analysis of students' experience reports and counselor's observations was also presented. Results showed that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test anxiety had positive impact on a test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시험불안에 대한 선행 연구결과와 시험불안 검사에 포함된 시험불안 하위영역을 검토하여 공통요소를 토대로 6개의 시험불안 하위영역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인문계 고등학생의 시험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11회기의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B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267명 가운데 시험불안 점수가 M+1SD(142.96+36.50), 즉 179.46 이상인 학생 46명 가운데 집단상담에 참여를 원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1명과 통제집단 11명을 구성하여 실험집단의 학생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박병기, 임신일, 김어진(2008)에 의해 재개념화된 시험불안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했으며, 양적 결과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회기별 경험 보고서와 상담일지를 통한 상담자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인문계 고등학생의 시험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과의 관계

        이유미(Youmee Lee),정주리(Juri Joeng)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이 연구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간의 관계, 성별과 계열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 성별, 계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G광역시 3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51명을 대상으로 지필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시험불안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자신감은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걱정과 정서 모두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자기조절 효능감은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걱정과 부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서 성별과 계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신감을 보였고,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정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연계열의 학생들이 인문계열의 학생들보다 전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과 계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기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자신감만이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걱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정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신감이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첫째, 성별과 계열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서 차이를 발견함으로써 각 집단에 따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시험불안을 낮추기 위해 상이한 개입방법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시험불안의 하위요인들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고등학생의 시험불안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에 대처하기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어떤 하위요인에 개입해야 할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시험불안을 낮추기 위해 자신감을 높이고, 자신의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난이도의 과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격려해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with a sample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ir’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level. A total of 515 surveys were analyzed (189 men, 362 women). A correlation analysis, t-tes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date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by gender (men vs. women) and maj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s. sciences and engineer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was negatively related to test anxiet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by gender and major. Specifically, 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levels of the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s and self-confidence subfa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than female students did. In addition, students majoring in sciences and engineering reported higher level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s subfactor than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did. Only the self-confidence subfactor of academic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worry subfactor of test anxiety. Furthermore, the self-confidence and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s subfa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emotion subfactor of test anxiety. The implications for teachers, school counselors, and resear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탄력성과 부모학습관여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강선모,심혜숙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resilience and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on the test anxiety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34 students who were in the fifth or sixth grade in a elementary school in Busan. The test tools were Anxious Responses in Testing Scale, Resilience, and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using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ings: First, both of resilience and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influence on test anxiety. However, the influence of resilience was higher than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on the test anxiety. Second, the resilience and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influence on test-preparation anxiety more than test-taking anxiety, particularly, resilience and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relatively relate to the emotionality factors of both test-preparation anxiety and test-taking anxiet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reduce test-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ir resilience and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탄력성 및 부모학습관여가 시험불안의 두 국면인 시험준비불안과 시험도중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3개 초등학교 5, 6학년 534명을 대상으로 시험불안, 탄력성, 부모학습관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탄력성과 부모학습관여는 시험준비불안과 시험도중불안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부모학습관여보다는 탄력성이 시험준비불안과 시험도중불안 모두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둘째, 탄력성과 부모학습관여는 시험도중불안보다 시험준비불안에 대해 더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시험도중불안과 시험준비불안 모두에 있어서 하위요인들 중 정의적 요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들의 시험불안을 줄이기 위한 개입을 할 때 탄력성과 부모학습관여가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부모의 학습관여형태로 주로 연구되었던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시험불안과 정적상관이 있었음을 고려할 때, 부모학습관여가 성취압력의 형태가 아니라 민주적이고, 자율적으로 목표와 규칙을 마련하도록 돕고, 학업정보를 제공하며, 공부하기 싫은 마음과 노력하는 마음을 헤아려주고, 더 알맞은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적극적인 학습관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탄력성과 부모학습관여는 시험도중불안보다 시험준비불안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시험준비불안이 높은 아이들의 탄력성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부모의 적극적 학습관여를 고려한 개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시험 불안의 정의적 요소와 인지적 요소 중 무엇이 높은가에 따라 시험불안 감소 훈련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시험불안의 정의적 요소가 높은 경우 탄력성과 부모의 학습관여에 대한 고려가 더욱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에 따라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