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채종박과 밀기울에 대한 오리의 분과 회장 소화율 비교

        김지혁(Ji-Hyuk Kim),강환구(Hwan-Gu Kang),방한태(Han-Tae Bang),황보종(Jong Hwangbo),최희철(Hee-Cheol Choi),김동욱(Dong-Wook Kim),홍의철(Eui-Chul Hong) 한국가금학회 2015 韓國家禽學會誌 Vol.42 No.1

        & & 본 시험은 밀기울과 채종박에 대한 육용오리(Pekin종, 평균체중 3.4 kg)의 소화율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6주령 육용오리 90수를 선별하여 대사케이지에서 1주간 사육하며 소화시험을 수행하였고, 시험사료는 밀기울과 채종박을 이용하였다. 시험설계는 사료원료에 따른 3처리구, 처리구당 6반복, 반복당 5수씩을 완전임의 배치하여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이 끝난 후 분과 회장에서 소화율 측정용 시료를 채취하였다. 처리구와 시료 채취 부위에 따른 일반 성분의 소화율은 조단백질과 조지방을 제외한 성분들에서 기초사료의 분 소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채종박의 회장 소화율이 낮게 나타났다(P<0.01). 처리구 간 비교에서 기초 사료의 소화율이 가장 높았고, 밀기울의 소화율이 가장 낮았다(P<0.05). 분과 회장 소화율의 비교에서도 조단백질과 조지방에서는 회장 소화율이 분의 소화율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P<0.01). 처리구와 시료 채취 부위에 따른 아미노산의 소화율은 기초사료의 분 소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채종박의 회장 소화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1). 처리구간 비교에서는 필수 아미노산 중 iso-leucine, leucine 및 phenylalanine, 비필수 아미노산 중 alanine, glycine 및 tyrosine은 대조구와 밀기울 급여구, 밀기울과 채종박 급여구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들 아미노산의 소화율은 대조구가 채종박 급여구에 비해 높았다(P<0.05). 다른 아미노산들은 처리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오리에 의한 밀기울과 채종박의 소화율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들은 오리 사료의 최적 배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feces and ileal digestibility of canola meal and wheat bran in ducks. Ninety Pekin ducks (6-week-old, average 3.4 kg) were divided into three treatments (6 replications/treatment, 5 birds/replication) by feedstuffs (basal diet, canola meal, and wheat bran) and were fed on these diets in individual metabolic cages for one week. After one week, the samples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feces and ileum. On comparison of treatments and collected sites, the feces digestibility of basal diet was the highest among treatments on chemical compositions except crude protein and crude fat and ileal digestibility of canola meal was the lowest (P<0.01). On comparison of treatments, the digestibility of basal diet was higher and that of wheat bran was lower when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0.05). The feces digestibility was lower than the ileal digestibility in crude protein (P<0.05) and crude fat (P<0.01). The digestibility of amino acid was the highest at feces of control group among treatments (P<0.0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terms of digestibility of isoleucine, leucine and phenylalanine among essential amino acids, and alanine, glycine and tyrosine among non-essential amino acids between control and wheat bran, and wheat bran and canola meal. However amino acid digestibility was higher in control group when compared to canola meal group (P<0.05). Other amino acid digestibil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 by treatments. These results may provide the basic data on amino acid digestibility of ducks to evaluate feedstuffs and to formulate optimum diet for commercial Pekin duck.

      • KCI등재

        비글견의 BCS별 필수 미네랄의 외관상 전장 소화율 평가

        서강민,조현우,이민영,천주란,김기현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7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mineral digestibility between overweight and normal weight beagle dogs. A total of 11 healthy neutered beagle dogs (47.7±0.14 month-age old) were divided into the Normal BCS Group (BCS≤5, n=5) andthe High BCS Group (BCS ≥6, n=6) based on their body condition scores (BCS). The experimental diet was manufactured to meetthe nutrient requirements and supplied to dog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energy requirement amount twice a day for 14 days. The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minerals was evaluated as an indicator method using 0.5% chromium oxide (Cr2O3). The contentsof macro- (K, Mg, P, Na, Ca) and micro-minerals (Se, Fe, Zn, Cu, Mn) in diet and feces were analyzed using an inductively coupledplasma spectrophotometer. Body weight and BC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 BCS group than in the Normal BCS group(p<0.01),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weight and BCS within same group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p>0.05). As a result of evaluating mineral digestibility, the digestibility of magnesium, phosphorus, and calcium among macro mineralstended to be high in the High BCS group (p<0.1). And the digestibility of manganese among micro minerals was significantly higherin the High BCS group (p<0.05), and the digestibility of selenium and zinc showed a high tendency (p<0.1). In addition, regardless of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High BCS group showed a higher digestibility than the Normal BCS group in overall minerals analyzed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overweight or obesity has the potential to induce changes in mineral digestibilityin beagle dogs. 본 연구는 과체중과 정상체중의 비글견 사이에서 미네랄 소화율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중성화 된 건강한 비글견 11마리(47.7개월령±0.14)의 Body condition score (BCS)를 기준으로 Normal BCS 그룹(BCS≤5, n=5)과 High BCS 그룹(BCS ≥6, n=6)의 두 그룹에 배치하였다. 시험사료는 반려견의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하도록 제조하여 개체 별 에너지요구량에 맞춰 일일 2회에 나누어 14일 동안 급여하였다. 미네랄의외관상 전장 소화율은 0.5% 산화크롬(Cr2O3)을 이용한 지시제법을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사료와 분변 내 Macro 미네랄(K, Mg, P, Na, Ca)과Micro 미네랄(Se, Fe, Zn, Cu, Mn)의 함량은 유도결합플라즈마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체중과 BCS는 Normal BCS 그룹 보다High BCS 그룹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시험기간 동안 두 그룹 내 각각의 체중과 BCS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미네랄 소화율을 평가한 결과, Macro 미네랄 중에서는 마그네슘, 인, 칼슘의 소화율이 High BCS 그룹에서 높은 경향으로 관찰되었으며(p<0.1),Micro 미네랄 중에서는 High BCS 그룹에서 망간의 소화율이 유의하게 높았고(p<0.05), 셀레늄과 아연의 소화율은 높은 경향(p<0.1)을 나타내었다. 또한, 통계적인 유의성과 관계없이 분석한 모든 미네랄 지표에서 High BCS 그룹이 Normal BCS 그룹보다 높은 소화율의 결과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글견에서 과체중 또는 비만이 미네랄 소화율의 변화를 유도할 잠재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동애등에 번데기의 영양소 및 브로일러에 대한 소화율

        박병성,박상오,최영철,박관호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0

        동애등에 번데기의 일반조성분을 측정한 결과, 수분 10.01%, 조단백질 57.02%, 조지방 25.71%, 조회분 4.88%, 조섬유 1.31%, 가용무질소물 1.08%로 나타났다. 총에너지(Gross energy, GE) 5,524 kcal/g, 가소화에너지(Digestible energy, DE) 5,317 kcal/g, 대사에너지(Metabolizable energy, ME) 5,097 kcal/g, 칼슘 3.18%, 인 0.67%, 철분 812 mg/kg, 구리 41 mg/kg, 아연 198 mg/kg, 필수아미노산 14.83%, 비필수아미노산 18.01% 포화지방산 68.00%, 불포화지방산 32.00%, 콜레스테롤 101.5 mg/100g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로일러에 대한 소화율을 측정한 결 과, 건물 94.35%, 조단백질 98.30%, 조지방 97.66%, 조회분 97.01%, 조섬유 88.67%, 가용무질소물 97.77%로 나타났다. 총 에너지 소화율 96.27%, 가소화에 너지 소화율 95.87%, 미네랄 소화율 (칼슘 90.18%, 인 88.97%), 아미노산 소화율 (필수아미노산 94.08%, 비필수아미노산 94.171%), 지방산 소화율 (포화지방산 91.28%, 불포화지방산 95.77%)로써 매우 높은 이용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동애등에의 번데기는 사료영양학적 가치가 매우 높으며 특히 브로일러에 대한 우수한 사료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육성돈 사료내 건조 맥주박의 첨가수준에 따른 옥수수-대두박 대체급여가 생산성과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유종상(Yoo, Jong-Sang),김인호(Kim, In-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9 No.2

        본 시험은 육성돈 사료내 건조 맥주박의 급여가 생산성과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동물은 3원 교잡종(Landrace × Yorkshire×Duroc) 육성돈 48두를 공시하여 42일간 실시하였으며 개시 체중은 19.3 ㎏ 이었다. 시험설계는 1) CON (basal diet), 2) BDG5 (basal diet + 5 % brewer’s dried grain) 및 3) BDG10 (basal diet + 10 % brewer’s dried grain)로 3처리로 하여 처리당 8반복 반복당 2마리씩 완전임의배치 하였다. 건조 맥주박의 급여가 육성돈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일당중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양소 소화율 중 건물 소화율에 있어서 BDG5 처리구가 CON과 BDG10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BDG10 처리구가 CON과 BDG5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BDG5 처리구가 CON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에너지 소화율에서는 BDG5 처리구가 CON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육성돈 사료내 건조 맥주박의 급여는 성장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영양소 소화율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brewer’s dried grain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digestibility in growing pigs. A total of forty-eight pigs (19.3 ㎏, average initial body weight) were used during 42 days. Dietary treatments included: 1) CON (basal diet), 2) BDG5 (basal diet + 5 % brewer’s dried grain) and 3) BDG10 (basal diet + 10 % brewer’s dried grain). Each treatment had 8 replicates of 2 pigs per pen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Growth performance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s. However, in nutrient digestibility, OM digestibility was higher in BDG5 treatment than CON and BDG10 treatments. Nitrogen digestibility was the highest in BDG10 treatment and among another treatments, also, BDG5 treatment was higher than CON treatment. And, energy digestibility was higher in BDG5 treatment than CON treatment. In conclusion, dietary brewer’s dried grain supplementation is not reduced on growth performance and improved on nutrient digestibility.

      • KCI등재

        체외 소화과정 동안 Gastric lipase의 첨가가 반려견 사료의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서강민,조현우,김기현,이민영,전중환,김찬호,임세진,정소희,양가영,천주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7 No.3

        본 연구는 위장 단계의 소화과정에 관여하는 Gastric lipase (GL)를 반려견을 위한 정적 체외 소화모델(Static in vitro digestion model)에 적용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GL의 첨가가 체외 소화과정 동안 건물(Dry matter; DM), 조단백질(Crude protein; CP) 그리고 조지방(Ether extracts; EE)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GL은 위장 소화단계에서 첨가되었다. 위장(39℃, 2 hr.)과 소장(39℃, 4 hr.) 소화 후에 비소화 분획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실험사료와 분리된 비소화 분획에서 DM, CP 그리고 EE 수준을 측정하고 각각의 소화율을 계산하였다. 위장과 소장 소화단계에서 측정된 DM, CP 그리고 EE 소화율은 Control과 GL 그룹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결과적으로 우리의 체외 소화모델에서 GL의 첨가는 DM, CP 그리고 EE의 소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는 정적 체외 소화모델을 이용한 소화율의 평가에 있어서 GL의 역할은 다소 제한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effect of gastric lipase (GL) on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and ether extracts (EE) was investigated during in vitro digestion as a process to optimize the condition of a static in vitro digestion model for dogs. GL was added during the gastric phase of in vitro digestion. After gastric (39℃, 2 hr.) and intestinal (39℃, 4 hr.) digestion phases, the non-digested fraction was collected from the final reactant DM, CP, and EE levels in the non-digestible fraction were analyzed and those of the digestibility was calculated. DM, CP and EE digestibility at gastric and intestinal digestion phas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GL groups (p>0.05). As a result, in the static in vitro digestion model, the addition of GL did not affect the digestibility of DM, CP and EE.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ole of GL in the evaluation of digestibility of dog`s food using a static in vitro digestion model are limited.

      • KCI등재

        TDN/CP 비율에 의한 영양소 공급이 젖소 육성우의 영양소 섭취량, 소화율, 반추위 발효 및 혈액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겸헌,김현진,황원욱,김수기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5

        본 연구는 국내 실정에 맞는 적정 TDN/CP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4.6:1(T1)과 4.3:1(T2)의 비율로 생후 13개월령 육성우에게 급여하여 영양소 섭취량, 소화율, 반추 위액 특성 및 혈액조성에 대하여 조 사하였다. 건물 섭취량은 9.0kg/day로 동일하였으며, 조단백질 섭취량은 T1이 1.34kg/day, T2가 1.45kg/day로 T2가 조금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섬유소 섭취량과 소화율은 T1이 조금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 섭취 후 4시간째 위액의 pH, ammonia-N, VFA 농도 를 비교한 결과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반적인 VFA 수치는 TDN/CP 비율에 따 라 큰 영향이 없었으나 T1 처리구에서 iso-butyrate, iso-valerate 및 A/P ratio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혈액 특성에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DN/CP 비율이 4.3:1과 4.6:1 수준은 반추위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소화율과 비교하였을 때 생후 13개월 령 육성우 시기에는 섬유소 섭취량과 소화율이 증가되는 4.6:1 수준이 보다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proper management and nutrient supply for raising replacement heifers to improve lactating performance. In order to determine a proper TDN/CP ratio that would be suitable for domestic use, 13-month-old replacement heifers were fed in the ratios of 4.6:1(T1) and 4.3:1(T2), respectively, to examine the changes in nutritional intake, digestibility, characteristics of rumen fluid and blood compositions. While dry matter intake was same at 9.0kg/day, CP intak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ough T2(1.45kg/day) was slightly higher than T1(1.34kg/day). In fiber intake and digestibility, two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ough T1 was slightly higher than T2. The pH, NH3-N and VFA densities in rumen fluid examined at the fourth hour after feed intak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either. Overall level of VFA was not influenced largely by the TDN/CP ratio, but the iso-butyrate and iso-valerate levels and the A/P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 in T1(p<0.05). In blood characteristics, the treatm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TDN/CP ratios of 4.3:1 and 4.6:1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minant stomach, but in comparison with digestibility of 13-month-old heifers, the ratio of 4.6:1 was more appropriate for increased intake of fiber and higher digestibility.

      • KCI등재

        복합효소제 첨가 및 고체상태 발효가 채종박의 in vitro 소화율및 단쇄지방산 생성에 미치는 효과

        구성민,이에스더,전현수,이수협,장재철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8 No.1

        본 실험에서는 외인성 효소 첨가제 및 혼합 세균 배양을 통한 고상발효(Solid-state fermentation, SSF)가 채종박(Rapeseed meal, RSM)의체외건물소화율(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및 단쇄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외인성 효소 칵테일(첨가 및 미첨가) 및 RSM에 대한 SSF(발효 및 비발효)를 나타내는 2 x 2 요인 설계가 적용되었다. 3-step 돼지 소화율 모델을적용하여 채종박의 건물 소화율을 분석하였으며, 72시간 대장발효 후 상층액을 수집하여 단쇄지방산 생성량을 분석한 후 칼로리 단위로 변환하여가소화에너지 소화율을 분석하였다. 소장 (IVDMDh) 및 전장 (IVDMDt) 건물소화율에서는 고상발효된 채종박이 더 높게 나타났다 (각각 p <0.01). 마찬가지로, 외인성 효소 첨가제 처리구에서 채종박의 소장 소화율(IVDMDh)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 = 0.06). Acetic acid 및butyric acid의 생산은 대조구에 비해 고상발효 처리 시 유의하게 더 생산되었으며 (각각 p < 0.01), 이는 총 단쇄지방산의 생산 증가 경향을나타냈다(p = 0.09). 에너지 소화율에서는 채종박의 고상발효 및 외인성 효소제 첨가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p < 0.01). 그러므로 채종박의고상발효 처리는 단백질 이용성을 비롯한 영양적 가치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ogenous enzyme supplementation and solid-state fermentation (SSF)with a mixed bacterial culture on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and short chain fatty acid (SCFA) production of rapeseedmeal (RSM). A two-factor factorial design was applied indicating 1) exogenous enzyme cocktail (supplemented and non-supplemented),2) SSF (fermented and non-fermented) applied to RSM in vitro. After 48 hours at 37°C of SSF process, fermented RSM was collectedand hydrolyzed in two steps using pepsin and pancreatin to calculate IVDMD. In the following step, the hydrolyzed residues were filtered,dried, and pooled before being incubated in a mineral-buffered solution with fresh feces. Upon filtering fermentation residues, SCFA concentrations in the supernatant were determined and residues were determined for total tract IVDMD. The IVDMD from simulatedgastric and small intestinal hydrolysis (IVDMDh), and total tract IVDMD (IVDMDt) were greater for SSF in RSM (p < 0.01, respectively). Similarly, there was a trend for increasing IVDMDh for Multi-Enz in RSM (p = 0.06). Production of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weregreater for SSF (p < 0.01, respectively) compared with non-SSF in RSM. SSF of RSM tended to increase total SCFA production (p= 0.09). In vitro digestibility of gross energy digestibility (IVDGE), and calculation of gross energy based on IVDGE were was greaterin both SSF (p <0.01), and Multi-Enz (p <0.01),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SF enhances protein quality, which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IVDMD and IVDGE.

      • KCI등재

        Expanding 사료 가공 기술이 산란계의 계란 품질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효과

        유종상,채수진,박송이,장해동,석호봉,김인호,김용철,Yoo J.S.,Chae S.J.,Park S.E.,Jang H.D.,Seok H.B.,Kim I.H.,Kim Y.C. 한국가금학회 2006 韓國家禽學會誌 Vol.33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anding feed processing technologies on the egg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laying hens. A total of two hundred seventy laying hen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ree treatments with fifteen replications for six weeks. Dietary treatments include 1) MS(mash), 2) EC(expanded crumble) and 3) EP(expanded pellet). In the egg production, the EC and EP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S treatment(p<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ed in egg weight(p>0.05). Egg shell breaking was increased in EC and EP treatments compared with MS treatment(p<0.05), however, egg shall thickne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p>0.05). Egg production and egg shell break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C and EP treatments than MS treatment(p<0.05), but egg weight and egg shell thickness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treatment(p<0.05). Yolk color was increased in EC treatment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p<0.05). Also, yolk index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EC and EP treatments compared with MS treatment(p<0.05). Haugh unit was increased in EC treatment compared with MS treatment(p<0.05). EC treatment had improved DM, Ca and P digestibility. In conclusion, Expanded crumble and pellet processing could improve the egg characteristic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laying hens. 본 시험은 expanding 가공 기술이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과 영양소 소화율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49주령 Hy-line Brown 270수를 공시하였고, 6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1) MS(mash), 2) EC(expanded crumble) 및 3) EP( expanded pellet) 으로 3처리구로 구성하였으며, 처리 당 15반복, 반복당 6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산란율은 EC와 EP 처리구가 M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난중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난각 강도는 EC와 EP 처리구가 M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지만(p<0.05), 난각 두께는 처리 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난황색은 EC 처리구가 M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난황 계수는 EC와 EP 처리구가 M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Haugh uint에 있어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p>0.05), 변화량에 있어서 EP 처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 건물, 칼슘, 인 소화율에 있어서 EP 처리구가 소화율을 개선시켰다(p<0.05). 본 연구 결과는 2차적인 사료 가공 기술이 산란계에 서 계란 품질과 영양소 소화율을 개선하였다.

      • KCI등재

        산란계에서 탄수화물 분해효소제의 첨가가 계란의 품질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민병준,김인호,홍종욱,문태현,이지훈,한영근,권오석,이상환,이원백 한국가금학회 2002 韓國家禽學會誌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산란계 사료내 복합효소제의 첨가가 난각특성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47주령 ISA Brown산란계 144수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로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CON; 기초사료), 기초사료에 복합효소제를 0.7% 첨가한 구(ME0.1; 기초사료 + 0.1%복합효소제), 기초사료에 복합효소제를 0.2% 첨가한 구(ME0.2; 기초사료 + 0.2% 복합효소제)로 3개 처리로 구성되었다. 총 28일간의 사양시험 기간 동안, 산란을, 난중, 난각강도 그리고 난각두께에 있어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난황색에 있어서는 복합효소제를 첨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난황계수에 있어서도 복합효소제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건물 소화율에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복합효소제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내 복합효소제의 첨가가 난황색, 난황계수 그리고 질소 소화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carbohydrase (multi-enzyme: $\alpha$-galactosidase and mannanase) on egg quality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laying hens. One hundred forty four, 47-wk-old, ISA Brown commercial layers were used in a 28-d feeding trial after a 7-d adjustment period. Dietary treatments were 1) CON(basal diet), 2) ME 0.1 (basal diet +0.1% multi -enzyme), 3) ME 0.2 (basal diet + 0.2% multi-enzyme). Fer overall Period, hen-day egg Production, egg weight, egg shell breaking strength and egg shell thickness were not influenced by the multi-enzyme. As the adding levels of multi-enzyme increased in the diet, egg Yolk color and egg Yolk index tended to increase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Digestibility of DM was not affected by multi-enzyme. However, digestibility of N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concentration of multi-enzyme in the diet was increased. In conclusion, supplemental carbohydrase in laying hen diets nay have some roles in improving the egg Yolk color and N digestibility.

      • KCI등재

        단위가축영양 : 복합효소제의 첨가가 육성돈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및 사료비용에 미치는 영향

        홍성민 ( Seong Min Hong ),장해동 ( Hae Dong Jang ),김효진 ( Hyo Jin Kim ),유종상 ( Jong Sang Yoo ),이제현 ( Je Hyun Lee ),김인호 ( In Ho Kim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2

        본시험은 복합효소제 첨가 급여에 따른 육성돈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및 사료비용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시험 동물은 3원교잡종 [(Landrace×Yorkshire)×Duroc] 육성돈 96두를 공시하여 6주간 실시하였고, 시험 개시체중은 22.96±0.79kg이었다. 시험 사료는 고에너지 사료와 대조구 사료를 이용하여 고에너지 사료(HC) 처리구, 일반 사료(CON)인 대조구, 대조구 사료에 복합효소제 0.05%와 0.1%을 첨가한 CE1과 CE2로 4처리구 각 처리당 4마리씩 6반복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생산성에서 일당증체량은 CE1와 CE2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다(P<0.05). 일당사료섭취량에서는 CE2 처리구가 HC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고(P<0.05), 대조구에 복합효소제를 첨가할수록 증가하는 Linear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사료효율에서는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건물, 질소 및 총 에너지 소화율 모두 CE1 처리구가 CON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고(P<0.05), 대조구에 복합효소제가 첨가될수록 증가하는 Linear 효과를 나타내었다 (P<0.05). 혈액특성에서는 시험기간동안 혈액내 Creatinine과 blood urea nitrogen의 함량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경제성 분석에 있어서는 대조구 사료에 복합효소제 첨가시 기초 사료보다 사료비용이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복합효소제가 0.05% 첨가된 CE1 처리구에서 사료비용이 절감되었다. 결론적으로 일반적인 육성돈 사료내 0.05% 복합효소제 첨가 급여시 일당증체량, 영양소 소화율 증가되고, 고에너지 사료와 비교하여 150 kcal의 효과와 사료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enzyme complex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profiles and feed cost in growing pigs. Ninety-six pigs[(Landrace×Yorkshire)×Duroc, 22.96±0.79 kg average initial body weight] were used in 42d growth assay. Dietary treatments included:1) HC(high energy and nutrient density diet), 2) CON(control, basal diet), 3) CE1(CON+ 0.05% enzyme complex) and 4) CE2(CON+0.1% enzyme complex). Four pigs were allotted per pen with six replicate pens per treatment by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ADG was higher in CE1 and CE2 treatments than CON treatment (P<0.05). The ADFI was linearly increased by CE treatments compared to HC treatment. The CE1 treatment had highest DM, N and GE digestibility(P<0.05). Digestibility of DM, N and GE were quadratic enhanced by enzyme complex level. No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reatments for creatinine and BUN. The enzyme complex treatments(CE1 and CE2) showed lower feed cost/body weight gain than HC treatment. In conclusion, enzyme complex can improve ADG and reduce feed cost/body weight gain when low energy diet was used. Furthermore adding 0.05% enzyme complex had highest nutrient digest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