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인증제도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이은희,유현정,이준영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9 No.2

        한국소비자업무협회는 급변하는 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제도의 신설을 제안한 뒤, 2012년 3월, 전격적으로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인증을 실시하였다. 전국의 소비자학관련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2년 3월부터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인증 신청을 받아 자격증 발급업무를 시작한 이래 2013년 5월 현재, 총 95명의 소비트렌드전문가를 배출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관심 및 소비자학 전공자의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현 행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인증제도는 몇가지 측면에서 문제점을 제시하지 않을 수 없다. 첫째,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증 취득을 위한 이수교과목들이 충분히 개설되기 어렵다. 둘째, 표준화된 교과내용 구성이 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셋째,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증에 대한 사회적 수요 및 기업의 요구를 반영하는데 실제 기업의 관점이 배제되 었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인증제도의 현황을 분석 하고, 소비자학 분야는 물론 기업측의 소비트렌드 관련 부서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소비트 렌드전문가 자격제도의 양적, 질적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으며, 가장 필수적인 교과목인 <소비트렌드분석> 교과 에 대한 표준 교육내용(안)을 마련하였다.

      • KCI등재

        신조어 분석을 통한 소비 트렌드의 탐색적 연구

        이준영,이제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4

        신조어는 현대의 급변하는 사회와 문화의 단면을 반영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에 의해 수용되고 확대․재생산 된 다. 따라서 신조어를 통해 현대 사회의 소비문화와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 국어원의 ‘신어 조사 보고서’와 인터넷 포털의 뉴스 검색을 활용해 추출한 400개의 신조어를 대상으로 조사, 분 석하였으며, 근거이론에 기반한 질적 연구 소프트웨어 N-vivo 9.0에 자료를 코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 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한 신조어는 내용분석과정을 통해 총 34개의 하위 범주를 도출한 뒤 수집된 자료를 분류․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10개의 상위 키워드(경제 불황 대처, 사회갈등․위화감, 남과 여, 행복․공동체, 신(新) 소비자군, 패러독스, 취미오락, 신(新) 소비문화, 외모지상주의, IT 하이테크)로 범주화하였다. 키워드 분류를 통해 현대의 경제 불황 상황을 반영한 신조어, 개개인의 불안한 심리를 표현한 신조어, 새롭게 부상하는 소비자 집단과 소비 문화와 관련된 신조어 등이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둘째, 신조어의 의미와 양상을 파악하는데 있어 촉발 요인(trigger point)을 조사하였다. 신조어의 트리거 포 인트를 통해 특정 트렌드에 대해 소비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에 대해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정책’, ‘방 송․보도’, ‘문화․예능’, ‘사건사고’, ‘주요 이벤트’, ‘계절과 시즌’등 여섯 가지 상황적 요인이 소비자들의 관심을 촉발시키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신조어는 언어의 일종이지만 소비자들이 취사선택하는 일종의 상품이며 트렌드로 나타났다. 대중 소비자들의 공감과 관심을 얻은 신조어들은 계속해서 소비자를 통해 사용되고 있었다. 신조어 분석을 통해 현재 우리 사회의 주요한 이슈와 소비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었다. Neologisms reflect a portion of our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culture, and it is accepted, expanded, and reproduced by consumers. For this reason,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nsumption culture and trend of the current society through neologisms. In this study, 400 neologisms extracted by using the “Neologism Survey Report”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searching the news on Internet portals were targeted for further observation and analysi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coding the data with grounded theory-based qualitative research software N-vivo 9.0.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and classification process of the analyzed neologisms, a total of 34 sub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rough the factorization and classification process of gathered data, 10 superordinate keywords(coping with economic recession, social conflict, disharmony, men and women, happiness, community, new consumer group, paradox, hobby and entertainment, consumption culture, appearance-oriented views, IT high-tech) were categorized. Through the categorization of keywords, various types of neologisms were presented such as neologisms that reflect the modern situation of economic recession, neologisms that reveal the psychological instability of individuals, and the consumer groups and cultures that are newly emerging. Second, the trigger point was observed to identify the meaning and aspect of neologisms. Through the trigger point, the reason behind consumers’ interest in specific trends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interest of consumers were being triggered by neologisms in six types of situational factors, which are “government policies,” “broadcasting/press,” “culture/entertainment,” “incidents,” “major events,” and “seasons.” In conclusion, although neologisms are a type of language, they were founded to be a type of product and trend that are adopted or rejected by consumers. Neologisms that gain the empathy and interest of general consumers were being continuously used by consumers. Neologisms can be used as a key factor that can analyze the issues and consumptions trends of our current society.

      • KCI등재

        소셜 빅데이터 분석에 의한 신 소비시장 트렌드 연구 - ‘나홀로 소비’ 연관어를 중심으로 -

        추진기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2

        According to recent statistics on new consumer market trends, 'alone consumption' is at the center. This study focuses on the social big data that attracts the public's opinions in that it is important for a certain social tren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various fields such as society, locality, culture, marketing, economics, and psychology that form the background for it. Therefore, we set up the linkage of 'solo consumption' and conducted research on new consumer market trends using Opinion Analisys. As a result of this trend analysis, representative keywords such as 'honbab', 'honsul' and 'honyoeng' were derived and analyzed the trend of new consumer market using this data. Alone consumption is an inevitable new consumption trend caused by demographic change after the global economic crisis. The importance as a trend reflecting this will be further strengthened. Trend analysis by social big data will help scientific and systematic business distribution strategies and planning to help make new and valuable decisions and decisions about new consumer markets. 최근 신 소비시장 트렌드에 관한 통계에 따르면 그 중심에 ‘나홀로 소비’ 가 있다. 본 연구는 특정 사회적 트렌드는 그것에 대한 배경을 형성하고 있는 사회와 지역성, 문화, 경제, 심리 등 삶의 다양한 측면들을 통합적인 시각으로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측면에서, 수많은 대중의 의견이 수렴되는 신 소비시장 관련 리서치 데이터에서 추출한 ‘나홀로 소비’ 연관어를 분석 키워드로 설정하였고, 분석솔루션 중 하나인 소셜메트릭스TM를 통한 오피니언 분석(Opinion Analisys) 기법을 활용하여 신 소비시장 트렌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신 소비시장 고찰결과 ‘혼밥’, ‘혼술’, ‘혼영’이라는 키워드가 도출되었고 이를 활용하여 신 소비시장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나홀로 소비는 기존 소비자 트렌드 가운데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에 인구변화와 함께 야기된 필연적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되었고 연관어에 따른 긍, 부정 감정분석의 결과도 대체로 긍정적인 데이터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소비 트렌드는 시대를 반영하는 새로운 트렌드로서의 중요성이 더욱 강화될 것이다. 향후 소셜 빅데이터에 의한 트렌드 분석이 본 연구보다 다양한 분석 도구를 통해 실행된다면 신 소비시장에 관한 새롭고 가치 있는 유통전략 및 기획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트렌드와 섬유패션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가치의 변화

        이수철(Soo Cheol Rhee),이은경(Eun Kyung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4

        유명 패션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가 날로 증가하는 가운데, 패션브랜드의 섬유패션제품디자인을 바라보는 소비자의 시각이 최근의 소비 트렌드에 따라 변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명 패션브랜드 제품디자인과 소비자 가치와의 관계 분석을 통하여 유명 패션브랜드제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과 라이프스타일 예측을 위한 논리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서 1차로는 전문서적과 신문, 해당 웹사이트 등과 같은 문헌 연구를 기초로 하였다. 2차로는 사례분석연구로 최근의 유명 패션브랜드 제품디자인에 적용된 소비자 가치의 내재적 및 외재적 요인들을 분석을 통하여, 최근 다양하게 변화하는 소비트렌드 상에서 섬유패션제품 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명 섬유패션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는 내재적 요소로서 자아개념을 바탕으로 타인과의 비교 과정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며, 소속된 집단에 동조함과 동시에 자신만의 차별성을 찾는 방향에서 비롯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근에 소비 트렌드의 변화에 따라, 섬유패션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 즉 소비자 가치가 변화되고 있다. 즉 패션브랜드의 제품디자인은 제품의 본질적인 기능과 관련 요소들을 중시하던 방향에서 소비자의 감성적 가치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mid sign of consumer values for famous fashion brands is increasing, consumers` new angle on the textile fashion product design of the fashion brands has been changing by consumption trend. This study presents logical data for the prediction of consumer behavior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sign of famous fashion brands and consumer values based on the documentary survey such as technical books, newspapers, websites and the case analysis. As a result, consumer values for famous textile fashion product design is realiz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ir own-identify, based on self-concept,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s. At the same time, it is also originated from their own differentiation, with the agreement that belongs to different classes. Given the changes of social environment, it becomes quite critical to understand which elements are important in consumer values in relation to brand preference. Recently, consumer values for the famous brands, that is to say, consumer values are changing by the change of consumption trend. In other words, the product design of the fashion brands is changing the basic functions and factors into consumers` value.

      • KCI등재후보

        소비자전문상담사 자격제도의 개선방안 및 새로운 자격제도 제안

        이은희,제미경,김시월,허경옥,성영애,유현정,서인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사회변화 및 직업세계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학 관련 자격증의 재정비 차원에서 기존의 소비자전문상담사 자격제도에 대한 문제점 파악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기업과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새로운 자격제도를 제안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소비자학 전공 교수들로 TFT를 구성하였으며, TFT는 문헌고찰 및 토의를 통해 소비자전문상담사제도 개선 및 소비트렌드전문가(가칭, Consumer Trend Analyst) 신설에 대한 초안을 작성하였다. 이에 대한 소비자업무협회 이사회 및 소속 전문가들의 의견을 이메일로 수렴하여 반영하는 브레인스토밍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소비자전문상담사제도 개선은 명칭과 출제과목 및 출제기준에 대한 개선안이 제안되었다. 현행 소비자전문상담사의 명칭은 1급과 2급으로만 구분하였으나, 1급의 경우는 전문성을 강조하기위하여 '소비자전문가'라는 명칭을 사용함으로서 2급과의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출제과목은 1급의 경우 3과목에서 4과목으로 확대함으로서 고급인력으로서의 실력측정을 정교화 하여 자격증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출제기준안은 1급은 새로운 내용인 소비자 지향적 경영, 소비자교육, 소비자행동 부분을 중심으로 출제기준안을 제시하였으며 2급은 최근 개정된 법 및 통합소비자상담센터관련내용 등을 추가하여 시대적 흐름에 맞도록 출제기준을 수정.보완하였다. 둘째 새로운 자격증으로 '소비트렌드전문가' 신설을 제안하였다. 학계와 기업을 중심으로 한 소비트렌드분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은 향후 기업의 상품개발 및 소비자의 복지 증진에 기여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전문가 양성을 위해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증을 제도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이 현실화 된다면 소비자전문상담사 자격증의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소비트렌드전문가를 양성하여 기업의 상품개발, 소비자의 복지감 증진에 기여함으로서 사회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국의 소비트렌드에 관한 연구 - 2000년~2007년 히트상품을 중심으로

        이민훈(Lee Min-Hoon) 한국상품학회 2008 商品學硏究 Vol.26 No.2

          특정 시점의 소비트렌드를 분석함에 있어서 해당 시기의 히트상품이 중요한 지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주로 식견을 갖춘 전문가들의 직관에 의존하여 트렌드를 규정해 왔다. 더욱이 히트상품을 선정 및 발표하는 국내외 일부 연구기관조차 당해 연도 결과를 해석하는 데에 치중하여 수년간의 시계열 분석 작업에는 소홀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2000년~2007년에 선정된 히트상품 리스트를 분석함으로써 그 속에 담긴 국내 소비자들의 니즈를 유추하는 작업을 시도했다.<BR>  구체적으로, 2000년 이후 8년간 선정된 총 80개의 히트상품들을 근거로 년도별 주요 특징과 패턴을 분석하였고, 소비자의 가치관과 구매 행태 변화를 근거로 소비트렌드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최근 히트상품들의 특성을 근거로 향후 히트 유력 상품의 키워드를 제안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히트상품 리스트는 삼성경제연구소 홈페이지(www.seri.org) 온라인 회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선정된 결과이다. 분석 결과, 최근 한·미·일 소비자의 소비패턴이 급속히 동질화되는 가운데, 국내 소비자들은 2000년~2007년의 전반적인 국내 경기침체에 영향을 받아 일상의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경제적 안정을 지원하는 상품들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같은 경제적 불안 환경 하에서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은 히트상품들은 최근 소비자의 주된 관심사를 이해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2000년대 히트의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소비트렌드가 어떻게 변화해가고 있는지 점검하고 향후 히트상품 탄생을 준비하는 기업과 마케터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pite th acknowledged strategic importance of hit products in study on consuming trend, most marketers has depended on great masters" intuition and anticipated next consuming trend obscurely.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latest hit products and probe into the latent consumers" latent needs.<BR>  For the purpose of these goals, this research took a look into Korea"s top ten products and the major buzzwords in consumption during 2000~2007. Hit products results were drawn from an annual online survey of SERI homepage(www.seri.org). We could understand korean consumers" latent needs through the list of these biggest hit products.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always exists and while people dreamed of a windfall in the early 2000s, the trend of investing in financial products shows how people have become more sophisticated in managing their assets. Rising apartment prices in the mid 2000s attracted investors, but with government regulations and capital gains taxes curbing the property market activity, people turned to other investment vehicles.<BR>  The results show that marketers trying to get a better feel for consumer sentiment at a time of economic slowdown, they should check the products that were the most prefered and choosed by consumers. This is important point to remember for businesses hoping for best sellers.

      • KCI등재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 선호도 연구 -밀레니얼세대를 중심으로-

        엄경희,엄태경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As a new strategy according to the change in market environment, the understanding and the analysis of cultural trend is the process to discover new opportunity for the enterprise and to create the products and services, which can satisfy the consumer based on the overall human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addition, since the millennials, who occupy 30% of the world consumption and are the center of the global corporate management activity, are skilled with smart devices and can perform multitasking, they acquire the information through sharing and communication of diverse lifestyles and have a freedom of wide range of choice. As the real global generations experienced the growth in a rich environment and having many experience, the millennials having active attitude on the consumption for themselves, are the future generations focused by entire world. For such millennials who are the center of cultural trend, it is deemed to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marketing strategy by the cultural emotion of millennials. In addition, the research fit to the timestream for the design products matched to the consumer’s needs is deemed to be necessary through the 2020-2030 cultural trend, which is coming around the millennials.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marketing strategy establishment of the differentiated and competitive design products to be developed in future and the opportunity to create new market by investigating and analysing the preference of the design products reflected with the 2020-2030 cultural tren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alysis of the millennials. As the research methods, the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es,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data search were performed for the theoretical contemplation such as definition of cultural trend, millennials and the change of consumption, the case of design product reflected with 2020-2030 cultural trend, etc. The results was drawn by conducting online questionnaire survey utilizing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Likert 5-point scale. For the scope of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millennials (19~39 years ol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selecting 4 cultural trends of ‘individualism’,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sustainability’ and ‘automation’, which are launched as design products out of 6 2020-2030 cultural trend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esign product preference reflected with 2020-2030 cultural trend and the elements preferred when purchasing the design produc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trend,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irst, it was observed that the most preferred product reflected with the 2020-2030 cultural trend with the overall pattern of general, age group,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the residential area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als was the design product reflected with the trend of ‘individualism’ and the design product of ‘sustainability’ also have higher preference followed by ‘automation’ and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order. Second, it was observed that as the preferential element when purchasing the design produc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2020-2030 cultural trend of the millennials, for ‘individualism’, my own personality can be expressed and the exceptionalness felt by using and purchasing the product is considered important, for ‘virtuality and augmented reality’ the pleasure and happiness through experience were considered important. It was investigated that for ‘sustainability’, the environmentally positive impact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nd the socially and economically positive impact was investigated as the important element and for ‘automation’, the guarantee the safety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the design products reflected with 2020-2030 cultural trend for the millennials are de...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기업의 새로운 전략으로 문화트렌드의 이해와 분석은 인간의 총체적 지식정보를바탕으로 기업의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고, 소비자에게만족을 줄 수 있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창출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이다. 또한, 세계 소비 30%를차지하며 세계적 기업 경영활동의 중심이 되는 밀레니얼 세대는 스마트기기에 능숙하여 멀티테스킹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삶을 빠르고 쉽게 공유하고 소통을 통한 정보 습득과 폭넓은 선택의 자유를 가진다. 자기자신을 위한 소비에 적극적인 태도의 밀레니얼세대는 풍요로운 성장과 많은 경험을 겪은 진정한 글로벌 세대로 전세계에서 주목하는 미래 세대이다. 이러한 문화트렌드가 중심이 되는 밀레니얼 세대의 문화적 감성에 의한 마케팅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고사료된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다가오는2020-2030 문화트렌드 분석을 통해 소비자 니즈에 맞는 디자인제품을 위한 시대 흐름에 적합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인구통계학적 분석에 따른 2020-2030 문화트렌드를반영한 디자인 제품의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여 앞으로 개발될 차별화되고 경쟁력 있는 디자인제품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와 새로운 시장 창출 기회의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화트렌드에 대한 정의, 밀레니얼 세대와 소비 변화,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 사례 등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과 문헌 조사, 인터넷 자료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초통계분석과 리커트(Likert) 5점 척도를 활용하여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범위로는 2020-2030 문화트렌드 6개 중 디자인 제품으로 출시 된 문화트렌드 4가지 ‘개인주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지속가능성’, ‘자동화’를 선정하여 밀레니얼 세대(19~39세)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의한조사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선호도와 문화트렌드 특성에 의한 디자인제품 구매시 선호하는 요소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도출시켰다. 첫째, 밀레니얼 세대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성별, 연령대, 결혼여부, 직업, 학력, 거주지역의 전반적인 양상으로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 중 가장 선호하는 제품은 ‘개인주의’ 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이며, 지속가능성’ 디자인제품 또한 높은 선호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자동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순으로 높은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밀레니얼 세대의 2020-2030 문화트렌드 특성에 의한 디자인제품 구매 시 선호 요소로 ‘개인주의’는 나만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어야하고, 제품을 사용하고 구매함으로써 느껴지는 특별함을 중요하게 여기며,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은 체험을통한 즐거움과 행복감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알 수있었다. ‘지속가능성’은 환경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이가장 중요 요소이며 사회적, 경제적인 긍정적인 영향도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로 조사되었으며, ‘자동화’는안전의 보장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한 2020- 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은 ‘개인주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제품, 소비자에게 특별함을 부여하는 디자인으로개발 ...

      • KCI등재

        중국 인구변화에 따른 소비구조와 소비 트렌드 변화

        서선영(Seo, Seon Young),김성자(Kim, Sung Ja),오혜정(Oh, Hye Jung) 한국아시아학회 2020 아시아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중국의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소비구조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소비 트렌드를 분석하고자 한다. 중국의 인구 성장률은 1980년대 후반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저출산과 고령화의 가속화로 유 · 소년층의 인구는 급격하게 감소한 반면, 고령인구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중국의 소비구조에 일정정도 영향을 미친다. 중국 경제성장과 중국인들의 소득수준 향상과 맞물려 소비구조가 과거 생계형 소비 위주에서 빠르게 발전형 · 향유형 소비 위주로 전환하여 왔다. 고령 인구의 증가는 의료 · 보건비 지출증가의 주요 원인이 된다. 중국 도시주민 1인당 의료 · 보건비 지출은 1985년에서 2018년 사이 122.5배 증가하였다. 중국의 인구 고령화 추세가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중국인의 의료 · 보건비 관련 지출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중국 도시주민 1인당 교육 · 문화오락서비스비의 지출은 1985년에서 2018년 사이 54.1배 증가하였다. 중국의 출산율 하락으로 0-14세 인구 비중은 감소 추세이지만 중국인들의 높은 교육열과 함께 교육시장의 발전으로 인해 교육비에 대한 지출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인구구조의 변화는 소비 트렌드에도 영향을 미친다. 첫째, 1인 가구의 증가이다. 이들의 소비 패턴은 간편화, 소형화, 맞춤화로 생활패턴에 맞춘 서비스산업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모바일 사용자의 급증으로 인한 온라인 소비의 증가이다. 온라인 소비의 증가는 중국의 소비 트렌드와 소비문화를 변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셋째, 자국브랜드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우리기업은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소비 트렌드를 분석하여 소비의 핵심계층인 신세대와 고령인구를 타겟으로 하는한 중국 시장 마케팅 전략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of consumption structure due to changes of population structure in China, and to analyze consumption trend in China. Chinese population growth rate has been declining since late 1980s. Due to acceleration of low birth rate and aging, youth population has rapidly decreased, and on the contrary, elderly population is widely increasing. These changes of population structure are making impacts on the consumption structure in China to a certain extent. In line with economic growth of China and its citizens" elevated income level, Chinese consumption structure has rapidly converted from subsistence consumption to steady and high quality consumption. The rising elderly population is a major cause of growing medical & health expenses. Urban Chinese citizens" per capita expenditure on medical & health care has increased 122.5 times in the period of year 1985 ~ 2018. In circumstances of rapid aging population trend, Chinese citizens" per capita expenditure on medical & health care is predicted to grow more. In addition, population of ages 0-14 is declining due to low birth rate. On the other hand, urban Chinese citizens" per capita expenditure on education · culture · entertainment has increased 54.1 times in the period of year 1985 ~ 2018. Despite the fact that population of age 0-14 is declining due to low birth rate of China, expenditure on educational expenses is predicted to increase more due to Chinese citizens" enthusiasm for education and growth of education market. Population structure change of China has also affected consumption trend. First, growth of OPH(one-person household). In accordance with consumption pattern of single households, service industries for simplification, miniaturization, and customization oriented life style are showing growth trend. Second, surging number of mobile users resulted in increasing online consumption. Uprise of online consumption is acting as a major cause of changes in Chinese consumption trend and consumption culture. Third, satisfaction on domestic products has been improved. Therefore, our enterprises should prepare marketing strategies for Chinese market by analyzing consumption trend relating population structure change with a target of the core consumer group of new generation and elderly population.

      • KCI등재

        2000년대 이후 미디어를 통한 소비와 행복의 트렌드 분석 - 빅카인즈와 구글 트렌드 분석을 중심으로

        박상준,원도연 한국문화경제학회 2020 문화경제연구 Vol.23 No.2

        This study starts from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eas of happiness and society. And it aims to interpret the elements of happiness contained in the happiness pursuit phenomena pursued by modern people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 category of the area to be analyzed in the study is the consumption area, and as a method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consumption trend, data analysis on the happiness trend used in the article is made. The analysis tool used the article DB site, Big Kinds, and the temporal category is set from 2000 to 2019, the period after the IMF crisis. In addition, Google trend was used as a complementary tool to distinguish the changes in the times of happiness trend keywords derived from Big Kinds.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flow of happiness trends by period by searching for happiness trends derived from Big Kinds in Google Trends, and to achieve an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t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nce the 2000s, the happiness consumption trend has been intensifying with individualism centered on Hedonian happiness theory as the economic environment changes. Second, Since 2000, the happiness trend is divided into 2015 as a period of time. ①From 2000 to 2014, the well-being trend toward dematerialism was followed by a healing trend. ②Since 2015, the happiness trend has diversified such as YOLO, Work life balance, Honbap(rice eaten alone), small but certain happiness(小確幸), and cost-effectiveness(價心比), It spreads to the center. Since the 2000s, the happiness trend has been arising from social alienation, and the hedonic form of pursuing happiness has been limited due to the deepening of individualism. And this phenomenon means that the perspective of modern people's happiness needs to be expanded more socially than individuals,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consumption contents based on the theory of eudemonic(social) happiness. 본 연구는 행복과 사회라는 두 영역의 관계에 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리고 현대인들이 추구하는 행복추구현상 속에 담긴 행복의 요소를 사회문화적 관점으로 해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영역의 범주는 소비영역이며, 소비트렌드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기사에서 활용된 행복트렌드에 대한 데이터분석을 이룬다. 분석도구는 기사DB사이트인 빅카인즈(Big kinds)를 활용했으며, 시기적 범주는 IMF사태 이후의 시기인 2000년부터 2019년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빅카인즈에서 도출된 행복트렌드 키워드의 시대적 변화를 구분하기 위해 구글트렌드(Google trend)를 보완적 도구로 활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방향성은 빅카인즈에서 도출한 행복트렌드를 구글트렌드에 검색하여 시기별 행복트렌드의 흐름을 정리하고 시대상과의 관계에 대한 해석을 이루는 방향을 취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2000년대 이후 행복 소비트렌드는 경제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헤도니아(쾌락적) 행복론 중심의 개인주의화로 심화되고 있다. 둘째. 2000년 이후 행복트렌드는 시기적으로 2015년을 기점으로 구분되는데 ①2000년~2014년까지는 탈물질주의화를 지향하는 웰빙(Well-being)을 시작으로 힐링(Healing) 트렌드로 이어졌다. ②2015년 이후 행복트렌드는 욜로(YOLO), 워라밸(Work life balance), 혼밥(혼자 먹는 밥), 소확행(小確幸), 가심비(價心比)와 같이 다양해지며 여가와 소비 형태를 중심으로 확산된다. 2000년대 이후 행복트렌드는 사회적 소외로부터 발생되어 개인주의화의 심화에 따른 헤도니아적(쾌락적) 행복추구형태의 한계를 띄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현대인의 행복에 대한 관점을 개인보다 사회적으로 확장시켜야함을 의미하며, 유데모니아적(사회적) 행복론에 기반한 소비콘텐츠의 확장을 필요로 한다.

      • KCI등재

        사회트렌드 변화에 의한 로하스 제품 소비자 선호도 특징 분석

        남미경(Mee Kyung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1

        자신의 건강과 행복만이 아니라 소외계층에 대한 배려, 나아가 후세에 물려줄 환경까지 생각하여 친환경적이고 합리적인 소비 패턴을 지향하는 로하스 트렌드와 같은 현상들은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소비성향의 변화와, 감성적 요소가 증가된 일상생활용품의 변화로부터 기인한다. 따라서 기업들은 미래 소비환경을 급격하게 변화시킬 중요한 한 가지 요인으로 로하스 개념이 부가된 제품에 관심을 가지며 상품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사회문화트렌드에 의해 변화하는 소비자의 로하스제품 선호도 특성을 분석하여 신흥 글로벌시장(Emerging Global Market)에 대처할 수 있는 국내 로하스제품디자인 개발의 체계적·이론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된 범위에는 사회트렌드와 소비성향과의 상관관계, 라이프스타일에 의한 소비자 특징 연구, 그리고 미국, 일본, 한국 등 각 지역별 소비자 로하스제품 선호도 특성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어진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서 사회트렌드 변화에 의한 로하스 제품 소비자 선호도 특성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이론들을 정리·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로하스제품디자인 개발 및 글로벌 마케팅 기회 창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 Lohas trend represents eco-friendly and rational consumption attitude to composed by the holistic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for next generation, and social and economic impacts of products, processes and systems besides personal health and happiness. The new phenomenon related in Lohas trend is caused by the changes in the propensity to consume lifestyle and the increase in the sentimental elements of commodities. Companies begin to have interests in the development of Lohas concept products to cope with the radically changing consumption environment in the future. This article is design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Lohas product consumer preference by the social trend alteration, and to offer systematic theoretical data could develop Lohas products to handle with emerging global market. Main scope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relationship between social trend and consumer preference tendency, consumer character by lifestyle, and analyses of Lohas product consumer preference character in each region of USA, Japan and Korea. The content and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Lohas product design and the global marketing opportunities and provid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necessary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Lohas product consumer preference character by new social trend alt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