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용산 미군기지의 문화유산 가치와 도시발전 방향

        최재헌 ( Jae Heon Choi ),남영우 ( Young Woo Na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4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용산 미군기지가 갖는 문화유산 가치를 장소성을 가지는 유산으로 파악하여 지리적 환경과 도시발달사를 고려한 지역 변천에 초점을 맞추어 용산 미군기지의 상징성과 문화유산 가치를 고찰해보고 바람직한 개발 방향을 논의하였다. 용산 미군기지 일대는 13세기 몽골군의 병참기지로부터, 조선시대의 강촌, 도성관문, 물류유통기지로서의 성격을 거쳐, 일제강점기에 군사경관이 형성되고 외세에 의한 식민기지로서 특징이 나타나며, 해방 이후에는 군사경관이 유지된 성역화된 군사기지, 금단의 경관으로서의 특징을 보인다. 현재에는 과거의 경관요소가 그대로 남아있는 화석화된 경관(fossil landscape)으로서 외세에 의한 천이의 공간이기도 하다. 용산 미군기지의 발전 방향은 개발위주, 보존위주, 절충적 입장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향후 용산의 다양한 층위를 고려하여 유산 가치를 보존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세계유산으로 등재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완전성과 진정성을 확보하며, 지역 상징성을 유지하면서 교육적 가치와 정체성 확보를 위한 활용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the various directions of urban development of Yongsan military base, highlighting the heritage value in the context of urban development and regional changes in each time period including Joseon Dynasty, open port period, Japanese Colonial Times and after the liberalization. Yongsan military base has shifted from military storage yard in the 13th century, to river port as a gateway city in Joseon Dynasty, to a military ba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Times, and has been continuously keeping a forbidden military space for the US forces after the liberalization. It can be defined as a fossil landscape, functioning as a space of succession for foreign military forces in different time periods. Either development oriented, preservation oriented or eclectic approach can be adopted for future development. However, it needs to figure out the most appropriate way of both preserving cultural heritage for multi-layered structure of Yongsan military base and confirming integrity and authenticity for possible inscription on the World Heritage List in the context to keep symbolic meaning as well as to enhance place identity and educational value for future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