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기 청소년들의 부모-자녀갈등의 특징과 부모양육행동의 관계

        박영신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3 No.2

        Age differences in adolescent-parent conflicts and its relations with parenting behaviors were examined in 93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by administering the Issues Checklist and individual interviews. Conflicts were relatively few in numbers, moderate in frequency, and mild in intensity. However, conflicts were more frequent and intense in high school students than in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as the problem which both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had the most conflict with parents. The next problems were cleaning the bedroom, bedtime/curfew and activities in high school students and financial probl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ppearance and health in college students. Adolescents explained their own perspectives in conflicts primarily in terms of personal and psychological reasons whereas they explained their parents' perspectives in terms of moral, conventional and prudential reasons. Conflicts were resolved by adolescents giving in to parents, by parents giving in to adolescents and by joint resolution to the same extents. However, parents giving in declined with age. Among three parenting behaviors, psychological control displayed meaningful relations with conflict frequency, conflict intensity and conflict resolution in both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whereas parental behavioral control displayed meaningful relations with conflict intensity and conflict resolution in college students. 93명의 고등학생과 대학생에게 문제체크리스트와 개별면접을 실시하여 부모-자녀 갈등의 특징과 부모양육행동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갈등이 있었던 문제 수는 비교적 적었고, 갈등의 빈도와 강도도 낮은 편이었다. 갈등이 있었던 문제 수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갈등의 빈도와 강도는 고등학생에서 더 높았다. 갈등이 가장 심했던 문제는 연령에 관계없이 성적 및 진로였고, 그 다음은 고등학생에서는 방청소, 활동 및 활동통제, 취침 및 귀가시간 등이었으며 대학생에서는 돈 문제, 대인관계, 외모 및 건강이었다. 청소년들은 갈등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주로 심리적 및 개인적 이유로 설명하는데 반해 부모의 입장을 주로 도덕적, 사회․관습적 및 분별적 이유로 설명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갈등은 청소년이 원하는 대로, 부모가 원하는 대로, 절충 및 타협으로 비슷하게 해결되었으나 고등학생에서 부모가 원하는 대로 해결되는 정도가 높았다. 부모의 심리통제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부모갈등과 관련성을 보인데 반해 행동통제는 대학생의 부모갈등과 관련성을 보였다. 부모의 심리통제를 많이 받을수록 갈등의 강도가 증가하고, 청소년들이 갈등해결방법을 덜 공정하고 더 부정적이라고 여겼으며 부모의 행동통제를 받을수록 갈등의 강도가 감소하고 갈등해결방법을 더 공정하게 여겼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심리적 반발심 및 부모-자녀 갈등과 가출충동 간의 관계

        이혜련,김희화 인지발달중재학회 2015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심리적 반발심, 부모-자녀 갈등 및 가출충동의 차이를 살펴보고, 가출충동에 대한 심리적 반발심과 부모-자녀 갈등의 상호작용을 밝혀봄으로써 청소년의 가출충동을 예방하기 위한 부모교육 자료 및 청소년 지도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남ㆍ여 중학생 301명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으며 회수된 자료는 PASW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 청소년의 심리적 반발심, 부모-자녀 갈등의 빈도 및 강도, 가출충동이 남자 청소년보다 높게 나타남에 따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심리적 반발심, 부모-자녀 갈등의 빈도 및 강도, 가출충동에 대해 더 많이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의 심리적 반발심, 부모-자녀 갈등 빈도 및 강도, 가출충동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둘째, 남?여 청소년의 가출충동과 심리적 반발심, 부모-자녀 갈등 빈도, 부모-자녀 갈등강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남에 따라 남?여 청소년 모두 심리적 반발심과 부모-자녀 갈등 및 빈도가 높아질수록 가출충동이 증가하였다. 셋째, 가출충동에 대한 심리적 반발심과 부모-자녀 갈등 빈도 및 강도의 상호작용은 성별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청소년의 경우 가출충동에 대한 심리적 반발심과 부모-자녀 갈등 빈도 및 강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여학생의 가출충동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심리적 반발심의 완화뿐만이 아니라 부모-자녀 갈등 빈도 및 강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지도가 이뤄져야 함을 제시해 주었다. 남자 청소년의 경우 가출충동에 대한 심리적 반발심과 부모-자녀 갈등 빈도의 상호작용 효과만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가출충동에 대한 심리적 반발심과 부모-자녀 갈등 강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남학생의 가출충동 예방은 심리적 반발심의 완화 및 부모-자녀 간의 갈등 빈도를 동시에 줄임으로써 이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남ㆍ여청소년의 가출충동을 예방하고 가출충동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의 자료 및 초기 청소년지도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모가 지각한 부모기대로 인한 부모-자녀 간 갈등극복경험

        이영미,한재희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2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experiences of conflicts with adolescent child caused by Parental expectation, by exploring mother’s experiences of coping procedure for conflicts to overcome the conflicts with adolescent child caused by parental expect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ounselor and parent in coping effectively with the conflicts between parent and adolescent child by providing understanding about practical coping experience and process supporting overcoming conflicts with adolescent child. For this research, nine mothers with high mock empathy (as assessed by their children) were chosen among a group of mothers who had high expectations of their children and as a result either experienced conflict with their adolescent children in the past or were still experiencing the conflict.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2001) was applied to the data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these research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92 notions, 34 subcategories, and 10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e study found the casual conditions to be ‘factors causing conflict with children’ and ‘limitations of parent-initiated controlling nurturing behaviors.’ The central phenomenon was ‘I can never give up on my child.’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children's resistance and refusal’ and ‘deepened family conflict.’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o resolve parent-adolescent child conflict were ‘taking one step back and waiting while maintaining eye contact’ and ‘making efforts toward relationship recovery.’ The interventional condition was ‘endurance of anxiety and frustration,’ which resulted in a ‘recovered and matured relationship’ but with some problems still left unresolved. The centric category that provides an overall explanation of how parent-adolescent child conflicts are resolved was determined as ‘actively taking a step back, and striking a balance between parental expectations and emotional needs of children through maternal patience.’ If each family which is the basic unit of society can adequately respond to parent-adolescent child conflicts, it is expected not only to diminish the stress of adolescent child caused by overheated educational fever of our society and expecting pressure of parent and to prevent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to improve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 child and parent who are suffering from the conflicts with their adolescent child and to enhance healthy relationship. 본 연구는 부모기대로 인한 청소년자녀와의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모가 갈등대처 과정에서 겪는 경험들을 심층면담을 통해 탐색함으로써, 부모기대로 인한 청소년 자녀와의 갈등극복경험의 구조와 과정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상담자나 부모들에게 자녀와의 갈등극복에 도움이 되는 실제적 대처 경험과 과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함으로, 부모-자녀간의 갈등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자녀에 대한 기대가 높고, 그로인해 청소년 자녀와의 갈등을 경험했거나, 현재에도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어머니들 중에서, 자녀가 지각하기에 모의 공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어머니들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Strauss와 Corbin(2001)이 제시한 근거 이론 연구법을 적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종적으로 92개의 개념과 34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인과적 조건은 ‘자녀와의 갈등유발요인’과 ‘부모주도의 통제적 양육행동의 한계’로 중심현상은 ‘내 자식은 절대 포기 못함’이 도출되었다. 맥락적 조건은 ‘자녀의 반항과 거부’ 및 ‘가족갈등의 심화’였으며, 부모-자녀 갈등극복을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시선을 떼지 않고 물러서서 기다리기’와 ‘관계회복을 위한 실천적 노력’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불안과 좌절을 견딤’으로, 결과는 ‘관계가 회복되고 성숙해짐’과 ‘남겨진 과제들’로 도출되었다. 부모-자녀 관계회복을 위한 갈등극복과정을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핵심범주는 ‘적극적 물러서기와 모성적 인내를 통한 부모기대와 자녀의 정서적 욕구 사이의 균형 잡기’로 생성되었다. 사회의 기본단위라고 할 수 있는 가정에서부터 청소년자녀와의 갈등에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다면, 우리사회의 과열된 교육열과 부모의 기대압력으로 인한 청소년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정신 병리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녀와의 갈등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부모-자녀 관계를 개선하고 건강한 관계를 향상시키는데 실제적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갈등 평가에 따른 고통지각과 정서규제 전략

        이순형,이강이 한국인간발달학회 1996 人間發達硏究 Vol.- No.3

        부모갈등의 특성과 원인, 부모갈등에 대한 대처효율성 평가에 따른 청소년의 고통지각과 정서규제 전략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생 141명, 중학교 2학년생 173명, 고등학교 2학년생 196명, 총 5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 해 분석 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청소년은 부모갈등의 특성 평가, 원인 평가 및 대처효율성 평가에 따라 그 갈등으로 인한 고통을 달리 지각한다. 구체적으로 부모갈등의 특성을 부정적으로 평가할수록, 부모갈등의 원인을 자신의 탓으로 돌릴수록, 부모갈등에 대한 대처효율성을 낮게 평가할수록, 청소년들은 고통을 더 지각한다. 둘째, 청소년은 부모갈등에 대한 평가에 따라 정서규제 전략을 달리 선택한다. 부모갈등의 특성 평가에 따라 회피전략의 사용에 차이를 보이고, 부모갈등의 원인 평가에 따라 개입전략 및 무반응전략의 사용에 차이를 보인다. 부모갈등에 대한 대처효율성 평가에 따라 청소년은 개입 전략, 회피전략 및 무반응전략 사용에서 모두 차이가 있다. 셋째, 청소년은 학년과 성별에 따라 부모갈등에 따른 고통을 다르게 지각하고 정서규제 전략도 다르게 선택한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고통지각과 회피전략 및 무반응전략의 사용이 증가하는 반면 개입전략의 사용은 감소한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고통을 더 지각하고 개입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한다.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 부모-자녀갈등,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의 구조적 관계분석

        소영화 ( Young Hwa So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 부모-자녀갈등,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의 구조적인 관계는 어떠한가, 부부갈등, 부모-자녀갈등 및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그리고 성별에 따라서 부부갈등, 부모-자녀갈등,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의 구조적 차이는 어떠한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인문계열 3개 고등학교 658명이며 남학생은 373명, 여학생은 285명이다. 측정도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 부모-자녀갈등,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 척도이다. 연구결과 부부갈등과 부모-자녀갈등은 청소년의 스트레스, 내재적 문제행동, 외현적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부부갈등과 부모-자녀갈등은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내재적 문제행동과 외현적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서 부부갈등, 부모-자녀갈등,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을 제약한 결과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절편동일성까지 제약한 결과는 모형이 적합하지 않게 나타나 성별에 따른 모형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형태동일성을 기저모형으로 하여 경로계수를 제약한 모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은 잠재변인들의 경로계수들에 따라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및 시사점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onflict, parents-adolescents conflict, stress, and problem behavior. Also, the study is to know gender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e subjects were 658 high school students in which boys were 373 and girls were 285.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parents`` conflict, parents-adolescents conflict, stress, and problem behavior perceived by adolescents. Parents`` conflict and parents-adolescents conflict directly effected on stress, implicit, and explicit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Parents-adolescents and parents-adolescents conflict effected on implicit and explicit problem behaviors by the mediation of stress.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researchers used multi-group modeling by constraining configural invariance, measurement invariance, and intercept invariance.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configural invariance and measurement invariance,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on intercept invariance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Given the two types of invariance satisfied, the paths of latent variables were exam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configural invariance model and path constrained model by gender.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on the latent paths of the variables.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related to the literature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노부모가 지각한 자녀갈등척도 개발 및 타당화

        서수균,정영숙,전지혜,안정신 한국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3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 of Elderly Parents-Perceived Conflict with their Children. For this, the current study was based on the preceding exploratory research which had investigated the conflict between elderly parents and children. A total of 443 Korean elderly who were over 60 years of age participa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ovided support for a 4-factor structure (Lack of interest/contact, Lack of self-care of children, Disregard, Issues for grandchildren) and the Scale of Elderly Parents-Perceived Conflict with their Childre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ther scales which measure solidarity, morale, and happiness. Lastly, the regression analysis examined the effect of the sub scales on the satisfaction for a parent-child relationship, morale, and happiness and showed the Lack of interest/contact for elderly men and women significantly predicte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happiness. 본 연구의 목적은 노부모가 지각한 자녀와의 갈등을 평가하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노인이 자녀와의 관계에서 겪는 갈등을 탐색적으로 연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해 60세 이상 노인 443명에게 노부모가 지각한 자녀갈등척도를 실시하였으며,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부모-자녀관계만족도, 노부모-성인자녀간 결속도척도, 노인사기척도, 행복지수척도를 함께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부모가 지각한 자녀갈등척도는 총 18문항으로 4개요인(관심/접촉부족(6문항), 자녀의 자기관리부족(3문항), 무시(6문항), 손자녀문제(3문항))을 포함하였다. 둘째, 노부모가 지각한 자녀갈등척도의 요인별 내적 합치도는 .62〜.87로 적절하였다. 셋째, 부모-자녀관계만족도, 노부모-성인자녀간 결속도척도, PGMCS, 행복지수척도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노무보가 지각한 자녀갈등척도의 타당성을 일관되게 지지하였다. 이어, 노부모가 지각한 자녀갈등척도의 하위요인들이 부모-자녀관계만족도, PGCMS,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모-자녀관계만족도에는 남성노인의 경우 관심/접촉부족이, 여성 노인의 경우는 무시와 자기관리부족이 확인되었다. PGCMS에는 남성의 경우 관심/접촉부족이, 여성의 경우는 무시와 관심/접촉부족이 확인되었으며, 행복지수에는 남녀 모두 관심/접촉부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부모의 이혼 유무와 부부갈등에 따른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연구

        한영숙,양명숙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 여부와 부부갈등에 따른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은 정신건강, 커플관계탄력성, 부모자녀관계와 자아분화를 통하여 비교하였고, 부모의 이혼과 부부갈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혼을 하지 않은 부모들은 고갈등부모와 저갈등부모 자녀집단으로 나누어 이혼부모 자녀집단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7개 지역에 위치한 4년제 14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7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 방법은 빈도분석과 t-검증, 상관분석, ANOVA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의 이혼여부에 따른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을 살펴보면, 대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은 부모가 이혼한 집단의 대학생들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고, 부모자녀관계와 자아분화는 이혼하지 않은 부모의 대학생들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정신건강과 커플관계탄력성은 부모의 이혼여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자녀관계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이혼은 하지 않았지만, 부모의 부부갈등이 높은 집단의 대학생들이 가장 심리적인 적응의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 자체보다는 부모의 부부갈등이 자녀의 심리적 적응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parents’ divorce status and their parents’ conflict. Specifically, students who have not-divorced parents were sub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ho have with a high degree of conflict and with a low degree of confli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the marital conflict from the divorced parents is higher than the one of the marital conflict from the parents not divorced. Second, the group who has the parents with a high level of marital conflict went through the highest difficulties among 3 groups at all variables withou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marital conflict is more closely related to psychological adjustment of children than parental divorce itself.

      • KCI등재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사회불안 및 공격성 간의 관계: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김지원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3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with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has been well established, research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s scarce and has reported inconsistent results. The present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 mean scores and the associations among children’s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 social anxiety, and aggression. Ten Grade 4 classes in Gyeonggi a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measuring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 and social anxiety from children’s self-reports and aggression through their homeroom teachers, and data from 278 children were analyzed. Mean-level gender difference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gendered relationships were tested using Fisher’s z transformation of bivariate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ender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whereas girl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ocial anxiety and lower aggression than boys.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 was more strongly correlated with and was a stronger predictor of social anxiety for girls than boys. Configural and partial metric invariance of the hypothesized model was supported across gender, with nonequivalent factor loadings of aggression for boys and girl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was marginal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nly girls’ aggression but, at the latent variable level, did not predict aggression regardless of gender. Gender differences in the negative impact of interparental conflict on children’s development and adjustment were discussed,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부모갈등과 아동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왔지만, 성별의 조절효과를 다룬 연구는 부족하며, 비일관적인 결과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부모갈등 지각과 사회불안, 공격성에 있어 성별에 따른 평균 및 변인 간 관련성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4학년 10개 학급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아동의 자기보고를 통해 부모갈등 지각과 사회불안을 측정하였고, 담임교사를 통해 공격성을 측정하였으며, 27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성별 집단별 평균 차이는 독립표본 t 검증으로 분석하였고, 변인 간 관계에서의 성차는 이변량 상관계수에 대한 Fisher의 z 변환과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아와 여아가 지각한 부모갈등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으나, 사회불안은 여아가 남아보다 유의하게 높게 보고하였고, 공격성은 남아가 여아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갈등 지각은 사회불안과 정적인 연관성을 보였으며, 두 변인의 관련성에서 성차가 측정변인과 잠재변인 수준에서 모두 유의하였다. 즉, 부모갈등 지각은 남아보다 여아의 사회불안과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부모갈등 지각이 사회불안을 예측하는 정도는 남아보다 여아에서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연구 모형의 형태 동일성과 부분 측정 동일성이 성립되었고, 공격성의 경우 요인계수가 남아와 여아에게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갈등 지각과 공격성의 관련성에서 성차는 측정변인 수준에서만 유의하였다. 부모갈등 지각은 여아의 공격성과만 유의수준에 근접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잠재변인 수준에서는 부모갈등 지각은 성별에 무관하게 공격성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갈등이 아동의 발달과 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서의 성차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시부모와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여성가족패널을 중심으로 -

        박소영,조성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conflicts between daughters-in-law and parents-in-law by examining the comparativ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factors, factors of interaction with family of origin, and relationship with spouse. For this purpose,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first year of panel data provided by the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e results identified that the factors of interaction with family of origin had more influence tha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 factor of relationship with spouse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flict with parents-in-law, even after controlling the influences other facto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women's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her own family of origin should be improved in advance for the prevention and alleviation of the conflict between daughter-in-law and parents-in-law. Other suggestions for the practice and policy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시부모와 며느리의 갈등 실태를 살펴보고 인구사회학적 특성, 원가족 상호작용 특성, 배우자 상호작용 특성이 시부모와의 갈등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성가족패널 1차년도 자료 중 2403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 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부모와의 갈등에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비해 원가족 상호작용 특성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고,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원가족 상호작용 특성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배우자 상호작용 특성은 시부모와의 갈등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모든 변수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결혼년수, 시부모 동거여부, 본인 부모와의 갈등, 결혼만족도는 시부모와의 갈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실천적 함의로써 시부모와의 갈등 예방과 완화를 위한 노력의 중심에 부부간의 관계 강화와 본인 부모와의 관계 강화가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시부모와의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결혼 초기에 제도적으로 접근되어야 한다는 점과 부부관계와 시부모관계, 본인부모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 제도적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공격성·충동성 행동에 대한 부모 갈등 관계, 부모-자녀 간 갈등, 학교생활 부적응의 조절효과

        손병덕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conflicts, parents-adolescents conflicts, and school maladjustment on aggr essive and impulsive behaviors among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314 adolescent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by random sampling in Songpa district, Seoul.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gender of aggressive and impulsive behaviors among adolescents. Second, economic status, father job status, parental conflicts·neglects, parents-adolescents conflicts, and school maladjustment have relations with aggressive and impulsive behaviors among adolescents. Third, the result further showed that parental conflicts·neglects, parents-adolescents conflicts, and school maladjustment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 between socio-demograpic characteristics, parental conflicts·neglects, parents-adolescents conflicts, and school maladjustment on aggressive and impulsive behaviors among adolescent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implication suggestions for developing adequate programs to manage aggressive and impulsive behaviors among adolescent were discussed. Study limits and further study suggestions we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격성·충동성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을 파악하고, 부모 갈등 관계 방임, 부모 간 자녀 갈등과 같은 가족 요인과 학교생활 부적응이 청소년의 공격성·충동성 행동을 조절하는지 분석하여 청소년의 안정적인 행동발달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S시 S지역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집 방식으로 추출된 패널 314명에 대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 대상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Cronbach α 계수를 통하여 연구에 사용한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 보았다. 청소년의 공격성·충동성 행동에 대한 남녀 간 차이를 분석해 보기 위하여 t-test 적용하였고, 선택한 변인들과 공격성·충동성 행동 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 갈등 관계 방임, 부모 간 갈등, 학교생활 부적응이 청소년의 공격성·충동성 행동 조절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의 공격성·충동성 행동의 남녀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경제적 수준, 아버지 직업 여부, 부모와 갈등 관계 방임, 부모 간 갈등, 학교생활 부적응이 청소년의 공격성·충동성 행동과 상관성을 나타냈다. 셋째, 부모갈등 관계, 부모-자녀 간 갈등, 학교 생활 부적응이 모두 추가적인 조절력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바람직한 행동발달 지원을 도모하기 위해 적용해야 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한계,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추가적으로 논의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