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업경험 특성이 벤처창업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업력의 조절효과

        박상문,이미순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4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rior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new venture performance. Entrepreneurial experience has significant impacts on the early development processes of new ventures founded by experienced entrepreneurs. There are inconclusive resul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ial experience and new venture performance. Based on the data of Korean new ventures,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 these relationships of different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new venture performance. Success experience has positive effects on employment but no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Failure experience has negative relationships with financial performance as well as employment. There are moderating effect of firm age on the relationship of only failure experience with performance.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new ventures’ development and performances. 본 연구에서는 창업가의 창업경험 특성이 벤처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창업가의 이전 창업경험은 벤처창업기업의 중요한 인적자본으로서 후속 창업시 벤처창업기업의 운영과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창업가의 이전 창업경험이 벤처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실증적 연구결과들은 일관된 결과들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벤처창업기업들을 대상으로 창업가의 창업경험 특성을 성공창업경험과 실패창업경험으로 구분하고 벤처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업력의 조절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창업경험특성에 따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성공창업경험은 고용에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재무적 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패창업경험은 고용과 재무적 성과 모두에서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력에 따른 조절효과는 실패창업경험에서는 정의 조절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나 성공창업경험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창업경험의 특성(성공 또는 실패)에 따라 이후 벤처창업기업의 성과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벤처창업기업의 업력이 늘어나면서 이전 창업경험의 효과는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창업경험과 성과간의 단기적인 영향관계와 장기적인 영향관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창업가의 창업경험의 효과가 경험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창업경험이 있는 창업가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에 있어서도 창업경험의 특성과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지원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청년 소셜벤처 창업가의 창업동기 요인에 관한 연구

        이예지,윤재서,옥영석 한국창업학회 2019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Vol.2019 No.3

        사회적경제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사회적 가치 실현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적 기업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 중에도 기존의 사회적기업과는 달리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소셜벤처는 청년의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경제적 이윤 창출이 가능한 기업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소셜벤처는 청년고용 비중이 높으며, 창업에 따라 활성화 여건 조성이 필요한 모델(관계부처 합동, 2018)로, 청년 일자리 창출의 잠재력과 성장성이 큰 소셜벤처의 특징상 청년을 중심으로 소셜벤처의 창업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소셜벤처가 사회적경제의 새로운 모델로써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정부를 비롯한 지자체, 한국사회적기업연구원 등 다양한 기관에서 청년 소셜벤처 육성을 위한 정책과 지원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학술적으로는 청년 소셜벤처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도출된 요인을 중심으로 필요한 창업의 정책적 제언을 하거나(김종운. 2014), 대학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창업인식에 대한 창업교육과 창업동아리의 역할을 규명하거나(홍효석, 설병문. 2013), 창업자의 기업가정신과 심리특성을 분석하여 창업성공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있다(김수현, 유봉호. 2013). 이렇듯 청년 창업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고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청년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 소셜벤처 분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현 실정에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청년 소셜벤처 창업가들의 창업동기의 주요한 요인 도출을 하고자, 현재 소셜벤처를 창업한 청년 창업가를 대상으로 창업의 동기 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하고자 한다. 현재까지 청년 소셜벤처 창업가의 창업동기에 대한 연구는 진행이 되지 않았으며, 일부 지역의 사회적 기업 창업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진행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창업의 동기요인은 향후 청년의 소셜벤처 창업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기본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청년뿐만 아니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소셜벤처 창업교육을 진행하기 위해 교육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해 향후 소셜벤처의 문화 확산과 더불어 저변확대를 위한 소셜벤처 창업교육의 방향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창업·벤처 생태계 측정에 관한 연구

        김선우,진우석,곽기현,고혁진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 벤처창업연구 Vol.16 No.6

        The importance of startups and ventures in the Korean economy is growing. This study measured whether the start-up and venture ecosystem is growing, including the growth of startups and ventures. The startup and venture ecosystem consists of startups and ventures, investors, and government, which are the main actors of the 'ecosystem', and their movements were measured with 25 quantitative indicators. Based on the original data of the time series from 2010 to 2020, the startup and venture ecosystem index was calculated by applying weights through the comprehensive stock index method and AHP. In 2020, the startup and venture ecosystem grew 2.9 times compared to 2010, and the increase in the government index had a significant impact on growth. Also, the individual indicators that make up each index in 2020, the corporate index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growth of the number of 100-billion ventures, while the investment index had a recovery amount and the government index had a significant impact. Based on the original data, the startup and venture ecosystem index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ecosystems (startup ecosystem and venture ecosystem), industry by industry (all industries and manufacturing industry), and region (Korea and Busan). As a result, the growth of the startup ecosystem over the past decade has been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the venture ecosystem. The manufacturing was lower than that of all industries, and Busan was lower than that of the na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use it for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support policies by developing, measuring, and monitoring the startup and venture ecosystem index. This index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search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major actors, and anyone can calculate the index using the results of official statistical survey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update this content to understand how economic and social events or policy support have affected the startup and venture ecosystem. 한국 경제에서 창업·벤처기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연구는 창업·벤처기업의 성장을 포함하여 창업·벤처 생태계가 성장하고 있는지 측정하였다. 창업·벤처 생태계는‘생태계’의 주요 행위자인 창업·벤처기업, 투자기관, 정부로 구성하고, 이들의 주요 활동을 정량적 지표 25개로 측정하였다. 창업‧벤처 생태계 지수는 25개 지표의 2010~2018년의 시계열 원자료를 토대로 종합주가지수 방식과 AHP를 통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2018년 창업·벤처 생태계는 2010년에 비해 2.1배 성장하였으며, 정부 지수의 증가가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18년 각각의 지수를 구성하는 개별지표를 보면, 기업 지수는 천억 벤처기업의 수, 투자 지수는 회수금액, 정부 지수는 모태펀드 출자금액이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원자료를 토대로 창업·벤처 생태계 지수를 생태계별(창업생태계와 벤처생태계), 업종별(전업종과 제조업), 지역별(전국 평균과 지역)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난 8년간 창업생태계의 성장이 벤처생태계의 성장 보다 근소한 차이로 컸다. 제조업 창업·벤처 생태계는 전업종 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예시로 살펴본 부산의 창업·벤처 생태계 지수는 전국 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창업·벤처 생태계 지수를 개발 및 측정하여 모니터링 함으로써 지원 정책의 수립 및 시행에 활용하고자 했다. 이 지수는 주요 행위자 간의 상호관계를 파악해 볼 수 있으며, 공식적인 통계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누구라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향후 이 내용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경제사회적 사건이나 정책적 지원이 창업·벤처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벤처기업 창업가의 특성과 경영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규동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6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venture business founders and management performance, setting the management strategy as a parameter to provide a suggestion for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venture compani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national economy and job creation. Previous studies in Korea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founders, management strateg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a single dimension. This paper, however, explained the business performance of a company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while setting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founder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etting the business strategy of the enterprise as a parameter. The first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venture business found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In particular,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venture business founders, a progressive spirit has had the greatest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risk sensitivity was very weak.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venture business found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strategy. In particular, innovation wa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ed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a progressive spiri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marketing differentiation strategy. Third, management strategies of venture firm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technology innovation differentiation strategy has a greater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than the marketing differentiation strategy. Fourth, it was revealed that management strategy partially has a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venture business founders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nders have a direct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but if it is linked to management strategy it has an indirect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usiness performance improves when venture business found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firms’ management strategy are combined. 본 연구에서는 국가경제와 일자리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벤처기업의 생존 및 발전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벤처기업 창업가의 특성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 경영전략을 매개변수로 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기존의 국내 선행연구들이 창업가의 특성과 경영전략을 경영성과에 대한 동일한 단일차원의 함수관계로 분석하는데서 벗어나서, 창업가의 특성을 독립변수로, 기업차원의 경영전략을 매개변수로 하여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경영성과를 설명하려고 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벤처 창업가의 특성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창업가의 특성 중에서도 진취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변수로 확인되었다. 반면, 위험감수성은 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미미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벤처 창업가의 특성은 경영전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창업가 특성 중에서 혁신성은 기술혁신 차별화 전략에, 진취성은 마케팅 차별화 전략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셋째, 벤처기업의 경영전략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영전략 중에서도 기술혁신 차별화전략이 마케팅 차별화 전략에 비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벤처 창업가의 특성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경영전략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창업가의 특성은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경영전략과 매개되어 경영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연구결과는 벤처기업 창업가의 개인적인 특성과 기업차원의 경영전략이 연계되었을 때 더 극대화된 경영성과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 벤처기업의 창업 및 성장과정에 따른 대학의 역할, 정부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김영배,이광희,전호일,하성욱,장현국,이성준,최덕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9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최근 우리나라는 IMF라는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하여, 위기를 극복하고 역동적인 경제구조로 바꾸기 위해 경쟁력 있는 벤처기업을 육성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벤처기업은 산업구조 조정 등 국가혁신시스템(National Innovation System)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게 될 뿐 아니라, 신규 고용을 창출함으로써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는 실업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안이 된다. 이제까지 벤처기업에 대한 전략이나 정부 정책은 벤처기업의 특성과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벤처기업은 창업 이후 급속히 성장을 하는 과정에서 매우 다른 경영현안에 직면을 하게 되고, 서로 다른 자원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핵심성공요인과 필요자원 및 역량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외부자원 제공기관으로서 대학 및 정부의 효과적인 역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술집약적 혹은 지식집약적 벤처기업을 대표할 수 있는 우리나라 주요대학 출신의 벤처기업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주어진 연구 기간과 자원 제약하에서 보다 효과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내용본 연구의 개념적 분석틀(Framework)은 다음과 같다. 벤처기업의 산업 혹은 제품/ 시장 영역의 특성, 창업가의 역할, 전략, 내부자원 및 역량, 조직과 외부자원활용 등의 측면에서 벤처기업이 성장단계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성공요인이 무엇이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자원이나 역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규명한다. 그리고 현재 정부나 대학이 벤처기업에 제공하는 지원활동들이 무엇이고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규명한다. 분석결과를 정리함으로서 대학이나 정부가 서로 다른 성장단계에 있는 벤처기업에 어떻게 차별적인 지원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지를 모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벤처 성장과정 및 단계에 관한 기존 문헌을 고찰한다. 우리나라 주요대학들(KAIST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등)의 벤처관련 지원프로그램과 현황을 조사하고, 미국 대학의 벤처 지원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정리한다. 또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현황과 벤처 지원정책에 대해서도 요약한 후 나름대로 벤처기업 성과 및 현실에 대한 분석도 시도한다.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여러 산업에서 서로 다른 성장단계에 있는 대표적인 벤처기업 16개를 골라 심층적인 인터뷰와 자료분석을 통해 사례연구를 한다. 사례에 대한 기술에서 머무르지 않고(사례요약은 별책 참조), 사례에 대한 내용분석(content anaysis)을 시행하여 성장단계별 벤처기업의 특징과 핵심성공요인, 핵심역량의 변화패턴, 그리고 외부자원 활용패턴과 요구자원 및 역량을 비교분석한다. 또 2차에 걸친 설문조사에서 많은 수(1차 표본 463개, 2차 표본 91개)의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이와 유사한 분석을 시행하여 성장단계별로 성과에 밀접한 변수들을도출한다. 이상과 같은 문헌조사와 사례연구, 그리고 서베이에 의한 통계분석을 토대로 결론과 정책 개선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대학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1) 창업보육 인큐베이터는 모두 정부주도로 설치/ 운영되고, 운영면에서 취약한 점이 많아 입주기업에 대한 지원내용도 장소제공이나 싼 임대료 등 유형의 서비스에만 국한된다. (2) 창업관련 교과목의 수도 적고 그 내용에 있어서도 아주 기초적인 수준이며 다양한 주제를 다루지 못한다. 특히, 공대생들을 위한 창업관련 교과목이 없었다. (3) 대학내 동아리가 실제로 창업을 한 경우는 소수이다. 반면, 미국의 대학은 여러가지 센터와 창업 프로그램 및 교육을 통해 대학창업을 유도하고 있다. 정부정책은 매우 다양하고 여러 정부기관들이 분산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런 정책들은 중복되는 부분이 많으며, 불필요할 정도로 많은 수의 지원정책이 존재한다. 이런 정책들이 체계적으로 정비될 필요성이 있고 특히, 전반적인 인프라 구축이라는 측면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 현재 추세이다. 사례연구결과를 보면, 벤처기업이 성장단계 후반부로 갈수록 외부지원활동이 빈번하다. 외부자원 원천으로는 정부와 산업계를 이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대학과 벤처캐피탈이 각각 그 다음 순서로 높은 빈도를 보인다. 대학을 원천으로 하는 외부자원 활용활동은 창업기와 고도성장기에 활용빈도가 높고 초기성장기에는 상대적으로 적다. 정부를 원천으로 하는 외부자원 활용활동은 모든 단계에서 꾸준한 편이다. 벤처캐피탈로부터 창업기에 투자나 융자를 받은 경우는 많지 않고, 주로 초기성장기와 고도성장기에 투자나 융자를 받는 경우가 많다. 산업계를 원천으로 하는 외부자원 활용활동도 정부와 마찬가지로 꾸준히 이용되고 있으나 뒷 단계로 갈수록 다양하고 많은 외부자원이 산업계로부터 제공된다. 성장단계별 핵심성공요인을 살펴보면, 창업기는 역량의 초기구축 단계로 수입대체가 활발하며 내부기술역량이 가장 중요하고 자금이나 상보적인 기술이 중요했다. 창업초기에는 수입대체를 통해 시장의 불확실성을 낮추었다. 초기성장기에는 핵심역량의 확장이나 변화가 많고 핵심제품/ 서비스가 우월하거나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품을 빨리 출시할 때 경쟁력을 가진다. 창업기에 개발된 간판제품의 시장수요에 의해 기업의 행태(주력제품의 수요개발과 차세대 제품개발을 중시하는 정도)가 달라진다. 수요개발을 위해서 는 영업/ 기술인력의 충원, 운영자금 확보와 판로 개발이 중요하고, 차세대 제품개발을 위해서는 추가자금과 새로운 기술/ 기술인력 확보가 중요하다. 고도성장기는 기존 제품/ 시장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상황에서 축적된 내부역량과 자원을 다양한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시너지를 얻고자 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내부 역량을 확장하고 추가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며, 기타 기업 팽창에 따른 제품생산과 조직운영을 위한 거대자금 등이 중요한 외부자원이 된다. 성숙기는 고도성장기와 유사하다. 서베이 조사도 사례분석결과를 지지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결론 또는 정책시사점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각 성장단계별 핵심성공요인과 핵심역량변화 전략은 (표6- 1)에 정리되었고 이에 따라 요구되는 자원능력, 최고경영자의 역할은 (표 6- 2)에 정리되었다. 요구자원능력에 따라 대학과 정부가 제공할 수 있는 외부자원은 (표 6- 3)에 나타나 있고 이에 따른 정책개선방안은 (표 6- 4)에 제시되었다. (표6- 4)에 제시된 정책개선안 중 기술개발지원사업과 대학의 역할에 대해 예시형태로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간략히 정부정책개선방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벤처지원 정책은 성장단계별로 차별화 되어야 한다. 특히 벤처기업 창업에 집중된 현재 정책에서 향후에는 창업기나 초기성장기에 있는 벤처기업의 육성과 지원에 역점이 주어져야 할 것이다. 이 시기의 벤처기업은 다양하고 집중적인 외부자원이나 역량의 지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둘째, 건수 중심에서 내실을 기해야 한다. 정책목표에 집착하여, 창업 벤처기업 건수나 벤처지원 프로그램의 건수, 벤처지원 금액규모 등 계량적인 지표 보다, 시장메커니즘하에서 자생적으로 활성화 되도록 인프라(infrastructure)를 구축하고 기술개발 및 기업가정신을 갖는 인력의 양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학술연구 : 조직생태학적 기회구조와 벤처 창업률: 한국 영화산업 벤처 설립률의 조직생태학적 분석, 1919~2004

        김선혁 ( Sun Hyuk Kim ),신동엽 ( Dong Youb Shi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1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대표적인 문화벤처기업 중 하나인 영화제작사들의 벤처 창업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분석한다. 벤처 창업은 개별 창업가들의 독자적 의사결정에 의해 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조직 외부의 환경 조건이나 다른 주변 조직들의 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조직과 환경간 상호작용의 산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별 조직을 둘러싼 환경 조건이나 주변 경쟁조직들과의 관계 분석이 벤처기업의 창업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요건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창업자 혹은 개별 벤처기업에 초점을 맞춘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조직군(organizational population) 수준에서 벤처 창업의 조건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조직군 수준의 다이내믹스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해 온 조직생태학의 관점에 기반하여 조직군 수준의 주요 조건들과 벤처 창업률 사이의 관계를 실증분석한다. 한국 영화산업 내 영화제작사들의 벤처 창업률을 분석하기 위한 이벤트카운트 분석의 결과, 조직군 밀도, 최근 벤처 창업 편승 행동의 강도, 시장 세그멘트화 정도가 영화산업 벤처 창업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rom a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ecology which pays attention to the dynamics at the population level,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the venture founding rate of Korean film production firms. Without taking much into consideration the effects of outside environment and competing organizations` decisions, previous venture studies have often explained venture founding as an outcome of individual entrepreneurs` or firms` independent decisions. Venture founding, however, cannot be regarded as an outcome of individual entrepreneurs` or individual firms` independent decisions, but should be regarded as an outcome of interaction in which individual entrepreneurs or firms make decision taking into account the effects of external environment and competing organizations` decisions. To understand venture founding process properly, therefore, we should pay attention not only to the dynamics at the level of individual entrepreneur or individual firm, but also to the dynamics at the level of organizational popul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onditions of venture founding in the Korean film industry from an organizational ecology perspective. Specifically, by using the event count analysi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population density, the strength of venture founding bandwagon, and the level of market segmenta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venture founding rates of Korean film production firms.

      • 신기술창업 지원정책의 효율성 분석

        임채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4 정책자료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신기술사업화의 중요성과 함께 제 2 벤처 붐을 위한 정책에 집중적인 관심이 기울여지고 있으며, 1995년부터 시작된 신기술보육사업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음○ 하지만 이러한 정책 전환에도 불구하고, 최근 몇 년간 신기술보육사업의 예산은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왔으며, 한편으로는 사업의 중복성 및 정책적 타당성에 대한 문제가 지적되어 왔음○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수행됨- 신기술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 현황을 종합함- 신기술창업 지원 정책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한 틀을 모색함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연구의 내용- 본 연구는 크게 네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음- 신기술창업지원 정책의 현황을 파악함. 여기에는 정책 현황 뿐만 아니라 환경변화, 주요국의 정책 현황을 포함함- 신기술창업의 성장과정에 대한 이론을 고찰함. 여기에는 성장과정에 대한 각종 이론 뿐만 아니라 면담조사를 통해 얻어진 사례를 포함함- 동태 모형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 및 본 연구에서 적용가능한 모형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고찰함-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결론을 제시함 신기술창업지원 정책의 현황 및 유형○ 신기술창업지원정책의 기대효과는 시장기능 및 경쟁력 강화, 국방 또는 국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신기술 확산 및 촉진, 고용창출, 경제사회 리더 배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우리나라 신기술창업지원 정책은 기술개발, 융자, 입지, 조세, 외부원천 활용 등 직접 지원 방식과 회수시장 및 벤처캐피탈 등 벤처생태계 지원으로 구분할 수 있음○ 미국, 대만 등 주요국의 경우 기술개발을 위한 자금 지원, 경영지원 등이 직접 지원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벤처생태계가 활발한 미국의 경우에도 SBIC를 중심으로 투자 촉진을 위한 간접지원이 활용되고 있음 신기술창업지원정책 효율성 분석을 위한 이론 고찰○ 벤처기업육성정책에 대한 평가는 1999년 처음 시행되었지만, 정책의 역사가 일천하여 정성적인 평가에 그치고 있음. 동 평가는 정책의 적합성, 효과성, 효율성 측면에서 접근하였음○ 신기술창업기업의 성장 모형은 Webster를 비롯하여, Van de Ven, Kanzanjian, Rhhnka & Young, Neil & Lewis, Nesheim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게 연구된 바 있으며, 창업준비단계, 창업단계, 성장단계, 성공단계 등으로 나누어짐○ 신기술창업기업의 성장 사례로서 4개의 기업을 면담 조사하였으며, 이들 기업은 제품과 시장의 유형에 따라서 성장패턴을 달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벤처기업 및 생태계의 동태적 성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다이나믹스 모형이 소개되었으며, 특히 카이밥 고원 모형, 혼합전략 게임 모형을 통해서 신기술창업지원정책의 목적인 생태계 성장 모형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됨 신기술창업지원정책의 효율성 분석 모형○ 모형의 틀로서 벤처캐피탈, 회수시장, 신기술창업기업, 기존기업, 정부정책의 유기적인 연계와 피드백이 발생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음- 벤처캐피탈과 회수시장은 (+)의 피드백 루프를 갖고 있으며, 벤처캐피탈과 창업기업간에는 (-) 피드백이 존재- 정부정책과 창업기업간에는 (+) 피드백 루프가 존재하고, 벤처캐피탈과도 (+) 피드백 루프 존재, 단 정부정책 중 보증 및 융자 지원의 경우 벤처캐피탈과 (-)피드백이 존재- 정부정책은 회수시장에 (+)피드백이 존재하지만, 회수시장은 정부정책에 (-) 피드백이 존재○ 모형의 주요 변수로써 벤처기업의 활성화 정도, 벤처캐피탈의 활성화정도, 시장의 경쟁환경, 회수시장의 활성화 정도, 정부 지원 등이 활용되었음○ 케이밥 모형에 의한 인과지도를 통하여 벤처캐피탈과 신기술창업기업, 시장, 기존기업간의 영향 및 정책의 기여효과에 대한 경로와 방향을 파악할 수 있음○ 신기술창업기업-벤처캐피탈 혼합전략게임에 의한 인과지도를 통하여 상호작용에 의한 관계 형성 구조를 파악할 수 있음 연구의 한계 및 결론○ 벤처기업, 벤처캐피탈, 회수시장 등에 대한 부분적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생태계 측면에서 네트워크 구조와 주요 변수등을 파악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 특히 생태계의 조성 및 강화를 위한 정책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생태계의 동태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를 해석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활동이 필요

      • 연구원 스핀오프 벤처기업 성공전략

        이기환,윤병섭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정책자료 Vol.- No.-

        본 연구는 성공한 스핀오프벤처기업 중 ㈜에이팩을 사례기업으로 선정하고 창업하여 성공한 핵심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모태조직과는 어떠한 연계관계를 갖는지, 모태기관이 스핀오프벤처기업의 성공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에이팩은 신개념의 히트파이프를 개발, 국내 냉각기 시장의 선두주자로 부상하고 있는 ‘강소(强小)기업’이다. 이러한 ㈜에이팩의 성공은 크게 우수한 기술력, 대기업(삼성)과의 합작, 해외시장 개척, 끊임없는 도전정신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첫째, ㈜에이팩의 성공은 우수한 기술력에 있다. 우수한 기술력이 성장을 견인하며, 기술을 끊임없이 재창조하고 있다.둘째, ㈜에이팩의 성공은 삼성 등 대기업과 합작을 통해 기술력을 증강시켜온데 있다. 대기업과 합작을 통하여 ㈜에이팩의 우수한 기술력을 타 경쟁사가 쉽게 모방할 수 없도록 차별화 하였다. 특히 ㈜에이팩은 하나의 대기업만 연관하는 관계에 치중하지 않고 다양한 관계를 형성했을 뿐만 아니라 경쟁관계에 있는 대기업과도 기술력을 활용하여 관계를 창출하는데 성공하였다.셋째, ㈜에이팩의 성공은 해외시장의 개척에 있다. 해외시장의 개척을 통하여 ㈜에이팩의 매출액이 급상승하고 미래성장성을 우수하게 평가받고 있다. 세계시장에서 중소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세계적인 회사와 거래한다는 브랜드파워가 필요한데 Sanmina사, 인텔 등과의 거래는 ㈜에이팩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 교두보가 되었다.넷째, ㈜에이팩의 성공은 끊임없는 도전정신에 있다. ㈜에이팩이 연매출 20억 원에도 미치지 못했던 2001년 송규섭 사장은 직원에게 매출 100억 원을 달성할 때 백두산 여행 기회를 제공한다는 약속을 했고 4년 만인 2005년 매출 115억 원을 달성하자 백두산 여행을 다녀오게 하는 등 도전정신을 불어 넣었다.㈜에이팩을 연구기반 스핀오프벤처기업 성공사례를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는 실리콘밸리 사례와 비교하면 크게 네 가지의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첫째, 시장기회 포착 모멘텀이 ㈜에이팩과 실리콘밸리 성공사례기업 양자 간 상당히 유사함을 발견하였다. 실리콘밸리 성공사례기업의 경우 스핀오프벤처기업의 대다수가 모태조직에서 수행하던 업무 내지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업기회를 포착하고 있다. ㈜에이팩의 경우도 송규섭 사장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직시절 수행하던 프로젝트가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사장(死藏)될 위기에 놓인 상황을 사업기회로 포착하였다.둘째, 기술자원 확보 방법이 ㈜에이팩과 실리콘밸리 성공사례기업 양자 간 상당히 유사함을 발견하였다. ㈜에이팩의 경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직시절 수행하던 프로젝트로부터 회사의 핵심기술인 히트파이프 기술을 원천 제공받았다.셋째, 모태조직으로부터 창업초기 핵심인력인 창업팀 구성의 힘을 얻었다는 점이 ㈜에이팩과 실리콘밸리 성공사례기업 양자 간 상당히 유사함을 발견하였다. ㈜에이팩의 경우 송규섭 사장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프로젝트를 같이 수행하던 2명의 연구원과 함께 창업을 하였다.넷째, 모태조직으로부터 창업자의 배태역량 확보의 힘을 얻었다는 점이 ㈜에이팩과 실리콘밸리 성공사례기업 양자 간 상당히 유사함을 발견하였다. ㈜에이팩의 경우 송규섭 사장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직시절 핵심기술인 히트파이프 분야의 기술지식과 관련한 동문네트워크를 확보하였다.요약 1 제1장 서 론 3 1. 연구목적 3 2. 연구방법과 범위 5 제2장 신기술창업과 스핀오프 7 1. 스핀오프의 개념 7 1) 스핀오프의 의의 7 2) 스핀오프벤처기업의 유형과 특성 9 2. 스핀오프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성공요인 10 1) 개념화와 개발기: 연구결과로부터 사업 아이디어 도출 11 2) 상업화기: 사업 아이디어로부터 도출된 것을 신규 벤처 프로젝트로 완결 12 3) 성장기: 신규프로젝트로부터 스핀오프벤처기업을 출범 14 4) 안정기: 스핀오프벤처기업에 의한 경제적 부의 창출 강화 17 3. 교수·연구원 창업환경 실태조사 결과 19 1) 교수·연구원 창업 현황 20 2) 교수·연구원 창업 후 복직 현황 20 3) 창업자의 입지 현황 21 4) 창업자의 기부 현황 22 5) 창업 성공 기업 현황 22 제3장 스핀오프벤처기업 ㈜에이팩의 성공사례 24 1. 사례선정 및 분석방법론 24 1) 사례분석 목표 및 선정기준 24 2) 사례분석 방법론 24 2. ㈜에이팩의 성공사례 28 1) 스핀오프 배경/ 기업연혁 및 성장 28 2) 창업단계 31 3) 고속성장단계 33 3. 핵심성공요인 정리 및 시사점 35 1) 핵심성공요인 정리 35 2) 모태조직의 지원한계 39 3) 시사점 41 제4장 결 론 48 참고문헌 51 SUMMARY 53 CONTENTS 55 URL : http://www.stepi.re.kr:8080/app/report/rss.jsp?cmsCd=CM0013

      • KCI등재

        2002-2012년의 한국 벤처창업정책의 특징 연구

        하규수,홍길표,이춘우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1

        This research is focused on how the venture-startup policies of South Korea has changed for the last ten years and then scope on its outcomes, limits and suggestions. Several policies for venture-startup has begun when “Small Business Startup Support Law” was developed in 1986.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for venture and startup and development of venture had made a turning point in 1997 “Act on Special Measures for the Promotion of Venture Business” and venture companies has achieved remarkable growth with Information Technologies(IT). However, with the global IT bubble and the enrichment of venture companies, a number of venture companies experienced considerable difficulties due to multiple thresholds. There were a lot of efforts to revitalize venture-startup ecosystem such as fostering innovative SMEs and one-person creative enterprise support policy. From 2002 to 2004, Korean Government focused on preventing moral hazards of Korean Venture Business. From 2005 to 2006, It focused on fostering the role of venture capitals , and From 2007 to 2012, Single start-up business has been fostered by government policies. Generally speaking, it can be said that venture-startup policy was emphasized on building the hardware infrastructure of venture-startup and supporting with the funds.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우리나라 벤처창업정책이 어떤 기조로 변화해왔는지를 살펴보고 그 성과와 한계점을 고찰하고 과제를 제언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우리나라 정부의 벤처창업 정책은 1997년에 제정된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계기로 시작되어 2002년부터 2004년까지는 벤처기업 옥석 가리기 등 벤처산업 건전화 정책이 주요 기조를 이루었고, 2005년부터 2006년까지는 벤처캐피탈의 역량과 투명성을 제고하는 벤처창업정책이 주요 기조였다. 그리고 2007년부터 2012년까지 기술창업활성화와 청년창업활성화의 정책 기조를 띠었다.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한국 벤처창업정책은 IT를 중심으로 한 벤처기업의 내실 있는 성장을 촉진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 1인 창조기업 지원 등 벤처창업의 하드웨어적인 인프라를 구축하고 자금을 지원하는데 역점을 두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