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중등 사회과에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황갑진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0 사회과교육연구 Vol.17 No.4

        Conceptualiz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hanged after the 1960s. There is still disagreement over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mandate to educate students to have the consciousness toward ending oppression and other forms of injustice is clear, but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in the multicultural literature about the kinds of knowledge that are needed to prepare students for multicultural society. This article discusses the need of paradigm shift from pluralist approach to critical approach for the studie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Because of the continued focus on private troubles instead of on social reform and achievement of equality and equity, the author emphasiz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involve the contents about social structure and critical theory. 한국사회에 있어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은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급속한 증대에 기인한다. 정부는 2006년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을 마련하였고, 이를 계기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한국의 다문화사회나 교육 정책의 특성에 대한 분석 없이, 다문화가정이나 그들 자녀들의 적응이나 다문화사회 이해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중심으로 한국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비판적 다문화주의 교육을 위해 중등학교 사회과의 교육내용과 다문화교육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중등학교 사회과에서의 다문화교육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한국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의 특성은 보수적이며, 다문화교육은 지배와 피지배의 차별철폐를 위해 모두를 대상으로 해야 하며, 이에 따라 다문화교육의 내용도 구분되어야 한다. 그리고 다문화교육 내용은 교육내용의 객관성, 다문화가정의 민족역사를 고려한 역사교육, 학생의 부적응 현상에 대한 구조적 접근이 강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지자체 주관 문화이벤트의 교육 기능 확대 방안 연구 -부천세계무형문화유산엑스포를 중심으로-

        김승재 ( Seung Jaec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교육문화연구 Vol.15 No.1

        다양한 문화행사의 주체로 대두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행사 및 주요 이벤트는 그자체가 “축제적 기능”을 지니고 있으나 동시에 시민의 문화향유권을 신장하는 역할과 문화적 정체성 확대의 기능이 있다. 그러나 그러한 행사를 진행하고 개최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동 행사의 “교육적 기능”에 대해서 검토하는 연구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노력이 기울여지지 않았다. 최근 들어 각 지자체가 앞 다투어 개최하는 다양한 형태와 주제의 행사들이 어떠한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적정한 목표를 수립하여 접근하고자 한 것이이 연구의 목적이다. 단순히 “관객개발”이나 “동원” 논란의 관점에서만지자체 행사를 바라 볼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교육 및 학습의 장으로서 이러한 행사가 얼마나 의미있는 역할을 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고 이의 실제적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으로 지난 2008년도에 경기도 부천시에서 실시한 “부천세계무형문화유산엑스포”의 행사 내용 구성 및 실행 내역을 통해 이의 교육적기능에 대해 검토하고 동 발전 방향에 대한 제언을 정리하였다. 여러 지자체의 문화행사가 다양한 주제와 목표를 가지고 개최되고 있으나 기초 자치단체 중에서도 오랜 기간에 걸쳐 “문화도시”를 대표적인 도시 브랜드의 지표로 설정하고 시민 복지의 핵심적 기능을 “문화”에 두어 시정을 발전시켜온 부천시의 경우는 최근 그 실행의 대상을 “무형문화” 혹은 “전통문화”에서 찾아내고자 노력해 온바 있다. 본질적으로 전통이나, 무형문화라는 테마는 국가나 민족의 문화적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기능이 있음과 동시에 국가의 브랜드를 형성하는 독창적 요소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문화라는 전체영역 중에서도 진지한 관심과 연구의 대상이 되어야 할 당위성을 갖고 있다. 더욱이 급격한 산업화의 과정에서 맹목적인 서구 문화의 유입에 대항하여 전통적 가치의 효용성에 대해 새로운 인식이 자리하고 있는 현재적 관점에서 수도권 내에서도 급속한 팽창을 경험하고 있는 경인지역 서부권의 대표적 도시인 부천시가 대표적 문화행사로 내세우고 있는 ??부천엑스포??의 사례를 검토해 보는 것은 향후 합리적인 도시문화 형성과 발전 방향 수립에 효율적인 요소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여타 지자체 문화정책의 수립에도 참고,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배가할수 있으리라 본다. 이 논문에서는 ??부천엑스포??의 성격과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동 엑스포가 교육적 기능을 수행하는 면에서 성취해 온 내용과 향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요소들은 무엇인지, 아울러 이를 통해 타 지자체들을 위한 모본으로서 제시할 수 있는 내용들은 어떤 것이 있을 수 있는지 검토하고 제시하였다. 각지에서 개최되는 지자체 주관 문화 이벤트들의 내용이 단순히 행사 자체의 성과 위주에 치우쳐 있어서는 진정한 문화적 저변 확대라는 목적에 적절히 부응할 수 없을뿐더러 결과적으로는 동 행사의 성공에도 기여할 수 없다는 점을 도출해 내고, 본질적으로 각급의 문화행사를 기획·추진할때, 이의 교육적 기능에 주목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나가는 방안을 실천하는 것이 궁극적인 문화도시로의 순행 과정이라는 점을 지적하고자 하는 것이 이 소논문이 의도하는 바이다. 그러한 제안으로서 이 논문에서는 중앙단위 기구인 (재)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의 초기 연계추진 방안을 제시하였고, 광역 및 지역단위 비영리 공익문화재단의 문화예술교육사업과의 연계추진을 검토할 것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지속적인 공간 및 시설 활용 프로그램의 구성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특히 부천엑스포의 경우 엑스포가 끝난지 수개월이 지나도록 이러한 교육기능의 확대 및공간 활용에 대한 적극적인 대안도 계획도 없이공적 조직 위주의 행정 중심주의 행사 운영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한계에 대한지적을 다각적으로 수용하는 것은 향후 보다 나은행사 관행의 정착을 위하여도 바람직한 방향이란점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문화공간들에 대한 재해석과 응용의 시도를 도모하고 문화예술교육의 평생교육시설과의 결합 및 연계 발전 방안에 대한논의를 실제적으로 추진할 것을 언급하였으며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한계와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접목을 시도할 것을 제안하였고 행사를 매개로 하는 문화예술교육 전담 인력의 양성을 구체화할 것을 논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의 사업 성패가 정책입안과 실행, 교육담당인력과 기획인력 등 양질의 전문인력의 확보에 상당부분 달려 있음을 지적,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 원하는 누구나 교육받을 수있고 기본요건만 갖추면 원하는 누구나 가르칠 수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고 아울러 질에 대한 평가를 공정하고도 심도있게 실시하여 열린 정책을실현해 나가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eks a possible connection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coordinated cultural events and culture-art education programs and direct support of the central government. It seeks to find a reasonable co-related product with a strategic master plan by means of close examin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of Buche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xposition 2008 as a case of local government - coordinated cultural events. Though local governments in Korea host various festivals and expositions to promote the local industry related to regional cultural heritages, on many occasions, some lack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functions that can promote those events and relate the local industry and culture. This study develops the methods and values by means of using the common elements of both side events and systems from the previously established culture and arts programs which are coordinated by public arts foundations and governmental departments. Continuous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local governments - coordinated events and how it is related to educational programs will widen out the study to subjects such as the co-relation between events and public relations of the local government. Buche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xposition 2008(Biche) is mainly based on the traditional elements though; some of those elements are re-moved from the popular region of culture. Henceforth the research and study of the productivity of traditional heritages embodied by the modern techniques of industry and design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in developing this exposition. Demands for educational functions are also on the rise among professionals and citizens.

      • KCI등재

        기획논문 : 구성주의 이론에 기반한 다문화교육사 양성 프로그램 연구

        이미정 ( Mi Jung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교육문화연구 Vol.1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다문화교육사 양성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주의의 교수-학습 원리를 근거로 다문화교육사 양성과정의 이론적 토대를 정하였다. 구성주의 교수-학습 원리는 교수자, 학습자 그리고 학습환경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둘째, ‘문화’, ‘교육’, ‘다문화교육의 이해’, ‘다문화교육방법론’, ‘다문화교육과 지역사회’ 등의 10개의 교육 과정을 선정하였다. 셋째, 교육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구성주교수?의 교수-학습 원리인 교수자 원칙, 학습자 원칙 그리고 학습환경 원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개발한 실라버스는 ``지구촌 문화탐방 1 - 한국의 자연지리’인데, 팀별 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의 반성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문화교육사 양성과정 운영을 통한 기대효과를 살펴보면,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재개발 활용과 개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지역 내 다른 평생교육과 연계 운영이 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ogram of Master of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based on the Constructiv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selected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program of Master of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as teaching- learning principles of the constructivism. They consist of teachers, student, and the environment of education. Second, we development ten subject as to culture, education,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methodology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ommunity, and more. Third, we developed a syllabus for understanding this curriculum. The period of this program is about four months in Inha-ha Continuing Education Eenter.

      • KCI등재후보

        다문화 대안교육을 위한 교육복지 방안 연구

        유진이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16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다문화대안교육의 현실과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지원체계 로서 다문화가족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관련법과 정책에 대하여 개괄적으 로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민간지원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다문화 대안학 교인 평택대학교 디딤돌스쿨의 프로그램 운영현황을 살펴봄으로써 다문화 대안교육의 교육복지 방향에 대한 기초적인 사항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다 양한 출신국적과 가정배경을 가진 아동・청소년들의 가정적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발달특성 및 욕구별 프로그램의 다원화 정책 등 다문화 대안교육의 교육복지에 대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relevant laws and policies targeting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support systems were analyzed broadly to discuss the current situation in and direc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operating status of the programs of the Pyeongtaek University’s Didimdol School, a multicultural school currently operated with private support, was examined in detail. Given the multicultural backgrounds of children/teenagers from various familial and national backgrounds, directions for education and welfare in multicultural schools, including policies for the diversification of programs according to demand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by identifying the basic issues arising from those direc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 언어교육의 국내외 현황 및 언어교육 강화 방안

        모경환,이재분,홍종명,임정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5 다문화교육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linguistic minority stud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on language development of diverse students, language education policies of multicultural societies such as Germany, Canad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the current KSL and bilingual education in Korea, this article suggests improvement plans for multicultural language education. First of all,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from diverse families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bilingual literacy, educational equality, and global citizenship required to function effectively in this globalized world. Standard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effective instruction models and share exemplary practices. All students in need of KSL and bilingual education have the right to be taught by high-quality teachers.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students whose first languages are not Korean introduces more accountability for teachers, schools, and education offices. 언어는 사회 및 집단의 주요한 문화유산이자 소통의 도구이며 소속 구성원 간 이해와 연대의식, 소속감과 애착을 형성하는 토대이다. 따라서 공존과 통합이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부상한 다문화 시대에,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언어교육은 매우 중요한 정책 아젠다가 된다.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언어교육 정책은 사회의 공식 언어를 교육하는 것과 학습자의 제1언어를 유지, 계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계승어 교육 혹은 이중언어교육으로 구분된다. 공식 언어를 교육함으로써 사회 통합을 도모하는 동시에 제1언어의 습득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개인이 지닌 교육적 자산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2006년 다문화 교육이 정책 아젠다로 등장한 이후, 다문화 언어교육 정책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많은 가시적인 변화와 성과를 달성해 왔다. 이제는 그간 축적해 온 교육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정책의 전문화 및 세분화를 모색할 시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바람직한 다문화 언어교육을 위한 국가 정책 차원의 목표와 원리, 접근 방식 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학습자의 언어 발달 원리를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일본․독일․캐나다․미국 등, 주요 국가의 다문화 언어교육 정책을 고찰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KSL) 교육과 이중언어교육의 현황을 검토하여, 정책 측면, 프로그램 측면, 운영 측면에서의 약점과 강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문화 언어교육 강화를 위한 방안을 교육 목표, 교육과정, 교수-학습, 운영체제, 교강사 운영, 학교-가정-사회의 지원 체제별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

        강다영,김진희 한국문화교육학회 2014 문화예술교육연구 Vol.9 No.4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인문학, 문화예술, 경제학, 언론학 등 학계에서 붐을 이루고 있다. 특히, 문화콘텐츠산업이 사회 변화의 주요 내용으로 논의되면서 영화, 캐릭터, 스토리텔링 등 문화콘텐츠 관련 시민강좌의 교육프로그램이 각광 받고 있다. 이는 문화콘텐츠교육이 창의성과 기획력 등의 역량을 강조하며 그러한 능력을 갖춘 사람을 길러내는 가치는 평생교육의 관점에서도 중요한 일일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를 기반으로 지역문화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첫째, 문화콘텐츠의 장르는 다양하지만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내용은 기술적인 내용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둘째, 평생교육의 영역별 문화콘텐츠 교육 내용은 주제, 목적, 내용, 방법,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주제는 '스토리텔링'과 '기획'에 집중되었고, 목적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외형적으로 보이는 정량적인 목표치나 거대담론적인 내용으로 수강생들을 집중시켰다. 교육내용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수업방법은 1주제 1인강사 위주의 강의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교육주체들의 관점을 분석한 결과, 수강생들은 지역의 소재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창작물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을 하였고, 운영자들은 수강생들의 관리에 대한 고민이 깊고 지역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을 가장 큰 목적으로 여기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확산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논의하였다. Recently, cultural contents has been increased in Korea. The cultural contents education emphasizes on the capabilities of creativeness, planning ability and producing abilities. This study proposed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of local culture contents from the viewpoints of educational subjects and researchers. Study analyzed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perated by cultural contents education institutio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interviews and open-answer questionnaires. Data was analyze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programs focused on media technological domains in cultural contents. Analyzing the cases of cultural contents programs were by theme, purpose, method and target. The themes were largely biased on 'storytelling' and 'planning'. Purposes were not clearly appeared with concentrating the attendees' interests on some quantitative goals or macroscopic contents. Teaching methods were divided into the lecture type. The education target was not defined according to any specific regulations, but widely applied. Second, learners thought over the ways low to utilize materials in their regions and programs pursue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created environment where learners as the educational subject should more actively communicate with operators.

      • KCI등재

        다문화교육 정책프로그램의 분석과 평생교육적 대응방안 연구

        이병준,박정현 한국문화교육학회 2014 문화예술교육연구 Vol.9 No.4

        학계와 담론에서는 '다문화'가 아니라 '상호문화'라고 주장되고 논의되지만 교육의 현실에서는 객체화된 학습대상자로서의 '다문화'가 대세이다. 이러한 현실은 공급자 중심의 정책프로그램이 만연해있을 뿐 현장과 문제중심의 정책과 프로그램이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지 못하다는 현실을 반영한다. 다문화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과 단체들이 거의 대부분이 넓은 의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기관과 더불어 문제점을 진단하고 효율적인 방안을 강구하는 것은 정책적, 실천적, 담론적 측면에서 매우 의미있는 작업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다문화 지원서비스 정책 프로그램과 관련된 기존의 정부 정책 사이트와 사업설명자료, 정책보고서에 대한 내용분석,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평생교육적 대응방안을 크게 다섯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모듈을 통합화해야 한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One stop 평생학습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다문화공동체 문화 조성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공해야 한다. 넷째, 다문화관련 가족·복지·평생교육 기관간의 협력체제를 구축해야한다. 다섯째, 다문화가족센터 인력을 다양하게 확보해야 한다. 'Inter-culture', not 'multiculture', is insisted and discussed in academic world and discourses, but 'multiculture' is general trend as a studying subject objectified in educational realities. The realities show that site/problem-oriented policies and programs are neither established nor manages as supplier-oriented policy programs are just prevalent. Most of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ho provide multicultural service plan and provid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n a broad sense, so it should be very significant to introduce it, diagnose problems and find efficient measures from political, practical and discussional angl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existing governmental policy sites related to multicultural support service policy program, business brochures, analysis on contents of policy report and focus group interview for experts. As the result, there are greatly 7 problems of regional multicultural service program. First, assimilation is focused more than multiculturalism for educational purpose. Second, there is insufficient agreement for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learning contents for educational contents. Third, only marriage migrant women are focused for educational subject. Fourth, the plan of educational program focuses on suppliers. Fifth, appraisal standards of educational program are uniformed. Sixth, messengers of educational program are vary various and crossed, so the dupl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is inevitable.

      • KCI등재후보

        다문화교육 강좌의 효과성 측정을 위한 다문화감수성 측정 도구 개발

        이철현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3 다문화교육연구 Vol.6 No.3

        The program supporting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has been perform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from 2010, what aims for enhancing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of pre-service teachers i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colleges of education. It is required to measure the result of this four-year-old program, but it has not been surveyed using a standardized method yet. We need to find how well students attend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understand and accept multiculture to measure the result of the program supporting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scale for measuring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 These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multicultural sensitivity scales developed by several scholars have unique features each, but they are not very well matched for measuring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reflecting the feature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Thus it is needed to develop the new multicultural sensitivity scale. Second, a preliminary scale was made up on the basis of leading researches, and the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using this scale. Thus, first main scale consisted of six factors, 34 items were developed. Third, main survey using this scale was conducted about 523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 college of education. A draft multicultural sensitivity scale consisted of six factors, 24 items was compose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survey. Fourth, the draft multicultural sensitivity scale was reviewed two times by three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ts, and i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reviews, and the final multicultural sensitivity scale consisted of six factors, 25 items was developed. 한국연구재단은 2010년도부터 예비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목적으로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에 다문화교육 강좌를 지원하는 사업을 수행해오고 있다. 4년째 접어드는 이 사업의 성과를 측정할 필요가 있으나 아직 표준화된 방법으로 측정된 바가 없다. 다문화교육 강좌 지원 사업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강좌의 수강생들이 다문화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받아들이는지를 파악해 볼 수 있고, 이는 수강생들의 다문화 감수성을 측정해 봄으로써 가능하다.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강좌를 수강하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감수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다문화감수성 측정 도구는 각자 특장점을 갖고 있으나 다문화교육 강좌의 특성을 반영하는 다문화적 감수성을 측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아 다문화감수성 측정 도구를 새롭게 개발할 필요성이 발견되었다. 둘째, 선행 연구를 기초로 예비 문항을 추출하여 구성한 예비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예비 검사를 한 결과 6개 영역, 34개 문항으로 구성된 1차 본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셋째, 1차 본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교대와 사범대에 재학중인 52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기초로 6개 영역, 24개 문항으로 구성된 다문화감수성 척도 초안을 완성하였다. 넷째, 다문화감수성 척도 초안에 대해 다문화교육 전문가 3인이 2차례 검토를 하였고, 이들이 제시한 검토 의견에 따라 척도 초안을 수정 및 보완하여 6개 영역, 25개 문항으로 구성된 다문화감수성 척도를 완성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교육인력 양성의 비판적 고찰

        이효정(Hyo-jung, Lee),최현정(Hyun-jung, Choi)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부처별로 이루어져왔던 다문화 교육인력 양성사업을 다문화교육의 추진체계, 목적, 내용 범주에 따라 비교분석하고, 향후 다문화교육의 방향 모색을 위한 비판적 제언을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한국사회에서 부처별로 추진되어 왔던 다문화 교육인력의 양성사업으로 문화체육관광부, 법무부, 여성가족부, 교육과학기술부, 국가인권위원회의 사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다문화 교육인력 양성사업의 추진체계, 목적과 대상, 내용을 분석하였다. 정부부처 다문화 교육인력 양성사업의 분석을 통해 다음의 몇 가지를 도출해낼 수 있다. 첫째, 정부부처의 다문화 교육인력 양성사업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와 객관적인 평가를 충분히 거치지 않았다는 점이다. 둘째, 정부부처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문화 교육인력 양성사업의 중복성이다. 셋째, 다문화 교육인력 양성사업을 포함하여 다문화관련 예산의 중복성이다. 넷째, 다문화적 소양이 풍부한 다문화 교육인력 전문성 강화이다. 앞으로 다문화 교육인력 양성사업의 주체들은 이러한 분석결과를 충분히 검토하여 양성과정의 교육을 차별화시키고 그에 따라 강사 파견뿐 아니라 향후 정책의 추진방향에 대해 명확하고 구체적인 추진계획을 제시해야한다. 또한 각 부처가 다문화 교육인력 양성사업이 진정 다문화에 대한 본질을 다루고 있으며, 문화다양성의 의미를 구현해내고 있는냐를 점검하여 본 정책의 자체에 대한 철저한 논의와 탐색을 충실히 다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t ministries of the government of which the Human Resource Training Projec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romo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content categories, the futur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seeking to. To this e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ince 2008, which has been promoted by different ministrie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Ministry of Justic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Proj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ersonnel training policy analysi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opulsion system, objectives and targets, and the contents of the Human Resource Training Projec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ome of the following can b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inistr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ject. First, it is an objective assessment for in-depth discussion of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ject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not gone through enough. Second, the governments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education business is a redundancy. Third, the redundancy of the multicultural budget, including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jec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 is the strengthening of the abundant Multi 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 education personnel expertise. Should be clear and specific pla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business of promoting as well as differentiate benign process of education by reviewing the analysis results, and accordingly, the instructor dispatched. Addition to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bout the nature and meaning of cultural diversity in the multicultural business pay checks whether the government should be a thorough discussion on this project, and navigation.

      • KCI등재

        한국 다문화교육의 철학과 방향 탐색

        정지아 ( Jeaah Ju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5 교육철학연구 Vol.37 No.3

        본 논문의 목적은 현 한국 다문화 상황의 한계와 다문화주의 문화철학의 문제를 극복하는 다문화주의 철학의 재개념화를 통하여 한국 다문화교육의 철학과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한국 다문화 상황의 한계는 사회적 문화적 토대조건이 미비한 구조적 한계 상황 속에서 다문화 담론화 과정을 국가가 주도함에 따라 주류 사회적 논의들과 단절되어 있고 다문화주의는 동화정책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 다문화주의 철학의 핵심적 문제인 문화철학의 문제는 교육과의 관계에서 문화해석의 문제, 문화 상대주의와 가치상대주의의 연계 문제, 문화본질주의적 시각의 문제들로 요약 된다. 이상의 상황적 한계와 문화철학적 문제들을 극복함으로써 한국 사회 현실에 적합한 규범적 당위성과 구현 및 문제해결 가능성을 가진 한국의 다문화주의 성격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이같이 도출한 한국적 다문화주의 철학으로부터 교육의 논리로 번역한 한국 다문화교육의 철학과 방향을 결론적으로 제안하였다. 그것은 다문화 시민성 교육, 다층적 문화정체성의 육성, 다양한 문화에 대한 도덕교육적 측면의 강화, 문화를 넘어서는 실존적 문화인의 육성, 다문화적문해 능력, 그리고 다문화교육의 평생 교육적 측면을 포함해야 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Faced with the multicultural challenge of the Korea and the world, this study explores the philosophy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Korea, based on the analysis of multicultural conditions of the society and underlying multiculturalism as cultural philosophy. As Korean society is not yet to be structurally prepared to meet the relevant multicultural conditions, multicultural policy, its social discourse and education have been limited to government policies, and one-directional assimilation of Korean culture. The critical problems of multiculturalism are in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 as determinism, the concept of culture as group identity and unchanging essence, and absolute cultural relativism. Therefore, the multicultural philosophy with contextural relevancy for current society need to meet the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conditions and overcome the problems of cultural philosophy itself. Finally, the philosoph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ranslated from the multiculturalism reconceptualized. The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derived are: multicultural citizenship, multidimensionality of cultural identity,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and cultural criticism, respect for cultural transcendence of individual, multicultural literacy, and extend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o social and life-long enterpr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