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낙동강 중류역 삼국시대 성곽의 분류와 특징

        조효식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6 고문화 Vol.67 No.-

        This thesis is supposed to inspect both concrete features of fortresses located on riverside and its constructing-background by both examining and comparing the form and the location of fortresses and a rampart form based on both traditional theories and the information which have been newly obtained through survey on fortresses densely located on Nak-dong riverside during Three-Kingdom periods. Fortresses are constructed in compliance with geographical features irrespective of their heights,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form, the location and the scale. the most different feature of those differences is found in the form in the case of east-side, rampart constructed have diverse kinds of form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west-side, most of fortress constructed are small-sized, and mountaintop-rounded form. It can be inferred that compared to Silla, these aspects are caused by the Dae-kaya’s shortage of labour-mobilization and its mobilization period considering political influences, namely overall external factors relating the construction of rampart in both Silla and Dae-kaya. Ramparts are mainly constructed by ground-shaving methods and using earth-stone methods in the early period. But as time passes by, for most of fortresses located on west-side, the early methods of construction are used continuously while east-side fortresses are built in the more delicate way . In addition, a stone-mounded watchtower found outside Daegu could be useful for estimating the date of the construction of fortresses because it is a structure which is intensively constructed in a short period. 본고는 낙동강 중류역 양안에 조밀하게 분포한 삼국시대 성곽들에 대한 기존의 보고내용과 실제 답사를 하여 새로이 확인한 사실들을 바탕으로 성곽의 형태와 입지, 성벽형태 등을 비교 검토하여 양안 성곽의 구체적 특징과 그 축조배경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양안지역 모두 고도에는 별 관계가 없이 지형에 맞추어 성곽이 축조되었으나 형태, 입지, 규모에서 일부 차이를 보인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차이점은 형태차이로 동안의 경우는 다양한 형태의 성곽이 축조되는 데 반해 서안지역은 대부분 소형의 테뫼식 산성이 주를 이룬다. 이는 양안지역의 삼국시대 정치 세력, 즉 신라와 대가야의 축성사업과 관련한 외적 요인 전반을 검토해 보았을 때 신라와 달리 서안지역의 대가야가 성곽 축조에서 인력동원과 동원기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성벽형태의 경우 양안 성곽 모두 초기에는 삭토와 토석혼축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동안성곽은 보다 정연한 석축성벽을 구축해나가는 데 반해 서안성곽은 초기 방식이 지속되는 것이 많다. 그 외 대구 외곽지역에서 확인되는 적석망대는 짧은 시기에 집중 조영된 유구라는 점에서 성곽의 연대 비정에 도움을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